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572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572B1
KR100540572B1 KR1019980062408A KR19980062408A KR100540572B1 KR 100540572 B1 KR100540572 B1 KR 100540572B1 KR 1019980062408 A KR1019980062408 A KR 1019980062408A KR 19980062408 A KR19980062408 A KR 19980062408A KR 100540572 B1 KR100540572 B1 KR 100540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range communication
signal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5814A (ko
Inventor
하정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6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572B1/ko
Publication of KR2000004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의 중계를 통해 통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근거리에 위치되어 있는 단말기와 호 접속하는 경우 기지국의 중계 없이 양자간의 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타 송수신 및 음성 통화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시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여 위상을 고정하는 혼합기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테나에 대한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를 제어하여,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시에 상기 안테나가 상기 혼합기를 경유하여 상기 듀플렉서에 연결되도록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를 스위칭하고, 기지국을 통한 통신시에 상기 안테나가 직접 상기 듀플렉서에 연결되도록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회로와; 상기 송수신 처리수단과 상기 혼합기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위상 고정과 전압 제어를 실행하는 위상 고정 및 전압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의 중계를 통해 통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근거리에 위치되어 있는 단말기와 호 접속하는 경우 기지국의 중계 없이 양자간의 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과 설정된 페이징 채널을 통해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NT)와, 기지국과 무선 주파수의 송수신 과정에서 송신되는 신호와 수신되는 신호가 충돌되지 않도록 신호의 흐름을 스위칭하여 주는 듀플렉서(1)와, 상기 듀플렉서(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다음 수신되는 데이타의 추출을 위한 중간 주파수로 처리하고, 송신되는 신호를 국부 발진 주파수에 따라 위상 고정한 다음 고주파수로 변환시켜 상기 듀플렉서(1)측에 인가하는 송수신 처리부(2)와, 상기 송수신 처리부(2)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위상 고정과 위상 고정된 주파수의 전압을 제어하는 위상 고정 및 전압 제어부(3)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타 송수신 및 음성 통화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와, 수신되는 디지털 PCM 데이타를 복조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추출하고, 송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PCM 신호로 변조하는 코덱(5)과, 수신되는 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는 제1증폭부(6)와,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코덱(5)측에 인가하는 제2증폭부(7)및,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에 대한 키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8)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나 기타 유무선 단말기와 통화및 데이타 송수신을 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의 중계를 반드시 거쳐야 하는데, 이때 이동 통신 단말기는 역방향 채널을 통해 소정의 주파수로 기지국측에 통화 요청을 하고, 기지국은 순방향 채널을 통해 소정의 주파수로 통화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에 대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키 입력부(8)를 통해 임의의 단말기와 호 접속하기 위하여 호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방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호 접속 요구를 위한 기능키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4)는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페이징 단위로 처리한 후 송수신 처리부(2)측에 입력한다.
송수신 처리부(2)는 입력되는 상대방 단말기 호출을 요구하는 전화번호를 위상 고정 및 전압 제어부(3)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고주파 송출을 위해 위상을 고정시킨 다음 듀플렉서(1)의 스위칭과 안테나(ANT)를 통해 역방향 채널로 호 접속을 요구하는 신호를 기지국측에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역방향 채널을 통해 인가되는 호 접속 요구에 따라 억세스 채널을 통해 통화를 위한 채널을 할당한 다음 통화 요구에 대한 정보에 할당된 채널 정보를 포함하여 순방향 채널을 통해 상대측 단말기 전송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신호에 따라 양자간의 호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의 중계를 통해 호 접속이 형성된 상태에서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송신 음성신호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다음 제2증폭부(7)를 통해 하드웨어로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되어 코덱(5)측에 인가된다.
코덱(5)은 상기 제2증폭부(7)에서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PCM 디지털 신호로 변조한 후 제어부(4)측에 인가하면 제어부(4)는 PCM 디지털 상태의 송신 데이타를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페이징 단위로 처리하여 송수신 처리부(2)측에 인가한다.
송수신 처리부(2)는 제어부(4)에서 페이징 단위로 처리되어 인가되는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위상 고정 및 전압 제어부(3)에서 인가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고주파 신호로 형성한 후 전송을 위한 주파수의 위상 고정과 전압을 제어하여 듀플렉서(1)의 스위칭과 안테나(ANT)를 통해 할당된 역방향의 채널로 기지국측으로 전송하면 기지국은 역방향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징 단위의 신호를 통화 채널이 할당된 상대방측에 순방향의 채널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에서 순방향의 채널을 통해 송출한 상대방의 음성 데이타는 안테나(ANT)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된 다음 듀플렉서(1)의 스위칭에 의해 송수신 처리부(2)측에 인가되면, 송수신 처리부(2)는 수신되는 미약한 세기의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전송 과정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필터링한 다음 밴드 패스 필터수단을 통해 필터링하여 음성 데이타 성분만을 추출한 후 위상 고정및 전압 제어부(3)에서 인가되는 국부 발진 신호와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로 추출함과 동시에 위상을 고정하고 고정된 주파수의 전압을 안정되게 제어하여 제어부(4)측에 인가한다.
제어부(4)는 위상 고정과 전압 제어되어 인가되는 페이징 단위의 수신 신호를 소정의 상태로 처리 한 후 코덱(5)측에 인가하면 코덱(5)은 인가되는 PCM 디지털 상태의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1증폭부(6)를 통해 하드웨어로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한 다음 스피커(SPK)를 통해 사용자에게 송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호 접속하고자 하는 단말기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반드시 이동 전화 교환국의 인증에 따라 셀(Cell)내의 기지국에서 할당된 채널을 통해 통화가 가능하므로, 이동 통신에 할당된 한정된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어 통화량이 많은 출퇴근 시간대에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근거리에 상대방이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항상 기지국의 중계를 통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요금의 과금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부담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호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기와 호 접속 요구되는 단말기가 국부 발진 주파수로 통신 가능한 일정 거리내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의 중계없이 양자간의 호를 연결하여 통화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요금의 과금을 배제하고, 기지국 및 이동 전화 교환국의 부하 부담을 경감시키며, 할당된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호의 흐름을 스위칭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수시 처리수단과;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의 변조및 복조를 실행하는 변복조수단과; 상기 변복조수단을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송수화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데이타 송수신 및 음성 통화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시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여 위상을 고정하는 혼합기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테나에 대한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를 제어하여,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시에 상기 안테나가 상기 혼합기를 경유하여 상기 듀플렉서에 연결되도록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를 스위칭하고, 기지국을 통한 통신시에 상기 안테나가 직접 상기 듀플렉서에 연결되도록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회로와; 상기 송수신 처리수단과 상기 혼합기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위상 고정과 전압 제어를 실행하는 위상 고정 및 전압 제어수단을 포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는 대기 상태에서 키 입력수단으로 부터 근거리 통신을 요구하는 모드의 설정이 검출되면 다른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로 스위칭시키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로 스위칭된 상태에서 발신측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측 단말기 ID의 입력을 검출하면 상대측 단말기의 ID에 근거리 통신 모드 지시 코드를 삽입한 다음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를 통해 무선 송출하여 호 접속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호 접속 요구 받은 상기 ID의 상대측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모드 지시 코드의 분석으로 호 접속을 요구한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호 접속 한 다음 근거리 통신으로 음성 통화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통신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으로 부터 호 접속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실행되는 근거리 통신을 차단한 다음 기지국으로 부터의 호 접속을 우선하여 연결하여 상기 기지국의 중계를 통해 통신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근거리 통신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으로 부터 호 접속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실행되는 근거리 통신을 차단한 다음 기지국으로 부터의 호 접속을 우선하여 연결하여 상기 기지국의 중계를 통해 통신을 실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는, 무선 주파수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안테나(ANT)에 연결되는 스위치 회로(10)와, 혼합기(20), 듀플렉서(30), 송수신 처리부(40), 위상 고정 및 전압 제어부(50), 제어부(60), 코덱(70), 제1증폭부(80), 제2증폭부(90), 키 입력부(100),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로 이루어지는데, 스위치 회로(10)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사용되는 모드에 따라 제어부(6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송수신되는 신호의 경로를 결정한다. 상기 스위치 회로(10)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주변에 위치되어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일 경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B" 경로를 선택시키고, 기지국을 중계를 통한 일반적인 통신일 경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A"경로를 선택시킨다.
혼합기(20)는 주변에 위치되어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시 송수신되는 주파수의 대역을 결정하여 주며,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위상을 고정하여 준다.
듀플렉서(30)는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 또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 송수신되는 신호가 충돌되지 않도록 신호의 흐름을 스위칭하여 준다.
송수신 처리부(40)는 상기 듀플렉서(30)를 통해 기지국 또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다음 밴드 패스 필터링을 통해 중간 주파수로 처리한 후 위상을 고정시키고, 송신되는 신호를 국부 발진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수로 변환하여 위상을 고정함과 동시에 전압 제어하여 고주파수로 변환시켜 상기 듀플렉서(30)측에 인가한다.
위상 고정및 전압 제어부(50)는 기지국 또는 주변의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신호에서 추출된 중간 주파수의 위상 고정과 고정된 위상의 전압 제어를 실행하며, 기지국 또는 주변의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송신되는 신호를 고주파수로 위상 고정및 위상 고정된 고주파수 신호의 안정된 출력을 위해 전압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부(60)는 키 입력부(100)로 설정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 페이징 단위로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타의 전반적인 처리와 키 입력부(100)로 근거리 통신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 회로(10)측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송수신 경로를 선택시킨다.
코덱(70)은 수신되는 디지털 PCM 데이타를 복조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추출하고, 송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PCM 신호로 변조한다.
제1증폭부(80)는 수신되는 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고, 제2증폭부(90)는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코덱(70)측에 인가한다.
전술한 바와같은 기능의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통화 대기의 상태에서 제어부(60)는 키 입력부(100)로 설정되는 모드를 검출하며(S101), 검출되는 통신 모드가 주변에 위치되어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요구하는 모드의 설정인지를 판단한다(S102).
상기에서 판단되는 모드의 설정이 근거리 통신을 요구하는 모드의 설정이 아니면 제어부(60)는 스위치 회로(1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타가 경로 "A"를 경유하도록 스위치의 접점을 선택한 다음(S108) 경로 "A"를 통해 호 접속의 요구에 따라 기지국의 중계로 통신을 실행한다(S109).
상기와 같이 경로 "A"를 통한 송수신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키 입력부(100)를 통해 호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방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호 접속 요구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60)는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페이징 단위로 처리한 후 송수신 처리부(40)측에 입력한다.
송수신 처리부(40)는 입력되는 상대방 단말기 호출을 요구하는 전화번호를 위상 고정 및 전압 제어부(5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고주파수로 변환한 다음 전압 제어하여 듀플렉서(30)와 경로 "A"를 경유하여 스위치 회로(10)측에 인가하면 스위치 회로(10)는 경로 "A"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송신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역방향 채널로 호 접속을 요구하는 신호를 기지국측에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역방향 채널을 통해 인가되는 호 접속 요구에 따라 억세스 채널을 통해 통화 채널을 할당한 다음 통화 요구에 대한 정보에 할당된 채널 정보를 포함하여 순방향 채널을 통해 상대측 단말기에 전송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신호에 따라 양자간의 호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의 중계를 통해 호 접속이 형성된 상태에서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송신 음성신호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다음 제2증폭부(90)를 통해 하드웨어로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되어 코덱(70)측에 인가되면, 코덱(70)은 상기 제2증폭부(90)에서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PCM 디지털 신호로 변조한 후 제어부(60)측에 인가한다.
제어부(60)는 PCM 디지털 상태의 송신 데이타를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페이징 단위로 처리하여 송수신 처리부(40)측에 인가하면 송수신 처리부(40)는 제어부(60)에서 페이징 단위로 처리되어 인가되는 송신 데이타를 위상 고정 및 전압 제어부(50)에서 인가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고주파 신호로 형성한 후 전송을 위한 주파수의 위상 고정과 전압을 제어하여 듀플렉서(30)와 경로 "A"를 통해 스위치 회로(10)측에 인가하면 스위치 회로(10)는 송신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할당된 역방향의 채널로 기지국측으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은 역방향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징 단위의 신호를 통화 채널이 할당된 상대방측에 순방향의 채널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에서 순방향의 채널을 통해 송출한 상대방의 음성 데이타는 안테나(ANT)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된 다음 스위치 회로(10)와 경로 "A" 및 듀플렉서(30)를 거쳐 송수신 처리부(40)측에 인가되면, 송수신 처리부(40)는 수신되는 미약한 세기의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전송 과정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필터링한 다음 밴드 패스 필터수단을 통해 필터링하여 음성 데이타 성분만을 추출한 후 위상 고정및 전압 제어부(50)에서 인가되는 국부 발진 신호와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로 추출함과 동시에 위상을 고정하고 고정된 주파수의 전압을 안정되게 제어하여 제어부(60)측에 인가한다.
제어부(60)는 위상 고정과 전압 제어되어 인가되는 페이징 단위의 수신 신호를 소정의 상태로 처리 한 후 코덱(70)측에 인가하면 코덱(70)은 인가되는 PCM 디지털 상태의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1증폭부(80)를 통해 하드웨어로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한 다음 스피커(SPK)를 통해 사용자에게 송출한다.
또한, 상기 S102에서 근거리 통신을 요구하는 모드의 설정인 것으로 검출되면 제어부(60)는 스위치 회로(1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데이타의 송수신 경로를 "B"로 선택시킨 다음(S103) 키 입력부(100)로 부터 상대방 단말기와 호 접속을 요구하는 전화번호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104).
상기에서 상대방 단말기를 호 접속 요구하는 전화번호의 입력이 검출되면 제어부(60)는 입력되는 전화번호 디지트에 근거리 통신임을 지시하는 암호화된 코드를 포함한 다음 소정의 상태로 처리하여 송수신 처리부(40)측에 인가한다(S105).
송수신 처리부(40)는 제어부(6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위상 고정 및 전압 제어부(5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고주파수로 형성하여 위상을 고정시킨 다음 듀플렉서(30)를 통해 믹서(20)측에 인가하면 믹서(20)는 인가되는 고주파수에 위상 고정 및 전압 제어부(50)에서 인가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시켜 경로 "B"를 통해 안테나(ANT)로 송출한다.
이때,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되어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로 설정되는 ID에 의해 자신과 호 접속을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한 다음 근거리 통신 코드의 분석을 통해 기지국의 중계없이 호 접속하여 양자간의 통화를 진행한다(S106).
상기에서 호 접속된 상대방 이동 통신 단말기로 부터 수신되는 신호 역시 스위치 회로(10)에 의해 선택된 경로 "B"를 경유하여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모듈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되어 스피커(SPK)를 통해 송출된다.
상기와 같이 경로 "B"를 통해 근거리에 위치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자간 통화가 진행되는 상태에서 제어부(60)는 기지국으로 부터 호 접속을 요구하는 신호가 검출되는 지를 연속적으로 판단하며(S107), 기지국으로 부터 호 접속을 요구하는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기지국의 신호를 우선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부(60)는 스위치 회로(10)측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데이타 송수신에 대한 경로를 "A"로 스위칭 한 다음 기지국과의 호를 접속하여 통화를 진행한다(S108)(S109).
상기 S104에서 스위치 경로가 "B"로 선택된 상태에서 상대방 단말기를 호 접속 요구하는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의 경과로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60)는 스위치 회로(10)측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치 회로(10)의 경로를 "A"로 선택시켜 기지국의 중계를 통한 통화를 우선적으로 실행하여 준다.
상기에서 주변에 위치되어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요구하는 경우 기지국에서 호 접속을 요구하는 신호를 검출하더라도 호 접속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근거리 통신 암호 코드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신호는 무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근거리에 위치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양자간의 통신이 기지국의 중계없이 전화번호로 설정되는 ID와 근거리 통신 모드에 대한 코드의 삽입으로 실행되므로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 한정된 통신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양질의 호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지국의 중계에 의한 요금의 과금이 배제된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 실행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치 회로 20 : 혼합기
30 : 듀플렉서 40 : 송수신 처리부
50 : 위상 고정 및 전압 제어부 60 : 제어부
70 : 코덱

Claims (5)

  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호의 흐름을 스위칭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수신 처리수단과;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의 변조및 복조를 실행하는 변복조수단과; 상기 변복조수단을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송수화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데이타 송수신 및 음성 통화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시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여 위상을 고정하는 혼합기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테나에 대한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를 제어하여,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시에 상기 안테나가 상기 혼합기를 경유하여 상기 듀플렉서에 연결되도록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를 스위칭하고, 기지국을 통한 통신시에 상기 안테나가 직접 상기 듀플렉서에 연결되도록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회로와;
    상기 송수신 처리수단과 상기 혼합기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위상 고정과 전압 제어를 실행하는 위상 고정 및 전압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근거리 통신 요구가 있는 경우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타에 근거리 통신을 지시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3.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는 대기 상태에서 키 입력수단으로 부터 근거리 통신을 요구하는 모드의 설정이 검출되면 다른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로 스위칭시키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로 스위칭된 상태에서 발신측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측 단말기 ID의 입력을 검출하면 상대 측 단말기의 ID에 근거리 통신 모드 지시 코드를 삽입한 다음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를 통해 무선 송출하여 호 접속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호 접속 요구 받은 상기 ID의 상대측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모드 지시 코드의 분석으로 호 접속을 요구한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호 접속 한 다음 근거리 통신으로 음성 통화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통신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으로 부터 호 접속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실행되는 근거리 통신을 차단한 다음 기지국으로 부터의 호 접속을 우선하여 연결하여 상기 기지국의 중계를 통해 통신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로 스위칭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근거리 통신을 요구하는 호 접속이 없는 경우 상기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를 기지국과의 신호 송수신 처리 경로로 자동 절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근거리 통신시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암호화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드 지시 코드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법.
KR1019980062408A 1998-12-30 1998-12-30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KR100540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408A KR100540572B1 (ko) 1998-12-30 1998-12-30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408A KR100540572B1 (ko) 1998-12-30 1998-12-30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814A KR20000045814A (ko) 2000-07-25
KR100540572B1 true KR100540572B1 (ko) 2006-03-22

Family

ID=1956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408A KR100540572B1 (ko) 1998-12-30 1998-12-30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5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7852A (ja) * 1992-09-14 1994-04-08 Hitachi Denshi Ltd 単信・複信切換無線機
KR970031482A (ko) * 1995-11-14 1997-06-26 김광호 무전기 겸용 무선 전화기
KR19990040744A (ko) * 1997-11-19 1999-06-05 윤종용 이동무선전화기 사이의 직접 통화 방법
KR19990047845A (ko) * 1997-12-05 1999-07-05 윤종용 반이중 무선통신모드와 셀룰라모드 겸용 무선이동통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7852A (ja) * 1992-09-14 1994-04-08 Hitachi Denshi Ltd 単信・複信切換無線機
KR970031482A (ko) * 1995-11-14 1997-06-26 김광호 무전기 겸용 무선 전화기
KR19990040744A (ko) * 1997-11-19 1999-06-05 윤종용 이동무선전화기 사이의 직접 통화 방법
KR19990047845A (ko) * 1997-12-05 1999-07-05 윤종용 반이중 무선통신모드와 셀룰라모드 겸용 무선이동통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814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0093A (en) Cellular telephone operable on different cellular telephone systems
US5008925A (en) Cellular telephone responsive to service availability for operating on different cellular telephone systems
US5406615A (en) Multi-band wireless radiotelephone operative in a plurality of air interface of differing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5020092A (en) Dual-bandwidth cellular telephone
JP3095414B2 (ja) 複数の動作モードを有する携帯通信およびデータ端末
CA2016334C (en) Dual-bandwidth cellular telephone
US5574775A (en) Universal wireless radiotelephone system
US65323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ntrolled direct mode wireless local calling
JP2990992B2 (ja) 衛星通信端末
WO1995023485A1 (en) Multi-mode communications system
JP2000236582A (ja) 送受信兼用の無線機として動作する二重モードの移動電話
KR10028295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JP3135832B2 (ja) 移動通信用複合端末機
KR10054057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KR100243028B1 (ko)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JP3913890B2 (ja) 移動無線通信端末装置
KR100379836B1 (ko) 근거리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KR100275388B1 (ko) 셀룰러 무선통신 단말기의 불법 사용 방지방법
JP3123552B2 (ja) 通信端末装置
KR0129617B1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24223B1 (ko) 무선 전화기로 겸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방법
JP2699617B2 (ja) 異なったセルラ電話システムでの動作のためにサービス提供性に応答するセルラ電話機
KR0148811B1 (ko) 주파수 공용 통신시스템의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940009771B1 (ko) 무선전화기의 모뎀 자동선택 장치
JP2001203604A (ja) 単信式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