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745B1 -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745B1
KR100544745B1 KR1020010085552A KR20010085552A KR100544745B1 KR 100544745 B1 KR100544745 B1 KR 100544745B1 KR 1020010085552 A KR1020010085552 A KR 1020010085552A KR 20010085552 A KR20010085552 A KR 20010085552A KR 100544745 B1 KR100544745 B1 KR 100544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plate
heat treatment
rolling
thick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537A (ko
Inventor
홍순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7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및 고압용 압력용기, 자동차용 CNG저장용기 등에 주로 사용되는 기존에 이음매 없는 파이프를 사용하여 제조하던 강을 대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합금설계 및 구상화 열처리 방법을 제공하여 딥 드로잉으로 제조 가능한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후강판은 중량%로 C : 0.25~0.40%, Si : 0.15~0.40%, Mn : 0.4~1.0%, Al : 0.001~0.05%, Cr : 0.8~1.2%, Mo : 0.15~0.35%, Ni : 1.0%이하, P : 0.015%이하, S : 0.010%이하 나머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그 미세조직이 페라이트 + 퍼얼라이트 + 베이나이트로 3상 복합조직이다.
심가공, 인장강도, 후강판, 압연종료, 노말라이징 열처리, 구상화 열처리

Description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 Deep Drawing Steel Plate with TS 1100MPa for Application at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Vess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심가공(Deep Drawing)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온 및 고압용 압력용기, 자동차용 CNG저장용기 등에 주로 사용되는 기존에 이음매 없는 파이프를 사용하여 제조하던 강을 대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합금설계 및 구상화 열처리 방법을 제공하여 딥 드로잉으로 제조 가능한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 용기강의 제조를 위해 이음매없는 파이프(Seamless Pipe)를 사용하여 스피닝형(Spinning type)의 가공법을 통해 압력 용기용 실린더를 제작하였다.
이음매 없는 파이프로 제작된 인장강도 1100Mpa를 갖는 종래의 강은 중량%로 C : 0.25~0.40%, Si : 0.15~0.40%, Mn : 0.4~1.0%, Al : 0.001~0.05%, Cr : 0.8~1.2%, Mo : 0.15~0.35%, V : 0.10%이하, P : 0.015%이하, S : 0.010%이하 및 나머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스피닝가공 후 적정 소입-소려 열처리를 행하여 인장강도 1100MPa를 갖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된 실린더는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이음매가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강은 이음매 없는 파이프용으로 제작하는 강이므로 소입-소려 후 강력한 탄화물 석출 원소인 V이 약 0.07% 정도 함유되어 있어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정 전에 구상화 열처리 후 그 강도가 너무 높아 딥 드로잉으로는 직접 대체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점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강도 1100MPa급의 강으로 심가공 용으로 적합한 합금설계를 통한 강재와 심가공에 필요한 적정 열처리 방법을 제공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이음부가 없는 저온고압용기용 강 및 그것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은, 중량%로 C : 0.25~0.40%, Si : 0.15~0.40%, Mn : 0.4~1.0%, Al : 0.001~0.05%, Cr : 0.8~1.2%, Mo : 0.15~0.35%, Ni : 1.0%이하, P : 0.015%이하, S : 0.010%이하 나머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그 미세조직이 페라이트 + 퍼얼라이트 + 베이나이트로 3상 복합조직 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의 열간압연 후강판의 제조 방법은, 중량%로 C : 0.25~0.40%, Si : 0.15~0.40%, Mn : 0.4~1.0%, Al : 0.001~0.05%, Cr : 0.8~1.2%, Mo : 0.15~0.35%, Ni : 1.0%이하, P : 0.015%이하, S : 0.010%이하 나머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는 강괴를 1000 ~ 1250℃에서 가열 후, 압연 폭출비(폭출비 = 압연 후 강판의 폭 / 압연 전 슬라브의 폭)를 1.4이상 유지하도록 압연하여 800℃ ~ 980℃에서 압연종료하고, 그 미세조직이 페라이트 + 퍼얼라이트 + 베이나이트로 3상 복합조직 형태로 구성하기 위하여 노말라이징 열처리하고, 심가공 전 적절한 가공성을 부여하기 위해 구상화 열처리하고, 구상화율이 80% 이상되도록 Ac1이상 및 Ac3이하의 온도에서 1 ~ 5시간 유지한 후, 850℃ ~ 950℃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태를 위해 적정시간 유지 후 퀀칭을 실시하고 550℃ 이상에서 템퍼링을 실시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은, 중량%로 C : 0.25~0.40%, Si : 0.15~0.40%, Mn : 0.4~1.0%, Al : 0.001~0.05%, Cr : 0.8~1.2%, Mo : 0.15~0.35%, Ni : 1.0%이하, P : 0.015%이하, S : 0.010%이하 나머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강의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C는 목표로 하는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원소로 그 첨가량이 너무 낮으면 강도가 급히 저하되고 첨가량이 증가되면 용접성이 크게 해쳐지므로 0.25~0.38%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는 제강 공정에서 중요한 탈산제의 역할뿐만 아니라 고용강화 원소로서 강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0.15~0.40%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은 강의 강도 및 인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합금원소이며, 0.4%미만에서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를 초과해서 첨가하면 가공성이 저하되고 합금원료비의 상승이 유발되므로 0.4~1.0%로 한정함이 바람직하다.
Al은 Si와 더불어 제강 공정에서 강력한 탈산제의 하나이며, 0.001%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0.05% 이상의 첨가 시에는 그 효과의 증대효과가 없으므로 0.001~0.05%로 한정한다.
Cr은 소입성을 부여하기 위한 필수적인 합금원소이다. 0.8% 미만의 첨가시 소입성의 부족으로 강도의 확보가 어려우며, 1.2% 이상의 과다 첨가는 제조비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0.8~1.2%로 한정한다.
Mo역시 Cr과 같이 소입성에 유효한 합금원소인 반면 황화물 크랙을 방지하는 원소로 알려져 있고, 소입-소려 후 미세 탄화물의 석출에 의해 강도의 확보에 유효한 원소이므로 0.15~0.35%의 범위에서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Ni은 저온 인성의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원소이긴 하지만 고가이므로 1.0%이하의 범위내에서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P 는 저온인성을 해치는 원소이나 제강 공정에서 제거하는데 과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0.015%이하의 범위 내에서 관리한다.
S 역시 P와 더불어 저온인성에 악 영향을 주는 원소이지만 제강 공정에서 제거하는데 과대한 비용이 들므로 0.015%이하의 범위 내에서 관리함이 적절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강을 노말라이징 처리를 하면 그 미세조직이 페라이트 + 퍼얼라이트 + 베이나이트로 3상 복합조직으로 구성되도록 함이 필요하며, 마르텐사이트의 조직이 존재하면 심가공 공정 전에 실시하는 구상화 후 강도의 상승원인으로 작용하므로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강판은 용기제조 후 인장강도 1100MPa 및 TL방향 -50℃ 저온충격인성 60Joules 이상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심가공용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 0.25~0.40%, Si : 0.15~0.40%, Mn : 0.4~1.0%, Al : 0.001~0.05%, Cr : 0.8~1.2%, Mo : 0.15~0.35%, Ni : 1.0%이하, P : 0.015%이하, S : 0.010%이하 나머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는 강괴를 1000 ~ 1250℃에서 재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재가열 온도가 1000℃보다 낮을 경우 용질원자의 고용이 어렵고, 가열온도가 1250℃를 초과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가 너무 조대하게 되어 강판의 성질을 해치기 때문이다.
심가공용 강판의 균일한 성형성을 위해서는 열간압연시 압연 폭출비(폭출비 = 압연 후 강판의 폭 / 압연 전 슬라브의 폭)를 1.4이상 유지하여 압연방향과 압연수 직 방향의 재질 이방성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강의 제조를 위해 800℃ ~ 980℃에서 압연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압연종료 온도가 800℃보다 낮으면 미재결정역 압연량이 과다하여 재질의 이방성이 초래하여 심가공성을 해치며, 압연종료온도가 980℃이상으로 되면 결정립이 조대하여 강재의 물성을 해치기 때문이다.
상기 조건으로 압연된 강판은 통상의 노말라이징 열처리를 통해 그 미세조직이 페라이트 + 퍼얼라이트 + 베이나이트로 3상 복합조직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여야 하며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존재하면 구상화 열처리 후 강도가 너무 높아 성형성을 해치게 된다.
심가공 전 적절한 가공성을 부여하기 위해 구상화 열처리가 필요하며, 심가공을 위해 구상화 후의 강도가 인장강도 650MPa 이하를 부여하기 위해 Ac1이상 및 Ac3이하의 온도에서 1 ~ 5시간 유지한 후 구상화율 80% 이상이 되도록 한다. 그 이하의 구상화율에 의해서는 심가공성이 확보될 수 없기 때문이다.
심가공 후 인장강도 1100MPa및 -50℃ 충격인성 60Joules 이상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입-소려 열처리 방법은 850℃ ~ 950℃에서 퀀칭 후 550℃ 이상에서 템퍼링을 실시한다. 퀀칭온도가 850℃ 보다 낮으면 고용용질 원소들의 재고용이 어려워 강도의 확보가 어렵고 퀀칭온도가 950℃보다 높아지면 결정립 성장이 일어나 저온인성을 해치기 때문이다. 그리고 템퍼링의 경우 그 온도가 550℃보다 낮으면 인성의 확보가 어렵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표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강재A, B 및 종래기술의 강재C 의 화학성분을 나타낸다.
Figure 112001034719504-pat00001
다음의 표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조조건에 따른 제조방법 및 종래기술에 의한 제조조건 및 물성을 비교한다.
Figure 112001034719504-pat00002
상기 표2에서 열간압연 시 폭출비 1.4 이상의 확보가 심가공 후 crack를 발생시키지 않는 필수 조건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이음매없는 파이프 용 강으로 합금설계된 강은 구상화 후 강도가 650MPa를 초과하여 가공이 힘들고 심가공 후 크랙이 존재하여 심가공용 강으로의 사용은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새로운 개념의 합금선정, 적정 압연조건, 구상화열처리조건, 열처리 조건의 적용에 의해 외관이 미려하고 이음부가 없는 저온고압용기용 강을 심가공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중량%로 C : 0.251~0.40%, Si : 0.15~0.40%, Mn : 0.4~1.0%, Al : 0.001~0.05%, Cr : 0.8~1.2%, Mo : 0.15~0.35%, Ni : 1.0%이하, P : 0.015%이하, S : 0.010%이하 나머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그 미세조직이 페라이트 + 퍼얼라이트 + 베이나이트로 3상 복합조직인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
  2. 중량%로 C: 0.25~0.40%, Si: 0.15~0.40%, Mn: 0.4~1.0%, Al: 0.001~0.05%, Cr: 0.8~1.2%, Mo: 0.15~0.35%, Ni: 1.0%이하, P: 0.015%이하, S: 0.010%이하 나머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는 강괴를 1000 ~ 1250℃에서 가열 후, 압연 폭출비(폭출비 = 압연 후 강판의 폭 / 압연 전 슬라브의 폭)를 1.4이상 유지하도록 압연하여 800℃ ~ 980℃에서 압연종료하고, 그 미세조직이 페라이트 + 퍼얼라이트 + 베이나이트로 3상 복합조직 형태로 구성하기 위하여 노말라이징 열처리하고, 심가공 전 적절한 가공성을 부여하기 위해 구상화 열처리하고, 구상화율이 80% 이상되도록 Ac1이상 및 Ac3이하의 온도에서 1 ~ 5시간 유지한 후, 850℃ ~ 950℃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태를 위해 적정시간 유지 후 퀀칭을 실시하고, 550℃ 이상에서 템퍼링을 실시하는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의 열간압연 후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010085552A 2001-12-27 2001-12-27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및 그 제조방법 KR100544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552A KR100544745B1 (ko) 2001-12-27 2001-12-27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552A KR100544745B1 (ko) 2001-12-27 2001-12-27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537A KR20030055537A (ko) 2003-07-04
KR100544745B1 true KR100544745B1 (ko) 2006-01-24

Family

ID=3221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552A KR100544745B1 (ko) 2001-12-27 2001-12-27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7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373B1 (ko) 2005-12-21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인장강도 1200MPa급인 저온·고압용기를 제조하기 위한딥 드로잉용 강재, 상기 강재의 제조방법 및 상기저온·고압용기의 제조방법
KR100951248B1 (ko) * 2002-12-09 2010-04-05 주식회사 포스코 인장강도 1100㎫급 심가공용 고장력강 및 이를 이용한저온고압용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758B1 (ko) * 2004-02-23 2006-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킥다운 드럼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253885B1 (ko) * 2010-12-27 2013-04-16 주식회사 포스코 연성이 우수한 성형 부재용 강판, 성형 부재 및 그 제조방법
CN109972039A (zh) * 2019-04-09 2019-07-05 舞阳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高强韧性临氢压力容器用钢板及其生产方法
CN110184544A (zh) * 2019-07-08 2019-08-30 常熟市虹桥铸钢有限公司 一种低合金材料与使用该材料制成的零件的热处理方法
CN111020377B (zh) * 2019-11-16 2021-09-24 舞阳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低温压力容器用钢板热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751A (ja) * 1982-03-29 1983-10-04 Mitsubishi Motors Corp 熱間鍛造非調質鋼
JPH04329848A (ja) * 1991-05-02 1992-11-18 Kobe Steel Ltd 疲労特性と伸びフランジ性の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
JPH11140542A (ja) * 1997-11-11 1999-05-25 Nkk Corp 高延性を有し、かつ材質均一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2000303140A (ja) * 1999-04-19 2000-10-31 Daido Steel Co Ltd 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用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751A (ja) * 1982-03-29 1983-10-04 Mitsubishi Motors Corp 熱間鍛造非調質鋼
JPH04329848A (ja) * 1991-05-02 1992-11-18 Kobe Steel Ltd 疲労特性と伸びフランジ性の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
JPH11140542A (ja) * 1997-11-11 1999-05-25 Nkk Corp 高延性を有し、かつ材質均一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2000303140A (ja) * 1999-04-19 2000-10-31 Daido Steel Co Ltd 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用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248B1 (ko) * 2002-12-09 2010-04-05 주식회사 포스코 인장강도 1100㎫급 심가공용 고장력강 및 이를 이용한저온고압용기의 제조방법
KR100711373B1 (ko) 2005-12-21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인장강도 1200MPa급인 저온·고압용기를 제조하기 위한딥 드로잉용 강재, 상기 강재의 제조방법 및 상기저온·고압용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537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403B1 (ko) 냉간압조용 선재, 이를 이용한 가공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4946516A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 toughness, high strength steel having excellent resistance to stress corrosion cracking
JP2001511479A (ja) 優れた靭性を有する溶接性超強力鋼の製造方法
US6056833A (en) Thermomechanically controlled processed high strength weathering steel with low yield/tensile ratio
JP7221477B2 (ja) 耐水素誘起割れ性に優れた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76745A (ko) 원자로 격납 용기용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67030B1 (ko) 딥 드로잉용 고장력강 및 그 제조방법
KR100544745B1 (ko) 심가공용 인장강도 1100MPa급 저온-고압용기용 후강판및 그 제조방법
KR101317275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KR101677350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다중 열처리형 에너지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00436628C (zh) 高频淬火用钢材、采用该高频淬火用钢材的高频淬火构件及它们的制造方法
KR100711373B1 (ko) 인장강도 1200MPa급인 저온·고압용기를 제조하기 위한딥 드로잉용 강재, 상기 강재의 제조방법 및 상기저온·고압용기의 제조방법
JPH06136441A (ja) 高強度低降伏比鉄筋用棒鋼の製造方法
KR101091446B1 (ko) 반복 가압 특성이 우수한 저온 압력용기용 고강도 강판, 그제조방법 및 딥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KR101091346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장력 딥 드로잉용 강재, 그 제조방법및 딥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KR100951248B1 (ko) 인장강도 1100㎫급 심가공용 고장력강 및 이를 이용한저온고압용기의 제조방법
JP3327065B2 (ja) 脆性亀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た調質型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JPS63118012A (ja) 低降伏比高張力厚鋼板の製造法
KR100368218B1 (ko) 소려연화 저항성이 우수한 고장력강의 제조방법
CN115216595B (zh) 一种冷轧复相钢及其退火方法
KR100419648B1 (ko)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JP3864880B2 (ja) 優れた溶接性を有する高靭性高降伏点鋼材の製造方法
KR100406365B1 (ko) 저항복비를갖는인장강도600㎫급고장력강의제조방법
KR101070018B1 (ko) 딥 드로잉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후강판을 이용한 저온, 고압용기의 제조방법
JPH06158160A (ja) 経済性に優れた高張力調質鋼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