KR100545013B1 - 제설용 살포변위장치 - Google Patents

제설용 살포변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013B1
KR100545013B1 KR1020050058007A KR20050058007A KR100545013B1 KR 100545013 B1 KR100545013 B1 KR 100545013B1 KR 1020050058007 A KR1020050058007 A KR 1020050058007A KR 20050058007 A KR20050058007 A KR 20050058007A KR 100545013 B1 KR100545013 B1 KR 100545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discharge port
snow
spreader
snow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to KR1020050058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환경에 따라 제설재의 살포영역을 조절하여 그 살포 효율을 높인 제설용 살포변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으로부터 도로를 향해 회전되게 설치되어 제설재를 살포하도록 된 스프레더를 구비하고, 그 스프레더의 상부에 제설재를 투하하기 위한 투하구를 구비하되 그 투하구를 스프레더에 대해 좌우 이동시켜 제설재의 낙하위치를 변위하며 투하하도록 한 작동구를 구비한 것이다. 이 때문에 도로의 환경에 따라 제설재의 살포영역을 조절하여 그 살포 효율을 높인 것이다.
제설, 제설재, 모래, 염화칼슘용액, 살포, 변위

Description

제설용 살포변위장치{Snow removing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용 살포변위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것을 측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에서 표시A 부분을 나타낸 확대 도면,
도3은 도2에서 표시B 부분을 나타낸 확대 도면,
도4는 본 발명에서 스프레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도4에서 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서 작동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7a∼도7d는 도6의 작동구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8a∼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제설용 살포변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차량 2:모래함
3:컨베이어 4:모래 공급관
5:염화칼슘용액탱크 6a:펌프
6b:관 7:구동축
8:제1구동모터 9:지지 프레임
10:스프레더 11:회전판
12:원뿔대 13:날개
13a:제1수평판부 13b:직립판부
13c:경사판부 13d:제2수평판부
14:볼트 20:스프레더 덮개
21:스크린 22:돌부
30:투하구 40:작동구
41:제2구동모터 42:회전 디스크
43:크랭크부재 44:커넥팅부재
44a:너트부재 44b:나사봉
본 발명은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철 도로의 결빙으로 인한 미끄러움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제설재(모래, 소금, 염화칼슘용액등)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환경에 따라 제설재의 살포영역을 조절하여 그 살포 효율을 높인 제설용 살포변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눈의 결빙으로 인한 도로의 빙판화를 방지하기 위해, 눈이 오는 즉시 제설재를 살포함이 주지된 사실이며, 이때 제설재 살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살포장치를 통하여 살포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살포장치는 출원인과 동일 출원인이 출원하여 각각 실용 및 특허로 등록받은 실용신안공고 공고번호 제95-9531호, 특허 등록 제28115호 및 특허 등록 제465480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원 기술에 개시된 살포장치는 살포기의 고정 위치에 제설재를 투하하여 도로 위로 살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살포영역이 획일적으로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로 인해 특히 도로가 편도 2차선 이상의 다차선인 경우 차선별로 반복 주행하며 제설재를 살포해야 하는 작업성의 문제와 도로의 환경에 적합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도출되며, 이 때문에 신속한 교통소통에 장애를 주는 요인이 되곤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설재의 투하 위치를 변위하여 도로의 환경에 따라 제설재의 살포영역을 조절함으로써 그 살포 효율을 높인 제설용 살포변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장착된 제설용 모래함 및 염화칼슘용액탱크로부터 제설재를 미끄러운 도로 위에 살포하도록 된 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적재함으로부터 도로를 향해 연장 설치되는 모래 공급관의 하측에 상기 차량의 동력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어 도로 위에 제설재를 살포하도록 된 회전판과 그 회전판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에 공급된 제설재를 도로 위로 골고루 확산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날개들로 이루어진 스프레더; 상기 모래 공급관의 하단에 좌우로 이동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에 제설재를 투하하기 위한 투하구; 및 상기 투하구와 연결되게 그 상측으로 상기 모래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투하구를 작동시키되 상기 투하구가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측 연부를 넘지 않는 직선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작동시켜 그 범위 내에서 제설재의 낙하위치를 변위하며 투하하게 하여 상기 스프레더의 제설재 살포방향을 조절하도록 한 작동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에는 중앙이 볼록한 볼록 경사면을 갖는 원뿔대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날개들은 상기 회전판과 대면하는 제1수평판부와, 그 제1수평판부의 일측으로부터 직립하게 연장되는 직립판부와, 그 직립판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판부와, 상기 제1수평판부와 평행하게 그 경사판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수평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직립판부는 좌측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평판부는 좌측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그 우측단이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탈착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스프레더와 투하구와의 사이에는 상기 차량 쪽의 연부에 스크린을 갖는 스프레더 덮개가 더 설치되고, 그 덮개의 상면에는 상기 투하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ㄷ"자형의 돌부가 더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작동구는 상기 차량의 동력원으로 구동하는 구동 모터에 설치되는 회전 디스크와, 이 회전 디스크상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부재와, 이 크랭크부재와 투하구 사이를 연결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상기 크랭크부재의 직선운동을 상기 투하구에 전달하기 위한 커넥팅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커넥팅부재는 상기 크랭크부재와 회동하게 연결되는 너트부재와 이 너트부재에 길이조절되게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용 살포변위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것을 측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에서 표시A 부분을 나타낸 확대 도면, 도3은 도2에서 표시B 부분을 나타낸 확대 도면, 도4는 본 발명에서 스프레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도4에서 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서 작동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7a∼도7d는 도6의 작동구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8a∼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제설용 살포변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설용 살포변위장치는 차량(1) 적재함의 후측에 도로를 향해 장착되어 눈이 쌓이게 되는 도로 위에 모래나 소금 또는 염화칼슘용액과 같은 제설재를 동시에 또는 각각 넓은 지역으로 살포하여 도 로의 결빙을 막는 기능을 한다.
상기 차량(1)의 적재함에는 제설에 사용하기 위한 살포용 모래함(2)으로, 그 살포용 모래함(2)의 내부에 수용된 모래는 그 모래함(2)의 저부에 설치된 컨베이어(3)의 구동시 그 컨베이어(3)에 의해 컨베이어(3)의 단부에 면하여 도로 측과 인접되게 설치된 모래 공급관(4)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모래함(2)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염화칼슘용액 탱크(5)에는 일반적인 염화칼슘용액이 저장되어 있고, 그 탱크(5) 내의 용액은 펌프(6a)의 구동시 관(6b)을 통하여 후술하는 스프레더(10)로 공급된다.
상기에서 차량(1)에 장착된 모래함(10) 및 염화칼슘용액 탱크(5)의 구조, 모래를 이송하는 컨베이어(3), 상기 염화칼슘용액 탱크(5)에 설치되어 그 탱크(5) 내의 용액을 압송하게 하는 펌프(6a)의 구동 및 용액의 이동경로 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은 선원 기술에 의하여 기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1)의 적재함으로부터 도로를 향해 연장 설치되는 모래 공급관(4)의 하측에는 상기 제설용 모래함(2) 및 염화칼슘용액 탱크(5)로부터 공급되는 모래 및 염화칼슘용액을 도로 위로 살포하기 위한 스프레더(1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프레더(10)는 차량(1)의 동력원(예컨대, 베터리)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7)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참조번호 (8)은 상기 구동축(7)을 회전시키기 위한 차량(1)의 동력원으로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구동축(7)은 상기 차량(1)의 후측에서 상기 모래 공급 관(4)을 따라 도로를 향해 길게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9)의 지지를 받는다. 상기 구동모터(8)를 포함한 구동축(7)을 회전시키는 수단은 극히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프레더(10)는 상기 구동축(7)의 단부에 볼트(B)로 탈착되게 체결되어 그 구동축(7)과 같이 회전하는 회전판(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판(11)은 상기 모래 공급관(4) 및 관(6b)을 통해 공급되는 제설재를 도로 위로 살포하기 위한 원심력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판(11)의 중심에는 중앙이 볼록한 볼록 경사면을 갖는 원뿔대(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원뿔대(12)는 제설제가 원심력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상기 회전판(11)의 중심부로부터 인접하게 투하되었을 경우 그 제설재를 상기 회전판(11)의 연부 쪽으로 미끄러지듯 빨리 이동시켜 살포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회전판(11)은 상기 원뿔대(12)를 관통하여 삽설되는 상기 구동축(7)과 축결합된다.
상기 회전판(11)의 상면에는 다수의 날개(13)가 상기 구동축(7)을 기점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날개들(13)은 상기 회전판(11)과 같이 회전하면서 그 회전판(11)으로 공급되는 제설재를 도로 위로 넓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날개들(13)은 도5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1)과 대면하는 제1수평판부(13a)와, 그 제1수평판부(13a)의 일측으로부터 직립하게 연장되는 직립판부(13b)와, 그 직립판부(13b)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판부(13c)와, 상기 제1수평판부(13a)와 평행하게 그 경사판부(13c)로부터 연장되는 제2수평판부(13d)로 이루어지되, 상기 직립판부(13b)는 좌측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평판부(13d)는 좌측단으로부 터 우측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그 우측단이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판(11)에 탈착되게 설치된다. 도5b는 상기 날개들(13)을 좌측 사시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상기 날개들(13)은 경사판부(13c)와 제2수평판부(13d)를 통해 제설재를 안전하게 홀딩하여 보다 넓게 확산되는 상태로 살포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하게 된다. 제설재가 상기 날개들(13) 위로 투하된다 하여도 경사판부(13c)을 통해 다음 날개들(13)로 신속히 이동된다. 상기 날개들(13)은 제1수평판부(13a)를 통해 체결되는 볼트(14)로서 상기 회전판(11)의 상면에 탈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날개들(13)만의 정비나 고장시 교체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스프레더(10)의 상측에는 즉, 하기되는 투하구(30)와의 사이에는 상기 차량(1) 쪽의 연부에 스크린(21)을 갖는 스프레더 덮개(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스프레더(10)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이루어 상기 구동축(7) 상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덮개(20)에 형성된 스크린(21)은 제설재가 상기 차량(1) 쪽으로 살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차량(1)의 부식을 방지하게 한다.
상기 모래 공급관(4)의 하단에는 그 모래 공급관(4)을 통해 공급되는 모래 또는 모래와 염화칼슘용액이 혼합된 제설재를 상기 회전판(11)에 투하하기 위한 투하구(30)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투하구(30)는 상기 스프레더 덮개(30)의 상측에 위치하게 상기 모래 공급관(4)의 하단에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레더 덮개(20)에 형성된 개구부(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회전판(11)에 제설재를 투하한다. 그 개구부에 위치하게 상기 덮개(20)의 상면에는 "ㄷ"자형의 돌부(22)가 개구가 외측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부(22)는 상기 투하구(30) 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여 제설재의 누출없이 안전하게 투하하게 한다. 이러한 투하구(30)는 U자 모양의 판체로 이루어지는데, 그 양측 벽부가 상기 덮개(20)로 갈수록 테이퍼지는 형태를 이루어 제설재를 투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투하구(30)는 핀결합 방식으로 상기 모래 공급관(4)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투하구(30)의 좌우 이동은 그 상측으로 상기 모래 공급관(4)에 설치되는 작동구(40)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작동구(40)는 상기 투하구(30)가 상기 회전판(11)의 중심으로부터 일측 연부를 넘지 않는 직선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작동시켜 그 범위 내에서 제설재의 낙하위치를 변위하며 투하하게 하여 상기 스프레더(10)의 제설재 살포방향 즉, 살포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구(40)는 상기 차량(1)의 동력원으로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41)에 설치되는 회전 디스크(42)와, 이 회전 디스크(42)상에 예컨대, 베어링등을 통해 회전되게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부재(43)와, 이 크랭크부재(43)와 투하구(30) 사이를 연결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디스크(42)의 회전에 따른 상기 크랭크부재(43)의 직선운동을 상기 투하구(30)에 전달하기 위한 커넥팅부재(44)로 이루어진다. 참조부호(H)는 상기 모터(41), 회전 디스크(42) 및 크랭크부재(43)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커넥팅부재(44)는 상기 크랭크부재(43)와 투하구(30) 각각에 대하여 회동되게 연결되며, 상기 크랭크부재(43)와 회동하게 연결되는 너트부재(44a)와 이 너트부재(44a)에 길이조절되게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4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너트부재(44a)는 베어링을 통하여 또는 구름 접촉을 통하여 상기 크랭크부재(43)와 회동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7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상기 제2구동모터(41)의 구동으로 상기 회전 디스크(42)와 크랭크부재(43)의 연결 부위(이하, "회전점"이라고 한다)가 12시 즉, 상사점에 위치하면 상기 커넥팅부재(44)의 완전 풀링(pulling)으로 상기 투하구(30)의 끝단이 최좌측으로 이동하여 도8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1)의 연부와 인접하는 부위 즉, 투하점A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도7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디스크(42)의 회전으로 회전점이 3시에 위치하면 도8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하구(30)의 끝단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그 이동범위에서 중앙에 해당하는 상기 회전판(11)의 부위 즉, 투하점B에 위치하고, 다시 도7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디스크(42)의 회전으로 회전점이 6시 즉, 하사점에 위치하면 상기 커넥팅부재(44)의 완전 푸싱(pushing)으로 도8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하구(30)의 끝단이 최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판(11)의 중심과 인접한 부위 즉, 투하점C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8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디스크(42)가 회전하여 회전점이 9시에 위치하면 상기 투하구(30)의 끝단이 다시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투하점B에 위치하는데, 상기 작동구(40)는 이와 같은 작동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투하구(30)가 상기 회전판(11)에 대해 제설재의 낙하위치를 변위하며 투하하게 한다.
상기 회전판(1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도8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과정으로 제설재가 상기 회전판(11)의 투하점A에 투하되면 제설재는 상기 차량(1)의 좌측 영역으로 살포되고, 도8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설재가 상기 회전판 (11)의 투하점B에 투하되면 제설재는 상기 차량(1)의 후측 영역으로 살포되고, 도8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설재가 상기 회전판(11)의 투하점C에 투하되면 재설재는 상기 차량(1)의 우측 영역으로 살포된다. 이 때문에 제설재는 도로의 환경에 적합하게 그 살포영역을 조절하며 효과적으로 살포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2구동모터(41)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조작버튼(미도시)이 상기 차량(1)의 운전석에 설치됨으로써 살포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된다. 살포자는 상기 차량(1)의 사이드 밀러를 통해 제설재의 살포영역을 확인하며 상기 조작버튼을 통해 상기 제2구동모터(41)를 구동 또는 정지시킴으로써 제설재의 살포영역을 의도하는데로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설재의 투하 위치를 변위하여 도로의 환경에 따라 제설재의 살포영역을 조절함으로써 그 살포 효율을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때문에 살포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적재함으로부터 도로를 향해 연장 설치되는 모래 공급관의 하측에 상기 차량의 동력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어 도로 위에 제설재를 살포하도록 된 회전판과 그 회전판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에 공급된 제설재를 도로 위로 골고루 확산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날개들로 이루어진 스프레더를 구비하도록 된 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래 공급관의 하단에 좌우로 이동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에 제설재를 투하하기 위한 투하구; 및
    상기 투하구와 연결되게 그 상측으로 상기 모래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투하구를 작동시키되 상기 투하구가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측 연부를 넘지 않는 직선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작동시켜 그 범위 내에서 제설재의 낙하위치를 변위하며 투하하게 하여 상기 스프레더의 제설재 살포방향을 조절하도록 한 작동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용 살포변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에는 중앙이 볼록한 볼록 경사면을 갖는 원뿔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용 살포변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들은 상기 회전판과 대면하는 제1수평판부와, 그 제1수평판부의 일측으로부터 직립하게 연장되는 직립판부와, 그 직립판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판부와, 상기 제1수평판부와 평행하게 그 경사판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수평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직립판부는 좌측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평판부는 좌측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그 우측단이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탈착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설용 살포변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와 투하구와의 사이에는 상기 차량 쪽의 연부에 스크린을 갖는 스프레더 덮개가 더 설치되고, 그 덮개의 상면에는 상기 투하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ㄷ"자형의 돌부가 더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용 살포변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는 상기 차량의 동력원으로 구동하는 구동 모터에 설치되는 회전 디스크와, 이 회전 디스크상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부재와, 이 크랭크부재와 투하구 사이를 연결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상기 크랭크부재의 직선운동을 상기 투하구에 전달하기 위한 커넥팅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용 살포변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재는 상기 크랭크부재와 회동하게 연결되는 너트부재와 이 너트부재에 길이조절되게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용 살포변위장치.
KR1020050058007A 2005-06-30 2005-06-30 제설용 살포변위장치 KR100545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007A KR100545013B1 (ko) 2005-06-30 2005-06-30 제설용 살포변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007A KR100545013B1 (ko) 2005-06-30 2005-06-30 제설용 살포변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013B1 true KR100545013B1 (ko) 2006-01-24

Family

ID=3717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007A KR100545013B1 (ko) 2005-06-30 2005-06-30 제설용 살포변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01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003B1 (ko) 2007-04-24 2007-11-21 이텍산업 주식회사 살포영역의 조절이 용이한 제설재 살포기
KR101340535B1 (ko) 2013-09-06 2013-12-11 이텍산업 주식회사 살포기의 살포폭 제어시스템
KR101365159B1 (ko) * 2012-03-14 2014-03-12 주식회사 자동기 전기식 제설제 살포기
KR101381230B1 (ko) * 2014-01-27 2014-04-04 이텍산업 주식회사 살포기의 제설제 균일 살포장치
KR101406708B1 (ko) * 2012-08-16 2014-06-13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투입 위치 조절 장치
EP3929358A1 (de) * 2020-06-24 2021-12-29 Aebi Schmidt Nederland BV Winterdienst-streugerät
KR102556914B1 (ko) 2023-04-19 2023-07-20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실린더의 앵글 조절을 통한 제설제 살포존 정밀 매칭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003B1 (ko) 2007-04-24 2007-11-21 이텍산업 주식회사 살포영역의 조절이 용이한 제설재 살포기
KR101365159B1 (ko) * 2012-03-14 2014-03-12 주식회사 자동기 전기식 제설제 살포기
KR101406708B1 (ko) * 2012-08-16 2014-06-13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투입 위치 조절 장치
KR101340535B1 (ko) 2013-09-06 2013-12-11 이텍산업 주식회사 살포기의 살포폭 제어시스템
KR101381230B1 (ko) * 2014-01-27 2014-04-04 이텍산업 주식회사 살포기의 제설제 균일 살포장치
EP3929358A1 (de) * 2020-06-24 2021-12-29 Aebi Schmidt Nederland BV Winterdienst-streugerät
KR102556914B1 (ko) 2023-04-19 2023-07-20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실린더의 앵글 조절을 통한 제설제 살포존 정밀 매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013B1 (ko) 제설용 살포변위장치
US6560905B2 (en) Device for removing snow and other debris from ground surfaces
US9194092B2 (en) Mechanism for automated mixing of liquid solutions and granular materials
US20140130384A1 (en) Snow plow-blower
FI88320B (fi) Snoeroejningsflaekt - foerfarande och apparatur foer att avlaegsna snoe fraon vaegar
US10024012B1 (en) Snow melting and removal vehicle
CN104612098A (zh) 一种喷射式撒盐除雪车
KR100778003B1 (ko) 살포영역의 조절이 용이한 제설재 살포기
KR101152824B1 (ko) 적설 수거 및 이송 기능을 갖는 제설장치
CN208183633U (zh) 一种铲雪车
JP3148193B2 (ja) 凍結防止剤の散布装置
CN2460555Y (zh) 道路清雪机
KR20160149466A (ko) 트랙터 탑재식 송풍휀 제설기
CN114775505A (zh) 公路养护工程管理用融雪剂泼洒装置
KR20040018671A (ko) 제설재 살포장치
KR200309075Y1 (ko) 살포기의 제설제 파쇄장치
KR200295148Y1 (ko) 제설재 살포장치
KR200427770Y1 (ko) 모래살포기의 제설용 저장물 배출장치
KR200159196Y1 (ko) 소형 전기식 제설제 살포기
CN110700174A (zh) 一种道路桥梁用小型物化双效除冰机
JPH0223641B2 (ko)
CN209779542U (zh) 一种高速公路多角度可调喷撒融雪剂装置
CN217579949U (zh) 一种市政道路用快速化雪装置
US10870960B2 (en) Snow and debris removal apparatus
KR20120008320A (ko) 휠의 회전력을 이용한 유압동력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