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823B1 -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823B1
KR100539823B1 KR1020030100790A KR20030100790A KR100539823B1 KR 100539823 B1 KR100539823 B1 KR 100539823B1 KR 1020030100790 A KR1020030100790 A KR 1020030100790A KR 20030100790 A KR20030100790 A KR 20030100790A KR 100539823 B1 KR100539823 B1 KR 100539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refrigerator cabinet
molding machine
foam molding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972A (ko
Inventor
홍상의
윤동식
조천수
김영배
김경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823B1/ko
Publication of KR2005006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42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injection or by vacuum
    • B29C44/428Mould constructions; Mould suppor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2Household appliances
    • B29L2031/7622Refrigerator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에 설치되는 냉장고 캐비넷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은, 상기 지지판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고정하는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 고정부와, 상기 하측 고정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상방으로 연장되어 뻗은 연장 보강재와, 상기 연장 보강재의 연장 단부와 상기 상측 고정부를 사선으로 연결하는 세로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적은 양의 보강재로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량화된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구조를 제공한다.
냉장고 캐비넷, 지지판, 세로 보강재, 가로 보강재, 연장 보강재

Description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REINFORCED STRUCTURE OF SUPPORT PLATE IN REFRIGERATOR CABINET FORMING SYSTEM}
도1 내지 도3은 종래의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도1은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전면 지지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구조 해석 결과를 도시한 변위 분포도
도4 및 도5는 위상 기법을 이용한 구조해석에 관한 것으로,
도4는 초기 조건과 경계 조건을 도시한 모델링도
도5는 도4의 위상 기법 해석에 따른 해석 결과도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보강 구조의 사시도
도7은 도6의 구조 해석 결과를 도시한 변위 분포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 10: 베이스 플레이트
20: 지지부 110,210,310,410: 전면 지지판
111: 상측 고정부 111a: 상측 폐곡면부
112: 하측 고정부 112a: 힌지 부재
112b: 힌지공 113: 좌측 고정부
113a: 좌측 폐곡면부 114: 우측 고정부
114a: 우측 폐곡면부 115: 가로 보강재
116: 연장 보강재 116a: 연장 단부
117: 세로 보강재 118: 상측방 보강재
119: 하측방 보강재 120: 테두리부
121: 보조 보강재
본 발명은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양의 보강재로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을 저온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을 수납하도록 냉장실이나 냉동실 등과 같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냉매 사이클로 구성되어 수납된 식품을 저온 상태로 유지하는 기계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캐비넷은 외형을 형성하는 외면과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내면 사이에 단열재가 충전되어 보냉 효과를 증대시킨다. 최근에는 가볍고 단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이 단열재의 재질로 사용되고 있으며, 조립된 상태의 캐비넷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폴리우레탄 발포액을 주입한 후 가열하여 발포시킴으로써 캐비넷 내부에 단열재를 충전하게 된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의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도1은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전면 지지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구조 해석 결과를 도시한 변위 분포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1)는,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냉장고 캐비넷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좌,우,전,후를 밀폐시키고 소정의 압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20)와, 캐비넷의 내면 형상대로 에이비에스(ABS) 수지로 형성된 코어부(30)와, 코어부(3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가운 공기를 불어주는 송풍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상판(11) 및 하판(12)과,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1)의 대부분의 지지물을 지지하도록 상판(11)과 하판(12) 사이에 형성된 보강재(13)와,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1)를 지게차로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보강재(13) 사이의 포크 삽입공(14)과, 지지부(20)를 힌지 기구(15a)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상판(11) 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힌지부(15)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20)는 냉장고 캐비넷이 코어부(30)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냉장고 캐비넷의 단열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주입된 폴리우레탄 발포액의 발포 과정에서 발생하는 0.5kgf/cm2의 높은 발포압을 견딜 수 있도록 냉장고 캐비넷을 밀폐시키고, 충분한 굽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된 전,후,좌,우면 지지판(21,22,23,24)과, 후면 지지판(22)과 힌지 기구(27)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캐비넷의 상면을 개폐시키는 상면 지지판(25)과, 코어부(30)와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 지지판(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후,좌,우면 지지판(21,22,23,24)은 그 하단에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힌지부(15)와 연결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된 힌지 아암(21c...)과 결합되고, 힌지 아암(21c) 끝단의 힌지공(21d...)이 힌지 기구(15a)와 결합됨으로써 전,후,좌,우면 지지판(21,22,23,24)이 오무리고 벌려지도록 작동되어, 냉장고 캐비넷을 삽입, 발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1,22,23,24,25)은 발포압을 견디도록 사각 격자 무늬로 보강재(21a)가 일체로 주조 형성되어, 지지판의 굽힘 강성을 높여준다.
상기 코어부(30)는 캐비넷을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1)에 안착시키도 록 캐비넷의 냉장실의 내면 형상대로 열전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냉장실 코어(31)와, 캐비넷의 냉동실의 내면 형상대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냉동실 코어(32)를 구비하여, 폴리우레탄의 발포액이 발포될 때에 발생되는 발포압으로부터 냉장고 캐비넷의 내면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1f는 상면 지지판(25)의 체결부(25f)와 결합되어 고정하는 고정부로서, 고정부(21f)주위는 발포압으로 인하여 응력이 집중되게 된다. 그리고,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5a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1)에 설치된 냉장고 캐비넷에 폴리우레탄 발포액을 주입하도록 상면 지지판(25)에 관통 형성된 발포액 주입구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1)의 지지판(21,22,23,24,25)은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과정에서 발생되는 발포압을 견딜 수 있도록 사각 격자 형상의 보강재(21a...)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효과적으로 발포압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의 보강재(21a...)형태가 아니므로, 전체적인 지지판(21,22,23,24,25)의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어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무거워진 냉장고 캐비넷 발포 성형기(1)의 취급이 전반적으로 까다로와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적은 양의 보강재로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은 양의 보강재로 높은 발포압 등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량화된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장고 캐비넷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고정하는 힌지부를 구비한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 고정부와; 상기 하측 고정부와 상기 상측 고정부 사이를 사선으로 연결하는 세로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를 제공한다.
이는, 적은 양의 보강재로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량화된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의 좌단에 형성된 좌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우단에 형성된 우측 고정부와, 상기 좌,우측 고정부와 상기 하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하측방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고정부와 상기 상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상측방 보강재와, 상기 좌측 고정부와 상기 우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가로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냉장고 캐비넷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고정하는 힌지부를 구비한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 고정부와; 상기 하측 고정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상방으로 연장되어 뻗은 연장 보강재와; 상기 연장 보강재의 연장 단부와 상기 상측 고정부를 사선으로 연결하는 세로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지지판의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4 내지 도10에서는 도면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를 형성하는 전면 지지판(110,210,310,410)만을 도시하였으나, 다른 후,좌,우,상면 지지판(22,23,24,25)에도 동일한 보강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기재의 중복을 피하고 기재의 편리를 위하여 전면 지지판(120)의 보강 구조를 실시예로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4 및 도5는 위상 기법을 이용한 형상 해석 방법(Topology Analysis)에 관한 것으로, 도4는 초기 조건과 경계 조건을 도시한 모델링도, 도5는 도4의 위상 기법 해석에 따른 해석 결과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한의 보강재를 이용하여 최대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보강재 구조를 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상 기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외력과 경계 조건 하에서 스트레인 에너지를 최소화하 는 최적화된 형상을 찾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 해석을 하고자 하는 지지판을 모델링 한 후, 적당한 크기로 메싱(meshing)한 후, 지지판을 고정하는 끝단의 고정부를 구속시킨다. 그리고, 지지판의 강성 등의 물성치를 입력한 후, 지지판에 작용되는 발포압 등의 하중 조건을 적용하여 계산하면 지지판의 응력분포도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최대 응력값의 50%이하의 응력값은 모두 0으로 변환시키기고 다시 응력 분포도를 반복하여 구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된 응력 분포가 붉은색으로 두드러지게 표현된다. 즉, 붉은 색으로 표시된 영역이 스트레인 에너지가 집중되는 영역이므로, 붉은색으로 표시된 사선 방향을 따라 보강재를 형성하는 것이 적은 보강재로 스트레인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것이며, 최소한의 보강재를 이용하여 최대의 굽힘 강성을 얻을 수 있는 최적화된 보강 구조가 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보강 구조의 사시도, 도7은 도6의 구조 해석 결과를 도시한 변위 분포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가 적용된 전면 지지판(110)은, 지지 판재(120)와, 상면 지지판(25)의 체결부(25f)와 고정되는 상측 고정부(111)와, 힌지부(15)와 연결 고정되는 하측 고정부(112)와, 좌면 지지판(24)과 고정되는 좌측 고정부(113)와, 우면 지지판(23)과 고정되는 우측 고정부(114)와, 좌측 고정부(113)와 우측 고정부(114)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 보강재(115)와, 하측 고정부(112)로부터 도면 부호 H2로 표시된 거리만큼 상방으로 연장되어 뻗은 연장 보강재(116)와, 연장 보강재(116)의 연장 단부(116a)로부터 맞은편의 상측 고정부(111)를 분기되어 사선으로 연결하는 세로 보강재(117)와, 좌,우측 고정부(113,114)로부터 인접한 상측 고정부(111)를 연결하는 상측방 보강재(118)와, 좌,우측 고정부(113,114)로부터 인접한 하측 고정부(112)를 연결하는 하측방 보강재(119)와, 판재(120)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120a)와, 하측 고정부(112)의 중앙부와 가로 보강재(115)를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보조 보강재(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로 보강재(115)는 좌측 고정부(113)와 우측 고정부(14)를 연결하여 가로 방향의 굽힘을 보강하도록 형성된 보강재로서, 좌측 고정부(113)와 우측 고정부(114)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가로 보강재(115) 역시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 때, 가로 보강재(115)는 좌측 고정부(113)와 우측 고정부(114)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 형성함으로써 전면 지지판(110) 제조용 주조 금형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보강재(116)는 요입 형성된 요입부(116b)의 양측에 두겹으로 형성되며, 요입부(116b)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힌지부(15)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는 힌지 부재(112a)가 삽입되어 용접됨으로써 고정된다. 이 때, 힌지 부재(112a)의 힌지공(112b)으로부터 하측 고정부(112)에 이르는 거리만큼 모멘트 아암으로 작용되므로, 연장 보강재(116)는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연장 보강재(116)는 도면 부호 d1으로 표시된 두께가 타 보강재(115,117,118,119)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여기서, 연장 보강재(116)의 연장 단부(116a)의 형성 높이(H2)는 전면 지지판(110)의 높이(H)의 1/2보다 작게 형성되고, 연장 단부(116a)는 가로 보강재(115)의 형성 높이(H1)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연장 단부(116a)로부터 분기되어 상측 고정부(111)를 향하여 뻗은 세로 보강재(117)와 가로 보강재(115)가 삼각 폐곡면(A)을 형성하여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높은 굽힘 강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힌지 부재(112a)와의 간섭으로 형성이 어려운 하측 고정부(112)를 제외하고, 좌,우,상측 고정부(111,113,114)는 고정부 주위를 반원형 내지 반타원형 폐곡면(111a,113a,114a)으로 형성하는 것이 고정부(111,113,114) 주위의 굽힘 강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보강재(115,117,118,119)는 지지 판재(120)와 주조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며, 굽힘 강성을 보완하고 주조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보강재(115,117,118,119)의 두께는 20mm 내지 50mm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면 지지판(110)에 대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한 변위 분포도가 도7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사각 격자형 전면 지지판(21)의 변위 분포도인 도3의 해석 결과와 비교하면 다음 표와 같다.
사각 격자형 보강재 구조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보강재 구조
무 게 (kgf) 131.8 105.4
최대 변위(㎜) 0.142 0.142
상기 표와 같이, 동일한 발포압에 대하여 동일한 최대 변위값을 유지하면서 전면 지지판(110)의 무게는 약 20%정도 경량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면 지지판(110)은 외부의 하중에 대한 굽힘 강성은 종래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유지시키면서 경량화함으로써, 지지판을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재료비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된 냉장고 캐비넷용 발포 성형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취급이 보다 용이해진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의 사시도로서, 제2실시예에 따른 전면 지지판(210)은 연장 보강재(116)가 형성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전반적인 구성은 제1실시예의 전면 지지판(110)과 대체로 유사하다. 이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면 지지판(210)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면 지지판(110)의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면 지지판(210)은, 지지 판재(120)와, 상면 지지판(25)의 체결부(25f)와 고정되는 상측 고정부(111)와, 힌지부(15)와 연결 고정되는 하측 고정부(112)와, 좌면 지지판(24)과 고정되는 좌측 고정부(113)와, 우면 지지판(23)과 고정되는 우측 고정부(114)와, 좌측 고정부(113)와 우측 고정부(114)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 보강재(115)와, 하측 고정부(112)로부터 맞은편의 상측 고정부(111)를 사선으로 연결하는 세로 보강재(117)와, 좌,우측 고정부(113,114)로부터 인접한 상측 고정부(111)를 연결하는 상측방 보강재(118)와, 좌,우측 고정부(113,114)로부터 인접한 하측 고정부(112)를 연결하는 하측방 보강재(119)와, 판재(120)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120a)와, 하측 고정부(112)의 중앙부와 가로 보강재(115)를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보조 보강재(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로 보강재(115)는 그 형성 높이(H1)가 전면 지지판(210)의 높이(H)의 1/2보다 높게 형성된 것이 높은 발포압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다. 이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1)에 삽입되는 냉장고 캐비넷의 설치 위치가 전면 지지판(210)의 상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보조 보강재(121)는 하측 고정부(112)의 중앙부와 가로 보강재(115)를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었으나, 상측 고정부(112)의 중앙부와 가로 보강재(115)를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의 사시도로서, 제3실시예에 따른 전면 지지판(310)은 상측 고정부(111)와 하측 고정부(112)의 수가 동일하게 형성된 경우의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면 지지판(310)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면 지지판(110)의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가 적용된 전면 지지판(310)은, 지지 판재(120)와, 상면 지지판(25)의 체결부(25f)와 고정되는 상측 고정부(111)와, 힌지부(15)와 연결 고정되는 하측 고정부(112)와, 좌면 지지판(24)과 고정되는 좌측 고정부(113)와, 우면 지지판(23)과 고정되는 우측 고정부(114)와, 좌측 고정부(113)와 우측 고정부(114)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 보강재(115)와, 하측 고정부(112)로부터 도면 부호 H2로 표시된 거리만큼 상방으로 연장되어 뻗은 연장 보강재(116)와, 연장 보강재(116)의 연장 단부(116a)로부터 맞은편의 상측 고정부(111)를 분기되어 사선으로 연결하는 세로 보강재(117)와, 좌,우측 고정부(113,114)로부터 인접한 상측 고정부(111)를 연결하는 상측방 보강재(118)와, 좌,우측 고정부(113,114)로부터 인접한 하측 고정부(112)를 연결하는 하측방 보강재(119)와, 판재(120)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120a)와, 하측 고정부(112)의 중앙부와 가로 보강재(115)를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보조 보강재(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로 보강재(315)는 좌측 고정부(113)와 우측 고정부(114)를 연결하여 형성되지만,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에 안착되는 냉장고 캐비넷은 전면 지지판(310)의 상측에 치우쳐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가로 방향의 굽힘 강성을 얻기 위하여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세로 보강재(117)는 연장 보강재(116)의 연장 단부(116a)로부터 상측 고정부(111)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재로서, 연장 단부(116a)와 마주보는 상측 고정부(111)를 연결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지 않고, 연장 단부(116a)와 마주보는 상측 고정부(111)와 인접한 옆의 상측 고정부(111) 사이를 연결하여 사선으로 형성함으로써,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보다 높은 굽힘 강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로 보강재(315)와 세로 보강재(117)가 교차하는 교차부(122)는 높은 굽힘 강성을 얻기 위하여 원형 내지 타원형 폐곡면부로 형성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의 사시도로서, 제4실시예에 따른 전면 지지판(410)은 상측 고정부(111)와 하측 고정부(112)의 수가 동일하게 형성된 경우의 보강 구조에 대하여 연장 보 강재가 형성되지 않은 보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하나의 좌측 고정부(113)와 하나의 우측 고정부(114) 사이는 하나의 가로 보강재(115)로 연결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하나의 좌측 고정부(113)와 하나의 우측 고정부(114) 사이를 다수의 가로 보강재(115), 예를 들면, 상방으로 굽은 곡면과 하방으로 굽은 곡면으로 동시에 형성된 가로 보강재(115)로 연결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에 설치되는 냉장고 캐비넷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은, 상기 지지판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고정하는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 고정부와, 상기 하측 고정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상방으로 연장되어 뻗은 연장 보강재와, 상기 연장 보강재의 연장 단부와 상기 상측 고정부를 사선으로 연결하는 세로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적은 양의 보강재로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량화된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구조를 제공한다.

Claims (36)

  1. 냉장고 캐비넷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고정하는 힌지부를 구비한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 고정부와;
    상기 하측 고정부와 상기 상측 고정부 사이를 사선으로 연결하는 세로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좌단에 형성된 좌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우단에 형성된 우측 고정부와;
    상기 좌,우측 고정부와 상기 하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하측방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좌단에 형성된 좌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우단에 형성된 우측 고정부와;
    상기 좌,우측 고정부와 상기 상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상측방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좌단에 형성된 좌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우단에 형성된 우측 고정부와;
    상기 좌측 고정부와 상기 우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가로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보강재는 다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보강재는 하나의 상기 좌측 고정부와 하나의 상기 우측 고정부를 다수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보강재는 상기 좌측 고정부와 상기 우측 고정부를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높이를 H라 하면, 상기 가로 보강재는 H/2이상의 높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보강재와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를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보조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사이의 교차부은 폐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의 폐곡면은 타원형 폐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13.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상측 고정부는 폐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상측 고정부의 폐곡면은 반타원형 폐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15.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두께는 20mm 이상 50mm 이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16.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지지판과 주조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17. 냉장고 캐비넷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고정하는 힌지부를 구비한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 고정부와;
    상기 하측 고정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상방으로 연장되어 뻗은 연장 보강재와;
    상기 연장 보강재의 연장 단부와 상기 상측 고정부를 사선으로 연결하는 세로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좌단에 형성된 좌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우단에 형성된 우측 고정부와;
    상기 좌,우측 고정부와 상기 연장 보강재의 상기 연장 단부를 연결하는 하측방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 지판 보강 구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좌단에 형성된 좌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우단에 형성된 우측 고정부와;
    상기 좌,우측 고정부와 상기 연장 보강재의 상기 연장 단부를 연결하는 상측방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좌단에 형성된 좌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판의 우단에 형성된 우측 고정부와;
    상기 좌측 고정부와 상기 우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가로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보강재는 다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보강재는 하나의 상기 좌측 고정부와 하나의 상기 우측 고정부를 다수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보강재는 상기 좌측 고정부와 상기 우측 고정부를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높이를 H라 하면,
    상기 연장 보강재의 상기 연장 단부는 H/2이상의 높이보다 작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보강재는 상기 연장 보강재의 상기 연장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26.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27.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보강재와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를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보조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2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보강재는 하나의 상기 연장 단부로부터 분기되어 다수의 상측 고정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2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보강재는 일정 거리 이격된 2겹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30. 제 17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보강재는 상기 세로 보강재, 상기 가로 보강재, 상기 상측방 보강 재, 상기 하측방 보강재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31. 제 17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사이의 교차부은 폐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의 폐곡면은 타원형 폐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33. 제 17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상측 고정부는 폐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상측 고정부의 폐곡면은 반타원형 폐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35. 제 17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두께는 20mm 이상 50mm 이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36. 제 17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지지판과 주조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KR1020030100790A 2003-12-30 2003-12-30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KR100539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790A KR100539823B1 (ko) 2003-12-30 2003-12-30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790A KR100539823B1 (ko) 2003-12-30 2003-12-30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972A KR20050068972A (ko) 2005-07-05
KR100539823B1 true KR100539823B1 (ko) 2006-01-10

Family

ID=3725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790A KR100539823B1 (ko) 2003-12-30 2003-12-30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35B1 (ko) * 2005-07-28 2007-05-2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용 전극촉매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39A (ja) * 1982-07-02 1984-01-11 Hitachi Ltd 断熱箱体の製造方法
US4580852A (en) * 1983-12-29 1986-04-08 Inglis Limited Refrigerator cabinet assembly
KR19990039994U (ko) * 1998-04-23 1999-11-25 윤종용 냉장고의 캐비닛 발포장치
KR20000016491U (ko) * 1999-02-02 2000-09-25 윤종용 냉장고의 캐비넷 발포 성형 장치
KR20050064341A (ko) * 2003-12-23 200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39A (ja) * 1982-07-02 1984-01-11 Hitachi Ltd 断熱箱体の製造方法
US4580852A (en) * 1983-12-29 1986-04-08 Inglis Limited Refrigerator cabinet assembly
KR19990039994U (ko) * 1998-04-23 1999-11-25 윤종용 냉장고의 캐비닛 발포장치
KR20000016491U (ko) * 1999-02-02 2000-09-25 윤종용 냉장고의 캐비넷 발포 성형 장치
KR20050064341A (ko) * 2003-12-23 200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972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85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thereof
KR100633027B1 (ko) 냉장고의 내상 및 냉장고의 내상 성형용 금형
US6138432A (en) Refrigerator door construction
US8500225B2 (en) Reinforcing component for refrigerator
US20120228349A1 (en) Stabilized cargo box for a vehicle rack system
JP2001066050A (ja) 食品貯蔵庫用外部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155162A1 (en) Storage bin for assembly on a motor vehicle body structure
KR100539823B1 (ko)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보강 구조
KR101203997B1 (ko) 냉장고
US20100102055A1 (en) Strengthened equipment cas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05800039A (zh) 可折叠容器及其侧板
KR20110010805U (ko) 디스플레이장치용 발포수지 포장재
KR100620023B1 (ko)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KR101984661B1 (ko) 선박
JP7380852B2 (ja) 樹脂成形用金型及び貯湯タンク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6530682B2 (ja) 合成樹脂製折り畳み容器
JP7406963B2 (ja) 冷蔵庫扉および冷蔵庫
KR100548491B1 (ko) 냉장고캐비넷용 발포성형기의 베이스플레이트
CN220669895U (zh) 冷柜
KR100575824B1 (ko)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지지판 구조
JP6073622B2 (ja) 折り畳み箱
JP2000111243A (ja) 冷蔵庫
KR200371385Y1 (ko) 탑차의 적재함
RU2002129095A (ru) Грузово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воздушных перевозок
EP3331779B1 (en) Insulation wall panel,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n insulation wall panel, and use of such an insulation wall panel as a container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