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904B1 -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904B1
KR100543904B1 KR1020030025947A KR20030025947A KR100543904B1 KR 100543904 B1 KR100543904 B1 KR 100543904B1 KR 1020030025947 A KR1020030025947 A KR 1020030025947A KR 20030025947 A KR20030025947 A KR 20030025947A KR 100543904 B1 KR100543904 B1 KR 10054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casing
wheel
elastic memb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725A (ko
Inventor
사헤키세츠히로
이토요시타카
Original Assignee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송신기는 차량의 휠에 부착되어 차량의 타이어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송신기의 장착구조는 케이싱, 핀 및 파스너 캡을 가진다. 케이싱은 송신기를 수용하고 있다. 케이싱은 관통구멍을 가진다. 핀은 휠에 부착되어 케이싱의 관통구멍 내로 삽입된다. 파스너 캡은 핀에 고정되어 케이싱이 핀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타이어, 감시장치, 송신기, 케이싱, 핀, 파스너 캡

Description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transmitter for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선도,
도 2는 휠에 장착된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의 송신기를 설명하는, 부분적으로 절취된 정면도,
도 3은 휠에 장착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기를 설명하는, 부분적으로 절취된 정면도,
도 4a는 휠에 장착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기를 설명하는, 부분적으로 절취된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선 4b-4b를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도 5a는 휠에 장착된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기를 설명하는, 부분적으로 절취된 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선 5b-5b를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휠 내의 종래기술에 따른 송신기를 설명하는, 부분적으로 절취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공기압 등의 타이어 상태를 수신기에 무선 송신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 타이어의 상태를 차량 실내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무선방식의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한 감시장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송신기는 각각의 타이어의 휠에 위치되며 수신기는 차량의 차체에 위치된다.
도 6에는 그러한 송신기(3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송신기(30)는 직사각형 케이싱(31) 내에 수용된다. 케이싱(31)의 양단부에는 관통구멍(31a)이 형성되어 있다(도 6에는 단지 하나의 관통구멍(31a)만이 도시되어 있다). 관통구멍(31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휠(21)에 송신기(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21a)가 휠(21)과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돌출부(21a)의 중앙에는 볼트(60)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오목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볼트(60)는 대응하는 관통구멍(31a) 내로 삽입된 다음, 대응하는 오목부(21b)에 나사결합되어, 케이싱(31)을 휠(2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오목부(21b)를 가지는 각각의 돌출부(21a)는, 휠(21)과 일체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송신기(3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휠(21)은 송신기(3)용으로 특별히 디자인되어야만 한다. 이 때문에 휠(21)의 가격 이 높아지게 된다. 휠(21)이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돌출부(21a)를 휠(21)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더욱이, 볼트(60)를 오목부(21b)에 나사결합할 때, 볼트(60)의 체결토크 등을 주의깊게 조절할 필요가 있어, 조립작업이 번거로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휠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된 목적 및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송신기는 차량의 휠에 부착되어 차량의 타이어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장착구조는 케이싱, 핀 및 파스너를 가진다. 케이싱은 송신기를 수용하고 있다. 케이싱은 관통구멍을 가진다. 핀은 휠에 부착된다. 핀은 케이싱의 관통구멍 내로 삽입된다. 파스너는 핀에 고정되어 케이싱이 핀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또 다른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송신기는 차량의 휠에 부착되어 차량의 타이어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장착구조는 케이싱, 탄성부재, 핀 및 파스너를 가진다. 케이싱은 송신기를 수용하고 있다. 탄성부재는 케이싱에 부착된다. 탄성부재는 관통구멍을 가진다. 핀은 휠에 부착된다. 핀은 탄성부재의 관통구멍 내로 삽입된다. 파스너 는 핀에 고정되어 탄성부재가 핀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 및 장점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를 들어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진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과 함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음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1)의 장착구조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1)는 4개의 송신기(30) 및 하나의 수신기(40)를 포함한다. 각각의 송신기(30)는 차량(10)의 타이어(20) 중 하나에 위치된다. 수신기(40)는 차량(10)의 차체(11)에 위치된다.
각각의 송신기(30)는 대응하는 타이어(20)의 내부에 위치하며 타이어(20)의 휠(21)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송신기(30)는 대응하는 타이어(20)의 상태, 즉 대응하는 타이어(20)의 내부압력 및 내부온도를 계측한다. 그 다음 송신기(30)는 공기압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기(40)에 무선 송신한다.
수신기(40)는 차체(11)의 소정 개소에 위치되고, 차량(10)의 배터리(도시생략)로부터의 전력에 의해서 동작한다. 수신기(40)는 케이블(42)을 통하여 수신안테나(41)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42)은 노이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동축케이블이 바람직하다. 수신기(40)는 송신기(3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안테나(41)를 통하여 수신한다.
디스플레이(50)는 예컨대 차량 실내에서 차량(10)의 운전자의 인식범위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50)는 케이블(43)을 통하여 수신기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송신기(30)는 직사각형 케이싱(3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31)의 양단부에는 연장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연장부(32)에는 관통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도 2에는 단지 하나의 관통구멍(33)만이 도시되어 있다). 관통구멍(3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핀(22)이 휠(21)에 아크용접된다. 핀(22)은 휠(21)에 스팟용접될 수도 있다.
각각의 핀(22)은 대응하는 관통구멍(33)에 삽입된다. 이것은 케이싱(31)을 휠(21)과 결합시킨다. 그 후, 파스너 캡(23; fastener cap)은 각각의 핀(22)에 위치되고, 그 다음 해머 등으로 가격된다. 이것은 핀(22)에 파스너 캡(23)을 압입시킨다. 따라서, 송신기(30)를 수용하는 케이싱(31)은 휠(21)에 장착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송신기(30)를 수용하는 케이싱(31)의 양단에는 연장부(32)가 형성된다. 각각의 연장부(32)는 관통구멍(33)을 가진다. 케이싱(31)의 관통구멍(3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핀(22)이 대응하는 휠(21)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핀(22)은 케이싱(31)의 대응하는 관통구멍(33)에 삽입된다. 이것은 케이싱(31)을 휠(21)과 결합시킨다. 그 후, 그 후, 파스너 캡(23)은 각각의 핀(22)에 위치되고, 그 다음 해머 등으로 가격되며, 이것은 핀(22)에 파스너 캡(23)을 압입시킨다. 따라서, 케이싱(31)은 휠(21)에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송신기(30)는 간단한 구성으로 휠(21)에 장착된다.
파스너 캡(23)이 핀(22)에 압입되기 때문에, 차량이 주행되는 동안 타이어(20)가 고속으로 회전되더라도, 송신기(30)를 수용하는 케이싱(31)은 원심력 등의 외력에 의해서 핀(22)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송신기(30)는 확실하게 휠(21)에 장착된다.
핀(22)은 휠(21)에 아크용접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달리, 송신기(30)를 장착하기 위한 전용의 휠(21; 도 6 참조)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핀(22)이 휠(21) 아크용접 되기 때문에, 송신기(30)는 휠(21)이 스틸 박판으로 만들어지더라도 휠(21)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도 6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달리, 송신기(30)는 볼트(60)로 휠(21)에 장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볼트(60)의 체결 토크를 조절할 필요도 없다. 그러므로, 송신기(30)가 휠(21)에 장착될 때, 조립 작업이 번거롭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해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30)를 수용하는 수지 케이싱(31)을 히트 크림핑을 통하여 판 스프링(70)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구멍(71)은 휠(21)에 고정된 핀(22)에 대응하는 위치의 판 스프링(70)에 형성된다. 판 스프링(70)은, 양단부로부터 케이싱(31)의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2개의 경사부(72)와, 이 경사부들(72) 사이에 위치되는 대략 평평한 장착부(73)를 가진다. 케이싱(31)은 장착부(73)에 히트 크림핑 된다. 관통구멍(71)은 핀(22)에 결합되어 케이싱(31)이 판 스프링(70)을 통하여 휠(21)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 후, 파스너 캡(23)이 각각의 핀(22)에 위치된 다음, 예컨대 해머 등으로 가격하여, 핀(22)에 대하여 파스너 캡(23)을 압입시킨다. 따라서, 송신기(30)는 판 스프링(70)과 함께 휠(21)에 장착된다. 타이어(20)의 착탈시에 만일 타이어(20)의 비드가 송신기(30)를 수용하는 케이싱(31)에 접촉되더라도, 휠(21)의 중앙을 향하여 케이싱(31)을 누르는 힘은 판 스프링(70)의 휘어짐에 의해 흡수된다. 이것은 케이싱(3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송신기(30)를 구성하는 전자부품 등이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는 또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송신기(30)를 수용하기 위하여 판 스프링(70)의 대략 평평한 장착부(74)와 휠(21) 사이에서 공간(75)이 한정된다. 판 스프링(70)은 도 3에 도시된 경사부(72)를 연장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제1 경사부(72), 제1 경사부(72)를 연결하는 대략 평평한 장착부(74), 그리고 제1 경사부(72)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부(76)를 가진다. 경사부(72, 76)는 장착부(74)로부터 연장된다. 공간(75)에 있어서, 각각의 제1 경사부(72)와 케이싱(31)의 대응하는 단부 사이에는 간극(77)이 존재한다. 간극(77)은 각각의 제2 경사부(76)와 케이싱(31)의 대응하는 단부 사이에도 존재한다. 장착부(74)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창(78)이 형성되어 있다. 송신기(30)는 타이어(20)의 내부압 및 내부온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기(40)에 무선 송신한다. 따라서, 송신기(30)에 의해 사용되는 전파의 특성을 고려하여, 판 스프링(70)에 창(78)을 형성한다.
송신기(30)를 수용하는 케이싱(31)은 히트 크림핑 등으로 장착부(74)에 부착시킨다. 관통구멍(71)은 판 스프링(70)과 함께 케이싱(31)을 휠(21)에 결합하기 위해서 핀(22)에 결합된다. 그 후, 파스너 캡(23)은 각각의 핀(22)에 위치시킨 다음 예컨대 해머 등으로 가격하여, 파스너 캡(23)을 핀(22)에 압입시킨다. 따라서, 송신기(30)는 판 스프링(70)과 함께 휠(21)에 장착된다. 타이어(20)의 착탈시에 타이어(20)의 비드(도시 생략)가 판 스프링(70)에 접촉되더라도, 케이싱(31)을 아래쪽으로 누르는 힘은 판 스프링(70)의 휘어짐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비드가 경사부(72, 76)에 접촉되어 경사부(72, 76)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도, 간극(7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부(72, 76)가 케이싱(31)에 접촉되지 않고 변형되도록 한다. 이것은 케이싱(3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따라서, 송신기(30)의 전자부품 등이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장착부(74)에는 창(7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70)이 금속으로 만들어졌더라도 송신기(30)는 데이터를 확실하게 무선 송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기(40)는 송신기(30)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수신안테나(41)를 통하여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또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판 스프링(70)의 중앙에는 공간(75)이 한정되며, 송신기(30)는 공간(75) 내에 제공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멍(71)은 핀(22)에 대응하는 위치에 판 스프링(70) 내에 형성된다. 그 다음, 케이싱(31)은 공간(75) 내에 위치되도록 판 스프링(70)에 히트 크림핑 된다. 휠(21)의 원주방향에 수직 방향인 판 스프링(70)의 양단부는 케이싱(31)을 향하여 구부러져 2개의 경사부(79)를 형성하게 된다(도 5b 참조). 판 스프링(70)은 또한 송신기(30)의 상부 표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80)를 가진다. 경사부(79) 및 케이싱(31)은 간극(77)을 한정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판 스프링(70)의 관통구멍(71)은 핀(22)에 결합된다. 그 후, 파스너 캡(23)은 각각의 핀(22)에 위치되어 예컨대 해머로 가격된다. 이것은 파스너 캡(23)을 핀(22)에 압입시킨다. 따라서, 송신기(30)는 판 스프링(70)과 함께 휠(21)에 장착된다. 도 4a 및 도 4b의 실시형태와 같이, 타이어(20)의 착탈시에 타이어(20)의 비드(도시 생략)가 판 스프링(70)에 접촉되더라도, 케이싱(31)을 휠(21)의 중앙을 향하여 누르는 힘은 판 스프링(70)의 휘어짐에 의해 흡수된다. 경사부(79)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도, 케이싱(31)과 경사부(79) 사이에 간극(7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부(79)가 케이싱(31)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즉, 경사부(79)의 탄성 변형은 허용된다. 이것은 케이싱(3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따라서, 송신기(30)의 전자부품 등이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타이어 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송신기 혹은 타이어 밸브가 연결된 송신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타이어 밸브는 송신기의 송신안테나로서 기능하며, 그에 따라 도 4a 및 도 4b에서의 창(78)과 같은 것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판 스프링(70)이 금속제인 경우에는, 판 스프링(70)이 전자파 실드의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전자파에 의해서 송신기(30)가 오동작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b의 실시형태는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 않은 송신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송신기는 케이싱에 수용된 코일을 가지며, 이 코일은 휀더 내와 같은 차체에 매설되는 자석과 대응한다. 전기는 코일과 자석에 의해서 발생된다.
도 3 내지 도 5b의 판 스프링(70)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이면 어떤 재질이라도 좋다.
도 3 내지 도 5b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판 스프링(70)은 케이싱(31)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도 3 내지 도 5b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판 스프링(70)과 함께 케이싱(31)을 인서트 성형한 후 송신기(30)를 케이싱(31) 내에 수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도 3 내지 도 5b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송신기(30), 판 스프링(70) 및 케이싱(31)은 인서트 성형되어도 좋다.
4륜 차량 이외에도, 본 발명은, 2륜의 자전거나 오토바이, 다륜의 버스나 피견인차, 또는 예컨대 포크리프트와 같은 산업차량 등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이 피견인차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수신기(40) 및 디스플레이(50)는 견인차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 및 실시형태들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상술된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그 동등물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송신기를 휠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의 착탈시에 만일 타이어의 비드 등이 탄성부재에 맞닿아도, 비드로부터의 외력이 탄성부재에 흡수된다. 이 때문에, 케이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가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량의 휠에 부착되어 차량 타이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로서,
    송신기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
    케이싱에 부착되며, 이 케이싱이 휠로부터 이격되도록 이 케이싱을 지지하며, 관통구멍을 가지는 탄성부재;
    휠에 부착되며 탄성부재의 관통구멍 내로 삽입되는 핀; 그리고
    핀에 고정되어 탄성부재가 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탄성부재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장착부 및 복수개의 경사부를 가지며, 송신기는 장착부에 부착되고, 경사부는 장착부에 대하여 경사지며, 공간이 장착부와 휠 사이에서 한정되도록 각각의 경사부는 장착부로부터 휠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공간은 탄성부재가 변형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상기 공간으로부터 대향되는 장착부의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8. 삭제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장착부는 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핀은 휠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15.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1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캡이며, 핀은 캡 내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17. 차량의 휠에 부착되어 차량 타이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로서,
    송신기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
    케이싱에 부착되며, 이 케이싱이 휠로부터 이격되도록 이 케이싱을 지지하며, 관통구멍을 가지는 탄성부재;
    휠에 부착되며 탄성부재의 관통구멍 내로 삽입되는 핀; 그리고
    핀에 고정되어 탄성부재가 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탄성부재는 장착부 및 복수개의 경사부를 가지며, 송신기는 장착부에 부착되고, 경사부는 장착부에 대하여 경사지며, 공간이 장착부와 휠 사이에서 한정되도록 각각의 경사부는 장착부로부터 휠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공간은 탄성부재가 변형되도록 허용하며,
    케이싱이 장착부 및 경사부에 의해 덮이도록 케이싱은 상기 공간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케이싱과 경사부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19. 차량의 휠에 부착되어 차량 타이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로서,
    송신기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
    케이싱에 부착되며, 이 케이싱이 휠로부터 이격되도록 이 케이싱을 지지하며, 관통구멍을 가지는 탄성부재;
    휠에 부착되며 탄성부재의 관통구멍 내로 삽입되는 핀; 그리고
    핀에 고정되어 탄성부재가 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탄성부재는, 송신기가 장착되는 장착부; 장착부에 대하여 경사지는 제1 경사부; 그리고 장착부에 대하여 경사지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제1 경사부는 공간이 장착부와 휠 사이에서 한정되도록 장착부로부터 휠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공간은 탄성부재가 변형되도록 허용하며, 케이싱은 상기 공간으로부터 대향되는 장착부의 부분에 부착되며,
    제2 경사부는 장착부로부터 휠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 제2 경사부는 케이싱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2 경사부는 복수개의 제2 경사부 중 하나이며, 제2 경사부는 장착부의 양단부로부터 서로 접근되도록 연장되며, 제2 경사부의 말단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케이싱과 제2 경사부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KR1020030025947A 2002-04-26 2003-04-24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KR100543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26217 2002-04-26
JP2002126217A JP2003312221A (ja) 2002-04-26 2002-04-26 タイヤ状態監視装置用送信機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725A KR20030084725A (ko) 2003-11-01
KR100543904B1 true KR100543904B1 (ko) 2006-01-20

Family

ID=2878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947A KR100543904B1 (ko) 2002-04-26 2003-04-24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22141B2 (ko)
EP (1) EP1356961B1 (ko)
JP (1) JP2003312221A (ko)
KR (1) KR100543904B1 (ko)
DE (1) DE60324854D1 (ko)
TW (1) TWI2658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6465B2 (en) 2000-07-26 2012-09-11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 LLC System for conserving battery life in a battery operated device
US7161476B2 (en) 2000-07-26 2007-01-09 Bridgestone Firestone North American Tire, Llc Electronic tire management system
JP2003312221A (ja) 2002-04-26 2003-11-06 Pacific Ind Co Ltd タイヤ状態監視装置用送信機の取付構造
JP4255301B2 (ja) 2003-03-31 2009-04-15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電子部品の取り付け構造
FR2861650B1 (fr) * 2003-11-05 2006-01-06 Michelin Soc Tech Dispositif de fixation d'un module de surveillance sur la surface interieure d'un pneumatique
JP4166735B2 (ja) 2004-08-04 2008-10-15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タイヤ状態監視装置における送信機ユニット
JP4289561B2 (ja) * 2004-12-24 2009-07-01 横浜ゴム株式会社 車両の異常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センサユニット
KR100810767B1 (ko) * 2006-04-07 2008-03-10 주식회사 인성전자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용 송신기의 구조.
US8803680B2 (en) * 2006-06-21 2014-08-12 Trw Automotive U.S. Llc Tire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WO2008140063A1 (ja) * 2007-05-09 2008-11-20 Bridgestone Corporation 検知装置固定用パッチ、タイヤ及び検知装置固定方法
JP5261305B2 (ja) * 2009-07-15 2013-08-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内電子デバイス固定装置
DE102010012013A1 (de) * 2010-03-12 2011-09-1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CN102371859B (zh) * 2010-08-19 2014-02-12 青岛泰凯英轮胎有限公司 轮胎胎压监测系统安装底座及装置
US9016118B2 (en) 2010-12-22 2015-04-28 Caterpillar Inc. Mounting structure
CN113573919B (zh) * 2020-02-28 2023-06-02 太平洋工业株式会社 轮胎内电气设备
CN113573920B (zh) 2020-02-28 2023-05-26 太平洋工业株式会社 托架以及轮胎内电气设备
CN116829380A (zh) * 2021-02-26 2023-09-29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轮胎组装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7363B1 (fr) * 2000-04-07 2003-02-07 Trw France Capteur de mesure de parametre de pneumatique et systeme de mesure en comportant application
JP2003312221A (ja) 2002-04-26 2003-11-06 Pacific Ind Co Ltd タイヤ状態監視装置用送信機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12221A (ja) 2003-11-06
KR20030084725A (ko) 2003-11-01
EP1356961B1 (en) 2008-11-26
TW200306258A (en) 2003-11-16
DE60324854D1 (de) 2009-01-08
US6922141B2 (en) 2005-07-26
EP1356961A2 (en) 2003-10-29
EP1356961A3 (en) 2003-12-03
US20030201883A1 (en) 2003-10-30
TWI265877B (en) 2006-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904B1 (ko)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용 송신기의 장착구조
EP1449683B1 (en) Transmitter mounting structure for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EP1241028B1 (en) Mounting of transmitter casing on valve stem
US6959597B2 (en) Transmitter for tire state monitoring apparatus
EP1609625B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electronic component for tire
KR20030051146A (ko) 타이어 상태 모니터링 장치용 전송기
KR100460693B1 (ko) 타이어 상태 감시 장치
KR100454223B1 (ko) 타이어 상태 모니터링 장치용 전송기
US7804397B2 (en) Valve-integrated transponder
EP2000330B1 (en) Valve-integrated transponder
JP3392355B2 (ja) タイヤ空気圧警報装置用送信機のケーシング構造
JPH0878098A (ja) 機器直付用シールドコネクタ
US11305594B2 (en) System for measuring at least one physical characteristic for a tyre assembly
CN210591249U (zh) 一种角度可调的胎压监测装置
JP2007145252A (ja) 車輪搭載用通信ユニット
CN115195360A (zh) 胎压侦测装置
JP2004066849A (ja) タイヤ状態監視装置の送信機
JP2003146035A (ja) タイヤ内圧警報装置および、タイヤ内圧警報装置とリムとの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