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599B1 - 화물차용 적재함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599B1
KR100535599B1 KR10-2003-0070403A KR20030070403A KR100535599B1 KR 100535599 B1 KR100535599 B1 KR 100535599B1 KR 20030070403 A KR20030070403 A KR 20030070403A KR 100535599 B1 KR100535599 B1 KR 100535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s
guide
gate
locking membe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4482A (ko
Inventor
윤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5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4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swing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된 사이드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를 수직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화물 적재 및 하역 시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화물을 높이 적재할 때 로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화물차용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들을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동작만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적재에 필요한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작업자의 허리 부상 등의 위험을 배제한 화물차용 적재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 플로워(50)의 모서리에 직립 설치된 가이드 베이스(1)와, 상기한 가이드 베이스(1)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적층됨과 아울러 중간에 분할판(2)으로 구분되고 제1게이트(3)의 양단이 지지된 제1가이드(4)와, 상기한 제1가이드(4)의 분할된 한면에 내재됨과 아울러 제2게이트(5)의 양단이 지지된 제2가이드(6)와, 상기한 제1, 2게이트(3, 5)와 제1, 2가이드(4, 6)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1, 2게이트(3, 5)의 승강 높이를 간헐 고정하도록 설치된 록킹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용 적재함{Carrying box for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된 사이드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를 수직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화물 적재 및 하역 시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화물을 높이 적재할 때 로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화물차용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는 운전석이 설치됨과 아울러 엔진 등이 하부에 설치된 캡과, 상기한 캡의 후면에 설치되어 화물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적재함과, 상기한 캡 및 적재함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적재함은 화물 수납을 용이하게 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바, 상기한 적재함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워(50)의 측면과 후면에 다수의 경첩(51)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사이드 게이트(52) 및 테일 게이트(53)와, 상기한 게이트(52, 53)들의 사이에 설치되고 간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록킹 판넬(5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사이드 게이트(52) 및 테일 게이트(53)를 세운 상태에서 상기한 록킹 판넬(54)로 각 게이트(52, 53)들을 연결하게 되면 상기한 게이트(52, 53)들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적재함에 화물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적재함에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는 상기한 록킹 판넬(54)을 풀고 사이드 게이트(52) 및 테일 게이트(53)를 내린 후 적재함의 플로워(50)에 화물을 싣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게이트(52, 53)들은 화물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화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이 크게 박스형으로 제작됨과 아울러 비교적 무거운 중량을 갖도록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함을 이루는 사이드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를 경첩으로 설치하게 되면,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게이트들을 열고 닫는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게이트들을 열고 닫을 때 회전 궤적만큼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화물차의 적재 작업공간 점유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우 무겁게 제작되어 있는 게이트들을 작업자가 허리를 이용하여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허리 부상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게이트들을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동작만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적재에 필요한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작업자의 허리 부상 등의 위험을 배제한 화물차용 적재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 플로워의 모서리에 직립 설치된 가이드 베이스와, 상기한 가이드 베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적층됨과 아울러 중간에 분할판으로 구분되고 제1게이트의 양단이 지지된 제1가이드와, 상기한 제1가이드의 분할된 한면에 내재됨과 아울러 제2게이트의 양단이 지지된 제2가이드와, 상기한 제1, 2게이트와 제1, 2가이드의 사이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제1, 2게이트의 승강 높이를 간헐 고정하도록 설치된 록킹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적재함 접근이 용이하도록 제1게이트의 하단에 외측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상기 작업자가 딛고 올라설 수 있도록 된 스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a와 도1b와 도1c와 도2와 도3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을 도시한 측면도와 개략 평면도와 도2의 측면도와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화물차의 적재함 플로워(50)의 모서리에 직립 설치된 "ㄷ"자형의 가이드 베이스(1)와, 상기한 가이드 베이스(1)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적층됨과 아울러 중간에 분할판(2)으로 구분되고 제1게이트(3)의 양단이 지지된 제1가이드(4)와, 상기한 제1가이드(4)의 분할된 한면에 내재됨과 아울러 제2게이트(5)의 양단이 지지된 제2가이드(6)와, 상기한 제1, 2게이트(3, 5)와 제1, 2가이드(4, 6)의 사이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제1, 2게이트(3, 5)의 승강 높이를 간헐 고정하도록 설치된 록킹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제1, 2가이드(4, 6)의 사이에 각각 제1, 2게이트(3, 5)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 2게이트(3, 5)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재함의 사이드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록킹 수단은 가이드 베이스(1) 및 제1가이드(4)에 수직 방향으로 내재된 랙(7)과, 상기한 랙(7)에 대응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제1, 2게이트(3, 5)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공(8)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스프링(9)으로 지지된 록킹 부재(10)와, 상기한 록킹 부재(10)에 연결되어 있고 제1, 2게이트(3, 5)의 상단으로 연장되도록 로울러(11)로 지지되어 있는 와이어(12)와, 상기한 와이어(12)에 연결되어 이를 당길 수 있도록 설치된 손잡이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랙(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삼각형 단면형상을 이룬 록킹 부재(10)가 삽입되어 걸쳐지도록 상기 록킹 부재(10)의 방향으로 그 일면이 개방된 다수개의 직사각형 홈이 등간격을 이루고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손잡이부(13)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게이트(3, 5)의 상단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외측으로 절개부(14)가 형성된 설치공(15)과, 상기한 설치공(15)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함과 아울러 와이어(12)가 걸리도록 걸림턱(16)이 형성된 손잡이(1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스프링(9)은 제1, 2게이트(3, 5)의 양단에 형성된 수납부(18)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한 록킹 부재(10)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한 록킹 부재(10)의 일단에는 플랜지(19)가 형성되어 관통공(8)으로 록킹 부재(10)가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한 제1, 2가이드(4, 6)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도록 베어링(20)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화물을 싣기 위하여 상기한 제1, 2게이트(3, 5)를 가장 낮은 상태로 내리게 된다.
즉, 상기한 손잡이(17)를 잡고 상부로 당기게 되면, 상기한 걸림턱(16)에 걸려 있는 와이어(12)가 당겨지게 되는 바, 상기한 와이어(12)에 연결되어 있는 록킹 부재(10)가 당겨지게 된다.
록킹 부재(10)가 당겨지게 되면 록킹 부재(10)의 선단이 랙(7)에서 이탈되는 바, 랙(7)에서 록킹 부재(10)가 이탈되면 제1, 2게이트(3, 5)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 자재하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제1, 2게이트(4, 6)를 가이드 베이스(1)까지 내리게 된다.
제1, 2게이트(3, 5)가 가이드 베이스(1)까지 내려가게 되면 플로워(50)에 직접 화물을 싣기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바, 이 상태에서 화물을 실은 후 다시 작업자가 손잡이(17)를 잡고 당기게 된다.
손잡이(17)를 잡고 상부로 당기게 되면 와이어(12)가 당겨지면서 록킹 부재(10)가 랙(7)에서 이탈되고, 상기한 손잡이(17)를 잡은 상태로 제1게이트(3) 또는 제2게이트(5)를 당겨 올리게 된다.
제1, 2게이트(3, 5)가 일정 높이로 상향되면 상기한 손잡이(17)를 놓게 되는 바, 손잡이(17)를 놓으면 스프링(9)의 힘에 의해 록킹 부재(10)가 제1, 2가이드(4, 6)에서 돌출되면서 랙(7)과 맞물리게 된다.
랙(7)과 록킹 부재(10)가 맞물리게 되면 제1, 2게이트(3, 5)가 하향되지 않게 됨으로써, 적재함이 매우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사이드 게이트 또는 테일 게이트의 중량 때문에 이를 크게 만들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 2게이트(3, 5)를 당기기만 하면 됨으로써, 높이를 크게 해도 되고, 또한 2단으로 게이트가 직립되기 때문에 매우 높은 높이로 적재함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록킹 부재(10)의 상면을 경사지게 하면, 제1, 2게이트(3, 5)를 당기기만 하면 쉽게 제1, 2게이트(3, 5)가 상향되어 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된다.
또, 상기 손잡이의 역할은 상기 제1, 2게이트(3, 5) 자체의 형상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을 이루면서 그 상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13)의 손잡이(17)를 당겨 록킹 부재(10)를 랙(7)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상기 작업자가 제1, 2게이트(3, 5)의 상단부를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제1, 2게이트(3, 5)의 승/하강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록킹 부재(10)의 상면이 상기 랙(7)의 방향으로 가면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는 삼각형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제1, 2게이트(3, 5)의 상단부 만을 파지하여 상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1, 2게이트(3, 5)에 일체로 체결된 상기 록킹 부재(10)가 상기 제1, 2게이트(3, 5)과 동일한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록킹 부재(1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록킹 부재(10)의 경사진 상면이 랙(7)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룬 홈의 상단에 접해 상기 록킹 부재(10)의 경사진 상면에 압력이 가해지고, 상기 록킹 부재(10)의 경사진 상면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 록킹 부재(10)가 스프링(9)의 탄발력을 억압하면서 상기 제1, 2게이트(3, 5)의 내부로 합입되어 상기 제1, 2게이트(3, 5)가 상기 제1, 2가이드(4, 6)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작업자가 가압하는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또, 상기 작업자가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제1, 2게이트(3, 5)가 소정 폭 이동된 후에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제1, 2게이트(3, 5)의 상단부에 대한 가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제1, 2게이트(3, 5)에 대한 지지력이 폐지되면서 상기 제1, 2게이트(3, 5)가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하고, 이 제1, 2게이트(3, 5)의 하방향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1, 2게이트(3, 5)에 체결된 상기 록킹 부재(10)의 경사진 상면이 상기 랙(7)의 상단에 의해 더 이상 가압되지 않고 상기 랙(7)의 홈 상단에서 이격되면서 상기 록킹 부재(10)를 탄발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9)의 반력에 의해 상기 록킹 부재(10)가 상기 랙(7)의 홈 내로 이동되며, 이 록킹 부재(10)가 상기 랙(7)의 내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록킹 부재(10)의 하단면이 상기 랙(7)의 홈 하단에 안착되어 상기 제1, 2게이트(3, 5)의 하부가 소정위치에서 지지되면서 상기 제1, 2가이드(4, 6)에 걸쳐진다.
또한, 제1, 2게이트(3, 5)를 모두 상부로 올리게 되면 종래에 비해 게이트들의 높이가 매우 높아지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로프 등으로 화물을 묶지 않아도 안전하게 화물을 운송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1, 2게이트(3, 5)를 승강시킬 때 제1, 2가이드(4, 6) 및 게이트들(3, 5)의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20)에 의해 매우 작은 힘으로도 제1, 2게이트(3, 5)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1게이트(3)의 외측면 하단에 상기 제1게이트(3)와 수직을 이루는 외측방향으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을 이룬, 스텝(30)이 상기 제1게이트(3)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자가 딛고 올라서서 적재함에 대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텝(30)은 상기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판 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작업자가 발을 삽입하여 딛고 올라설 수 있도록 상기 제1게이트(3)의 하부에 반원형상을 이루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재함의 플로워 모서리에 승강 가능한 절첩된 제1, 2가이드 및 가이드 베이스를 설치하고, 여기에 록킹 부재 및 랙으로 간헐 위치 제한되는 제1, 2게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적재함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고 로프를 사용치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2 게이트를 승강시키는데 많은 힘이 소요되지 않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사이드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을 때 유발되는 작업자의 허리 부상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의 2단 닫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의 1단 닫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c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의 열림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2는 도1a에서 적재함만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3은 도1b에서 적재함 부분만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4는 도3에서 가이드부를 도시한 확대 평단면도,
도5는 도1a에서 손잡이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6은 도5의 개략 평면도,
도7은 일반적인 화물차의 적재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이드 베이스 2: 분할판
3: 제1게이트 4: 제1가이드
5: 제2게이트 6: 제2가이드
7: 랙 8: 관통공
9: 스프링 10: 록킹 부재
11: 로울러 12: 와이어
13: 손잡이부 14: 절개부
15: 설치공 16: 걸림턱
17: 손잡이 18: 수납부
19: 플랜지 20: 베어링
50: 플로워

Claims (5)

  1. 화물차의 적재함 플로워의 모서리에 직립 설치된 가이드 베이스와, 상기한 가이드 베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적층됨과 아울러 중간에 분할판으로 구분되고 제1게이트의 양단이 지지된 제1가이드와, 상기한 제1가이드의 분할된 한면에 내재됨과 아울러 제2게이트의 양단이 지지된 제2가이드와, 상기한 제1, 2게이트와 제1, 2가이드의 사이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제1, 2게이트의 승강 높이를 간헐 고정하도록 설치된 록킹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록킹 수단은 가이드 베이스 및 제1가이드에 수직 방향으로 내재된 랙과, 상기한 랙에 대응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제1, 2게이트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돌출되고 관통공으로 빠지지 않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록킹 부재와, 상기한 록킹 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제1, 2게이트의 양단에 형성된 수납부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과, 상기한 록킹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제1, 2게이트의 상단으로 연장되도록 로울러로 지지되어 있는 와이어와, 상기한 와이어에 연결되어 이를 당길 수 있도록 설치된 손잡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의 외측면 하단에 상기 제1게이트와 수직을 이루는 외측방향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스텝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손잡이부는 제1, 2게이트의 상단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외측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설치공과, 상기한 설치공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함과 아울러 와이어가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의 상면이 랙의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고 형성되고,상기 록킹 부재가 삽입되도록 록킹 부재의 방향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홈이 상기 랙에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KR10-2003-0070403A 2003-10-09 2003-10-09 화물차용 적재함 KR100535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403A KR100535599B1 (ko) 2003-10-09 2003-10-09 화물차용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403A KR100535599B1 (ko) 2003-10-09 2003-10-09 화물차용 적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482A KR20050034482A (ko) 2005-04-14
KR100535599B1 true KR100535599B1 (ko) 2005-12-08

Family

ID=3723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403A KR100535599B1 (ko) 2003-10-09 2003-10-09 화물차용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260B1 (ko) 2009-07-03 2011-12-12 위지웅 설치가 쉬운 화물차의 접이식 적재함 보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260B1 (ko) 2009-07-03 2011-12-12 위지웅 설치가 쉬운 화물차의 접이식 적재함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482A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3071C2 (ru) Большой контейнер
US5111950A (en) Shipping container
US8162190B2 (en) Ergonomic lift mechanism for a truck box
EP4177180A1 (en) Container
US9428097B2 (en) Latching/locking system for truck hoist mounted cargo pods
EP2157884B1 (en) Shelf-box-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ox of such system
KR100535599B1 (ko) 화물차용 적재함
EP2098456A1 (en) Collapsible container
WO2010075950A1 (en) Container with variable height
CN217918934U (zh) 钢制折叠托盘
CN115072125A (zh) 托盘箱
JP4011983B2 (ja) 二段床とステージ部を兼ね備えた荷箱
KR101484758B1 (ko) 어셈블리 박스용 측벽 및 어셈블리 박스
KR101010705B1 (ko) 상자형 파렛트
JP5083555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7211598B2 (ja) 組み立て式アルミニウムパレット用の積載された貨物の支持装置
JP4575090B2 (ja) 折り畳み容器
US20230391548A1 (en) Load handling system
KR102557640B1 (ko) 포장용 박스 지지대
KR200362677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KR100821067B1 (ko) 주상형 프로파일용 파레트
CN207000327U (zh) 用于卡车的集成梯架以及皮卡车
KR200189794Y1 (ko) 트럭용적재함
KR100321961B1 (ko) 화물차용 적재탑틀체
JPH07215628A (ja) ダムウェーターのかご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