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022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2022B1 KR100542022B1 KR1020030092973A KR20030092973A KR100542022B1 KR 100542022 B1 KR100542022 B1 KR 100542022B1 KR 1020030092973 A KR1020030092973 A KR 1020030092973A KR 20030092973 A KR20030092973 A KR 20030092973A KR 100542022 B1 KR100542022 B1 KR 1005420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catalyst
- fermentation tank
- chamber
- communication
- deodoriz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 내측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 및 발효시키는 발효조(11)와, 교반기(12)를 구비한 본체(10)와;
본체(10)의 몸체 내외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교반기(12)의 작동중 발생되는 수증기와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탈취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탈취수단(20)은 발효조(11) 상부측으로 설치되면서 발효조(11) 내부와 연통되는 챔버(30)와;
챔버(30)의 일측에서 내측으로 설치되는 필터(31)와;
상기 챔버(30)와 연통되며, 필터(31)의 상부로 설치되는 광촉매부(40)와;
광촉매부(40)의 상부로 형성되면서 몸체 내부로는 상,하로 구획된 각각의 공간부(200)가 형성되는 하우징(50)과;
이 광촉매부(40)의 상부로 위치되어 하우징(50) 내측에서 광촉매부(40)와 연통되게 형성되면서, 광촉매부(40)를 통과한 가스와 접촉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히터봉(61)이 형성되고 그 외부에는 히터케이스(62)가 구비된 산화반응부(60)와;
상기 산화반응부(60)의 상부로 구획되면서 연통되게 설치되며 산화반응부(60)를 통한 가스와 접촉되면서 탈취시키는 열촉매부(70)와;
열촉매부(70)의 상부에서 구획설치되며, 중앙부로는 배기구(81)가 열촉매부(70)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81)의 일측으로는 공간부(200)가 형성된 예열공기챔버(80)와;
예열공기챔버(80)의 몸체 일측으로 설치되어 내측 공간부(200)로 팬(91)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외부공기공급관(90)과;
상기 예열공기챔버(80)의 몸체 타측으로 형성되면서 외부공기공급관(90)을 통해 예열공기챔버(80) 내에서 열교환된 가스를 발효조(11)로 리턴시킬 수 있도록, 발효조(11)와 연통되게 형성된 가열공기배출관(100)으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광촉매와 고온산화방식을 이용한 탈취장치의 구성을 독립된 하우징(50) 내부에서 직선방향으로 순차진행 되도록 구성하므로 써, 종래의 탈취장치에 비하여 탈취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배관등의 단순화 작업에 의하여 제작단가를 낯출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탈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탈취장치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발효조
12 - 교반기 13 - 유입구
20 - 탈취수단 30 - 챔버
31 - 필터 40 - 광촉매부
50 - 하우징 51 - 구획판
52 - 출입홀 60 - 산화반응부
61 - 히터봉 62 - 히터케이스
70 - 열촉매부 80 - 예열공기챔버
81 - 배기구 90 - 외부공기공급관
91 - 팬 100 - 가열공기배출관
200 - 공간부 300 - 단열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광촉매와 고온산화방식의 열촉매 탈취장치 구성에 있어서, 독립된 하우징 내부에서 광촉매와 열촉매를 이용한 탈취작업이 일직선 상에서 순차 진행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며, 이러한 잔반은 그대로 가축사료로 이용되거나, 단순한 거름망을 통하여 섞여 있는 물기만을 걸러낸 후 폐기시키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으며 내측으로는 수납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납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 및 발효시키는 발효조와, 상기 발효조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 구동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섞는 교반기와, 상기 본체의 몸체 내,외부에 설치되어 교반기의 작동중 발생되는 수증기와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탈취수단으로 크게 구성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수단 구성은 활성탄 필터, 오존, 열촉매를 이용한 고온산화법, 광촉매 산화법 등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수단인 광촉매와 열촉매를 이용한 복합 탈취시스템의 경우는 비교적 부피가 크고 시스템이 복잡하므로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본체의 발효조 상부에서 순차 진행 방식등을 이용하여 팬으로 부터 유입된 악취가스를 비교적 길게 연장된 배관부를 통해서 이동시키면서 악취가스를 탈취시키는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배관 연장에 의한 유체 저항이 발생되고, 이 과정에서 응축수가 고이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광촉매와 열촉매의 구성이 연장설치된 배관부에 팬을 통해서 악취가스를 순차 이동시키는 방식을 취하므로, 열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비가 많았고, 팬을 이용한 유로가 배관부의 길이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품질안정화에 악영향을 끼치고, 이로인한 제작단가의 상승과 에너지 활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촉매와 고온산화방식의 열촉매 탈취장치 구성에 있어서, 독립된 하우징 내부에서 광촉매와 열촉매를 이용한 탈취작업이 일직선 상에서 순차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품질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 내측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 및 발효시키는 발효조(11)와, 교반기(12)를 구비한 본체(10)와;
본체(10)의 몸체 내외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교반기(12)의 작동중 발생되는 수증기와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탈취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탈취수단(20)은 발효조(11) 상부측으로 설치되면서 발효조(11) 내부와 연통되는 챔버(30)와;
챔버(30)의 일측에서 내측으로 설치되는 필터(31)와;
상기 챔버(30)와 연통되며, 필터(31)의 상부로 설치되는 광촉매부(40)와;
광촉매부(40)의 상부로 형성되면서 몸체 내부로는 상,하로 구획된 각각의 공간부(200)가 형성되는 하우징(50)과;
이 광촉매부(40)의 상부로 위치되어 하우징(50) 내측에서 광촉매부(40)와 연통되게 형성되면서, 광촉매부(40)를 통과한 가스와 접촉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히터봉(61)이 형성되고 그 외부에는 히터케이스(62)가 구비된 산화반응부(60)와;
상기 산화반응부(60)의 상부로 구획되면서 연통되게 설치되며 산화반응부(60)를 통한 가스와 접촉되면서 탈취시키는 열촉매부(70)와;
열촉매부(70)의 상부에서 구획설치되며, 중앙부로는 배기구(81)가 열촉매부(70)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81)의 일측으로는 공간부(200)가 형성된 예열공기챔버(80)와;
예열공기챔버(80)의 몸체 일측으로 설치되어 내측 공간부(200)로 팬(91)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외부공기공급관(90)과;
상기 예열공기챔버(80)의 몸체 타측으로 형성되면서 외부공기공급관(90)을 통해 예열공기챔버(80) 내에서 열교환된 가스를 발효조(11)로 리턴시킬 수 있도록, 발효조(11)와 연통되게 형성된 가열공기배출관(10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광촉매와 고온산화방식을 이용한 탈취장치의 구성을 독립된 하우징(50) 내부에서 직선방향으로 순차진행 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종래의 탈취장치에 비하여 탈취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배관등의 단순화 작업에 의하여 제작단가를 낯출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탈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탈취장치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광촉매와 고온산화방식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탈취장치에 있어서, 열촉매와 광촉매를 일직선상으로 순차설치하여 탈취효율성 향상 및 제품의 제작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인 탈취수단에서 발효조(11) 상부측으로는 발효조(11) 내부와 연통되는 챔버(30)가 설치된다.
상기 챔버(30)는 발효조(11)의 몸체에 형성되는 유입구(13) 상부로 형성되면서, 발효조(11)에서 교반과정중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포집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챔버(30)의 몸체 내측부에 설치된 필터(31)는 악취가스가 챔버(30)를 통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및 먼지등을 걸려지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챔버(30)의 몸체 상부로는 챔버(30)와 연통되게 구성되는 광촉매부(40)가 설치된다.
상기 광촉매부(40)는 실질적으로 발효조(11)에서 챔버(30)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를 1차적으로 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광촉매 구성을 적용시켜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 일반적인 광촉매 구성과 동일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광촉매부(40)의 상부로는 몸체 내부로는 상,하로 구획된 각각의 공간부(200)가 형성되는 하우징(50)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50)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내부로 구획된 공간부(200)가 다수개 형성되며, 이 구획된 공간부(200)는 각각의 구획판(51)에 의해 공간부(200)를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광촉매부(40)를 통해 1차적으로 탈취작업이 수행된 악취가스가 하우징(50)의 저면 출입홀(52)을 통해 상부직선방향으로 상승되면서, 후술되는 산화반응부(60)와 열촉매부(70)를 거친후 배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0)은 산화반응부(60)와 열촉매부(70)를 각각 연통되면서 독립적으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구획판(51)이 형성되는 것이며, 열촉매부(70) 상부에도 후술되는 예열공기챔버(80)와 열촉매부(70)를 구획판(51)에 의해 각각 분리형성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50)의 외측면에도 온도유지등을 위하여 단열재(300)를 삽입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촉매부(40)의 상부로는 광촉매부(40)와 연통되게 형성되면서, 광촉매부(40)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처리된 악취가스와 오존가스가 상부로 상승되면서 접촉되어 탈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히터봉(61)이 형성되고 그 외부에는 히터케이스(62)가 구비된 산화반응부(60)가 형성된다.
즉, 1차적으로 광촉매부(40)를 통해 탈취가 이루어진 악취가스와 이때 발생되는 오존가스가 히터봉(61)의 히터케이스(62)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고온의 산화반응부(60)과 접촉되면서 일부 산화반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산화반응부(60)의 히터봉(61)과 접촉되면서 산화반응이 이루어진 가스는 산화반응부(60)의 상부로 구획되면서 연통되게 설치되어 산화반응부(60)를 통한 가스와 접촉되면서 탈취시키는 열촉매부(70)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 광촉매와 열촉매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탈취수단은 발효조(11)에서 유입된 악취가스가 챔버(30)를 통해 유입된 후, 이물질은 필터(31)에 의해 걸려지고, 그후, 광촉매부(40)와 산화반응부(60) 그리고 열촉매부(70)를 직선상태로 순차 진행되면서 접촉되어 탈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결국, 종래의 복합 탈취수단과는 달리 하우징(50) 내에서 광촉매부(40)와 열촉매부(70)를 순차적으로 진행시키면서도 직선상태로 탈취작업을 순차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구성과는 달리 탈취장치의 구성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한 배관부의 길이 역시 단순화 또는 부피와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열촉매부(70)의 상부로는 하우징(50) 내에서 구획설치되며, 중앙부로는 배기구(81)가 열촉매부(70)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81)의 일측으로는 공간부(200)가 형성된 예열공기챔버(80)가 형성된다.
그리고, 예열공기챔버(80)의 몸체 일측으로는 내측 공간부(200)로 팬(91)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외부공기공급관(90)이 구비된다.
이는 결국, 열촉매부(70)를 통해 최종적으로 탈취작업이 종료된 가스가 예열공기챔버(80) 내측으로 구비된 배기구(81)를 통해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공급관(90)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최종배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예열공기챔버(80)의 몸체 타측으로는 외부공기공급관(90)을 통해 예열공기챔버(80) 내에서 열교환된 가스를 발효조(11)로 리턴시킬 수 있도록, 발효조(11)와 연통되게 형성된 가열공기배출관(100)이 형성된다.
상기 가열공기배출관(100)은 호기성 미생물에 필요한 신선하고 따뜻한 공기를 발효조(11)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 와 같이 열촉매부(70)를 통해 최종적으로 탈취가 종료된 가스가 예열공기챔버(80)에 구성된 배기구(81)를 통해 고온으로 배기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공급관(90)을 통해서 유입된 외부공기와 접촉되면서 배기되는 가스는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배출되고, 동시에 외부공기 역시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따뜻한 공기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종래의 탈취수단과는 달리 광촉매부(40)와 열촉매부(70)를 직선상에서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탈취가 이루어지고, 배기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공급관(90)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에 의하여 배기되는 고온의 가스는 열교환된 후 배기되면서 동시에 이 과정에서 열교환된 외부공기는 다시 가열공기배출관(100)을 통해 발효조(11) 내부로 리턴되어 발효조(11) 내부에서 호기성 미생물이 활동하기 용이한 따뜻한 공기로 열교환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구성은 발효조(11) 내부에서 챔버(30)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가 필터(31)를 통해 필터링을 마친후 광촉매부(40)와 산화반응부(60), 그리고 열촉매부(70)를 수직선상에서 순차 진행되면서 최종적으로 탈취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최종 배기과정에서는 외부공기공급관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에 의해 배기되는 가스는 열교환되어 배출되고, 동시에 가열공기배출관(100)을 통해서 열교환된 외부공기는 다시 발효조(11) 내부로 리턴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수단에 비하여 광촉매부와 열촉매부를 직선방향으로 순차 진행되면서 탈취작업이 수행되므로, 탈취수단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제작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 탈취수단에서 광촉매부와 열촉매부를 일정거리를 두고 설정하는 방식에 비하여 직선상에서 탈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배관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셋째, 광촉매부를 거치면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직하강될 수 있는 직선구성을 갖으므로, 광촉매부를 통한 탈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외부공기유입부에 구비된 팬은 외부의 깨끗한 공기만을 흡입하므로 써, 팬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비교적 작은 공간에 폐열로 나가는 열에너지를 최대한 회수하여 열에너지 소비율을 저감시키고 팬을 통한 유로를 짧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탈취수단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섯째, A/S 효율이 우수하고 배관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 몸체 내측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 및 발효시키는 발효조(11)와, 교반기(12)를 구비한 본체(10)와;본체(10)의 몸체 내외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교반기(12)의 작동중 발생되는 수증기와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탈취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상기 탈취수단(20)은 발효조(11) 상부측으로 설치되면서 발효조(11) 내부와 연통되는 챔버(30)와;챔버(30)의 일측에서 내측으로 설치되는 필터(31)와;상기 챔버(30)와 연통되며, 필터(31)의 상부로 설치되는 광촉매부(40)와;광촉매부(40)의 상부로 형성되면서 몸체 내부로는 상,하로 구획된 각각의 공간부(200)가 형성되는 하우징(50)과;이 광촉매부(40)의 상부로 위치되어 하우징(50) 내측에서 광촉매부(40)와 연통되게 형성되면서, 광촉매부(40)를 통과한 가스와 접촉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히터봉(61)이 형성되고 그 외부에는 히터케이스(62)가 구비된 산화반응부(60)와;상기 산화반응부(60)의 상부로 구획되면서 연통되게 설치되며 산화반응부(60)를 통한 가스와 접촉되면서 탈취시키는 열촉매부(70)와;열촉매부(70)의 상부에서 구획설치되며, 중앙부로는 배기구(81)가 열촉매부(70)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81)의 일측으로는 공간부(200)가 형성된 예열공기챔버(80)와;예열공기챔버(80)의 몸체 일측으로 설치되어 내측 공간부(200)로 팬(91)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외부공기공급관(90)과;상기 예열공기챔버(80)의 몸체 타측으로 형성되면서 외부공기공급관(90)을 통해 예열공기챔버(80) 내에서 열교환된 가스를 발효조(11)로 리턴시킬 수 있도록, 발효조(11)와 연통되게 형성된 가열공기배출관(1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92973A KR100542022B1 (ko) | 2003-12-18 | 2003-12-18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92973A KR100542022B1 (ko) | 2003-12-18 | 2003-12-18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1101A KR20050061101A (ko) | 2005-06-22 |
KR100542022B1 true KR100542022B1 (ko) | 2006-01-10 |
Family
ID=3725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92973A KR100542022B1 (ko) | 2003-12-18 | 2003-12-18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42022B1 (ko) |
-
2003
- 2003-12-18 KR KR1020030092973A patent/KR1005420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1101A (ko) | 2005-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94409B2 (ja) | 高速発酵乾燥装置 | |
KR100856387B1 (ko) | 폐열 활용가능한 냄새 탈취장치 | |
KR101593417B1 (ko) | 음식물 자원화 처리장치 | |
KR20130107101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855615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542022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 |
KR102215896B1 (ko) | 탈취장치 | |
CN210980565U (zh) | 一种纸托烘房的废水回收系统 | |
CN105540817B (zh) | 一种同时消除空气污染的超临界水氧化系统 | |
KR100515114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 |
AU200125518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degasification and distillation | |
KR20050061687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 |
KR20030086085A (ko) |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 | |
KR20100006296A (ko) |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 |
KR101318008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00107990A (ko) | 유기성폐기물 처리장치 | |
KR101918056B1 (ko)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
KR20030075557A (ko) | 발효 건조 장치 | |
KR200333503Y1 (ko) | 악취 제거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 |
CN217431387U (zh) | 净化装置及应用有该净化装置的净化系统和垃圾处理器 | |
KR102463865B1 (ko) | 유기성 폐기물 탈취장치 | |
CN219860742U (zh) | 一种消毒净水组合机 | |
KR100734135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 |
JP3678712B2 (ja) | 生ごみ処理システム | |
KR20100004272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