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484B1 - 장면변화분포를이용한비디오재생속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장면변화분포를이용한비디오재생속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484B1
KR100541484B1 KR1019980055633A KR19980055633A KR100541484B1 KR 100541484 B1 KR100541484 B1 KR 100541484B1 KR 1019980055633 A KR1019980055633 A KR 1019980055633A KR 19980055633 A KR19980055633 A KR 19980055633A KR 100541484 B1 KR100541484 B1 KR 100541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speed
scene change
playback speed
multimedia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087A (ko
Inventor
전성배
이희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5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4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7Scene chan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인덱싱 및 편집에 있어서, 특히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장면변화 분포에 따라 자동으로 그 재생속도를 가변속 제어할수 있도록 한 장면변화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속도는 정상속도, 빠른속도, 느린속도로 정상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재생시키는 기본적인 재생속도를 가지고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인덱싱하거나 편집(Split 또는 Merge)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 사용자가 세밀한 부분에 대하여 수동적으로 탐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키 프레임 분포, 장면경계지점 분포 또는 인접 프레임간의 영상차이 분포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장면변화 분포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장면변화 분포에 따라서 자동으로 그 재생속도를 가변속시켜 주도록 하며,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인덱싱하거나 편집할 때 장면경계, 키 프레임, 프레임간 영상차이가 적은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상속도보다 빠르게, 많은 곳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상속도 보다 느리게 재생시켜 줄수 있도록 하여 인덱싱이나 편집에 대한 작업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면 변화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 속도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PEED OF VIDEO PLAYING WITH DISTRIBUTION OF SCENE CHANGE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인덱싱과 편집에 있어서, 특히 장면변화 분포에 따라서 그 재생속도를 자동으로 가변속 제어할수 있도록 한 장면변환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방식에는 정상속도, 빠른속도, 느린속도로 정상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재생하는 방법과 한 프레임씩 이동하면서 볼수 있는 재생제어 방식이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스트림 인덱싱을 위해서는 자동 인덱싱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 인덱싱과 사람의 입력에 의한 수동 인덱싱이 있다.
자동인덱싱 방법은 오퍼레이터인 사람의 작업효율을 높일수 있으며, 수동인덱싱 방법은 사용자가 장면변화를 감지하고 일지정지를 요구한 후 그 주변프레임을 프레임 단위로 스트림을 탐색하여 정확한 위치를 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인덱싱 방법을 사용할 경우 그 기술상 한계와 추상적인 개념에 대한 유추가 어려워 100% 완변한 인덱싱 데이터를 기대할수가 없어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자동인덱싱 작업을 거친 다음 수동인덱싱 작업을 통하여 스트림에 대한 인덱싱 데이터를 얻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수동인덱싱 방법에서는, 보다 정확한 위치를 선정하기 위해 주변의 프레임들을 캡쳐하여 보고 또 한 프레임씩 전후로 이동하여 해당부분에 대하여 느린 재생을 하며 원하는 위치로 점프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이와같은 수동인덱싱 방법에서 사용자는 장면 경계지점 또는 주석이 바뀌는 시점의 부근에서 주석을 첨가하기 위하여 일시정지를 요구하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이 일시정지되는 부분의 비디오를 분석하면 장면변화가 심한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있는 데, 사용자가 느끼는 정보의 양은 비디오 세그먼트의 시간적인 길이보다는 장면변화의 정도에 따라서 좌우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장면변화가 느린 비디오 세그먼트보다 장면변화가 빠른 비디오 세그먼트에서 보다 많은 정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장면의 경계지점 또는 주석이 바뀌는 시점의 부근에서 주석을 첨가하기 위하여 일시정지를 요구하게 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스플릿(Split) 혹은 머지(Merge) 등의 편집에서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본적인 비디오 재생속도 방식으로 상기한 바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많은 작업이 필요하므로 새로운 방식의 자동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내용과 장면 변화속도를 고려한 비디오 재생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데 있으며, 이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장면변화속도 분포 즉, 키 프레임분포, 장면경계지점 분포, 인접 프레임간의 영상차이분포을 통하여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장면변화가 빠른 부분에서는 스트림을 상대적으로 느리게 재생하고 장면변화가 적은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스트림을 빠르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정보가 많은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세밀한 탐색이 가능하게 하고 정보가 없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빠른 탐색이 가능하여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에 따른 멀티미디어 인덱싱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방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비디오의 각 부분에 대한 속도요소를 제공함으로써, 비숫한(같은) 장면이 정상속도, 빠른속도, 느린속도로 반복재생되는 장면들에 대하여 정규화를 통한 검출을 가능하게 하므로 반복 재생이 빈번한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에 대한 인덱싱에서 보다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장면변화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키프레임 분포, 장면경계지점 분포 또는 인접 프레임간의 영상차이 분포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장면변화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장면변화 분포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재생 속도를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재생속도는 장면변화분포를 고려한 상대속도와 사용자의 가중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 장면변화 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장치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디오신호원(10)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으로부터 장면변화 분포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장면변화 분포에 따른 상대속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면변화분포 검출수단(20)과, 상기 장면변화분포 검출수단(20)로부터 출력된 상대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재생시켜 주기 위한 재생속도를 결정하는 재생속도 결정수단(30)과, 상기 재생속도 결정수단(30)에 의해 결정된 재생속도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디스플레이수단(40)과, 상기 재생속도결정수단(30)의 재생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가중치(weight)를 입력하는 키 입력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면변화 분포검출수단(20)은 비디오신호원(10)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키프레임 분포와, 장면변화에 대한 장면경계지점 분포와, 인접프레임간의 영상 차이 분포에 따라 그 상대속도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재생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주석(Annotation)은 일반적으로 등장하는 전경(foreground) 또는 배경(background)의 오디오-비쥬얼 오브젝트에 대한 기술(description) 또는 오브젝트의 상태에 대한 기술등으로 시간축 상에 표현된다.
상기 주석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특성상 인접 프레임에는 대부분 같은 내용의 주석이 첨가되며 또 그 주석이 바뀌는 경계지점은 시간축 상에서의 지점(s0,s1,s2,s3,s4,s5,s6 등)들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주석관점에서 볼때에는 주석 1은 [s0,s1],[s2,s4], [s6,?]....등의 구간으로 나누어 지며, 주석 2는 [s1,s3],[s6,s7],....등의 구간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장면변화분포 검출수단(20)은 비디오신호원(10)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으로부터 장면변화 분포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장면변화 분포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장면변화 속도, 즉 상대속도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장면변화 분포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키 프레임분포, 장면경계지점분포 또는 프레임간의 영상차이분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검출하게 된다.
먼저, 키 프레임 분포는 장면의 변화가 많은 부분에 많은 수의 키 프레임들이 밀집 분포되고, 장면변화가 적은 부분에 적은수의 키 프레임들이 분포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키프레임들이 밀집 분포된 부분은 장면변화가 많은 부분이고, 키프레임들이 적게 분포된 부분은 장면 변화가 작은 부분이 된다.
또한, 장면경계지점 분포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장면과 장면(shot,cut,scene)간의 경계지점의 분포 즉, 장면간의 경계부분이 밀집된 곳이나 밀집되지 않는 곳의 분포를 검출하게 된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키 프레임 분포 또는 장면경계지점 분포를 시간축(t) 상에 보이기 위한 도면이며, (b)는 그 분포에 따른 재생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인접 프레임간의 영상차이분포는 프레임과 프레임간의 영상차이 분포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림으로 부터 인접한 프레임간의 장면변화를 검출하여 도 4과 같이 인접 프레임 차이(inter-frame difference)를 구하고, 이러한 인접프레임 차이의 피크점(peaks)들을 찾아 샷(S1,S2,S3,....,Sm) 정보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접 프레임간 영상차이를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샷(S1,S2,S3,...,Sm) 단위로 누적(C1,C2,C3,.....,Cm)시켜 누적차이(Cumulative difference)를 구하고 이러한 샷 단위의 누적차이들을 이용하여 각 샷의 상대속도를 산출한다.
상기와 같이 장면변화 분포 검출수단(20)에서 검출된 장면변화는 누적차이의 분포에 따라서 상대적인 속도 데이터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장면변화 분포에 대한 정보는 프로그램 공급자가 헤더부분(Header) 등에 부가하여 공급할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시스템에서 생성할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면변화 분포에 대한 상대적인 속도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정규화(normalize)시킨 다음, 지정된 값보다 장면변화 분포가 밀집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은 속도값을 갖도록 하고, 장면변화 분포가 밀집되지 않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큰 속도값을 가지도록 한다.
그러면, 재생속도 결정수단(30)은 장면변화 분포 검출수단(20)으로 부터 출력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장면 변화분포에 따른 상대적인 속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재생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재생속도 결정수단(30)은 장면변화 분포에 의한 상대적인 속도 데이터에 따라 장면변화 분포가 밀집된 부분에서는 그 재생속도를 늦추고 장면변화 분포가 밀집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그 재생속도를 빠르게 가져가게 된다.
즉, 장면변화의 피크점이나 장면변화의 폭이 큰 부분들의 분포를 이용하여 장면변화 지점이 밀집된 부분에 대해서는 재생 속도를 늦추고 밀집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재생 속도를 빠르게 가져가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a)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장면변화에 따른 누적차이(cumulative difference) 분포 그래프이고, (b)는 (a)의 누적차이 분포에 따른 재생 속도 그래프이다.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면변화에 따른 누적 차이 분포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재생속도로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재생되게 된다.
또한, 재생속도 결정수단(30)에 의해 결정된 재생속도는 정상속도를 기준으로 장면변화 분포가 많은 부분에서는 정상속도 보다 빠르게, 장면변화 분포가 적은 부분에서는 정상속도보다 느리게 디스플레이수단(40)에 재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재생속도 결정수단(30)은 사용자가 직접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키 입력수단(50)을 통해 입력된 가중치(weight)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림로부터 산출된 상대적인 속도와 가중치(weight)의 함수로 그 재생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즉, 재생속도는 상대속도와 가중치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상기 상대속도에 부가되는 서로 상이한 가중치에 의해 서로 상이한 재생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중치에 의해 상기 재생속도가 제어됨으로써, 편집이나 인덱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다.
그러므로,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장면변화 분포에 따른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장면변화가 빠른 부분에서는 스트림을 상대적으로 느리게 디스플레이하여 정보가 많은 부분에 대하여 사용자의 세밀한 탐색을 가능하게 하고, 장면변화가 적은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스트림을 빠르게 디스플레이하여 정보가 적은 부분에 대하여 빠른 탐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하나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비슷한 부분이 여러번 다른 속도로 재생되는 경우(또는 반복 재생), 도 4와 도 5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추출하면 그 누적 프레임 차이는 비슷하지만 샷(shot)에 속한 프레임의 개수가 다르게 검출되므로, 프레임간 영상 차이 분포를 일정한 시간으로 정규화하여 영상차이 분포를 비교함으로써 반복 재생검출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다.
즉, 스포츠 응용분야의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에 속도요소를 제공함으로써, 비슷한 장면이 정상속도, 느린속도, 빠른속도로 반복재생(Replay)되는 장면들에 대하여 정규화를 통한 검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반복재생이 빈번한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에 대한 인덱싱에서 보다 유용한 정보 추출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인덱싱 작업과 편집작업을 위하여 장면 경계지점 분포 또는 키 프레임 분포를 이용하거나 프레임간 영상 차이분포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재생속도를 세그먼트들 마다 다르게 재생시켜 준다.
다시말하면, 장면경계지점, 키 프레임 또는 프레임간 영상차이가 적은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상속도 보다 빠르게, 많은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상속도보다 느리게 재생시켜 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레임간의 상대적인 속도는 빠르게 보기, 느리게 보기, 정상속도로 보기에도 적용하여 그 재생속도를 제어하며, 정상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재생하는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반복재생 검출에도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장면변화 분포에 따라서 그 재생속도를 상대적으로 가변속 제어하게 됨으로써, 장면변화 속도요소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인덱싱 또는 편집작업의 재생속도 제어에 이용할수 있도록 하며, 또 비디오 세그먼트간의 상대적인 재생 속도로 제어하여 실제적으로 각 세그먼트들을 정상속도 보다 얼마나 빠르게 혹은 얼마나 느리게 조정하는 가를 사용자의 가중치와 그 상대속도로 조정할수 있도록 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편집(스플릿 또는 머지) 작업을 빠르게 할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인덱싱 예로서, 주석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장면변화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 장면 변화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방법의 예로서, (a)는 키 프레임 및 장면경계 지점의 분포도, (b)는 (a)의 분포에 따라 상대적인 재생속도 그래프.
도 4는 인접 프레임간의 차이의 예를 보인 그래프.
도 5는 도 4에 대한 프레임 누적 차이를 보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 장면 변화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방법의 예로서, (a)는 누적차이 분포 그래프이고, (b)는 (a)의 누적차이 그래프의 분포에 따른 재생속도 그래프.

Claims (7)

  1.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재생속도 제어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키프레임 분포, 장면경계지점 분포 또는 인접 프레임간의 영상차이 분포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장면변화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장면변화 분포에 따른 비디오 세그먼트의 상대적인 속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비디오 세그먼트의 상대적인 속도 데이터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재생 속도를 가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면변화 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 속도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속도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가중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변화 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 속도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속도는 상기 키프레임 분포가 밀집된 부분에서는 정상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가변되고, 밀집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정상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변화 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속도는 상기 장면 경계지점의 분포가 밀집된 부분에서는 정상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가변되고, 밀집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정상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변화 분포를 이용한 재생속도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속도는 상기 인접 프레임간의 영상차이 분포가 밀집된 부분에서는 정상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가변되고, 밀집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정상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변화분포를 이용한 재생속도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속도는 상기 장면변화 분포에 따른 상대속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가중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변화 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속도는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장면변화 분포가 정상속도, 빠른속도, 느린속도로 반복재생되는 경우, 반복재생되는 장면들이 일정한 시간으로 프레임간 영상 차이 분포를 정규화하고 상기 정규화된 영상 차이분포를 비교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변화 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재생속도 제어방법.
KR1019980055633A 1998-12-17 1998-12-17 장면변화분포를이용한비디오재생속도제어방법 KR100541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633A KR100541484B1 (ko) 1998-12-17 1998-12-17 장면변화분포를이용한비디오재생속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633A KR100541484B1 (ko) 1998-12-17 1998-12-17 장면변화분포를이용한비디오재생속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087A KR20000040087A (ko) 2000-07-05
KR100541484B1 true KR100541484B1 (ko) 2006-04-12

Family

ID=1956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633A KR100541484B1 (ko) 1998-12-17 1998-12-17 장면변화분포를이용한비디오재생속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4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795B1 (ko) * 1999-04-12 200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탐색 시스템
KR100479653B1 (ko) * 2000-07-01 2005-03-30 주식회사 디지트리얼테크놀로지 파노라마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방법
KR100716291B1 (ko) * 2005-07-27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재생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pvr
KR101473249B1 (ko) 2012-10-30 2014-12-17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재생 속도 테이블 생성 서버,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94677B1 (ko) 2014-05-22 2020-03-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WO2015119361A1 (ko) 2014-02-07 2015-08-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81043A (ko) * 2014-12-30 2016-07-08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재생 속도 조절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7646A (ja) * 1994-07-25 1996-02-06 Toshiba Corp 動画像可変速再生装置
JPH08275101A (ja) * 1994-11-22 1996-10-18 Ind Technol Res Inst 記録された画像の可変速度サーチ用の装置及び方法
KR970004797A (ko) * 1995-06-22 1997-01-29 김광호 화면 자동선별 기능을 가진 화면 탐색 방법 및 장치
KR970050822A (ko) * 1995-12-18 1997-07-29 구자홍 디지탈 브이씨알의 가변속 화면탐색 장치 및 방법
KR970076677A (ko) * 1996-05-31 1997-12-12 배순훈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에서의 자동 가변속 화상 탐색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7646A (ja) * 1994-07-25 1996-02-06 Toshiba Corp 動画像可変速再生装置
JPH08275101A (ja) * 1994-11-22 1996-10-18 Ind Technol Res Inst 記録された画像の可変速度サーチ用の装置及び方法
KR970004797A (ko) * 1995-06-22 1997-01-29 김광호 화면 자동선별 기능을 가진 화면 탐색 방법 및 장치
KR970050822A (ko) * 1995-12-18 1997-07-29 구자홍 디지탈 브이씨알의 가변속 화면탐색 장치 및 방법
KR970076677A (ko) * 1996-05-31 1997-12-12 배순훈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에서의 자동 가변속 화상 탐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087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36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xing a video sequence
Yow et al.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soccer highlights from digital video
JP3892342B2 (ja) ビデオプロジェクトを編集するためのビデオ編集方法および装置
US69640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kimming video data
KR100403238B1 (ko) 비디오의 지능형 빨리 보기 시스템
CA2135938C (en) Method for detecting camera-motion induced scene changes
Hua et al. Optimization-based automated home video editing system
Ueda et al. Automatic structure visualization for video editing
EP1381224A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and manipulation of thematic segmentation in the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film and video
WO2003088665A1 (fr) Dispositif d'edition de metadonnees, dispositif de reproduction de metadonnee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metadonnees, dispositif de recherche de metadonnees, dispositif d'etablissement de conditions de reproduction de metadonnees, et procede de distribution de metadonnees
KR20020088984A (ko) 비디오 콘텐트의 재생 제어방법과 장치
US200501825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and semi-automatic media editing
KR100541484B1 (ko) 장면변화분포를이용한비디오재생속도제어방법
JPH08339379A (ja) 映像解析方法および装置
US6272279B1 (en) Editing method of moving images, edi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its editing method program
JP2004173083A (ja) 同時複数映像の蓄積・再生方法及び蓄積・再生装置
EP1221660A2 (en) Replaying video information
JP4021545B2 (ja) デジタル動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動画像処理方法
KR20160123647A (ko) 객체 추적을 이용한 동영상 부가정보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100555427B1 (ko) 비디오 재생 장치 및 지능형 스킵 방법
CN111787243B (zh) 导播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H05290549A (ja) 映像編集支援装置
Volkmer et al. Gradual transition detection using average frame similarity
JP2856299B2 (ja) 速見映像を作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20023063A (ko) 비디오 콘텐트의 구조적 정보를 이용한 비디오 스키밍방법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