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431B1 - 케이블 필러 - Google Patents

케이블 필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431B1
KR100543431B1 KR1020050042007A KR20050042007A KR100543431B1 KR 100543431 B1 KR100543431 B1 KR 100543431B1 KR 1020050042007 A KR1020050042007 A KR 1020050042007A KR 20050042007 A KR20050042007 A KR 20050042007A KR 100543431 B1 KR100543431 B1 KR 100543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re
cutting
blad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이디아이 주식회사
이디아이인터내셔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디아이 주식회사, 이디아이인터내셔날(주) filed Critical 이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07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0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5/00Hand cutting tools involving disc blades, e.g. motor-driven
    • B26B25/005Manually operated, e.g. pizza cutters
    • B26B25/007Operable only in combination with guiding means, e.g. paper cut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07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17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longitudinal c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 H02G1/1239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the cutting element being a disc or a circular saw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큰 직경을 갖는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기 위한 케이블 필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를 클램핑유닛을 통해 전선에 클램핑시키고 절단축을 전진하여 경사진 상태로 장착된 칼날이 전선 철심의 꼬여진 홈을 따라가며 전선 피복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피복의 탈피작업이 용이해지고 칼날에 의한 철심 외표면 손상도 억제하여 전기적인 아크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필러에 관한 것이다.
피복, 철심, 아크, 핸들, 아암.

Description

케이블 필러{CABLE PEELER}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삭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필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칼날의 각도조절유닛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저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칼날을 통해 전선피복이 수직으로 절단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도 6의 과정 후 칼날을 통해 전선피복이 경사절단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도 7의 과정 후 분리편을 통해 전선피복이 완전히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1 : 공간부
102,103 : 지지부 110,112 : 좌,우측롤러
120,130 : 좌,우측아암 122,132 : 중공
124 : 원주홈 126 : 걸림홈
128 : 미그럼방지홈 140,150 : 좌,우측핸들
160 : 절단축 162,172 : 장홈
166 : 슬릿 168 : 눈금
174 : 나사홈 180,186 : 회전지지체
190 : 칼날 192 : 볼
194 : 스프링 196 : 분리편
본 발명은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기 위한 케이블 필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필러의 칼날이 다발로 이루어진 전선 철심의 꼬여진 홈을 따라가며 전선 피복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피복의 탈피작업이 용이해지고 칼날에 의한 철심 외표면 손상도 억제하여 전기적인 아크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필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공사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수전 전압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특히 고압용 절연 케이블에서는 그 직경이 수센티미터나 되는 매우 굵은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력용 케이블, 난연성 케이블, 절연 케이블 등 무수히 많은 종류의 케이블은 동으로 된 도체 다발에 절연피복이 감싸져 있는 형태로 되어 있고, 이 절연피복은 고난연의 PVC로 매우 두껍고 강도가 큰 물성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구성이 몸체(81)의 일측에 칼날(84)을 설치되고 후방에 몸체(81)를 관통하는 손잡이(83)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81)를 관통한 손잡이(83)의 선단부에는 누름체(8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의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80)는 케이블(60)의 피복(61)을 탈피시키기 위하여 누름체(82)와 몸체(81)의 사이에 케이블(60)을 끼워 넣은 후 손잡이(83)를 회전시켜 누름체(82)가 케이블(60)을 견고히 파지하도록 한 다음 손잡이(83)와 케이블(60)을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피복(61)이 칼날(84)에 의해 절단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하여 피복(61)이 케이블(60)의 원주면을 따라 360°절단되면 손잡이(83)를 다시 상기 절단할때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누름체(82)를 상부로 올려 파지력을 와해시킨다.
상기의 과정이 끝나면 상기 피복(61)이 절단된 케이블(60)을 누름체(82)와 몸체(81)의 사이로부터 꺼낸 다음 이를 작업자 2인이 케이블(60)을 양측을 잡고 잡아당겨 피복(61)을 인출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가 필수적으로 2인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 낭비는 물론 비효율 적이었다.
또한, 상기의 케이블(60) 피복(61) 탈피방법은 케이블(60)을 잡아당기는 힘이 일정해야 지 일측으로 쏠리게 되면 피복(61)이 탈피되지 못하고, 또 갑자기 피 복이 탈피되면 작업자가 넘어지게 되어 뇌진탕 등의 위험성이 있었다.
아울러, 케이블의 피복 두께가 두꺼워서 칼날(84)의 절단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비효율적이며, 칼날(84)로 케이블(60)의 피복을 절단하던 중에 코어(62)가 손상되어 아크현상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를 클램핑유닛을 통해 전선에 클램핑시키고 절단축을 전진하여 경사진 상태로 장착된 칼날이 전선 철심의 꼬여진 홈을 따라가며 전선 피복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피복의 탈피작업이 용이해지고 칼날에 의한 철심 외표면 손상도 억제하여 전기적인 아크현상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케이블 필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필러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전선을 고정하는 클램핑유닛; 상기 전선에 대해 진퇴되는 절단축과 상기 절단축의 끝단에 경사지게 장착된칼날을 구비하며 상기 전선의 피복을 절단하는 절단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전선의 피복이 상기 칼날을 통해 나선형태로 절단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케이블 필러는 상기 칼날의 절단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에는 상기 칼날을 통해 절단된 전선의 피복을 잡아당겨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편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좌측롤러와; 상기 좌측롤러와 함께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우측롤러와; 상기 우측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선에 대하여 진퇴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상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본체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축을 진퇴시키는 우측핸들과;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우측핸들을 지지하는 회전지지체; 및 상기 지지축과 상기 회전지지체 및 상기 우측핸들에 동시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칼날이 장착되는 절단축과; 상기 절단축이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암과; 상기 본체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절단축을 진퇴시키는 좌측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본체와 상기 아암을 체결하는 볼트와; 상기 아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볼트가 위치하는 상기 아암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원주홈과; 상기 원주홈에 안착되는 볼과; 상기 볼과 상기 볼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볼을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원주홈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아암의 회전시 상기 볼이 걸리게 되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필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필러의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필러는, 크게 본체(100)와, 전선을 잡아주도록 본체(100)에 설치되는 클램핑유닛과, 클램핑유닛을 통해 클램핑된 전선의 피복을 절단하는 절단유닛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좌우방향으로 긴 구조체를 이루며, 중앙부에는 전선 및 이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유닛이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101)가 마련되어 있다.
클램핑유닛은 전선을 잡아줄 수 있도록 본체(100)의 좌측에 형성된 'ㄷ'자 형태의 지지부(102)상에 볼트(10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좌측롤러(110)와, 본체(100)의 우측아암(130)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지지축(170)의 끝단에 형성된 다른 형태의 지지부(103)상에 볼트(10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우측롤러(112)와, 상기 지지축(170)을 전선에 대해 진퇴시킬 수 있도록 우측아암(130) 외주부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핸들(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좌측롤러(110) 및 우측롤러(112)의 외면은 전선 외면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전선의 외면과 대응되는 반원형태로 오목하게 파여져 형성되어 전선의 클램핑작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100)의 우측아암(130)은 파이프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그 내측에는 지지축(170)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132) 내에서 상기 지지축(170)이 좌우방향(전선에 대해서는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지지축(170)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172)이 형성되어 있으 며, 상기 장홈(172)은 본체(100)의 우측아암(130)에 체결되는 볼트(138)의 끝단과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축(170)은 슬라이딩 진퇴운동시 상기 볼트(138)에 의해 가이드됨과 아울러 축방향 회전이 방지된다.
우측핸들(150)은 본체(100)의 우측아암(130) 말단에 볼트(15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상기 볼트(152)는 상기 우측핸들(1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우측아암(130)의 중공(132)에 삽입되는 회전지지체(186)와 볼트체결되어 상기 우측핸들(150)의 회전시 상기 볼트(152) 및 상기 회전지지체(186)가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지지체(186)는 중심부에 볼트(152)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공(188)이 형성되고, 외주면상에는 우측아암(130)의 상,하측에서 체결되는 다른 볼트(134)(136)의 끝단과 맞물리게 되는 오목하게 파여진 홈(187)이 형성되어, 우측핸들(150)의 회전시 상기 볼트(134)(136)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축(170)의 중심부에는 상기 볼트(152)와 체결되기 위한 나사홈(174)이 형성되는 바, 우측핸들(150)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게 되는 볼트(152)의 회전에 따라 나사체결된 상기 지지축(170)이 좌우방향으로 진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클램핑유닛은 전선에 좌측롤러(11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우측핸들(15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지지축(170)이 상기 전선측으로 전진하여 우측롤러(112)가 상기 좌측롤러(110)의 맞은편에서 상기 전선을 조여 클램핑 시키도록 된 것이다. 물론, 상기 조여진 상태를 풀 경우에는 상기 우측핸들(1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축(170)을 후퇴시키면 조임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본체(100)의 좌측아암(120)은 상기 우측아암(130)과는 달리 본체(100)와 분리된 구조를 이루고 있는 바, 본체(100) 좌측에 형성된 삽입공(106)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좌측아암(120)의 선단부 외주면상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원형태로 오목하게 파여진 원주홈(124)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아암(120)은 본체(100)의 삽입공(106)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100) 상부에서 상기 원주홈(124)에 반구형 지지편(191)을 끼운 후 볼트(155)를 통해 체결되고, 하부에서 상기 원주홈(124)에 볼(192)을 끼운 다음 스프링(194)을 개재하여 볼트(157)를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좌측아암(120)은 상부에 위치한 상기 반구형 지지편(191)과 하부에 위치한 볼(192)과 맞물리게 되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좌측아암(120)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미끄럼방지홈(128)이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열되어 있다.
한편, 절단유닛은 상기 좌측아암(1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122) 내에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진퇴운동하는 절단축(160)과, 절단축(160)의 끝단에 장착되며 전선의 피복을 절단시키는 원판형의 칼날(19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칼날(190)은 상기 절단축(160)의 끝단에 형성된 슬릿(166)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165)를 체결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절단축(160)의 외면에는 상기 지지축(170)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홈(162)은 좌측아암(120)에 체결되는 볼트(125)의 끝단과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어서, 절단축(160)의 슬라이딩 운동시 상기 볼트(125)에 의해 가이드됨과 아울러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좌측아암(120)의 후단부에는 좌측핸들(140)이 볼트(14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상기 볼트(142)는 상기 좌측핸들(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아암(120)의 중공(122)에 삽입되는 회전지지체(180)와 볼트체결되어 상기 좌측핸들(140)의 회전시 상기 볼트(142) 및 상기 회전지지체(180)가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체(180)는 중심부에 볼트(142)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공(184)이 형성되고, 외주면상에는 좌측아암(120)의 상,하측에서 체결되는 다른 볼트(121)(123)의 끝단과 맞물리게 되는 오목하게 파여진 홈(182)이 형성되어, 좌측핸들(140)의 회전시 상기 볼트(121)(123)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함께, 절단축(160)의 중심부에는 상기 볼트(142)와 체결되기 위한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는 바, 좌측핸들(140)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게 되는 볼트(142)의 회전에 따라 나사체결된 상기 절단축(160)이 좌우방향으로 진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단축(160)의 외면에는 상기 절단축(160)의 진퇴거리를 정량적 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눈금(168)이 새겨져 있는 바, 사용자는 절단하고자 하는 전선의 피복두께에 맞는 절단축의 진퇴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필러의 칼날의 절단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유닛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 필러는 전선피복의 절단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칼날(19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아암(120)의 원주홈(124)상에는 상기 좌측아암(120)이 회전시 스프링(194)을 통해 탄지된 볼(192)이 일시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파여져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126)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126) 상호간의 간격은 좌측아암(120)의 회전각도에 대응하기 때문에 요구되는 설정각도(예컨대, 0도, 30도, 90도, -30도, -90도 등)에 맞도록 적절하게 배열 형성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좌측아암(120)의 회전시 상기와 같은 설정각도에 이르게 되면 스프링(194)에 의해 의해 탄지된 볼(192)이 상기 걸림홈(126)에 일시적으로 걸리게 되므로 상기 설정된 칼날(190) 각도로 전선피복의 경사절단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칼날(190)의 각도설정을 전선 내부의 철심(다발로 이루어져 꼬여져 형성된 도체)의 꼬임방향 및 꼬임각에 맞도록 설정하고 있는 바, 전선피복의 절단작업시 상기 경사진 상태의 칼날(190)이 상기 전선 철심의 꼬여진 홈부위를 따라 가이드되며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전선피복을 나선형태으로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저면부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특히, 절단된 전선피복을 철심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도록 하는 분리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저면부상에는 칼날(190)을 통해 절단작업이 완료된 전선피복을 철심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선피복의 절단부위에 걸어 잡아당겨 분리시키게 되는 분리편(196)이 볼트(197)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분리편(19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의 다양한 두께에 호환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전선피복의 두께에 따라 회전 선택하여 알맞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분리편(196) 인접부분에 위치한 상기 본체(100)상에는 상기 분리편(196)에 의한 전선피복 분리작업시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전선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07)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사용방법을 아래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전선피복이 칼날을 통해 수직으로 절단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도 6의 과정 후 전선피복이 칼날을 통해 경사절단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8은 도 7의 과정 후 분리편을 통해 전선피복이 완전히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200)의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 중 일측 끝단에 본체(100)의 좌측롤러(110)를 맞댄 후 우측핸들을 회전시켜 지지축(170)이 전선(200)측으로 전진하도록 하여 본체(100)가 상기 좌측롤러(110) 및 우측롤러(112)에 의해 전선(200)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본체(100)는 클램핑유닛을 통해 전선(200) 외면에 완전하게 클램핑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좌측아암(120)을 회전하여 칼날(190)이 전선(2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설정한 다음, 좌측핸들(140)을 회전시켜 절단축(160)을 전선(200)측으로 전진시켜서 절단축(160)에 장착된 칼날(190)이 전선(200)의 피복(210)을 뚫고 철심(230)의 외면상에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좌,우측핸들(140)(150)을 잡고 본체(100)를 전선(200)을 중심으로 한바퀴 회전시키게되면 전선피복(210)이 전선(200) 축에 대해 수직하게 절단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시 좌측핸들(140) 및 우측핸들(150)을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절단축(160) 및 지지축(170)을 각각 후퇴시켜 전선(200)으로부터 본체(100)를 분리시킨 다음, 절단하고자 하는 전선(200)의 다른측 끝단에 갖다 대고 상기한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선피복(210)을 수직하게 절단시키게 된다. 이로써, 전선(200) 절단하고자 하는 양 끝부분의 절단작업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다시 전선(200)의 절단영역 일측 끝단부로 위치시켜 상기와 같이 클램핑유닛을 통해 고정시킨 후, 좌측아암(120)을 회전시켜 칼날(190)을 전선(200)에 대해 설정된 각도(전선 철심의 꼬 임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세팅한 다음, 본체(100)의 좌,우측핸들(140)(150)을 잡고서 다시 전선(200)을 중심으로 다수 회 회전시켜 전선의 피복(210)을 나선형태로 절단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칼날(190)은 철심(230)의 꼬여진 홈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전선피복(210)의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선피복(210)의 절단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클램핑유닛을 해제시켜 본체(100)를 전선(200)으로부터 분리한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 저면부에 있는 분리편(196)을 상기 나선형태로 절단된 전선피복(210)의 절단부위에 걸고 잡아당겨 회전시키게 되면 전선피복(210)이 철심(230)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됨으로써, 전선피복의 탈피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핑유닛을 이용하여 전선에 본체를 고정시키고 절단축을 전진시켜 칼날이 전선 내부의 철심에 닿도록 하여 본체를 회동시킴에 따라 칼날이 철심의 꼬여진 홈을 타고 전선피복을 나선형태로 절단시켜 주기 때문에 전선피복의 탈피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전선피복의 절단과정시 칼날이 전선 내부 철심의 꼬여진 홈을 따라 가이되면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칼날에 의한 철심 표면부의 손상이 최소화되어 아크현상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칼날의 절단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유닛을 채용함으로써 전선축에 수직한 방향의 절단도 가능해짐과 아울러 전선 철심의 꼬여진 경사각도와 방향에 따라 칼날의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스팩의 전선 탈피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상에 절단된 전선피복을 강제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편을 설치함으로써, 칼날을 통해 절단된 전선피복을 상기 분리편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철심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선피복의 완전한 탈피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나아가, 상기한 분리편을 다양한 크기로 다수개 형성시켜 구성하게 되면 전선피복 두께에 맞는 크기의 분리편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효율적이고 탈피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램핑유닛은 좌측롤러 및 우측롤러가 전선의 외면을 타고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피복을 한 곳에서 절단한 다음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 절단하는 것이 매우 수월해지고, 회전지지체의 형상구조에 의해 전선에 대한 본체의 회전작용도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단유닛 또한 간단한 핸들조작을 통해 절단축을 진퇴시키면서 칼날을 이용하여 전선피복을 용이하게 절단시킬 수 있고, 절단축상에 눈금을 새겨 넣어 전선피복의 절단 깊이를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한 절단작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전선을 고정하는 클램핑유닛;
    상기 전선에 대해 진퇴되는 절단축과 상기 절단축의 끝단에 경사지게 장착된칼날을 구비하며 상기 전선의 피복을 절단하는 절단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전선의 피복이 상기 칼날을 통해 나선형태로 절단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필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의 절단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필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칼날을 통해 절단된 전선의 피복을 잡아당겨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편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필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좌측롤러와;
    상기 좌측롤러와 함께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우측롤러와;
    상기 우측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선에 대하여 진퇴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축을 진퇴시키는 우측핸들과;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우측핸들을 지지하는 회전지지체; 및
    상기 지지축과 상기 회전지지체 및 상기 우측핸들에 동시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필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칼날이 장착되는 절단축과;
    상기 절단축이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암과;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절단축을 진퇴시키는 좌측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필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본체와 상기 아암을 체결하는 볼트와;
    상기 아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볼트가 위치하는 상기 아암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원주홈과;
    상기 원주홈에 안착되는 볼과;
    상기 볼과 상기 볼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볼을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원주홈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아암의 회전시 상기 볼이 걸리게 되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필러.
KR1020050042007A 2005-05-19 2005-05-19 케이블 필러 KR100543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07A KR100543431B1 (ko) 2005-05-19 2005-05-19 케이블 필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07A KR100543431B1 (ko) 2005-05-19 2005-05-19 케이블 필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3431B1 true KR100543431B1 (ko) 2006-01-20

Family

ID=3717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007A KR100543431B1 (ko) 2005-05-19 2005-05-19 케이블 필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3159A (zh) * 2016-08-29 2016-12-21 广州番禺电缆集团有限公司 一种电缆剥皮刀及其剥皮方法
KR101938351B1 (ko) * 2017-03-29 2019-0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행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0112A (ja) * 1988-10-27 1990-11-30 Raymond Pinchon ケーブル被覆剥離用工具
US5230260A (en) * 1992-09-08 1993-07-27 Bell James R Tool for stripping cable insulation and method
JPH0614425A (ja) * 1992-06-23 1994-01-21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外被の剥離装置およびその剥離方法
JPH0865850A (ja) * 1994-08-17 1996-03-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ケーブル皮剥装置
KR100369304B1 (ko) * 2000-05-02 2003-01-24 이상수 모자용 조성물 첨가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0112A (ja) * 1988-10-27 1990-11-30 Raymond Pinchon ケーブル被覆剥離用工具
JPH0614425A (ja) * 1992-06-23 1994-01-21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外被の剥離装置およびその剥離方法
US5230260A (en) * 1992-09-08 1993-07-27 Bell James R Tool for stripping cable insulation and method
JPH0865850A (ja) * 1994-08-17 1996-03-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ケーブル皮剥装置
KR100369304B1 (ko) * 2000-05-02 2003-01-24 이상수 모자용 조성물 첨가제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3159A (zh) * 2016-08-29 2016-12-21 广州番禺电缆集团有限公司 一种电缆剥皮刀及其剥皮方法
CN106253159B (zh) * 2016-08-29 2018-06-08 广州番禺电缆集团有限公司 一种电缆剥皮刀及其剥皮方法
KR101938351B1 (ko) * 2017-03-29 2019-0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770B1 (ko) 전선 피복용 박피기
US6381850B1 (en) Wire stripping and preparation apparatus
US4911572A (en) Cable tie back clamp
CN103715638A (zh) 大电流电缆头绝缘层的剥离方法及其切割剥离工具
CN203859451U (zh) 二次电缆专用剥皮钳
US107005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nd stripping an electrical cable
KR101652663B1 (ko) 지중케이블용 수동 피박기 및 그 피박기를 이용한 지중케이블 피박공법
JP5816580B2 (ja) 電線被覆屑の脱落防止工具
JP5631703B2 (ja) ヤットコ用アダプタ
JP6006917B2 (ja) ケーブルの被覆剥ぎ取り工具
US9472927B2 (en) Wire stripping and cutting tool
KR100543431B1 (ko) 케이블 필러
JP2015019497A (ja) 接地短絡器具
KR100700710B1 (ko) 케이블 필러
US20210104876A1 (en) Conductor Trimmer
KR100990952B1 (ko) 급전선 절단기
JP4044390B2 (ja) 皮剥ぎ工具
JP2001298822A (ja) 被覆電線の被覆剥離具。
KR101797574B1 (ko) 홈 가공기
EP0188520A1 (en) A shield stripper for electrical wiring
US10992118B1 (en) Wire stripping tool
KR102194941B1 (ko)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KR20090081115A (ko) 전력케이블 선재 연결용 슬리브
US11527874B1 (en) Wire tool for stripping and terminating electrical wir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14039433A (ja) 電線被覆剥ぎ取り用間接活線先端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