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658B1 -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658B1
KR100540658B1 KR1020030035901A KR20030035901A KR100540658B1 KR 100540658 B1 KR100540658 B1 KR 100540658B1 KR 1020030035901 A KR1020030035901 A KR 1020030035901A KR 20030035901 A KR20030035901 A KR 20030035901A KR 100540658 B1 KR100540658 B1 KR 10054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elt
color image
transfer
pap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055A (ko
Inventor
김완하
곽진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658B1/ko
Priority to US10/835,004 priority patent/US20040247348A1/en
Publication of KR2004010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습식 칼라화상 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복수개의 롤러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현상장치에 형성된 화상을 중첩적으로 전사 받음으로써 그 표면에 칼라화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 용지와 접촉하는 표면층은 카본을 제거하여 형성함으로써 그 경도를 낮춘 전사벨트와,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개의 롤러의 어느 하나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전사벨트에 형성된 칼라화상이 용지에 전사되도록 전사벨트를 가압하는 전사롤러를 구비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표면이 고운용지 뿐만 아니라 거친용지에 대해서도 보이드(Void)양을 적게 하여 전사벨트로부터 용지로 화상의 전사효율을 높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잉크 소모량을 줄여 전사벨트의 수명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Wet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transferring color image and method for forming image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사벨트로부터 용지로 칼라화상이 전사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사벨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벨트의 전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벨트의 경도에 따른 전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2,104,106...감광체 120a,122a,124a,126a...현상롤러
130...전사벨트 132...구동롤러
134...전사백업롤러 136...전사롤러
138,140,142,144...전사백업롤러
본 발명은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사벨트로부터 용지로 화상의 전사율을 향상시키는 정전 압력 전사 방식의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토너를 사용하는 건식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전사벨트(transfer belt)에서 용지로의 화상 전사율이 높아 고 화질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부(P1), 현상장치부(P2) 및 전사부(P3)를 구비한다. 이외에 급지 및 배지부가 더 구비되어 있고, 현상 장치부(P2) 아래에 현상 장치부(P2)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카트리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감광체부(P1)는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내지 제4 감광체(40, 42, 44, 46)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감광체(40, 42, 44, 46)는 각각 화상을 구성하는 색상별 이미지에 상응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들로서, 블랙 이미지에 상응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블랙(K)감광체, 사이안 이미지에 상응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사이안(C)감광체, 마젠타 이미지에 상응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마젠타(M)감광체 및 옐로우 이미지에 상응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옐로우(Y) 감광체이다.
참조번호 50, 52, 54 및 56은 각각 제1 내지 제4 감광체(40, 42, 44, 46)와 접촉되어 제1 내지 제4 감광체(40, 42, 44, 46)를 클리닝하는 제1 내지 제4 클리닝 블레이드이다. 제1 내지 제4 감광체(40, 42, 44, 46)둘레에 제1 내지 제4 클리닝 블레이드(50, 52, 54, 56)외에 현상된 정전 잠상을 전사한 후에 각 감광체(40, 42, 44, 46)의 대전 상태를 중화시키는 제전장치(eraser),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에 앞서 중화된 감광체 표면을 다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 및 대전된 감광체 표면에 주어진 광을 주사하여 주어진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광 주사 유닛 등이 더 구비되어 있으나, 이들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현상장치부(P2)는 감광체부(P1) 아래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4 감광체(40, 42, 44, 46)에 일대 일로 대응해서 각 감광체(40, 42, 44, 46)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데 필요한 칼라 현상제, 즉 잉크를 공급하는 제1 내지 제4 현상 유닛들(60, 62, 64, 66)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60a, 62a, 64a 및 66a는 각각 제1 내지 제4 감광체(40, 42, 44, 46)와의 접촉을 통해서 제1 내지 제4 감광체(40, 42, 44, 46)에 칼라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1 내지 제4 현상롤러들이다.
전사부(P3)는 제1 내지 제4 감광체(40, 42, 44, 46) 상의 현상된 결과물이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중첩되어, 결과적으로 소정의 칼라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벨트(transsfer belt)(70)를 구비한다.
전사벨트(70)는 폴리이미드(poly imide)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도는 Shore A 70°이상으로 딱딱하다. 전사벨트(70)의 안쪽에는 제1, 제2, 제4 내지 제6 롤러들(72, 74, 78, 80, 82, 84)이 구비되어 있고, 바깥쪽에는 전사벨트(70)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어 제1롤러(72)와 접촉되도록 제3롤러(76)가 설치되어 있다.
제3롤러(76)를 제외한 나머지 롤러들(72, 74, 78, 80, 82, 84)은 전사벨트(70)를 전사에 적합한 주어진 형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 롤러(76)는 전사벨트(70) 상에 존재하는 칼라 화상을 용지(90)에 전사시키는 용지전사롤러이고 접지되어 있다.
제3롤러(76)는 경도가 Shore A 30°정도로써 약간의 쿠션(cushion)을 가지고 있다. 제1롤러(72)는 제3롤러(76)를 받쳐주는 용지전사백업롤러로써, 경도가 Shore A 50°정도인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전사가 시작되면서 제1롤러(72)에 정전기력 발생을 위한 전압이 인가되는데, 이 전압은 제5전원(S5)으로부터 공급된다. 제4 내지 제7 롤러들(78, 80, 82, 84)은 각각 제1 내지 제4 감광체들(40, 42, 44, 46) 상의 화상을 전사벨트(70)로 전사시키는데 사용되는 제1 내지 제4 전사백업롤러들이다. 제1 내지 제4 감광체들(40, 42, 44, 46) 상의 상기 화상은 대전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화상을 전사벨트(70)로 전사시키기 위해, 제4 내지 제7 롤러들(78, 80, 82, 84) 각각이 화상의 대전상태와 반대로 대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제4 내지 제7 롤러들(78, 80, 82, 84) 각각에는 제1 내지 제4 전원들(S1, S2, S3, S4)이 인가되어 있다.
제2 롤러(74)는 드라이버 롤러로서, 각 감광체들(40, 42, 44, 46) 상에 형성된 현상된 결과물이 전사벨트(70)의 주어진 위치에 정확하게 중첩되도록, 그리고 중첩 결과 형성되는 칼라 화상이 전사벨트(70)에서 용지(90)로 정확하게 전사되도록 전사벨트(70)를 구동시킨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전사벨트(70) 상에 형성된 칼라 화상은 제 3롤러(76)와 전사벨트(70)사이의 압력 및 제 1롤러(72)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한 정전기력에 의해 용지(90)로 전사된다.
제록스4024, Gilbert등과 같은 용지는 표면에 깊게 골이 형성되어 있어, 칼라화상이 골 부분에까지 전사되지 못하게 되어 용지에 칼라화상이 전사되지 못하고 비어 있는 보이드(Void)라는 국부적 잉크가 누락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보이드 현상은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용지의 표면 거칠기에 관계없이 화상이 전사벨트로부터 용지로 전사되도록 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정보에 상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액을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와;
복수개의 롤러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현상장치에 형성된 화상을 중첩적으로 전사 받음으로써 그 표면에 칼라화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 용지와 접촉하는 표면층은 카본을 제거하여 형성된 낮춘 전사벨트와;
상기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의 어느 하나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에 형성된 칼라화상이 상기 용지에 전사되도록 상기 전사벨트를 가압하는 전사롤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사벨트의 표면층의 경도는 Shore A 45°내지 Shore A 60°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사벨트의 표면층의 두께는 2㎛ 내지 3㎛ 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사롤러의 경도는 Shore A 60°내지 Shore A 70°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사롤러는 상기 전사벨트와 접촉하는 전체면적에 대하여 70㎏(10㎏/㎠)의 힘을 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정보에 상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액을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와, 복수개의 롤러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현상장치에 형성된 화상을 중첩적으로 전사 받음으로써 그 표면에 칼라화상이 형성되는 전사벨트와, 상기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의 어느 하나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에 형성된 칼라화상이 상기 용지에 전사되도록 상기 전사벨트를 가압하는 전사롤러를 구비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로부터 용지로 화상이 전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사롤러는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 용지와 접촉하는 표면층은 카본을 제거하여 형성된 전사벨트와 접촉되는 전체면적에 대하여 70㎏(10㎏/㎠)의 힘을 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사벨트로부터 용지로 칼라화상이 전사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사벨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벨트의 전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벨트의 경도에 따른 전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화상정보에 상응하여 화상정보의 색상구성에 따른 정전잠상들이 형성되는 감광체부(P4), 상기 정전잠상들을 원하는 색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장치부(P5) 및 상기 감광체부(P4)로부터 중첩 전사되어 현상된 칼라화상을 용지(90)에 전사하는 전사부(P6)를 포함한다.
상기 감광체부(P4)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감광체들(100,102,104,108) 및, 상기 복수의 감광체들(100,102,104,108)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그 표면에 묻어있는 현상제를 클리닝하는 복수의 클리닝블레이드(110,112,114,118)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감광체들(100,102,104,106)은 모두 감광드럼으로서 각각 화상정보의 색상 이미지에서 사이안(cyan) 성분을 포함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정 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마젠타(magenta) 성분을 포함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옐로우(yellow) 성분을 포함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및 블랙(black) 성분을 포함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이다. 이러한 상기 제1 내지 제4 감광체들(100,102,104,106)둘레에는 이들의 대전 상태를 중화시키는 제전장치, 정전잠상을 형성하기에 앞서 중화된 감광체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장치 및 상기 대전된 감광체 표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광 주사 유닛(LSU) 등이 더 구비되어 있지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다.
상기 현상장치부(P5)는 상기 감광체부(P3) 아래에 상기 제1 내지 제4 감광체(100,102,104,106)들과 일대 일로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감광체(100,102,104,106)들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데 필요한 각각의 칼라 현상제들, 즉, 사이안 잉크, 마젠타 잉크, 옐로우 잉크 및 블랙 잉크를 수용하는 제 1 내지 제 4 현상 유닛(120,122,124,126)들 및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들(120,122,124,126)의 상부에 상기 제1 내지 제4 감광체(100,102,104,106)들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 유닛(120,122,124,126)들에 수용되어 있는 칼라 현상제들을 상기 제1 내지 제4 감광체(100,102,104,106)들에 공급하는 제 1 내지 제 4 현상롤러(120a,122a,124a,126a)들을 구비한다.
상기 전사부(P6)는 복수개의 롤러(132,134,138,140,142,144)들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감광체(100,102,104,106)들에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 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감광체(100,102,104,106)들로부터 칼라 현상제를 중첩적으로 전사받아 원하는 칼라화상이 형성되는 전사벨트(transfer belt, 130) 및 상기 전사벨트(130)의 일측에 상기 전사벨트(130)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130)를 가압 함으로써 상기 전사벨트(13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칼라화상을 용지(90)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136)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롤러들(132,134,138,140,142,144)은 상기 전사벨트(13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132), 상기 전사벨트(1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사롤러(136)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사롤러(136)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하여 상기 전사벨트(13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칼라화상이 용지(90)에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백업롤러(134) 및 상기 전사벨트(1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내지 제 4감광체(100,102,104,106)들의 각각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감광체(100,102,104,106)들로부터 상기 전사벨트(130)로 각각의 칼라 현상제가 전사되도록 하는 복수의 백업롤러(138,140,142,144)를 구비한다.
상기 전사롤러(136)는 접지되어 있고, 상기 전사백업롤러(134) 및 백업롤러(138,140,142,144)들은 각각에 전원(140s,138s,140s,142s,144s)과 연결되어 전압을 공급받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사백업롤러(134) 및 백업롤러(138,140,142,144)들에 전원(140s,138s,140s,142s,144s)을 연결하는 것은 상기 제 1 내지 제 4감광체(100,102,104,106)로부터 상기 전사벨트(130)로의 칼라 현상제의 전사 및 상기 전사벨트(130)로부터 상기 용지(90)로의 칼라화상의 전사는 이들 사이의 전압 차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사벨트(130)에 형성되어 있는 칼라화상(T1)은 상기 전사롤러(136)로부터 가해지는 힘(F)과 이를 지지하는 상기 전사백업롤러(134)에 의하여 상기 전사벨트(130)로부터 상기 용지(90)로 전사되어 상기 용지(90)에 융착된 칼라화상(T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용지(90)가 골이 깊은 거친 용지인 경우에는 상기 전사벨트(130)에 형성되어 있는 칼라화상(T2)이 골까지 전사되지 않아 상기 용지(90)에 융착된 칼라화상(T2)에 군데군데 칼라화상이 형성되지 않고 비어 있게 되는 보이드(Void)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보이드(Void)현상과 전사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표1에 도시하였다.
구 분 역 보이드 율 전사벨트 전사효율
목 적 미디어 유연성평가 전사성능평가
평가방법
Figure 112003020032802-pat00001
Figure 112003020032802-pat00002
평가기준 역 보이드율=측정된 면적/25㎟ 전사벨트 전사효율= (A-B)/(A)
측정기 Image X-pert O.D Meter
여기서, A는 전사벨트 Nip 전 O.D(Optical Density)
B는 전사벨트의 잔량 O.D(Optical Density) 이다.
O.D(Optical Density)는 용지 상의 화상을 광학농도계로 측정한 진하기의 정도를 나타낸다.
[ 표 1 ]을 참조하면, 역 보이드율은 가로 및 세로 각각 5㎜인 직사각형의 면적 25㎟에 대하여 상기 전사벨트(130)로부터 칼라화상이 전사되지 않은 빈 공간 즉, a 또는 a'의 전체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칼라화상이 전사된 면적의 비로 나타낸다.
전사벨트의 전사효율은 상기 전사벨트(13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칼라화상의 양을 상기 용지(90)에 전사된 칼라화상의 양으로 나눈 비를 나타낸다.
따라서, 역 보이드율과 전사효율은 측정하는 관점을 달리하는 것뿐이며, 실제로는 동일한 결과를 도출한다. 즉, 역 보이드율(reverse void efficiency)이 높다는 것은 상기 용지(90)에 전사된 칼라화상에 보이드(Void)가 적게 발생하여 전사효율(transfer efficiency)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 보이드율은 보이드(Void)가 발생되지 않고 전사가 이루어지는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사효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이드(Void)현상을 방지하여 전사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전사벨트(130)에 형성되어 있는 칼라화상이 상기 용지(90)의 골까지 전사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상기 용지(90)에 형성되어 있는 골의 깊이를 낮추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상기 용지(90)는 제조과정에서 강한 힘으로 압축되어 형성되므로 이에 더 큰 힘을 가한다 하더라도 골의 깊이를 낮추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사벨트(130)의 표면을 편평하게 하여 상기 전사벨트(13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잉크층이 상기 용지(90)의 골에 닿을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전사롤러(136)의 상기 전사벨트(130)에 대한 가압력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먼저, 상기 전사벨트(130)의 표면을 편평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사벨트(130)의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을 변경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사벨트(130)는 세 개의 층(L1,L2,L3)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층(L1, 이하 표면층 이라 한다)은 상기 전사벨트(130)와 접촉하는 층이며, 제3층(L3)은 상기 구동롤러(132), 전사백업롤러(134) 및 복수의 백업롤러(138,140,142,144)들과 접촉하는 층이며, 제2층(L2)은 상기 표면층(L1) 및 제3층(L3)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층이다. 상기 제2층(L2)은 상기 표면층(L1) 및 제3층(L3)에 비하여 두께가 두껍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사벨트(130)는 세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사벨트(130)의 표면을 편평하게 하는 것은 그 두께는 얇게 하고, 경도를 낮춤으로써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사벨트(130)의 표면층(L1)은 그 두께가 5㎛ 이하가 되도록 하고, 그 구성물질 중 카본(C)을 제거하여 경도를 Shore A 60°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전사벨트(130)의 표면층은 경도가 두께가 2 내지 3㎛가 되고, Shore A 45°이상 60°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층(L1)의 구성물질 중 카본(C)은 그 함유량이 높을수록 경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카본(C)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원하는 경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층(L1)을 구성하는 물질 중에 카본(C)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의 역 보이드율 즉, 전사효율은 82%(퍼센트)이었는데, 카본(C)을 제거한 경우에는 전사효율이 85% 내지 86%(퍼센트)가 되었다.
즉, 상기 표면층(L1)에 카본(C)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카본(C)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3 내지 4% 더 보이드(Void)가 발생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사롤러(136)의 가압력을 높이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사롤러(136)가 상기 전사벨트(130)에 가하는 가압력을 높힐 때, 상기 전사롤러(136)의 경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전사롤러(136)자체가 변형해 버려 상기 용지(90)와 맞닿는 상기 전사벨트(130)와의 접촉면적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사롤러(136)의 경도를 높힐 필요가 있다.
상기 전사롤러(136)가 상기 전사벨트(130)에 가하는 가압력은 상기 전사벨트(130)와 접촉하는 전체면적에 대하여 70㎏(10㎏/㎠)이상의 힘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전사롤러(136)의 경도는 Shore A 60°이상이며, Shore A 65±5°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사롤러(136)의 경도를 종래의 Shore A 45°로 하여 전사효율을 측정하였을 때, 표면이 거친 용지(Gilbert) 인 경우에 87%, 표면이 고운 용지(Laser-1000)인 경우에 96% 였는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사롤러(136)의 경도를 Shore A 60°이상으로 하고, 상기 전사롤러(136)의 가압력을 70㎏로 하였을 때, 표면이 거친 용지(예를들어, Gilbert)인 경우에는 92%였고, 표면이 고운용지(예를들어, Laser-1000)인 경우에는 97%로 향상되었다. 즉, 표면이 거친 용지는 5%이상 전사효율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이 형성되어 용지에 전사되는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화상정보에 따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레이저 스캐닝 유닛은 상기 감광체(100,102,104,106)들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정전잠상들은 상기 현상롤러(120a,122a,124a,126a)들로부터 전달되는 칼라 현상제에 의하여 4가지(사이안, 마젠타, 블랙, 엘로우)의 색으로 각각 현상된다.
이렇게 4가지의 색으로 각각 현상된 칼라화상은 상기 전사벨트(130)에 중첩적으로 전달되면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화상정보에 상응하는 칼라화상(T1)이 형성된다.
상기 전사벨트(130)에 형성된 칼라화상(T1)은 상기 전사롤러(136)와 전사백업롤러(134)의 접촉면을 지나면서 상기 용지(90)에 전사되고 융착되어 원하는 화상이 얻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표면이 고운용지 뿐만 아니라 거친용지에 대해서도 보이드(Void)양을 적게 하여 전사벨트로부터 용지로 화상의 전사효율을 높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잉크 소모량을 줄여 전사벨트의 수명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 다.

Claims (11)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정보에 상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액을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와;
    복수개의 롤러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현상장치에 형성된 화상을 중첩적으로 전사 받음으로써 그 표면에 칼라화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 용지와 접촉하는 표면층은 카본을 제거하여 형성된 낮춘 전사벨트와;
    상기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의 어느 하나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에 형성된 칼라화상이 상기 용지에 전사되도록 상기 전사벨트를 가압하는 전사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의 표면층의 경도는 Shore A 45°이상 Shore A 60°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의 표면층의 두께는 2㎛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의 경도는 Shore A 60°내지 Shore A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는 상기 전사벨트와 접촉하는 전체면적에 대하여 70㎏(10㎏/㎠)의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7.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정보에 상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액을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와, 복수개의 롤러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현상장치에 형성된 화상을 중첩적으로 전사 받음으로써 그 표면에 칼라화상이 형성되는 전사벨트와, 상기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의 어느 하나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에 형성된 칼라화상이 상기 용지에 전사되도록 상기 전사벨트를 가압하는 전사롤러를 구비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로부터 용지로 화상이 전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사롤러는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 용지와 접촉하는 표면층은 카본을 제거하여 형성된 전사벨트와 접촉되는 전체면적에 대하여 70㎏(10㎏/㎠)의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의 표면층의 경도는 Shore A 45°내지 Shore A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방법.
  9. 삭제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의 표면층의 두께는 2㎛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의 경도는 Shore A 60°내지 Shore A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라 화상형성방법.
KR1020030035901A 2003-06-04 2003-06-04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 KR10054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901A KR100540658B1 (ko) 2003-06-04 2003-06-04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
US10/835,004 US20040247348A1 (en) 2003-06-04 2004-04-30 Wet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imag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901A KR100540658B1 (ko) 2003-06-04 2003-06-04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055A KR20040105055A (ko) 2004-12-14
KR100540658B1 true KR100540658B1 (ko) 2006-01-10

Family

ID=3348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901A KR100540658B1 (ko) 2003-06-04 2003-06-04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247348A1 (ko)
KR (1) KR1005406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4475A1 (en) * 2007-09-13 2009-03-19 Seiko Epson Corporation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556145B2 (ja) * 2009-11-27 2014-07-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84955B2 (ja) * 2016-04-14 2020-11-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転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77354C (nl) * 1975-03-11 1985-09-02 Oce Van Der Grinten Nv Kopieerapparaat voorzien van een bewegende beelddrager en een bewegende tussendrager.
IL111846A0 (en) * 1994-12-01 1995-03-15 Indigo Nv Imaging apparatus and intermediate transfer blanket therefor
US5629761A (en) * 1995-05-04 1997-05-13 Theodoulou; Sotos M. Toner print system with heated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US5574547A (en) * 1995-06-07 1996-11-12 Xerox Corporation Liquid electrophotographic reproduction machine employing heated carrier liquid
JP3470472B2 (ja) * 1995-09-27 2003-1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転写装置
US5761595A (en) * 1997-01-21 1998-06-02 Xerox Corporatio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US6408158B1 (en) * 1997-01-31 2002-06-18 Seiko Epson Corporation Intermediate transfer unit
US6442365B1 (en) * 1998-04-08 2002-08-27 Xerox Corporation Thermally conductive fuser belt
JP4126149B2 (ja) * 1999-09-28 2008-07-30 株式会社リコー 中間転写ベルトの製造方法及び中間転写ベルト並びに該中間転写ベルト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2123052A (ja) * 2000-10-12 2002-04-26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KR100421025B1 (ko) * 2002-02-07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 압력 전사 방식의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이용한 화상형성방법
EP1344460A1 (en) * 2002-03-15 2003-09-17 Nosan Corporation Egg having active oxygen eliminating 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055A (ko) 2004-12-14
US20040247348A1 (en)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3248B2 (en) Liquid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liquid developing device
CN100561372C (zh) 成像设备
CN100533302C (zh) 没有由于从转印元件逸出的物质而产生的缺陷的成像装置
JP4950548B2 (ja) 画像形成装置
JP5063438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317890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inting a mono-color image using a single-pass color printer
JP200808965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40658B1 (ko)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
CN102004422B (zh) 中间转印体及图像形成装置
US2006022240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561650B (zh) 图像形成装置
JP2009093039A (ja) 定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5227583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US6097920A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JP2010256778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49986B1 (ko) 전사효율 개선을 위한 보조 중간전사부를 갖는 습식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2001092268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21025B1 (ko) 정전 압력 전사 방식의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이용한 화상형성방법
JP3576761B2 (ja) 画像形成装置
JP373327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48050A (ja) 画像形成装置
US6393240B1 (en) Wet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developer image
JP2003316119A (ja) 帯電部材、帯電装置、これらを用いる作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148926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03604B1 (ko) 정전 및 압력 전사방식 인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