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678B1 - 액정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678B1
KR100543678B1 KR1020030047139A KR20030047139A KR100543678B1 KR 100543678 B1 KR100543678 B1 KR 100543678B1 KR 1020030047139 A KR1020030047139 A KR 1020030047139A KR 20030047139 A KR20030047139 A KR 20030047139A KR 100543678 B1 KR100543678 B1 KR 10054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nozzle
glass substrate
flexible tube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071A (ko
Inventor
김영길
윤예진
Original Assignee
코닉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닉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닉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678B1/ko
Publication of KR2005000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액정 주입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노즐과, 노즐 내부로 공급된 액정을 아래쪽으로 밀어주는 푸쉬기와, 푸쉬기의 아래쪽으로 액정이 공급되도록 노즐과 연결되는 액정공급기를 포함하는 노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 작동하는 푸쉬기와 더 구비되는 액정량 조절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액정의 양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진동기를 더 설치하여 액정의 용이한 토출이 가능하며, 센서들을 더 설치함으로써 노즐 내의 액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액정의 비중 측정부와, 로드셀과 CCD 카메라와 기판의 미세 이동장치가 구비된 기판 안착부가 더 구비됨으로써 불량품의 생산을 방지할 수 있다.
LCD, 적하식, 액정 주입장치, 노즐, 푸쉬기, 기판 안착부, 비중 측정부

Description

액정 주입장치{Liquid crystal inj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주입장치의 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주입장치의 비중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주입장치의 기판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
100 : 노즐부 110 : 노즐
111 : 노즐의 토출단 112 : 노즐과 액정공급기의 연결부위
113 : 플렉시블 튜브 120 : 푸쉬기
121 : 헤드 122 : 미세 작동 모터
130 : 액정공급기 131 : 버틀
132 : 튜브 141 : 액정량 조절장치
142 : 진동기 151, 152 : 센서
200 :액정의 비중 측정부 210 : 회전장치
211 : 고정축 212 : 회전축
221, 222 : 로봇 팔 231, 232 : 버틀
240 : 미세 중량 측정장치
300 : 기판 안착부 310 : 스테이지
320 : 플레이트 330 : 로드셀
340 : CCD 카메라 350 : 미세 이동장치
본 발명은 LCD 패널 제조용 액정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하식 액정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다량의 정보를 수신자에게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매체로써의 디스플레이 산업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가벼우면서 고화질의 영상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계속하여 연구,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의 디스플레이 산업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유기 EL(Electro-Luminescence)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산업이 급성장을 이루며, 앞으로도 더욱 많은 수요가 예상된다.
종래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중 액정 주입 공정으로 차압식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아래와 같은 여러가지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새로운 기술인 적하식 방법으로 점차 변해 가고 있다. 우선, 차압식이라 함은, 두개의 상하 유리 기판이 합착 된 상태에서 셀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액정을 주입하는 방법으로써 유리 기판이 대형화 될수록 공정 시간이 급격히 증가되며 액정의 효율도 많이 떨어진다. 이에 반해 적하식 액정 주입 방법은 TFT-LCD 기판 위에 액정을 주입한 후 상하 유리 기판을 합착하는 방법으로 액정 주입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며 셀의 크기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공정 시간을 가진다. 또한 액정의 효율면에서도 차압식 방법에 비하여 적하식 공정이 높은 효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확한 양의 액정을 주입할 수 있으며 불량품의 생산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하식 액정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주입장치는, 액정을 공급받는 액정 공급구와 공급받은 액정을 외부로 토출하는 액정 토출구를 갖는 노즐; 상기 액정 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노즐 내부로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 공급기; 및 상기 액정 공급구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노즐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액정을 아래쪽으로 밀어주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푸쉬기;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의 상기 액정 공급구와 액정 토출구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구간은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렉시블 튜브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를 수축 및 이완시켜서 상기 블렉시블 튜브를 통과하는 액정량을 조절하는 액정량 조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액정 토출구와 상기 블렉시블 튜브 사이에는 상기 노즐에 진동을 주는 진동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내로 공급된 액정의 상태가 확인되도록 상기 노즐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설치되면 좋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액정 주입장치에는, 상기 노즐 내에 있는 액정의 비중을 측정하는 비중 측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액정 주입장치에는,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노즐 하측에 설치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와 함께 이동되며 상면에는 유리 기판이 안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유리 기판과 상기 유리 기판에 도팅된 액정의 무게 전체를 측정하는 하중 측정장치와, 상기 유리 기판의 안착 위치를 체크하는 CCD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판 안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기판 안착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위치된 상기 유리 기판을 미세 이동시키는 미세 이동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리 기판의 상측에 설치되어 도팅된 액정의 상태를 체크하는 CCD 카메라가 더 구 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주입장치의 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주입장치의 비중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주입장치의 기판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주입장치는 노즐부와, 액정의 비중 측정부와, 기판 안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노즐부(100)는 노즐(110)과, 노즐 내부로 공급된 액정을 아래쪽으로 밀어주는 푸쉬기(120)와, 노즐과 연결되어 노즐에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공급기(130)와, 액정량을 조절하는 액정량 조절장치(141)와 노즐을 적당히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기(142)와 센서(151, 152)들로 이루어진다.
노즐(110)에서 소정영역, 예컨대 액정공급기(130)와의 연결부위(112)와 액정 토출단(111) 사이의 영역은 플렉시블(flexible) 튜브(113)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액정량 조절장치에 의한 수축, 이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푸쉬기(120)는, 자신(121)의 외면과 노즐(110)의 내면이 밀착되도록 노즐 내부에 설치되는 헤드(121)와, 헤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져, 노즐(110) 내부로 공급된 액정을 아래쪽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후술하는 액정공급 기(130)에 의하여 노즐(110) 내부로 공급된 액정은 푸쉬기(120)의 헤드(121)의 상하 이동과 후술하는 액정량 조절장치(141)에 의하여 노즐 토출단(111)을 통해 토출되게 된다. 이 때, 푸쉬기(120)의 구동부로는 미세 작동 모터(122)를 이용하거나, 기체, 예컨대 질소를 이용하는 압력공급장치(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압력공급장치의 매개체로 사용되는 기체는 액정과 반응하지 않는 기체이어야 하며, 노즐(11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압력 공급관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미세 작동하는 모터(122)를 이용하거나 미세 압력공급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토출되는 액정의 양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액정공급기(130)는, 액정이 담겨있는 버틀(bottle, 131)과, 버틀(131)과 노즐(110)을 연결하는 튜브(132)와, 버틀(131)에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압력공급장치에 의하여 공급되는 압력에 의하여 버틀(131) 내의 액정은 튜브(132)를 통해 노즐(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액정이 푸쉬기(120), 정확하게는 헤드(121)보다 아래쪽에 공급되도록, 노즐(110)과 튜브(132)의 연결부위(112)가 헤드(121) 아래쪽에 위치되게 노즐과 튜브가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압력공급장치의 매개체로 사용되는 기체는 액정과 반응하지 않는 기체, 예컨대 질소가 사용되며, 노즐(11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압력 공급관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튜브(113)의 외측에는 액정량 조절장치(141)가, 노즐(110)의 토출단(111)과 플렉시블 튜브(113) 사이에는 진동기(142)가 각각 설치된다. 특히, 진동 기(142)는 노즐의 토출단(111)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량 조절장치(141)는, 일 예로 플렉시블 튜브(113)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벨트와 벨트를 감아주고 풀어주는 구동부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를 감아서 플렉시블 튜브(113)를 수축시키면 수축된 만큼 노즐(110)의 토출단(111)을 통하여 액정이 토출되게 된다. 이 때, 플렉시블 튜브의 수축 정도와 토출되는 액정의 양은 실험적으로 구하여 정형화시키게 된다.
진동기(142)는 푸쉬기(120)에 의하여 밀려 내려오는 액정이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노즐(110)에 적당한 진동을 주기 위함이다. 진동기(142)는, 일 예로 노즐(110)의 토출단(111) 외측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실린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각각의 구동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구동부로는 압력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노즐(110) 내로 공급된 액정의 연속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노즐(110) 외측에 센서(151, 152)들이 설치된다. 센서(151, 152)들로는 노즐을 투과할 수 있는 광센서가 사용된다. 노즐(110) 내로 공급되어지는 액정이 모두 소모되었거나, 장비의 장애로 인하여 액정의 연속성이 끊어졌거나 또는 탈포가 덜 된 액정이 노즐(110) 내로 공급되게 되면 센서(151, 152)들에 의하여 센싱되는 신호가 정상적인 액정이 공급될 때 센싱되는 신호와 다르게 되므로 노즐(110) 내의 액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액정의 토출을 중지하고 후속 조치를 취함으로써 불량 액정이 공급됨에도 불구하고 공정이 계속해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센서의 설치 개수는 노즐의 길이에 따라 노즐 내의 액정의 연속성을 파 악할 수 있는 적당한 개수로 설치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에 의하면, 미세 작동하는 푸쉬기를 사용함으로써 토출되는 액정의 양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정량 조절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토출되는 액정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노즐 외측에 진동기를 설치하여 액정의 용이한 토출이 가능하며, 노즐 내의 액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불량한 액정의 공급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의 비중 측정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정 주입공정이 시작될 때, 장시간 공정이 정지되었다가 진행될 때, 새로운 액정이 공급될 때, 또는 탈포가 덜 된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액정의 체적이 정상 상태의 액정의 체적과 다르게 되어 액정의 양적 균일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소정량의 액정을 토출시킨 다음 노즐 내의 액정의 상태를 점검한 후에 공정을 진행해야 한다. 액정의 상태는 액정의 비중, 즉 체적당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의 비중 측정부는 이를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액정의 비중 측정부(200)는, 회전장치(210)와, 회전장치(2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봇 팔(221, 222)과, 로봇 팔(221, 222)들 각각에 처킹되어 노즐(110)로부터 토출된 액정을 받아내며, 자신에게 유입된 액정의 체적을 알 수 있도록 외면에 눈금이 표시된 시험관 타입의 버틀(231, 232)과, 버틀(231, 232) 내의 액정의 중량을 측정하는 미세 중량 측정장치(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미세 중량 측정장치(240)는 무진동의 구조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장치(210)로는 고정축(211)과, 고정축(21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축(2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봇 팔(221, 222)들은 회전장치(210)의 회전축(212)에 각각 설치된다. 버틀(231, 232)은 회전축(212)의 회전으로 인하여 로봇팔(221, 222)과 더불어 회전하여 도 1에 따른 노즐(110)이 있는 영역으로 이동되어 노즐(110)로부터 토출된 액정을 받아낸다. 액정을 받아낸 버틀(231, 232)은 회전축(212)의 회전으로 인하여 미세 중량 측정장치(240)가 설치된 영역으로 이동되며, 로봇 팔(221, 222)과의 처킹을 해제함으로써 버틀(231, 232)은 미세 중량 측정장치(240) 상에 위치되게 되고, 그로부터 미세 중량 측정장치(240)는 액정의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버틀 내로 유입된 액정의 체적과 측정된 중량으로부터 비중을 구하고, 본 장치가 설치된 곳에서의 액정의 표준 비중을 비교함으로써 액정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게 된다. 본 장치가 설치된 곳에서의 액정의 표준 비중은 미리 실험적으로 구하여 정형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액정의 비중 측정부(200)를 이용한 액정의 비중 측정은 원하는 수치가 나올 때까지 그리고, 원하는 수치가 어느 정도 유지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되게 되므로 공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 개의 로봇 팔과 복수 개의 버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장시간 공정이 정지되었다가 진행될 때에는 노즐(110)의 토출단(111)에 액정이 방울지게 되고, 그 방울진 액정은 공기에 오염되게 된다. 따라서, 비중 측정부(200)는 공정의 재시작 전에 일정량의 액정을 받아내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액정의 비중 측정 공정은 굳이 필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의 비중 측정부를 사용함으로써 불량한 액정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안착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 안착부(300)는 스테이지(310)와, 플레이트(320)와,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330)과, CCD 카메라(340)와, 미세 이동장치(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테이지(310)는, 도 1에 따른 노즐(110) 하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플레이트(320)는 유리 기판이 안착되는 영역으로 스테이지(310) 상부에 설치되며 스테이지(310)와 더불어 이동된다. 미세 이동장치(350)는 플레이트(320) 상에 위치된 유리 기판을 미세 이동시킨다. 로드셀(330)은 액정이 유리 기판에 도팅되어진 후, 플레이트(320)와 유리 기판과 유리 기판에 도팅된 액정의 무게를 합한 전체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도팅된 액정의 양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게 된다. 그리고, CCD 카메라(340)는 유리 기판이 플레이트 상면의 원하는 위치에 안착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또한, 미도시 되었지만, 유리 기판 상측에 별도의 CCD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 유리 기판에 도팅된 액정의 상태 및 액정 퍼짐현상 등 도팅된 액정의 움직임을 체크함으로써 공정 진행 중 불량원인, 예컨대 액정과 밀봉제와의 반응으로 인한 LCD 패널의 불량발생원인을 미리 체크할 수 있다.
따라서, CCD카메라(340)를 통해 유리 기판이 플레이트 상면의 원하는 위치에 안착되었는지의 여부와 상측에 설치된 별도의 CCD 카메라를 통해 도팅된 액정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로드셀(330)에 의하여 원하는 양의 액정이 도팅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불량품의 생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세 이동장치(350)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유리 기판을 안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주입장치에 의하면, 미세 작동하는 푸쉬기를 사용함으로써 토출되는 액정의 양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액정량 조절장치를 더 설치함으로써 정확한 양의 애정을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기를 더 설치하여 액정의 용이한 토출이 가능하며, 센서들에 의하여 노즐 내의 액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불량한 액정의 공급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액정의 비중 측정부에 의하면, 불량한 액정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안착부에 의하면, 원하는 위치에 유리 기판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양의 액정이 도팅되는 지와 도팅된 액정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불량품의 생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16)

  1. 액정을 공급받는 액정 공급구와 공급받은 액정을 외부로 토출하는 액정 토출구를 갖는 노즐;
    상기 액정 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노즐 내부로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 공급기; 및
    상기 액정 공급구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노즐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액정을 아래쪽으로 밀어주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푸쉬기;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의 상기 액정 공급구와 액정 토출구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구간은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렉시블 튜브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를 수축 및 이완시켜서 상기 블렉시블 튜브를 통과하는 액정량을 조절하는 액정량 조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액정 토출구와 상기 블렉시블 튜브 사이에는 상기 노즐에 진동을 주는 진동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내로 공급된 액정의 상태가 확인되도록 상기 노즐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공급기는,
    액정이 담겨있는 버틀과, 상기 버틀과 상기 노즐을 연결하는 튜브와, 상기 버틀에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기는,
    자신의 외면과 상기 노즐의 내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노즐 내부에 설치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미세 작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압력공급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량 조절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감아주고 풀어주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상기 노즐 외측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내에 있는 액정을 상기 액정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반출 받아 이를 이용하여 액정의 비중을 측정하는 비중 측정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 측정부는,
    회전장치와, 상기 회전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봇 팔과, 외면에 눈금이 표시된 시험관 형상으로 상기 로봇 팔들 각각에 처킹되며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정을 받아내는 적어도 하나의 버틀과, 상기 버틀 내의 액정의 중량을 측정하는 미세 중량 측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주입장치에는,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노즐 하측에 설치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와 함께 이동되며 상면에는 유리 기판이 안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유리 기판과 상기 유리 기판에 도팅된 액정의 무 게 전체를 측정하는 하중 측정장치와, 상기 유리 기판의 안착 위치를 체크하는 CCD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판 안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안착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위치된 상기 유리 기판을 미세 이동시키는 미세 이동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측정장치는,
    로드셀 또는 하중 측정용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안착부에는,
    상기 유리 기판의 상측에 설치되어 도팅된 액정의 상태를 체크하는 CCD 카메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장치.
KR1020030047139A 2003-07-11 2003-07-11 액정 주입장치 KR100543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139A KR100543678B1 (ko) 2003-07-11 2003-07-11 액정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139A KR100543678B1 (ko) 2003-07-11 2003-07-11 액정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071A KR20050007071A (ko) 2005-01-17
KR100543678B1 true KR100543678B1 (ko) 2006-01-20

Family

ID=3722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139A KR100543678B1 (ko) 2003-07-11 2003-07-11 액정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958B1 (ko) * 2005-12-30 201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액정 적하장치
WO2009067103A1 (en) * 2007-11-20 2009-05-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handling device
CN105093710B (zh) * 2015-07-06 2018-05-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注入组件的拆装设备及其拆装辅助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071A (ko)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5614B2 (en) Liquid crystal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of dispensing liquid crystal material using same
US20050248715A1 (en) System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72952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US88991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liquid crystal material
US717700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system
US8031321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US7237579B2 (en) Liquid crystal dispensing system
JP4426771B2 (ja) 液晶残量の確認が可能である液晶滴下装置及びその液晶残量測定方法
KR20090082737A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용 모듈레이터
KR101763619B1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KR100469508B1 (ko) 스프링의 장력조정에 의해 액정적하량을 제어가 가능한액정적하장치
KR100543678B1 (ko) 액정 주입장치
US727307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ensing liquid crystal
JP4241339B2 (ja) 液晶基板の組立方法
KR101201408B1 (ko) 원료 적하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원료 적하 장치
US83002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liquid crystal materi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16538B1 (ko) 어레이 테스터
KR100807588B1 (ko) 효율적인 액정적하가 가능한 액정적하장치 및 적하방법
KR101192787B1 (ko)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 및 이의 암 티칭 방법
KR100832295B1 (ko) 액정의 잔량측정용 저울이 구비된 액정적하장치
KR101228092B1 (ko) 액정 적하 유닛 교체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적하시스템과 액정 적하 유닛의 교체 방법
KR101048696B1 (ko)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합착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05122027A (ja) 表示パネル封止装置
KR20030076781A (ko) 스프링의 장력조정이 가능한 액정적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