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524B1 -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침수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침수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524B1
KR100536524B1 KR10-2003-0083372A KR20030083372A KR100536524B1 KR 100536524 B1 KR100536524 B1 KR 100536524B1 KR 20030083372 A KR20030083372 A KR 20030083372A KR 100536524 B1 KR100536524 B1 KR 10053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level
pressure
inundation
opening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677A (ko
Inventor
이승규
카도와키한조우
Original Assignee
이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규 filed Critical 이승규
Priority to KR10-2003-008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52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01L13/06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using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43/006Methods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ingress of ambient water, e.g. leak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창고의 침수를 검지하는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잘 손상되지 않는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 침수검지장치는, 제1 통기관을 접속한 제1 공기실 내의 압력과 제2 통기관을 접속한 제2 공기관내의 압력과의 차이를 검출하는 차압압력센서를 가지며, 화물창고 내 설치한 제1 통기관의 개구 끝단부는 최저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화물창고 내 설치한 제2 통기관의 개구 끝단부는 최고 검출수위보다 위쪽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 {A flooding sensor and the system for warning of flooding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의 화물창고에 있어서 침수를 검지하는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치장치를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박에서는 침수를 검지하는 침수검지장치를 필요에 따라 설치하고 있었다. 이러한 침수검지장치는 통상 플로트센서(float sensor) 등에 의해 침수량이 소정량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플로트센서에 의한 검지에 따라 소정의 경보기를 작동시킴으로써 배수펌프를 작동시키거나 하는 침수경보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다[참조: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25789호].
그러나, 승객선이나 레저용 선박 등과 같이 빈 공간에 있어서의 침수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는 플로트센서로 침수상태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나, 화물선, 특히 벌크화물선이나 광물운반선 등과 같이 화물창고에 화물을 직접 수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플로트센서로는 화물창고에 있어서 침수를 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다른 센서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벌크화물선이나 광물운반선 등에서는 화물창고에 침수가 발생하면, 침수된 물을 용매로 하여 화물창고에 수용한 화물의 혼합액이 생성되므로, 이를테면 화물이 설탕이나 소금처럼 물에 용해되기 쉬운 경우에는 침수상황을 센서에 의해 확실히 검지하는 것이 곤란하고, 고농도의 혼합액과 접촉한 센서가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해상에서 인명의 안전을 위한 국제조약(SOLAS조약)에 따라, 앞으로는 선박의 화물창고에 침수경보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의무화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침수를 검출하는 센서가 고장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센서를 자주 교환하거나 혹은 수리작업이 필요하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어, 선박의 유지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화물창고에 침수가 발생해도 침수된 물이 차압압력센서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새로운 침수검지장치를 개발하여, 침수에 따라 침수검지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침수검지장치의 유지관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침수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잘 손상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성능 및 효과가 뛰어난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물창고의 침수를 검지하는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잘 손상되지 않는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침수검지장치는, 제1 통기관을 접속한 제1 공기실 내의 압력과 제2 통기관을 접속한 제2 공기실 내 압력의 압력차를 검출하는 차압압력센서를 갖고, 화물창고 내에 설치한 제1 통기관의 개구 끝단부(開口端部)는 최저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며 화물창고 내에 설치한 제2 통기관의 개구 끝단부는 최고 검출수위보다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차압압력센서에 의해 화물창고 내 침수를 검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 침수검지장치는, 개구 끝단부를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검출관과 침수수면보다 위쪽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의 침수수면이 검출수면에 도달한 경우 검출관 내의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차압스위치로 구성되는 침수검지장치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 침수검지장치는, 개구 끝단부를 제1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제1 검출관과 수면보다 위쪽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제1 검출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1 검출관내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제1 차압스위치와, 개구 끝단부를 제2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제2 검출관과 상기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제2 검출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2 검출관내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제2 차압스위치로 구성되는 침수검지장치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 침수경보시스템에서는, 화물창고의 침수를 침수검지장치로 검지함으로써 경보수단을 작동시키는 침수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침수검지장치는 제1 통기관을 접속한 제1 공기실 내의 기압과 제2 통기관을 접속한 제2 공기실 내의 기압의 차를 검출하는 차압압력센서를 갖고, 화물창고 내에 설치한 상기 제1 통기관의 개구 끝단부는 최저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며 상기 화물창고 내에 설치한 상기 제2 통기관의 개구 끝단부는 최고 검출수위보다 위쪽에 위치시켜, 상기 화물창고 내 침수를 검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 침수경보시스템에서는, 화물창고의 침수를 검지하는 침수검지장치를 갖는 침수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수검지장치는 개구 끝단부를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검출관과 침수수면보다 위쪽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검출수면에 도달한 경우 검출관내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차압스위치로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 침수경보시스템에서는, 화물창고의 침수를 검지하는 침수검지장치를 갖는 침수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침수검지장치는 개구 끝단부를 제1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제1 검출관과 수면보다 위쪽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제1 검출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1 검출관 내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제1 차압스위치와 개구 끝단부를 제2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제2 검출관과 상기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제2 검출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2 검출관 내의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제2 차압스위치로 구성하였다.
청구항 1 및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침수검지장치는 제1 통기관을 접속한 제1 공기관 내의 기압과 제2 통기관을 접속한 제2 공기실 내의 기압의 압력차를 검출하는 차압압력센서를 갖고, 화물창고 내에 설치한 제1 통기관의 개구 끝단부는 최저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화물창고 내에 설치한 제2 통기관의 개구 끝단부는 최고 검출수위보다 위쪽에 위치시켜 차압압력센서에 의해 화물창고 내 침수를 검지하도록 함으로써, 화물창고 내 침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히 침수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창고에 침수가 발생해도, 침수된 물이 차압압력센서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침수에 따라 침수검지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침수검지장치의 유지관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2 및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개구 끝단부를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검출관과 침수수면보다 위쪽 위치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검출수면에 도달한 경우 검출관 내의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차압스위치로 구성된 침수검지장치로 함으로써, 화물창고 내 침수에 영향받지 않고 정확히 침수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창고에 침수가 발생해도, 침수된 물이 차압스위치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침수에 따라 침수검지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침수검지장치의 유지관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3 및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개구 끝단부를 제1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제1 검출관과 수면보다 위쪽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제1 검출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1 검출관 내의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제1 차압스위치와, 개구 끝단부를 제2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제2 검출관과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제2 검출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2 검출관 내의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제2 차압스위치로 구성된 침수검지장치로 함으로써, 제1 검출수위와 제2 검출수위, 2개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 차압스위치와 제2 차압스위치의 압력보상(壓力補償)을 하나의 압력보상관에서 실시할 수 있으므로, 낮은 비용으로 높은 정밀도의 침수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침수검지장치 및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은, 침수에 동반하여 상승하는 수면에 의해 폐색공간을 형성함에 있어서, 수면이 더욱 상승하면서 체적은 감소하는 한편 내부압력은 상승하는 폐색공간의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침수의 검지를 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압력변화를 차압압력센서 또는 차압스위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침수검지장치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화물실이 있는 벌크화물선 A에 실시예 1의 침수검지장치 B1을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을 배치·설치한 형태를 나타낸 개략적 설명도이며, 도 2는 침수검지장치 B1을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벌크화물선 A에는 복수의 화물창고 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화물창고 a에는 소유의 화물, 예를 들면 광석이나 석탄 또는 소금, 설탕, 소맥분 등을 그대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화물의 수용 후, 침수 등을 방지하기 위해 각 화물창고 a는 밀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침수검지장치 B1은 도 2에서 나타내었듯이, 차압압력센서 30을 갖는 검지부 b1과 상기 검지부 b1의 차압압력센서 30에서 출력한 출력신호 S30에 따라 저수위 검출신호 S42 또는 고수위 검출신호 S43을 출력 가능하도록 한 출력신호조정부 b2로 구성되어 있다.
검지부 b1은, 가요성막(可撓性膜)을 통해 차압압력센서 30을 협지(挾持)하도록 차압압력센서 30에 나란히 설치한 제1 공기실 10 및 제2 공기실 20과, 제1 공기실 10에 한쪽 끝을 접속한 제1 통기관 11과, 제2 공기실 20에 한쪽 끝을 접속한 제2 통기관 21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중, 12는 제1 통기관 11의 끝부분에 설치한 제1 필터, 22는 제2 통기관 21의 끝부분에 설치한 제2 필터이다.
특히, 제1 통기관 11 및 제2 통기관 21은 각각 개구 끝단부(開口端部)를 화물창고 a 내에 진입시키며, 제1 통기관 11의 개구 끝단부는 최저 검출수위 L1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제2 통기관 21의 개구 끝단부는 최고 검출수위 L2보다 위쪽에 위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화물창고 a가 최저 검출수위 L1까지 침수되는 상황이 되면, 제1 통기관 11은 개구 끝단부가 물에 의해 폐쇄되어, 제1 공기실 10 및 이와 연결되어 통해있는 제1 통기관 11의 내부공간은 폐공간 Q가 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제2 통기관 21의 개구 끝단부는 최고 검출수위 L2보다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제2 공기실 20 및 제2 공기실과 연결되어 통해있는 제2 통기관 21의 내부공간은 항상 열린 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 때, 화물창고 a는 밀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완전밀폐가능은 안되게 함으로써, 화물창고 a 내는 항상 대기압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제2 공기실 20 내의 압력도 대기압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2 공기실 20 내의 압력을 P2라 한다.
화물창고 a 내의 침수량이 증가하면, 화물창고 a 내에 있어서 액체면 W가 상승하여, 이 액체면 상승에 따라 제1 통기관 11 내의 액체면 W가 도 3의 모식도에 나타내었듯이 상승한다.
제1 통기관 11 내의 액체면 W가 상승하면, 이 액체면 W의 상승분만큼 상기 폐공간 Q의 퇴적이 감소하게 되어 이 체적감소에 따라 폐공간 Q의 압력 즉, 제1 공기실 10 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제1 공기실 10 내의 압력을 P1이라 한다.
한편 화물창고 a 내의 액체면 W가 상승해도 제2 공기실 20 내의 압력 P2는 항상 대기압이므로 P1>P2가 된다.
차압압력센서 30은, 상기 제1 공기실 10 내의 압력 P1과 제2 공기실 20 내의 압력 P2와의 압력차를 출력신호 S30으로 출력하고 있다.
출력신호조정부 b2는, 도 2에 나타내었듯이 차압압력센서 30으로부터 출력된 출력신호 S30을 증폭하는 앰프회로 41과, 앰프회로 41로 증폭된 증폭신호로부터 저수위 검출신호 S42를 생성하는 제1 검출신호 생성회로 42와, 증폭신호로부터 고수위 검출신호 S43을 생성하는 제2 검출신호 생성회로 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검출신호 생성회로 42는, 증폭신호에 최저 검출수위 L1의 검지용 신호를 곱하여 계산하는 제1 곱셈기(乘算器) 42a와, 최저 검출수위 L1의 검지용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비교기(comparator) 42b와, 최저 검출수위 L1의 검지용 신호를 곱하여 계산한 증폭신호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저수위 검출신호 S42를 출력하는 제1 출력제어 트랜지스터(transistor) 42c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비교기 42b에서는, 최저 검출수위 L1의 검지정밀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용 전위를 공급하는 제1 차동회로(differential circuit) 42d와, 최저 검출수위 L1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1 레벨 조정회로 42e를 접속하여, 제1 차동회로 42d와 제1 레벨 조정회로 42e를 조정함으로써 최저 검출수위 L1을 임의의 높이로 설정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2 검출신호 생성회로 43은, 증폭신호에 최고 검출수위 L2의 검지용 신호를 곱하여 계산하는 제2 곱셈기 43a와, 최고 검출수위 L2의 검지용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기 43b와, 최고 검출수위 L2의 검지용 신호를 곱하여 계산한 증폭신호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고수위 검출신호 S43을 출력하는 제2 출력제어 트랜지스터 43c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비교기 43b에서는, 최고 검출수위 L2의 검지정밀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용 전위를 공급하는 제2 차동회로 43d와, 최고 검출수위 L2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2 레벨 조정회로 43e를 접속하여, 제2 차동회로 42d와 제2 레벨 조정회로 42e를 조정함으로써 최고 검출수위 L2를 임의의 높이로 설정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침수검지장치 B1으로부터 출력한 저수위 검출신호 S42 또는 고수위 검출신호 S43은, 도 1에 나타내었듯이 접속배선 1을 매개로 리모트(remote) 제어회로 2에 입력하고, 이 리모트 제어회로 2는 벌크화물선 A의 조타실 3에 설치한 경보판 4에 소정의 출력을 행하여 화물창고 a에 침수가 발생한 것을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리모트 제어회로 2는 복수의 화물창고 a를 일괄 관리하고 있으며, 화물창고 a의 근방에 배치하여 설치하는 한편, 리모트 제어회로 2와 경보판 4는 다중전송이 가능한 접속 케이블 5로 접속함으로써, 배선공사를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기존의 벌크화물선 A 등에 침수검지장치 B1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침수검지장치 B1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기압차를 이용하여 수위의 검출을 행하므로, 차압압력센서 30부분 및 출력신호조정부 b2부분을 방폭용(防爆用) 케이스에 수용해 둠으로써, 화물창고 a에 소맥분 등 분진방폭을 일으킬 위험이 있는 화물을 수용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침수검지장치 B1에서는 제2 통기관 21을 설치함으로써, 제2 통기관 21에 의하여 화물창고 a의 온도 보상 및 내압의 상승 또는 강하시 압력 보상을 행할 수 있으므로, 차압압력센서 30의 오작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물창고 a 내에 침입한 수분은 제1 통기관 11과 접촉할 뿐이므로, 화물창고 a 내에 침입한 수분에 의해 차압압력센서 30에 손상을 일으킬 위험성이 없고, 침수검지장치 B1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리모트 제어회로 2는, 침수검지장치 B1으로부터 저수위 검출신호 S42 또는 고수위 검출신호 S43이 입력된 때에, 저수위 검출신호 S42 또는 고수위 검출신호 S43이 소정시간 연속하여 입력된 경우 경보판 4에 대해 출력을 행하여 경보판 4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벌크화물선 A의 롤링(rolling)이나 피칭(pitching)에 기인한 침수수면의 유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침수검지장치 B1이 작동하여 경보판 4가 순간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침수경보시스템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중, 6은 선수창고(boatswain store)의 침수를 검지하는 플로트 스위치(float switch)이고, 플로트 스위치 6에 의한 검출신호를 선수부 배수제어회로 7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선수창고에 있어서 침수량이 소정량에 달한 경우에는 선수부 배수제어회로 7에 의해 배수용 펌프 8을 작동시켜 배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선수부 배수제어회로 7은, 리모트 제어회로 2에도 접속되어 있어, 리모트 제어회로 2를 매개로 경보판 4에 필요한 경보를 출력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실시예 2
이하에서는, 도면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벌크화물선 A에 실시예 2의 침수검지장치 B2를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을 배치·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설명도이며, 도 5는 침수검지장치 B2의 구성 개략도이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침수검지장치 B2는, 본 실시예에서는, 최저 검출수위 L1을 검출하는 제1 검출관 51과 접속한 제1 차압스위치(도면에 표시 안함)과, 최고 검출수위 L2를 검출하는 제2 검출관 52과 접속한 제2 차압스위치(도면에 표시 안함)로 구성되어 있고, 제1 차압스위치 및 제2 차압스위치는 방폭케이스 53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중, 54는 제1 검출관 51의 개구 끝단부 부분에 장착한 제1 필터, 55는 제2 검출관 52의 개구 끝단부 부분에 장착한 제2 필터이다.
도 5에 나타내었듯이, 제1 차압스위치는, 제1 검출수위인 최저 검출수위 L1보다 아래쪽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제1 검출관 51과, 수면보다 위쪽이 되는 위치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압력보상관 56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a 내의 침수수면이 최저 검출수위 L1에 도달한 경우 필요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즉, 화물창고 a 내의 침수수면이 최저 검출수위 L1에 도달하면, 침수수면에 의해 제1 검출관 51의 한쪽끝이 폐쇄되어 제1 검출관 51 내는 폐쇄공간이 되며, 침수수면의 상승에 따라 폐쇄공간의 체적이 감소하여 폐쇄공간 내 압력이 상승한다. 이 압력은 P1'라 한다.
한편, 제1 차압스위치에 접속한 압력보상관 56에서는, 화물창고 a 내의 침수수면이 상승해도 압력보상관 56 내의 압력은 화물창고 a 내의 압력과 일치하므로, 기본적으로 압력상승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압력을 P2'라 한다.
따라서, 화물창고 a 내의 침수수면이 최저 검출수위 L1에 도달하면 P1'>P2'가 되며, 이 압력차를 제1 차압스위치로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차압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은 압력차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1 검출관 51의 개구 끝단부의 배열 설치(配設)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쉽게 최저 검출수위 L1의 검출을 행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 1의 출력신호조정부 b2를 필요로 하지 않아 침수검지장치 B2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었듯이, 제2 차압스위치는, 제2 검출수위인 최고 검출수위 L2보다 아래쪽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제2 검출관 52와, 수면보다 위쪽 위치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압력보상관 56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a 내의 침수수면이 최저 검출수위 L2에 도달한 경우 필요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제2 차압스위치도, 제1 차압스위치와 마찬가지 원리로 최저 검출수위 L2의 검출을 행하고 있어, 제2 검출관 52의 개구 끝단부의 배열 설치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쉽게 최고 검출수위 L2의 검출을 행할 수 있고, 상기한 제1 실시형태의 출력신호조정부 b2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제1 차압스위치 및 제2 차압스위치는 압력보상관 56을 공용하고 있어, 침수검지장치 B2를 저렴한 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차압스위치 또는 제2 차압스위치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는, 방폭 케이스 53에 인접하여 설치한 전송장치 57에 입력된다. 도 4에 나타내었듯이, 벌크화물선 A의 조타실 3에 설치한 경보판 4에 접속하여, 화물창고 a에 침수가 발생한 것을 통지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전송장치 57를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전송배선 58의 배열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침수검지장치 B2에서도, 전송장치 57은, 제1 차압스위치 또는 제2 차압스위치로부터 소정시간 연속하여 검출신호가 출력된 경우에 경보판 4에 대해 출력을 행하여 경보판 4를 작동시키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벌크화물선 A의 롤링(rolling)이나 피칭(pitching)에 기인한 침수수면의 유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침수검지장치 B2가 작동하여, 경보판 4가 순간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침수경보시스템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벌크화물선 A의 선수(船首) 측 화물창고 a'는 발라스트 탱크(ballast tank)로도 사용하고 있어, 화물창고 a' 내에 소정량의 물을 주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 중, 61은 선수창고(boatswain store)의 침수를 검지하는 플로트 스위치(float switch)이고, 플로트 스위치 61에 의한 검출신호를 선수부 배수제어회로 60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선수창고에 있어서 침수량이 소정량에 달한 경우에는, 선수부 배수제어회로 60에 의해 배수용 펌프 62를 작동시켜 배수하도록 되어 있다. 도 4 중, 63은 모터 밸브(도면에 표시 안함)를 작동시키는 모터이다. 선수부 배수제어회로 60에서는 발라스트 탱크(ballast tank)로 한 화물창고 a'의 배수작업도 제어가능하게 되어 있다. 선수부 배수제어회로 7은, 적당한 접속배선 64를 매개로 경보판 4와 접속하여, 선수창고의 침수정보를 경보판 4에 출력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화물창고의 침수를 검지하는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침수검지장치는 화물창고에 침수가 발생해도 침수된 물이 차압압력센서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침수에 따라 침수검지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침수검지장치의 유지관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어 이는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침수경보시스템을 설치한 벌크화물선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침수검지장치 B1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침수검지장치의 검지 메커니즘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의 침수경보시스템을 설치한 벌크화물선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는 침수검지장치 B2의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A 벌크화물선 a 화물창고(貨物倉)
B1 침수검지장치 B2 침수검지장치
b1 검지부(檢知部) b2 출력신호조정부
S30 출력신호
S42 저수위(低水位) 검출신호 S43 고수위(高水位) 검출신호
L1 최저 검출수위 L2 최고 검출수위
1 접속배선 2 리모트 제어회로
3 조타실(操舵室) 4 경보판(警報盤)
5 접속 케이블 10 제1 공기실(空氣室)
11 제1 통기관(通氣管) 12 제1 필터
20 제2 공기실 21 제2 통기관
22 제2 필터 30 차압압력(差壓壓力)센서
41 앰프 회로 42 제1 검출신호 생성회로
42a 제1 곱셈기(乘算器) 42b 제1 비교기(comparator)
42c 제1 출력제어 트랜지스터 42d 제1 차동회로(differential circuit)
42e 제1 레벨 조정회로 43 제2 검출신호 생성회로
43a 제2 곱셈기 43b 제2 비교기
43c 제2 출력제어 트랜지스터 43d 제2 차동회로
43e 제2 레벨 조정회로

Claims (6)

  1. 제1 통기관을 접속한 제1 공기실 내의 압력과 제2 통기관을 접속한 제2 공기실 내의 압력과의 압력차를 검출하는 차압압력센서를 갖고, 화물창고 내에 설치한 상기 제1 통기관의 개구 끝단부는 최저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상기 화물창고 내에 설치한 상기 제2 통기관의 개구 끝단부는 최고 검출수위보다 위쪽에 위치시켜, 상기 차압압력센서에 의해 상기 화물창고 내의 침수를 검지하는 침수검지장치.
  2. 개구 끝단부를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검출관과 침수수면보다 위쪽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검출수면에 도달한 경우 검출관 내의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차압스위치로 구성되는 침수검지장치.
  3. 개구 끝단부를 제1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제1 검출관과 수면보다 위쪽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제1 검출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1 검출관 내의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제1 차압스위치와, 개구 끝단부를 제 2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제 2검출관과 상기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제 2검출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 2검출관 내의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제2 차압스위치로 구성되는 침수검지장치.
  4. 화물창고의 침수를 검지하는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 침수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수검지장치는 제1 통기관을 접속한 제1 공기실 내의 압력과 제2 통기관을 접속한 제2 공기실 내의 압력과의 압력차를 검출하는 차압압력센서를 갖고, 상기 화물창고 내에 설치한 상기 제1 통기관의 개구 끝단부는 최저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며 상기 화물창고 내에 설치한 상기 제2 통기관의 개구 끝단부는 최고 검출수위보다 위쪽에 위치시켜, 상기 화물창고 내 침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경보시스템.
  5. 화물창고의 침수를 검지하는 침수검지장치를 갖는 침수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수검지장치는 개구 끝단부를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검출관과 침수수면보다 위쪽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검출수면에 도달한 경우 검출관 내의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차압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경보시스템.
  6. 화물창고의 침수를 검지하는 침수검지장치를 갖는 침수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수검지장치는, 개구 끝단부를 제1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제1 검출관과 수면보다 위쪽에 개구 끝단부를 위치시킨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제1 검출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1 검출관 내의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제1 차압스위치와 개구 끝단부를 제2 검출수위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제2 검출관과 상기 압력보상관을 접속하여, 화물창고 내 침수수면이 제2 검출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2 검출관 내의 기압에 따라 작동하는 제2 차압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경보시스템.
KR10-2003-0083372A 2003-11-22 2003-11-22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침수경보시스템 KR100536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372A KR100536524B1 (ko) 2003-11-22 2003-11-22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침수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372A KR100536524B1 (ko) 2003-11-22 2003-11-22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침수경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677A KR20050049677A (ko) 2005-05-27
KR100536524B1 true KR100536524B1 (ko) 2005-12-14

Family

ID=3866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372A KR100536524B1 (ko) 2003-11-22 2003-11-22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침수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842A1 (ko) 2011-09-21 2013-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침수 검출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침수 검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1245A (zh) * 2019-06-19 2019-10-25 山东丛林凯瓦铝合金船舶有限公司 一种小型船舶水位报警系统
CN114295279A (zh) * 2021-12-31 2022-04-08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气压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842A1 (ko) 2011-09-21 2013-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침수 검출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침수 검출 장치
US8990030B2 (en) 2011-09-21 2015-03-24 Lg Chem, Ltd. Submersion detection circuit and submersion det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677A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2111B2 (ja) 液体貨物船の貨物ポンプ装置
KR100536524B1 (ko) 침수검지장치 및 그 침수검지장치를 포함하는침수경보시스템
EP3748260B1 (en) Enclosure for gas detector
EP3665372A1 (en) Level sensor assembly.
EP3059186A1 (en) Floating roof monitoring with laser distance measurement
US7849890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s of draining an enclosure
JP2005055243A (ja) 浸水検知装置及び同浸水検知装置を有する浸水警報システム
US11846568B2 (en) Leak detection for pressurized fluid systems
KR20100017595A (ko) 긴급 상황의 경우에 오염 유발 액체를 회수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부유 선박 및 이러한 오염 유발 액체의 회수 방법
US8186293B2 (en) Device for an inert gas installation on a floating vessel
US20050044935A1 (en) Integrated pressure sensor and carbon canister purge valve for vehicle engine
KR102001391B1 (ko) 유출 방지능이 우수한 선박용 연료 저장 설비
KR100999931B1 (ko) 비상위치지시용무선표지설비의 오작동 방지장치
US7997220B1 (en) Marine vessel module
CN116507550A (zh) 浮体
JP2794697B2 (ja) 船舶用制御装置
Pierrot et al. Installation of autonomous underway pCO2 instruments onboard ships of opportunity.
JP2004354183A (ja) 測深管を備えた船舶の液面レベル検知装置及び浸水警報装置
JP2007248416A (ja) 液面計
EP4102203A1 (en) Leak detection for pressurized fluid systems
JP2009277594A (ja) 燃料電池車両
CN116476990A (zh) 船舶
KR20220114788A (ko) 해상 하역용 컨테이너
KR20150029885A (ko)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KR200358610Y1 (ko) 침수감지장치가 장착된 전자식 수도미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