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467B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467B1
KR100536467B1 KR10-2004-0009457A KR20040009457A KR100536467B1 KR 100536467 B1 KR100536467 B1 KR 100536467B1 KR 20040009457 A KR20040009457 A KR 20040009457A KR 100536467 B1 KR100536467 B1 KR 10053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ehydration
chamber
sliding plate
dewa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1280A (ko
Inventor
최대운
주용식
조길형
현성준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탑
Priority to KR10-2004-0009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467B1/ko
Publication of KR2005008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한 후 이를 압착하여 탈수할 때 미세한 음식물쓰레기가 탈수구를 막더라도 이것이 자동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쓰레기를 장입하는 장입구와; 상기 장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을 구비한 분쇄실과; 상기 분쇄된 음식물을 압착하여 탈수하는 탈수수단을 구비하며, 단면이 타원형으로서 그 벽면에는 탈수된 물기가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한 다수 개의 탈수구를 구비한 탈수실과; 상기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및 상기 분쇄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에 각각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수단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드럼형상으로서 상기 타원형 탈수실의 중심에 대해 상기 원형 단면의 중심축이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전진 및 후퇴 운동을 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과, 각각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수납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탈수수단이 회전하면서 2개의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탈수실 벽면 및 상기 탈수수단의 드럼면으로 구성된 탈수방에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가둔 후, 상기 편심 회전이 계속되면 상기 탈수방의 용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압착되고 이 압착력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물기가 상기 탈수구를 통해 빠져나가며, 이와 동시에 상기 탈수방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중 후행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기 탈수구를 긁고 지나가도록 작동하고, 상기 탈수수단이 계속 회전하면 상기 탈수방의 선행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열리면서 상기 배출구로 상기 탈수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AUTOMATIC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식당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감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크게 기계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분쇄하고 탈수하는 방식, 효소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는 화학적 방식,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여 폐기하는 건조방식 및 연소로에서 연소하는 연소방식 등으로 대별된다.
연소방식은 연료 및 공해 문제로 인해서 일반적인 가정이나 음식점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방식이며, 화학적 방식 또한 발효시키는 효소균 자체가 비싸고 그 발효시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요구하므로 잘 사용되지 않는다. 건조방식 또한 장시간을 요구하고 건조기간 동안 악취등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소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대부분 기계적 방식을 이용한다.
기계적 방식은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회전식 스크류 등에서 분쇄한 후 이 분쇄된 찌꺼기를 가압하여 물기를 탈수한 다음, 이를 배출하는 방식이다. 이 때 사용되는 탈수과정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피스톤 방식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측면 및 하부에 물기가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다수 개의 탈수구를 가진 실린더 형태의 하우징에 음식물쓰레기를 넣은 다음, 피스톤 형태의 가압봉으로 그 상부를 눌러 상기 탈수구를 통하여 물기가 탈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다음, 최종적으로 단단하게 압착된 상태의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를 하우징에서 꺼내어 처리하는 방식이다.
상기 탈수구는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빠져 나가지 못할 정도의 크기를 가진 다수개의 미세한 구멍으로 구성되는데, 문제는 압착 방식의 탈수과정에서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가 가압봉의 힘에 의해 탈수구 바깥으로 밀리면서 탈수구 자체를 막는다는 것이다. 이처럼 탈수구가 막히면 더 이상 탈수 과정을 진행할 수 없게 되므로 사용자는 이 때마다 기계 작동을 멈추고 아직 처리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를 걷어낸 후 막힌 탈수구를 청소하여 뚫어주어야 한다.
이처럼 탈수구가 자주 막히고 이 때마다 사람이 일일이 청소를 해주어야 한다면 이는 대단히 비효율적이고 성가신 일로서, 사용자는 이 문제로 인해서 자동화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잇점을 전혀 누릴 수 없게 된다. 결국 이 문제는 음식물쓰레기 장치 자체를 불신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술한 피스톤 압착방식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가지는 또 다른 문제점은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고자 할 때는 사용자가 일일이 쓰레기 양을 분할하여 처리장치내에 장입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상기 처리장치의 작동방식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속적이라는 것에서 기인하기 때문인데, 즉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한 후 이를 배출할 때 가압봉을 들어올리고 압착된 덩어리를 배출해야 하므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실린더 용적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이다. 결국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실린더 용적이 대단히 커야 한다는 비현실적 방법 외에는 마땅한 대안이 제시되지 못한 실정이다.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가지는 또 다른 문제점은, 음식물쓰레기에 섞여 있을 수도 있는 젓가락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장치가 장입구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기계 고장이 종종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음식물쓰레기가 장입되는 장입구에 메쉬 철망 등을 씌우는 방법 등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음식물쓰레기 자체의 장입을 방해하는 요소이며 또한 기다란 봉 형상인 젓가락 등은 이 철망에 의해서도 쉽게 필터링되지 않을 여지가 많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음식물을 분쇄한 후 이를 압착하여 탈수할 때 미세한 음식물쓰레기가 탈수구를 막더라도 이것이 자동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용량의 음식물쓰레기가 한 번에 처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음식물쓰레기 분쇄과정 및 압착/탈수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젓가락 등의 이물질이 음식물쓰레기에 섞여서 장치에 장입되므로써 장치에 고장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장입하는 장입구와; 상기 장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을 구비한 분쇄실과; 상기 분쇄된 음식물을 압착하여 탈수하는 탈수수단을 구비하며, 단면이 타원형으로서 그 벽면에는 탈수된 물기가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한 다수 개의 탈수구를 구비한 탈수실과; 상기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및 상기 분쇄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에 각각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수단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드럼형상으로서 상기 타원형 탈수실의 중심에 대해 상기 원형 단면의 중심축이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전진 및 후퇴 운동을 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과, 각각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수납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탈수수단이 회전하면서 2개의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탈수실 벽면 및 상기 탈수수단의 드럼면으로 구성된 탈수방에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가둔 후, 상기 편심 회전이 계속되면 상기 탈수방의 용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압착되고 이 압착력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물기가 상기 탈수구를 통해 빠져나가며, 이와 동시에 상기 탈수방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중 후행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기 탈수구를 긁고 지나가도록 작동하고, 상기 탈수수단이 계속 회전하면 상기 탈수방의 선행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열리면서 상기 배출구로 상기 탈수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외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를 단계별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음식물쓰레기가 장입되는 장입구(100)와,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실(200)과,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면서 탈수하는 탈수실(300)과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구(400)로 대별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분쇄수단의 축(120)과 탈수수단의 축(140)이 도시되며 있으며 각 축들은 동력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각 실들은 물리적으로 격벽 등에 의해 분리된 공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 개념적으로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공간을 지칭하는 것이다.
도 2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단면도를 바탕으로 상기 각 부분의 작동방식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장입구(100)로 장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장입구 초반에서 서로 엇갈린 날개 형태의 필터링 판으로 구성된 필터링 판(220)을 거쳐 그 하부의 분쇄실(200)까지 중력에 의해 하강한다. 이 필터링 판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므로 그 구조 및 원리는 후술한다.
분쇄실(200)에는 분쇄수단(230)으로서 서로 엇갈리게 회전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기어군이 구성되며 이 기어군은 각각의 회전축에 의해 서로 반대로 회전하면서 상부로부터 하강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음식물쓰레기는 스테인레스 재료 등으로 만들어진 이 단단한 분쇄수단(230) 사이에 끼어서 으깨어지며 분쇄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기어 방식의 분쇄수단은 오래전부터 잘 알려진 구조이며 기어 방식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분쇄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쇄실을 거쳐 잘게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다시 중력에 의해 그 하부의 탈수실(300)로 하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잘게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탈수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중요 기능으로 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탈수실(300)에서 사용되는 탈수수단(310)은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해오던 피스톤 압착 방식의 탈수실과는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탈수실(300)에 장착되는 탈수수단(310)에 대한 사시도로서, 그 형태는 탈수실의 가로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진 드럼 형상을 기본 형태로 하고 있으며, 상기 드럼에는 역시 드럼의 가로길이와 동일한 가로길이를 가진 슬라이딩 플레이트(sliding plate) 수납홈(320) 4개가 드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 형상의 슬라이딩 플레이트(330)는 이 수납홈 내부에서 드럼의 회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돌출 및 후퇴를 반복할 수 있도록 수납되어 있다.
이러한 드럼 형태의 탈수수단(310)은 단면이 타원형이며 드럼 형상을 가진 상기 탈수실(300)에 장착되는데, 이 때 상기 탈수실(300)의 중심축과 상기 탈수수단(310)의 단면중심은 서로 일치하지 않고 도 2처럼 편심되게 조립된다. 이처럼 편심시켜 장착하는 이유는 탈수수단의 회전에 따라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점점 줄어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작동 방식은 도 4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상기 탈수수단(310)이 탈수실(300)에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하는 단계를 구분하여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분쇄 초기 단계에서 음식물쓰레기(30)가 탈수실(300)로 하강할 때 전술한 슬라이딩 플레이트들(a~d)이 도 4a처럼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그 후, 도 4b에서처럼 탈수수단(310)이 45도 정도 회전하면 슬라이딩 플레이트 a와 b사이에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들(30)이 수납되기 시작한다.
그 후, 도 4c처럼 탈수수단이 계속 회전하여 90도 정도 회전하면 음식물쓰레기(30)는 탈수실 측벽면과 슬라이딩 플레이트 a와 b 사이 및 드럼벽면에 의해 형성된 탈수방에 갇히게 된다. 또한 이 때부터 음식물쓰레기는 처음보다 줄어든 탈수방 용적내에서 압착되고 내부 물기들이 탈수구(350)를 통해 배출되기 시작한다(340).
이 단계에서 실제로는 후속 음식물쓰레기들이 슬라이딩 플레이트 a와 d 사이에 수납되지만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이를 도시하지 않는다.
그 후, 도 4d처럼 처음 위치에서 135도 만큼 탈수수단이 회전하면 음식물쓰레기가 갇힌 탈수방의 공간은 더욱 좁아지게 되고 더욱 강한 압착력으로 인해 더 많은 물기가 탈수구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후행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a가 탈수실 벽면부(360)를 긁고 지나가면서 탈수구를 막을 수도 있는 미세한 음식물쓰레기들을 탈수구로부터 긁어낸다. 따라서 종래 장치들과는 달리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탈수구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도시되지 않은 후속 음식물쓰레기의 탈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4e 정도로 탈수수단이 회전하면, 음식물쓰레기들은 최고의 압력으로 압착되면서 남은 물기들이 대부분 탈수구(350)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선행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b가 열리면서 배출구(400)를 통해 일부 탈수된 음식물쓰레기 조각들(40)이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또한 후행 슬라이딩 플레이트 a는 계속적으로 탈수실 벽면을 긁으면서 탈수구를 막고 있는 음식물쓰레기들을 제거한다.
그 후, 도 4f의 단계에 도달하면 처음에 장입되었던 음식물쓰레기들 대부분은 기계적으로 짤 수 있는 한도까지 탈수된 상태에서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탈수실 중심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된 드럼 형태의 탈수수단이 회전하면서 그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압착공간인 탈수방을 만들고, 편심회전에 의해 그 용적이 줄어들면서 가해지는 압착력으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물기를 제거하는 것을 기본적인 원리로 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탈수실 벽면부를 항상 긁고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탈수구를 막고 있는 미세한 음식물쓰레기들을 긁어내거나 또는 탈수실을 통해 이것이 완전히 바깥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탈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탈수구(350)는 종래의 탈수구와는 달리 외벽쪽으로 갈수록 그 넓이가 넓어지는 콘(cone)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탈수구를 막고 있던 미세한 음식물쓰레기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긁는 힘에 의해 탈수구 바깥 방향으로 밀려날 경우, 좀 더 쉽게 빠져나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f 단계에서 드럼 벽면에 붙어있을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가 드럼의 회전에 의해 다시 탈수실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회전하는 드럼 벽면을 긁어내는 수단인 드럼 클리너(410)가 탈수실을 구성하는 상부 커버(42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드럼 클리너는 그 단부가 날카로운 칼날 형상을 가진 형태로 드럼 표면에 밀착되어 드럼 회전력에 의해 붙은 음식물쓰레기를 긁어내는 것으로서, 상부 커버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부 커버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드럼이 회전하면 탈수실 벽면의 모양에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동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압착공간을 형성해야하며, 또한 이와 동시에 탈수구 청소를 위해 그 단부는 탈수실의 벽면을 긁고 지나가야 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작동을 위해서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면부가 탈수실 벽면쪽을 강하게 밀도록 하는 슬라이딩 수단이 존재해야 하며, 이러한 슬라이딩 수단을 구현하는 방식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면부를 탈수실 벽면쪽으로 끌어당기는 방식과 그 반대면인 후면부를 강한 힘으로 밀어주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슬라이딩 플레이트(330)의 후면부를 밀어주는 슬라이딩 수단에 대한 일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하면,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드럼의 중심 부분에 위치한 드럼 코아(51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배후면(520) 사이에 강력 스프링 등의 가요성 수단(530)을 배치하여 이를 밀어줄 수 있다. 탈수실 벽면을 긁으면서 지나가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탈수실 벽면과의 드럼과의 거리가 좁아지면 자연히 뒤로 밀리면서 후퇴하고 다시 그 간격이 넓어지면 가요성 수단(530)이 그 배후면(520)을 밀어주는 힘에 의해 다시 돌출되면서 계속 탈수실 벽면(360)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도 5b를 참조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면부(540)를 끌어주는 슬라이딩 수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탈수실의 벽면을 따라 가이드 홈(550)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면부(540)에 돌출부(560)를 형성하여 이 돌출부가 가이드 홈 내부에 동적으로 수납되도록 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도 5b는 탈수실 벽면 내부 상황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가이드 홈(550)을 탈수실의 측면벽에 형성하고 이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돌출부(560)를 슬라이딩 플레이트 전면부의 적어도 어느 한 측면, 바람직하게는 양쪽 측면 모두에 형성하여 드럼 동작시 항상 돌출부(560)가 가이드홈(550) 내부를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식물쓰레기에 강한 압착력을 주더라도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뒤로 밀리지 않으므로 전술한 도 5a의 실시예보다는 좀 더 확실하게 탈수실 벽면을 긁으면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캠(cam, 610) 방식으로 작동하는 탈수벽판(620)을 배출구 쪽에 형성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e에 도시된 탈수과정 중에는 이미 탈수방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중 선행하는 플레이트가 열려 있으므로 압착력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이 때의 음식물쓰레기의 압축 및 그에 따른 탈수 효율을 좀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임시로 이 탈수벽판(620)이 배출구 쪽을 막고 있다가 탈수가 끝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구쪽으로 배출할 때인 도 6b의 상황에서는 캠의 작동에 의해 이 탈수벽판이 하부로 밀려내려가면서 막혀있던 배출구가 열리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탈수벽판이 열리고 닫히는 주기는 탈수실 내의 공간 압축 비율에 따라 사전에 결정된 캠(610)의 회전속도에 의해 좌우된다. 또한 이처럼 탈수벽판이 존재하면, 배출구의 넓이를 크게 해도 압축력에 아무런 문제가 없으므로 탈수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탈수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속도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c는 전술한 탈수벽판의 작동을 제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앞의 실시예와는 달리 탈수벽판의 한쪽 면에 랙기어(rack gear, 630)를 형성하고 이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온 기어(piniom gear, 640)를 단부에 장착한 스텝 모터(stepping motor,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이 탈수벽판(620)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에도 탈수벽판이 열리고 닫히는 주기는 탈수실 내의 공간 압축 비율에 따라 사전에 결정된 스텝 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 주기에 의해 좌우된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탈수실내에 장착된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제공한 압력값에 따라 스텝 모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실시간으로 결정하여 모터 움직임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7은 전술한 필터링 판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 필터링 판(220)은 중심판 좌우에 날개 형태의 필터링 수단(710)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젓가락이나 숫가락 등의 길고 단단한 물체가 음식물과 같이 섞여 장입될 때 그 형태상 특징에 의해 이 물체들만 걸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이 필터링 판은 사용자가 실수로 분쇄장치에 손이 닿거나 하는 위험한 상황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필터링 판은 본 발명의 장치 장입구에 집어넣거나 뺄 수 있도록 탈착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 장치의 내부 수리가 필요한 경우, 장입구를 통해 부품을 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또한 사용자가 상기 필터링 판을 장치로부터 이탈시켜 이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의 분쇄 및 탈수와 탈수된 쓰레기의 배출이 일련의 공정으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양에 제한을 받지 않아 사용자의 편리성이 극대화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하면 종전의 처리장치와는 달리 탈수단계에서 분쇄된 음식물찌꺼기가 탈수구를 막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탈수구를 따로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장입구에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링 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의 단단한 이물질이 음식물쓰레기에 섞여 있더라도 이를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양한 구조적 특징은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가령. 상기 필터링 판의 구조는 도시된 형태 외에도 날개판의 배치나 각도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수단은 도시된 두 개의 기어군으로 이루어진 형태 외에도 헬리컬 형태의 기어를 사용하여 분쇄하거나 회전하는 축에 다수 개의 칼날을 구비하여 이 칼날들로 음식물을 분쇄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탈수수단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도시된 것처럼 4개의 판이 사용되는 경우 외에도 3개나 5개의 플레이트가 등각으로 배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레이트가 사용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충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해한 당업자라면 전술한 것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손쉽게 생각해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분쇄수단의 외관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작동하는 단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슬라이딩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탈수벽판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필터링 판에 대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장입구 200: 분쇄실
300: 탈수실 400: 배출구
30: 처리되기 전 음식물쓰레기
40: 처리 후 음식물쓰레기
310: 탈수수단 330: 슬라이딩 플레이트
350: 탈수구 360: 탈수실 벽면

Claims (10)

  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를 장입하는 장입구와;
    상기 장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을 구비한 분쇄실과;
    상기 분쇄된 음식물을 압착하여 탈수하는 탈수수단을 구비하며, 단면이 타원형으로서 그 벽면에는 탈수된 물기가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한 다수 개의 탈수구를 구비한 탈수실과;
    상기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및,
    상기 분쇄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에 각각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수단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드럼형상으로서 상기 타원형 탈수실의 중심에 대해 상기 원형 단면의 중심축이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전진 및 후퇴 운동을 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과, 각각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수납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탈수수단이 회전하면서 2개의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탈수실 벽면 및 상기 탈수수단의 드럼면으로 구성된 탈수방에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가둔 후, 상기 편심 회전이 계속되면 상기 탈수방의 용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압착되고 이 압착력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물기가 상기 탈수구를 통해 빠져나가며, 이와 동시에 상기 탈수방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중 후행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기 탈수구를 긁고 지나가도록 작동하고, 상기 탈수수단이 계속 회전하면 상기 탈수방의 선행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열리면서 상기 배출구로 상기 탈수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수단은 두 개의 이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단부가 맞물리는 기어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후부와 상기 수납홈 사이에 배치된 가요성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전면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탈수실 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탈수수단이 회전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홈 내부에 수납된 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구는 탈수실 내부에서 외부로 향할수록 그 단면 직경이 커지는 콘(cone)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된 후 계속 회전하는 상기 탈수수단의 드럼벽면을 청소하는 드럼 클리너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열린 후에도 계속 압착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탈수방의 한쪽면을 임시로 막아주는 탈수벽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벽판은 하부에 부착된 캠의 회전에 따라 돌출하면서 탈수방을 막아주고 후퇴하면서 탈수방을 열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벽판은 하부에 부착된 스텝모터의 회전에 따라 돌출하면서 탈수방을 막아주고 후퇴하면서 탈수방을 열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구에는 음식물쓰레기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리 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4-0009457A 2004-02-13 2004-02-13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53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457A KR100536467B1 (ko) 2004-02-13 2004-02-13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457A KR100536467B1 (ko) 2004-02-13 2004-02-13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422U Division KR200351629Y1 (ko) 2004-03-10 2004-03-1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280A KR20050081280A (ko) 2005-08-19
KR100536467B1 true KR100536467B1 (ko) 2005-12-14

Family

ID=3726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457A KR100536467B1 (ko) 2004-02-13 2004-02-13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401B1 (ko) * 2006-04-04 2007-09-11 이정국 음식물쓰레기 분쇄 건조장치
KR100830377B1 (ko) * 2006-10-26 2008-05-20 오인숙 웨지 와이어망제 협잡물 탈수장치
KR101523884B1 (ko) * 2014-09-30 2015-05-28 이대호 편심 구동 압착 탈수 방식을 이용한 로타리 탈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280A (ko) 200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452B1 (ko) 소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음식물 쓰레기내에함유된 수분 및 염분의 제거방법
KR100642670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클러치
KR20220110560A (ko) 미세플라스틱을 압축하는 미세플라스틱 콤팩터 및 방법
CN215089690U (zh) 一种垃圾处理回收装置
KR10053646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1629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5105885A (zh) 一种纺织污水处理装置
KR20070038082A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KR101033226B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 분리장치
CN110655224A (zh) 一种橡胶废气处理过程中废水处理设备
KR101458499B1 (ko) 스크류 프레스형 슬러지 탈수장치
KR10232619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9165924A (ja) 固液分離装置および生ごみ処理装置
JP2008155082A (ja) 固液分離装置および生ごみ処理装置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4939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2339813U (zh) 一种带甩干压饼功能的厨余垃圾处理器
KR101513549B1 (ko) 트윈 구동이 가능한 압착식 협잡물 탈수장치
KR10057872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장치
KR0179418B1 (ko)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130376A (ko) 소용량 음식물 건조처리기
KR20033350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RU24109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жима сока
JPH08173996A (ja) 汚物脱水装置
CN216156709U (zh) 一种阳光房用防堵塞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