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593B1 - 연료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593B1
KR100535593B1 KR10-2002-0078566A KR20020078566A KR100535593B1 KR 100535593 B1 KR100535593 B1 KR 100535593B1 KR 20020078566 A KR20020078566 A KR 20020078566A KR 100535593 B1 KR100535593 B1 KR 100535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uxiliary
fuel tank
tank
suppl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627A (ko
Inventor
손석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59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in-tank reservoirs or baffle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연료공급 시스템은 연료경고등이 계기판 상에 점등되어 있는 상황에서 얼마간의 거리를 더 주행했는지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하면 주유소를 찾지 못하여 연료부족에 의해 엔진이 정지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일단에 일정양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보조연료탱크를 형성하고, 상기 연료탱크 또는 보조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선택적으로 엔진에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수단 및 보조연료탱크의 사용시 일정 주행거리마다 연료부족상황을 운전자에게 경보해주는 수단을 형성하므로서, 연료탱크의 주연료가 부족할때 보조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이용하므로 엔진 꺼짐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보조연료탱크 이용시 일정 주행거리마다 운전자에게 경보하므로서 운전자가 신속히 연료를 주유할 수 있도록 한 연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공급 시스템{Fuel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연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탱크의 주연료가 부족할때 보조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이용하므로 엔진 꺼짐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보조연료탱크 이용시 일정 주행거리마다 운전자에게 경보하므로서 운전자가 신속히 연료를 주유할 수 있도록 한 연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공급시스템은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도 2 는 종래의 연료공급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일정양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연료의 출렁임을 줄여주기 위한 다수의 격막(2)이 형성되어 있는 연료탱크(1)가 구비되고, 이 연료탱크(1) 내부에 연료를 펌핑하기 위한 연료펌프(5)가 형성되며, 상기 연료펌프(5)에서 펌핑된 연료를 엔진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피드파이프(3)와 엔진에 공급되지 못한 연료가 다시 연료탱크(1)로 피드백되도록 하는 리턴파이프(4)가 연료탱크(1)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료공급시스템은 엔진 구동시 상기 연료펌프(5)가 구동하면서 연료탱크(1) 내의 연료를 펌핑하고, 상기 연료펌프(5)에 의해 펌핑된 연료는 피드파이프(3)를 통해 엔진으로 공급되며, 엔진으로 공급되지 못한 연료는 다시 리턴파이프(4)를 통해 연료탱크(1)로 피드백되면서 엔진으로 연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 내의 연료 부족에 의해 계기판 상에 연료경고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차량이 일정거리(수십킬로미터)를 더 주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종래의 연료공급 시스템은 연료경고등이 계기판 상에 점등되어 있는 상황에서 얼마간의 거리를 더 주행했는지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하면 주유소를 찾지 못하여 연료부족에 의해 엔진이 정지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고, 연료탱크 내에 적은 양의 연료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경사로를 오르거나 경사로에 주차된 차량을 시동할때 연료탱크 내의 연료가 일측으로 쏠리면서 연료펌프에 의해 연료가 펌핑되지 않아 엔진이 꺼지거나 시동이 걸리지 않게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일단에 일정양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보조연료탱크를 형성하고, 상기 연료탱크 또는 보조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선택적으로 엔진에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수단 및 보조연료탱크의 사용시 일정 주행거리마다 연료부족상황을 운전자에게 경보해주는 수단을 형성하므로서, 연료탱크의 주연료가 부족할때 보조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이용하므로 엔진 꺼짐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보조연료탱크 이용시 일정 주행거리마다 운전자에게 경보하므로서 운전자가 신속히 연료를 주유할 수 있도록 한 연료공급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연료펌프가 내부에 설치된 연료탱크와; 연료펌프에서 펌핑된 연료를 엔진측으로 공급하는 피드파이프와; 연료가 연료탱크로 피드백되는 통로가 되는 리턴파이프를 포함하는 연료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연료탱크의 일측 상단에 보조연료펌프를 구비한 보조연료탱크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연료탱크와 연결되도록 상기 각각의 피드파이프와 리턴파이프로부터 보조피드파이프와 보조리턴파이프를 연장 형성하여 연료탱크의 연료가 부족할때 보조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연료탱크는 연료주입구를 수용토록하고, 연료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연료가 연료탱크로 공급될 수 있도록 보조연료탱크의 측벽 상단에 오버플로우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드파이프와 리턴파이프의 연료탱크측에 각각 메인밸브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피드파이프와 보조리턴파이프의 보조연료탱크측에 각각 보조밸브를 형성하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인밸브와 보조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드파이프의 도중에 연료공급압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형성하고, 제어부는 압력센서에서 감지되는 연료압에 따라 메인밸브와 보조밸브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조연료탱크의 구동시부터 차량의 주행거리를 표시하는 제 2 주행게이지를 계기판상에 형성하고, 상기 제 2 주행게이지의 누적거리가 일정치에 도달할때마다 경보음을 출력하는 알람경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발명의 연료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0 은 일정양의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를 나타내며, 이 연료탱크(10)의 바닥면에는 연료의 출렁임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격막(11)이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연료를 펌핑하기 위한 연료펌프(12)가 연료탱크(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탱크(10)의 상단에는 연료펌프(12)에서 펌핑된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피드파이프(13)와 엔진에 공급되지 못한 연료가 연료탱크(10)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리턴파이프(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료탱크(10)의 내부 일측에 일정양의 연료를 저장하는 보조연료탱크(20)를 형성하고, 이 보조연료탱크(20)의 내부에 연료의 펌핑을 위한 보조연료펌프(22)를 형성하며, 상기 보조연료탱크(20)와 연결되도록 피드파이프(13)와 리턴파이프(14)로부터 보조피드파이프(23)와 보조리턴파이프(24)를 연장 형성하였다.
상기 피드파이프(13)와 리턴파이프(14)의 연료탱크(10) 측에 메인밸브(16)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보조피드파이프(23)와 보조리턴파이프(24)의 보조연료탱크(20)측에 보조밸브(25)를 각각 형성하여 메인밸브(16)와 보조밸브(25)의 선택적인 개방에 따라 연료펌프(12) 또는 보조연료펌프(22)에서 펌핑되는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조연료탱크(20)는 연료탱크(10)의 일측 상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료주입구(15)를 수용하도록 하고, 보조연료탱크(20)의 측벽 상단에 별도의 오버플로우홀(21)을 형성하므로서, 연료주유시 연료주입구(15)를 통해 유입되는 연료가 보조연료탱크(20)와 오버플로우홀(21)을 통해 연료탱크(10)로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항상 보조연료탱크(20)에 일정양의 연료가 저장되어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보조연료펌프(22)와 밸브(16,25)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압력센서(26)와 제어부(27)를 구성하였는데, 상기 압력센서(26)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드파이프(13)상에 설치되어 피드파이프(13)를 통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압을 감지하며, 제어부(27)는 상기 압력센서(26)에서 감지되는 연료압에 따라 보조연료펌프(22)를 구동시키게 된다.
운전석에 설치되는 계기판(30)에는 연료탱크(10)의 연료량을 표시하는 연료게이지(31),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연료에 의해 엔진이 구동할때의 주행거리를 표시하는 제 1 주행게이지(32), 보조연료탱크(20)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에 의해 엔진이 구동할때의 주행거리를 표시하는 제 2 주행게이지(33), 연료탱크(10) 내의 연료가 일정량 이하(부족상태)일때 점등되는 연료경고등(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연료탱크(20)에 저장된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시점부터 제 2 주행게이지(33)의 주행거리가 일정치에 도달할때마다 경보음을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알람경보기(28)가 구비되며, 상기한 알람경보기(28)는 제어부(27)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도록 설계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주유하게되면, 주유되는 연료는 연료주입구(15)를 통해 공급되어 1차적으로 보조연료탱크(20)에 차게되고, 보조연료탱크(20)로 주입된 연료는 오버플로우홀(21)을 통해 연료탱크(12)로 공급되게 되며, 이에의해 상기 보조연료탱크(20)에는 항상 일정양의 연료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보조연료탱크(20)와 연료탱크(10)에 모두 많은양의 연료가 저장되어 있을때 엔진이 구동하게되면, 먼저 연료탱크(10)에 설치되어 있는 연료펌프(12)가 동작하게되며, 이때 제어부(27)의 제어에 의해 보조밸브(25)는 오프된 상태이고 메인밸브(16)가 개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연료펌프(12)에 의해 펌핑된 연료는 피드파이프(13)를 통해 엔진으로 공급되어 차량이 주행하게되는 것이며, 연료펌프(12)에 의해 펌핑된 연료가 사용될때에는 계기판(30)의 제 1 주행게이지(32)를 통해 차량의 주행거리가 누적 표시된다.
한편, 일정시간 주행하여 연료탱크(10) 내의 연료가 부족해지게되면 연료경고등(34)이 점등되고, 압력센서(26)에서 감지되는 연료압이 기준치 보다 낮아지게되며, 제어부(27)는 상기와같은 상황을 인식하여 메인밸브(16)를 오프시키고, 보조밸브(25)를 오픈시킴과 동시에 보조연료탱크(20)의 보조연료펌프(22)를 구동시켜 보조연료탱크(20) 내의 연료가 펌핑되어 보조피드파이프(23)를 통해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연료탱크(10) 내의 연료가 부족하더라도 보조연료탱크(20)에 존재하는 연료로서 엔진이 일정시간 동안 더 구동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연료펌프(22)가 구동하기시작하면 제어부(27)는 제 2 주행게이지(33)를 작동시켜 이때부터 차량의 주행거리가 제 2 주행게이지(33)에 의해 누적 표시되게되며, 상기 제 2 주행게이지(33)의 누적거리가 일정거리(약 10Km)에 도달할때마다 알람경보기(28)가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한다.
상기 알람경보기(28)의 경보에 의해 운전자는 보조연료탱크(20)에 의해 차량이 구동한 상태에서 어느정도 주행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되며, 연료의 부족상황을 직시하여 한시라도 빨리 주유할 장소를 찾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같이 연료가 부족될때 보조연료탱크(20)에 저장된 연료를 사용하게되므로,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하더라도 연료의 꺼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되며, 또 차량을 경사로에 주차시켰다가 다시 시동할 때에는 엔진의 점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되는 것이다.
주유동작에 의해 연료탱크(10) 내에 일정양의 연료가 주입되면 연료경고등(34)이 오프되고, 이때 제어부(27)는 다시 메인밸브(16)를 열고 보조밸브(25)를 오프시켜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연료에 의해 엔진이 구동하도록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일단에 일정양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보조연료탱크를 형성하고, 상기 연료탱크 또는 보조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선택적으로 엔진에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수단 및 보조연료탱크의 사용시 일정 주행거리마다 연료부족상황을 운전자에게 경보해주는 수단을 형성하므로서, 연료탱크의 주연료가 부족할때 보조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이용하므로 엔진 꺼짐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보조연료탱크 이용시 일정 주행거리마다 운전자에게 경보하므로서 운전자가 신속히 연료를 주유할 수 있도록 한 연료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연료공급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 는 종래의 연료공급 시스템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탱크 11 : 격막
12 : 연료펌프 13 : 피드파이프
14 : 리턴파이프 15 : 연료주입구
16 : 메인밸브 10 : 보조연료탱크
22 : 보조연료펌프 23 : 보조피드파이프
24 : 보조리턴파이프 25 : 보조밸브
26 : 압력센서 27 : 제어부
28 : 알람경보기 30 : 계기판
33 : 제 2 주행게이지

Claims (5)

  1. 연료탱크(10)의 내부에 연료펌프(12)가 설치되고, 상기 연료펌프(12)에서 펌핑된 연료를 엔진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피드파이프(13)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탱크(10)로 피드백 되는 연료의 안내를 위한 리턴파이프(14)가 형성되며, 연료탱크(10)의 일측 상단에 보조연료펌프(22)를 구비한 보조연료탱크(20)를 형성하되, 상기 보조연료탱크(20)와 연결되도록 상기 각각의 피드파이프(13)와 리턴파이프(14)로부터 보조피드파이프(23)와 보조리턴파이프(24)를 연장 형성하여 연료탱크(10)의 연료가 부족할 때 보조연료탱크(20)에 저장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연료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피드파이프(13)와 리턴파이프(14)의 연료탱크(10) 측에 각각 메인밸브(16)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피드파이프(23)와 보조리턴파이프(24)의 보조연료탱크(20) 측에 각각 보조밸브(25)를 형성하며, 제어부(27)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인밸브(16)와 보조밸브(25)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료탱크(20)는 연료주입구(15)를 수용토록하고, 연료주입구(15)를 통해 주입되는 연료가 연료탱크(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보조연료탱크(20)의 측벽 상단에 오버플로우홀(2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파이프(13)의 도중에 연료공급압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6)를 형성하고, 제어부(20)는 압력센서(26)에서 감지되는 연료압에 따라 메인밸브(16)와 보조밸브(25)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연료탱크(20)의 구동시부터 차량의 주행거리를 표시하는 제 2 주행게이지(33)를 계기판(30)상에 형성하고, 상기 제 2 주행게이지(33)의 누적거리가 일정치에 도달할때마다 경보음을 출력하는 알람경보기(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 시스템.
KR10-2002-0078566A 2002-12-11 2002-12-11 연료공급 시스템 KR100535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566A KR100535593B1 (ko) 2002-12-11 2002-12-11 연료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566A KR100535593B1 (ko) 2002-12-11 2002-12-11 연료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627A KR20040051627A (ko) 2004-06-19
KR100535593B1 true KR100535593B1 (ko) 2005-12-08

Family

ID=3734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566A KR100535593B1 (ko) 2002-12-11 2002-12-11 연료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5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680A (zh) * 2018-01-30 2018-07-20 佛山市建金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副油箱的汽车油箱
CN108237898A (zh) * 2018-01-30 2018-07-03 佛山市建金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副油箱功能的货车油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7977U (ko) * 1987-09-21 1989-03-24
JPH1018930A (ja) * 1996-03-15 1998-01-20 Vdo Adolf Schindling Ag 車両の燃料タンク用表示装置および燃料タンク内の残存量を求める方法
KR19980029406A (ko) * 1996-10-25 1998-07-25 박병재 보조 주행거리계 표시장치
KR100245879B1 (ko) * 1997-08-13 2000-05-01 정몽규 수소자동차의 연료계 및 그 제어방법
JP2002195121A (ja) * 2000-12-26 2002-07-10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燃料系統自動切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7977U (ko) * 1987-09-21 1989-03-24
JPH1018930A (ja) * 1996-03-15 1998-01-20 Vdo Adolf Schindling Ag 車両の燃料タンク用表示装置および燃料タンク内の残存量を求める方法
KR19980029406A (ko) * 1996-10-25 1998-07-25 박병재 보조 주행거리계 표시장치
KR100245879B1 (ko) * 1997-08-13 2000-05-01 정몽규 수소자동차의 연료계 및 그 제어방법
JP2002195121A (ja) * 2000-12-26 2002-07-10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燃料系統自動切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627A (ko) 200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9283B1 (en) Fuel transfer pump and control
EP1214215B1 (en) Fuel transfer pump and control
US6467470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fuelling cold-start fuel tanks
EP1785389A1 (en) Vehicle with transmitter and fuel supply system with receiver
US20030056824A1 (en) Fuel transfer pump and control
US7940165B1 (en) Low fuel warning systems for a motorized vehicle
US9000905B2 (en) Auxiliary fuel tank
JPWO2010053045A1 (ja) 燃料タンク
KR100535593B1 (ko) 연료공급 시스템
US3390698A (en) Reserve fuel supply systems
JP5359472B2 (ja) 燃料供給装置
KR20070093956A (ko) 연료 종류 경보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주유 캡
US200700797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loss of prime in a diesel engine fuel system
CN201143886Y (zh) 一种汽车油箱
JP2006044401A (ja) 産業車輌におけるlpg燃料残量確認装置
KR100412797B1 (ko) 차량의 연료부족 경보장치 및 방법
KR20130063661A (ko) 연료 도난 및 누유 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100412851B1 (ko) 디젤엔진의 연료공급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0323088B1 (ko) 자동차의 연료량 검출 방법
KR20040081902A (ko) 차량의 급유 경고장치 및 방법
JP2514805B2 (ja) 車両の燃料残量警告装置
KR20150012444A (ko) 건설중장비용 연료탱크의 수분 배출시스템
KR19980054887U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KR20040089856A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KR19980064387U (ko) 자동차의 연료탱크내 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