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208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208B1
KR100541208B1 KR1020040054838A KR20040054838A KR100541208B1 KR 100541208 B1 KR100541208 B1 KR 100541208B1 KR 1020040054838 A KR1020040054838 A KR 1020040054838A KR 20040054838 A KR20040054838 A KR 20040054838A KR 100541208 B1 KR100541208 B1 KR 100541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front case
rear cas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호
김기진
코세키마사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산요 이렉트릭 캄파니 리미티드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산요 이렉트릭 캄파니 리미티드,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208B1/ko
Priority to JP2005073144A priority patent/JP2006029766A/ja
Priority to CNB200510062604XA priority patent/CN100380055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 사이를 통한 응축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서로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를 구비한 것으로, 프론트케이스에는 리어케이스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그 끝단이 리어케이스에 지지된 누수방지리브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누수방지리브에 의해 응축수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개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0F: 프론트케이스
10R: 리어케이스 11: 흡입그릴
12: 토출구 13: 가이드패널
14: 응축수받이 15: 단열부
20: 증발기 30: 송풍팬
101: 지지부 102: 누수방지리브
103: 안착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 사이의 틈을 통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조화하는 장치 로써,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 실내기는 일본특허공개 평11-051414호와 같이 내부에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송풍팬이 구비되어, 냉방 운전 시 실외공기를 송풍팬을 이용하여 흡입하고 응축기를 응축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실내기는 내부에 냉동사이클의 증발기와 송풍팬 등이 설치되어 송풍팬의 송풍력에 의해 실내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며 냉각되고, 계속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되어 냉방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 공기조화기 실내기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외관을 이루는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를 포함하여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 내에 증발기 및 송풍팬이 내장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따라 프론트케이스와 후방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의 공기가 냉각되면, 그에 따라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하고, 이러한 응축수가 프론트케이스와 후방케이스 사이의 틈으로 누설되어, 실내공간으로 낙하하게 될 소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 사이를 통한 응축수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서로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와,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하부 내면으로부터 상기 리어케이스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리어케이스 사이를 통한 응축수 누설을 저감하는 누수방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케이스에는 상기 리어케이스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어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누수방지리브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케이스에는 상부에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하부에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리어케이스에는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패널에 마련되며, 상기 누수방지리브의 끝단은 상기 가이드패널 하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패널의 하부 후단측에는 상기 가이드패널의 하부에 지지되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나타내는 단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방지리브는 상기 단열부 후방측에 마련되어 상기 단열부 내측에서 응축된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리브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리브는 상기 지지부의 끝단을 덮도록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후단측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어케이스의 하면을 이루는 하판의 내면에는 상기 지지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냉동사이클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본체(10)를 포함함 것으로, 본체(10)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프론트케이스(10F) 및 리어케이스(10R)를 포함하며, 프론트케이스(10F)와 리어케이스(10R) 사이에는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며 실내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증발기(20)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실내공기가 본체(10) 내부를 순환하게 하는 송풍팬(3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30)은 공기를 원주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횡류팬이 채용되어 본체(10) 내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케이스(10F)는 후방측으로 개방되며 내부로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전면으로부터 상면에 이르도록 흡입구(11a)가 형성된 격자형상의 그릴부재가 마련되며, 프론트케이스(10F)의 하부에는 흡입구(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본체(10) 내를 순환하며 냉각된 후 실내공간으로 다시 토출되게 하는 토출구(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 토출구(12)에는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 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상하풍향조절날개(12a)와 좌우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좌우풍향조절날개(12b)가 마련되어 있다.
리어케이스(10R)에는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프론트케이스(10F)의 후방측을 덮도록 되어 있으며, 송풍팬(30)의 후방을 덮어 흡입구(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하부에 마련된 토출구(12)로 안내할 수 있도록 가이드패널(13)이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송풍팬(3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부에서 하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증발기(20)는 프론트케이스(10F)의 전면 및 상면에 마련된 흡입구(11a)의 내측을 덮도록 프론트케이스(10F) 내에 배치되며, 증발기(20)의 하부에는 증발기(20)의 하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증발기(20)에서 낙하한 응축수를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응축수받이(14)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응축수받이(14)는 횡류팬으로 이루어진 송풍팬(30)의 공기 흡입측과 공기 토출측을 구획하는 스테빌라이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흡입구(11a)와 토출구(12) 사이를 구획하도록 배치된다. 미설명 부호 40은 흡입구(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집진장치(40)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론트케이스(10F)와 리어케이스(10R)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론트케이스(10F)에는 그 후단측 테두리로부터 리어케이스(10R)측으로 연장되어 리어케이스(10R)의 내측에 삽입되어 리어케이스(10R) 내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어케이스(10R)에는 전방측 테두리 내면에 지지부(101)가 안착 설치되 는 안착홈(103)가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본체(10)의 하면에는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냉기에 의해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응축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론트케이스(10F)의 하부 후단측에는 리어케이스(10R)에 마련된 가이드패널(13)의 하부에 끝단이 지지되어 가이드패널(13)과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단열능력을 갖는 단열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즉, 단열부(15) 및 가이드패널(13)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리어케이스(10R) 하부로의 냉기 전달이 저감되고 그에 따라 응축수 발생도 저감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프론트케이스(10F)의 하측 후단에는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지지부(101)와 안착홈(103) 사이의 틈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누수방지리브(10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누수방지리브(102)는 단열부(15) 후방측에 마련되어 단열부(15) 및 가이드패널(13)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 내부의 공기가 냉각되며 발생한 응축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누수방지리브(102)는 지지부(101)로부터 연장형성되는데, 이는 사출성형의 특성상 두께가 두꺼울수록 수축이 쉽게 발생하므로 프론트케이스(10F)에 지지부를 형성할 경우 프론트케이스(10F)의 두께에 누수방지리브(102)의 두께가 더해져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프론트케이스(10F)에 변형이 발생할 소지가 있으므로 누수방지리브(102)가 지지 부(10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기 때문이다.
또한, 누수방지리브(102)는 프론트케이스(10F)로부터 후방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그 끝단이 리어케이스(10R)에 가이드패널(13) 하부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응축수가 가이드패널(13)을 따라 흘러내리더라도 누수방지리브(102)에 의해 프론트케이스(10F) 내측으로 안내되어 본체(10) 외부로의 응축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서로 지지되어 있는 안착홈(103)와 지지부(101) 사이의 틈으로 응축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101) 끝단과 안착홈(103) 내측단을 덮을 수 있도록 소정길이로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01)는 프론트케이스(10F)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누수방지리브(102)가 지지부(101)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될 경우에도 그 두께가 프론트케이스(10F)의 두께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출성형시 발생하는 수축에 따른 지지부(101)의 변형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부에 누수방지리브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 사이를 통한 응축수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누수방지리브가 리어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리어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수방지리브의 두께에 의해 수축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수축이 리어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되 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지지부에 발생하게 되므로, 누수방지리브에 의한 외관 품질 저하는 예방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누수방지리브가 프론트케이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두께를 갖는 지지부에 형성되므로, 누수방지리브의 두께에 의한 지지부의 변형을 저감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8)

  1. 서로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와,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하부 내면으로부터 상기 리어케이스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리어케이스 사이를 통한 응축수 누설을 저감하는 누수방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에는 상기 리어케이스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어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누수방지리브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에는 상부에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하부에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리어케이스에는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패널에 마련되며, 상기 누수방지리브의 끝단은 상기 가이드패널 하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의 하부 후단측에는 상기 가이드패널의 하부에 지지되어 사 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나타내는 단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방지리브는 상기 단열부 후방측에 마련되어 상기 단열부 내측에서 응축된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리브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리브는 상기 지지부의 끝단을 덮도록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후단측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케이스의 하면을 이루는 하판의 내면에는 상기 지지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40054838A 2004-07-14 2004-07-14 공기조화기 KR100541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838A KR100541208B1 (ko) 2004-07-14 2004-07-14 공기조화기
JP2005073144A JP2006029766A (ja) 2004-07-14 2005-03-15 空気調和機
CNB200510062604XA CN100380055C (zh) 2004-07-14 2005-04-01 空气调节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838A KR100541208B1 (ko) 2004-07-14 2004-07-1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1208B1 true KR100541208B1 (ko) 2006-01-10

Family

ID=35896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838A KR100541208B1 (ko) 2004-07-14 2004-07-1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029766A (ko)
KR (1) KR100541208B1 (ko)
CN (1) CN10038005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90B1 (ko) 2005-09-06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0434B (zh) * 2020-06-24 2022-05-3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189Y2 (ko) * 1980-12-29 1986-07-03
JPS5967718U (ja) * 1982-10-26 1984-05-0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壁掛装置
JP3067197B2 (ja) * 1990-10-26 2000-07-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凝縮水処理装置
JP3081471B2 (ja) * 1994-10-21 2000-08-2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066272B2 (ja) * 1994-12-09 2000-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9310910A (ja) * 1996-05-22 1997-12-02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調和装置
JP3717611B2 (ja) * 1996-11-14 2005-11-16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1151414A (ja) * 1997-08-05 1999-02-26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101159793B (zh) * 2007-11-06 2011-12-07 西安电子科技大学 手机无线医疗健康检测监护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90B1 (ko) 2005-09-06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1775A (zh) 2006-01-18
JP2006029766A (ja) 2006-02-02
CN100380055C (zh)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9923B2 (en) Low temperature showcase
US10041704B2 (en)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JP4663463B2 (ja) 冷却機器の冷気流通構造
KR102094901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541208B1 (ko) 공기조화기
KR20200111059A (ko) 공기조화기
KR200449318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용 열교환기
JP3530500B2 (ja) 床置型空気調和装置
JP3863697B2 (ja) 冷却庫
KR20160086141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714290B1 (ko) 공기조화기
KR100931077B1 (ko) 버스용 냉방장치
KR100608128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83017A (ko) 공기조화기
JP6974754B2 (ja) 冷凍装置の室外機
KR10095993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용 열교환기
KR200201609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밑판
JP3679358B2 (ja) 冷却貯蔵庫の排水構造
KR20090076405A (ko) 공기조화기
KR20090075002A (ko) 버스용 냉방장치
KR20040014755A (ko) 공기조화기
JP200613291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200111057A (ko) 공기조화기
KR100456956B1 (ko) 공기조화기
KR100262635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