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504B1 -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504B1
KR100540504B1 KR1020030008411A KR20030008411A KR100540504B1 KR 100540504 B1 KR100540504 B1 KR 100540504B1 KR 1020030008411 A KR1020030008411 A KR 1020030008411A KR 20030008411 A KR20030008411 A KR 20030008411A KR 100540504 B1 KR100540504 B1 KR 10054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ed
neck
support
pa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783A (ko
Inventor
임효빈
Original Assignee
임효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효빈 filed Critical 임효빈
Priority to KR102003000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504B1/ko
Publication of KR20040072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78Lower closure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Lower closure of the 51-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일단이 개구되어 네크가 형성되고 내부에 하나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네크의 내측면을 따라 링형상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용기 몸체; 걸림턱에 기밀 결합되어 네크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다른 내용물이 충진되는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패킹부재; 및 패킹부재와 결합됨과 동시에 네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용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내용물을 분할하는 구획부재 또는 패킹부재가 용기의 캡이나 뚜껑을 오픈하는 경우에 용기 몸체의 수용공간내로 들어가지 않음으로써 위생적이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용기, 음료수, 기능성, 패킹, 뚜껑, 혼합

Description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Container assembly capable for mixing interior material in open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캡을 결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캡을 열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캡을 결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캡을 열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용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캡을 결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캡을 열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를 구획하는 관통공에 패킹부재를 기밀 결합하고 용기를 오픈하는 경우에 기밀 결합된 패킹부재가 인출되도록 함으로서 용이하게 서로 다른 내용물이 오픈시에 혼합할 수 있도록 한 용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나 화장품 등을 담고 있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한 가지 종류의 내용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용기 몸체와 용기 몸체를 기밀 밀봉하기 위한 캡 또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기능성 음료나 화장품이 출현하면서 소비자에 의해 사용되는 시점에서 서로 다른 내용물들이 혼합되도록 할 수 있는 구조의 용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제안되는 구성을 보면, 통상적으로 서로 다른 내용물들을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용기를 밀봉하는 캡이나 뚜껑이 오픈되는 경우 용기 몸체내의 수용공간으로 인입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획부재가 수용공간에 내용물과 함께 존재함으로써 내용물을 사용하는데 많은 지장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졸 형태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구획부재가 저부로 가라앉지 못하므로 인출되는 통로를 막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음료수의 경우에는 수용공간에 존재하는 구획부재가 음료수와 함께 사용자의 입 속으로 들어갈 위험성도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내용물을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용기의 캡이나 뚜껑을 오픈하는 경우에 용기 몸체의 수용공간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용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들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단이 개구되어 네크가 형성되고 내부에 하나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네크의 내측면을 따라 링형상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용기 몸체; 걸림턱에 기밀 결합되어 네크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다른 내용물이 충진되는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패킹부재; 및 패킹부재와 결합됨과 동시에 네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용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단이 개구되어 네크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네크의 내측을 따라 링형상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용기 몸체;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며, 걸림턱에 얹혀져서 기밀 결합되는 걸림돌기와 걸림돌기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제 1 결합부재가 단일 몸체의 외측 주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패킹부재; 및 제 1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가 형성된 결합벽이 내부 저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네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용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하나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 개구된 일단 주연부를 따라 거치되며 저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젤 서포트(vessel support); 베젤 서포트의 관통공에 분리 가능하게 기밀 결합되어 베젤 서포트의 내면과의 사이에 다른 내용물이 충진되는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패킹부재; 및 패킹부재와 결합됨과 동시에 용기 몸체의 일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용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단이 개구되어 네크가 형성되고 네크의 외측면에 나사가 형성되며 내부에 하나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 네크의 단부 주연부를 따라 거치되며 저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젤 서포트(vessel support); 외측면에 걸림돌기와 제 1 결합부재가 나란히 형성되 고, 베젤 서포트의 관통공에 끼워지고 걸림돌기가 베젤 서포트에 얹혀짐으로서 베젤 서포트에 분리 가능하게 기밀 결합되는 패킹부재; 및 제 1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가 형성된 결합벽이 내부 저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네크의 나사와 결합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용기 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용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는 각각 결합돌기 또는 그루우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하나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 양단이 연통되며, 타단에서 용기 몸체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support); 서포트의 일단에서 서포트와 분리 가능하게 기밀 결합되어 서포트와의 사이에 다른 내용물이 충진되는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패킹부재; 및 패킹부재와 결합됨과 동시에 서포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용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서포트는 용기 몸체와 나사 결합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캡과 나사 결합되고 내측면을 따라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공간형성부로 이루어지며, 패킹부재는 걸림턱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공에 분리 가능하게 기밀 결합된다.
또한, 패킹부재는 외측면에 걸림돌기와 제 1 결합부재가 나란히 형성되고, 걸림돌기가 걸림턱에 얹혀짐으로서 서포트에 분리 가능하게 기밀 결합되며, 캡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제 1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가 형성된 결합벽이 일 체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결합부재의 결합으로 캡과 패킹부재가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캡을 결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며, 도 3은 캡을 열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기(40)는 용기 몸체(42)와 용기 몸체(42)에 일체로 형성된 네크(44)가 일체로 형성된다. 네크(44)의 외측에는 캡(20)과의 결합을 위해 메일 스크류(male screw; 45)가 형성된다.
용기 몸체(42)의 내부에는 음료나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을 충진하기 위한 수용공간(4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네크(44)의 내측을 따라 링형상의 걸림턱(4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턱(46)에 의해 네크(44)의 내부와 용기 몸체(42)의 수용공간(43)을 연결하는 관통공(47)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걸림턱(46)의 상부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서 상부면에 쌓인 내용물이 관통공(47)을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걸림턱(46)에 얹혀지는 패킹부재(30)는 돔형상의 몸체(32)로 이루어지며, 외측 주연부를 따라 걸림돌기(36)가 형성되며, 걸림돌기(36)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돌기(34)가 형성된다.
패킹부재(30)는 관통공(47)에 끼워지고, 걸림돌기(36)가 걸림턱(46)에 얹혀지는 형태로 기밀 결합되어 패킹부재(30)의 외측면과 네크(44)의 내측면으로 둘러싸이는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관통공(47)에 끼워지는 패킹부재의 몸체(32)는 회전 진행을 위하여 원통형상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돔형상을 예로 들었으나, 단부가 편평하거나 필요에 따른 특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킹부재(30)가 관통공(47)에 끼워져서 걸림턱(46)과 결합되는 강도는 후술하는 결합벽(26)과 패킹부재(30)의 결합력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캡(cap; 20)의 내측벽에는 피메일 스크류(female screw; 27)가 형성되어 네크(44)에 형성된 메일 스크류(45)와 나사 결합된다. 캡(20)의 저면 중앙에는 결합벽(26)이 원통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결합벽(26)의 내주연을 따라 패킹부재(30)의 결합돌기(34)와 결합되는 그루우브(groove; 28)가 형성된다.
결합돌기(34)와 그루우브(28)의 단면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확실한 결합을 위하여 결합돌기(34)의 단면형상을 쐐기형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돌기(34)를 결합벽(26)에 형성하고 그루우브(28)를 패킹부재(30)에 형성할 수도 있다.
결합벽(26)은 일체로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패킹부재(30)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결합벽(26)을 둘러싸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댐퍼(damper; 24)를 형성하여 캡(20)과 네크(44)의 기밀 결합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캡, 패킹부재 및 용기의 사이즈는 적용하는 내용물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용기의 사용법에 대해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용기 몸체(42)에 음료나 화장품과 같은 특정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패킹부재(30)가 용기 몸체(40)의 관통공(47)에 끼워져서 패킹부재의 걸림돌기(36)가 걸림턱(46)에 얹혀져서 기밀 접촉된다.
이어 패킹부재(30)의 외측면과 네크(44)의 내측면으로 둘러싸이는 보조 수용공간에 다른 내용물, 예를 들어, 기능성 액체나 분말(10)을 충진한다.
충진이 완료되면 캡(20)의 피메일 스크류(27)와 네크(44)의 메일 스크류(45)를 정합시켜 나사 결합한다. 이때, 결합벽(26)은 나사 결합 중에 패킹부재(30)의 외측을 회전하면서 진행하다가 결합벽(26)에 형성된 그루우브(28)와 패킹부재(30)의 결합돌기(34)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패킹부재(30)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서로 다른 내용물을 분리하여 수용한 용기 어셈블리가 하나의 제품으로 완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캡(20)을 열기 위해 돌리면 결합벽(26)의 그루우브(28)가 결합돌기(34)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벽(26)이 회전 진행하기 때문에 관통공(47)에 끼워진 패킹부재(30)가 점차 빠지기 시작한다. 즉, 결합벽(26)의 그루우브(28)와 패킹부재(30)의 결합돌기(34) 사이의 결합력이 패킹부재(30)와 걸림턱(46) 사이의 결합력보다 크기 때문에 패킹부재(30)는 결합벽(26)에 결합된 채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패킹부재(30)가 관통공(47)으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보조 수용공간에 충진된 내용물들(10)은 관통공(47)을 통하여 낙하하여 용기몸체(42)에 충진된 내용물과 혼합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캡을 결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며, 도 6은 캡을 열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용기(40)에 특별한 구성이 부가되지 않으며 통상의 용기가 적용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걸림턱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베젤 서포트(vessel support; 50)가 제공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젤 서포트(50)는 용기 형상으로 몸체(52)의 상단 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플랜지(56)가 돌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관통공(54)이 형성된다.
베젤 서포트(50)의 사이즈는 용기(40)의 네크(44)에 확실하게 끼워져서 분리 하기 위해 다소의 힘이 가해지는 상태인 것이 좋다.
도 5를 참조하면, 용기 몸체(42)에 음료나 화장품과 같은 특정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베젤 서포트(50)를 네크(44)에 끼우고, 패킹부재(30)를 베젤 서포트(50)의 관통공(54)에 끼워 패킹부재의 걸림돌기(36)가 베젤 서포트(50)의 몸체(52)에 얹혀져서 기밀 접촉하도록 한다.
이어 패킹부재(30)의 외측면과 베젤 서포트(50)의 내측면으로 둘러싸이는 보조 수용공간에 다른 내용물, 예를 들어, 기능성 액체나 분말(10)을 충진한다. 충진이 완료되면 캡(20)의 피메일 스크류(27)와 네크(44)의 메일 스크류(45)를 정합시켜 나사 결합한다. 이때, 결합벽(26)은 나사 결합 중에 패킹부재(30)의 외측을 회전하면서 진행하다가 결합벽(26)에 형성된 그루우브(28)와 패킹부재(30)의 결합돌기(34)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패킹부재(30)와 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캡(20)을 열기 위해 돌리면 결합벽(26)의 그루우브(28)가 결합돌기(34)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벽(26)이 회전하기 때문에 관통공(54)에 끼워진 패킹부재(30)가 점차 빠지기 시작한다. 즉, 결합벽(26)의 그루우브(28)와 패킹부재(30)의 결합돌기(34) 사이의 결합력이 패킹부재(30)와 베젤 서포트(50)의 몸체(52) 사이의 결합력보다 크기 때문에 패킹부재(30)는 결합벽(26)에 결합된 채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패킹부재(30)가 관통공(54)으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보조 수용공간에 충진된 내용물들(10)은 관통공(54)을 통하여 낙하하여 용기몸체(42)에 충진된 내용물과 혼합된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용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캡을 결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며, 도 9는 캡을 열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의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서포트(support; 70)는 하측의 지지부(72)와 상측의 공간형성부(71)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연통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부(72)의 내측에는 피메일 스크류(75)가 형성되어 용기(40)의 네크(44)에 형성된 메일 스크류(45)와 나사 결합된다. 또한, 공간형성부(71)의 외측에는 메일 스크류(73)가 형성되어 캡(20)의 피메일 스크류(27)와 나사 결합한다.
공간형성부(71)의 내측을 따라 걸림턱(78)이 돌출됨으로서 결과적으로 저면 중앙에 관통공(74)이 형성된다. 걸림턱(78)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제 2 실시예의 베젤 서포트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관통공(74)에는 패킹부재(30)가 기밀하게 끼워져서 패킹부재(30)의 외측면과 공간형성부(71)의 내측면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여기에 다른 내용물의 액체나 분말이 수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용기 몸체(42)에 음료나 화장품과 같은 특정 내용물을 충 진한 상태에서 서포트(70)의 지지부(72)의 피메일 스크류(75)와 네크(44)의 메일 스크류(45)를 나사 결합한다. 바람직하게, 지지부(72)의 내측에 피메일 스크류(75)로부터 이격되어 내측을 따라 댐퍼(76)를 형성하여 기밀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어 패킹부재(30)를 서포트(70)의 공간형성부(71)의 관통공(74)에 끼워 패킹부재의 걸림돌기(36)가 공간형성부(71)의 걸림턱(78)에 얹혀져서 기밀 접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패킹부재(30)의 외측면과 공간형성부(71)의 내측면으로 둘러싸이는 보조 수용공간에 다른 내용물, 예를 들어, 기능성 액체나 분말을 충진한다. 충진이 완료되면 캡(20)의 피메일 스크류(27)와 서포트(70)의 공간형성부(71)의 메일 스크류(73)를 정합시켜 나사 결합한다.
이때, 결합벽(26)은 나사 결합 중에 패킹부재(30)의 외측을 회전하면서 진행하다가 결합벽(26)에 형성된 그루우브(28)와 패킹부재(30)의 결합돌기(34)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패킹부재(30)와 결합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을 열기 위해 돌리면 결합벽(26)의 그루우브(28)가 결합돌기(34)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벽(26)이 회전하기 때문에 관통공(74)에 끼워진 패킹부재(30)가 점차 빠지기 시작한다. 즉, 결합벽(26)의 그루우브(28)와 패킹부재(30)의 결합돌기(34) 사이의 결합력이 패킹부재(30)와 서포트(70)의 공간형성부(71)의 걸림턱(78) 사이의 결합력보다 크기 때문에 패킹부재(30)는 결합벽(26)에 결합된 채로 인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과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벽과 패킹부재가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면 패킹부재의 상하단은 개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패킹부재의 내측에 그루우브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결합벽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벽과 패킹부재 양쪽에 "ㄱ"자와 같은 후크형상의 돌기를 돌출시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가 끼워지는 관통공의 주연부를 구성하는 걸림턱의 단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제작하고, 이에 대응하는 패킹부재의 부분도 테이퍼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테이퍼 결합되어 보다 확실하게 기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네크, 베젤 서포트, 서포트 또는 패킹부재의 구조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내용물들을 충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을 담고 있는 용기라면 캐러멜 시럽, 바닐라 시럽 또는 쵸코시럽 등을 각각 분리하여 수용하고 있다가 캡을 오픈하는 순간에 한꺼번에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이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하에 서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내용물을 분할하는 구획부재 또는 패킹부재가 용기의 캡이나 뚜껑을 오픈하는 경우에 용기 몸체의 수용공간내로 들어가지 않음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어린아이가 마시는 음료수 용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패킹부재가 목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전혀 없으므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일단이 개구되어 네크가 형성되고 내부에 하나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네크의 내측면을 따라 링형상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용기 몸체;
    상기 걸림턱에 기밀 결합되어 상기 네크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다른 내용물이 충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패킹부재; 및
    상기 패킹부재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네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3. 일단이 개구되어 네크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네크의 내측을 따라 링형상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용기 몸체;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턱에 얹혀져서 기밀 결합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제 1 결합부재가 상기 단일 몸체의 외측 주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패킹부재; 및
    상기 제 1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가 형성된 결합벽이 내부 저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네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는 각각 결합돌기 또는 그루우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벽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6. 삭제
  7. 일단이 개구되어 네크가 형성되고 상기 네크의 외측면에 나사가 형성되며 내부에 하나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
    상기 네크의 단부 주연부를 따라 거치되며 저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젤 서포트(vessel support);
    외측면에 걸림돌기와 제 1 결합부재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베젤 서포트의 관통공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베젤 서포트에 얹혀짐으로서 상기 베젤 서포트에 분리 가능하게 기밀 결합되는 패킹부재; 및
    상기 제 1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가 형성된 결합벽이 내부 저면 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상기 네크의 나사와 결합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 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는 각각 결합돌기 또는 그루우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9. 일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하나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
    양단이 연통되며, 타단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support);
    상기 서포트의 일단에서 상기 서포트와 분리 가능하게 기밀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와의 사이에 다른 내용물이 충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패킹부재; 및
    상기 패킹부재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서포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용기 몸체와 나사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캡과 나사 결합되고 내측면을 따라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공간형성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공에 분리 가능하게 기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외측면에 걸림돌기와 제 1 결합부재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얹혀짐으로서 상기 서포트에 분리 가능하게 기밀 결합되며,
    상기 캡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1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가 형성된 결합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의 결합으로 상기 캡과 패킹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는 각각 결합돌기 또는 그루우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KR1020030008411A 2003-02-11 2003-02-11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KR100540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411A KR100540504B1 (ko) 2003-02-11 2003-02-11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411A KR100540504B1 (ko) 2003-02-11 2003-02-11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3935U Division KR200311636Y1 (ko) 2003-02-11 2003-02-11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783A KR20040072783A (ko) 2004-08-19
KR100540504B1 true KR100540504B1 (ko) 2006-01-11

Family

ID=3736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411A KR100540504B1 (ko) 2003-02-11 2003-02-11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9186A (zh) * 2017-03-27 2017-06-13 苏州苏博包装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容器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783A (ko)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4696B2 (ja) 第2物質の貯蔵空間を有する瓶の蓋及びそれを用いる製品
KR101742891B1 (ko) 적층 가능한 용기 시스템
RU2397933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бутылок
US6910573B2 (en) Dual container bottle
AU672311B2 (en) Two-compartment container
US4673094A (en) Large stub spout bottles and mated combination unit
US6669013B1 (en) Disposable baby bottle
EP1185461B1 (en) A food storage, mixing and serving container
JP2008529919A (ja) 容器出口の蓋体構造
KR100540504B1 (ko)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KR200311636Y1 (ko)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용기 어셈블리
EP0117948A1 (en) Container for beverages
KR20070121008A (ko) 마개 장치
WO2006027782A2 (en) Container
KR200451209Y1 (ko) 이액 튜브용기
CN1930050B (zh) 具有用于辅助材料的储存室的盖及具有其的产品
KR200217591Y1 (ko) 화장품 용기
JP2005289416A (ja) 原料等をキャップに付属させた瓶型の飲料容器
CN212654810U (zh) 一种分装瓶盖
JP2580152Y2 (ja) 二成分混合容器
AU2005100079A4 (en) Improved bottle
KR102479972B1 (ko)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JP2002326671A (ja) 混合分配容器
JP4409204B2 (ja) 混合物収納部を設けた混合容器
US20040262175A1 (en)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for mating with a liquid container to allow for mixing of a substance and the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