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303B1 - 고체연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체연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303B1
KR100535303B1 KR10-2003-0005439A KR20030005439A KR100535303B1 KR 100535303 B1 KR100535303 B1 KR 100535303B1 KR 20030005439 A KR20030005439 A KR 20030005439A KR 100535303 B1 KR100535303 B1 KR 10053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combustion
weight
powder
fue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028A (ko
Inventor
이관섭
Original Assignee
이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섭 filed Critical 이관섭
Priority to KR10-2003-000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3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69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연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탄화야자껍질분말 65~75 중량%, 설탕, 메탄올, 장뇌, 디알파놀프탈레이트, 디노르말옥틸프탈레이트, 에텔셀룰로스로 조성되는 점질연소접착제 성분 20~35 중량%, 게르마늄석분말 5~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면 유연하면서도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고 순간착화가 용이하며, 지속적인 강한 연소로 연소회가 남지 않으며, 일정한 온도(250~300℃)를 1시간 이상 유지하면서도 독성가스 및 연기발생이 거의 없고, 원적외선이 다량발생하고, 고기의 맛을 향상시켜주며, 숯가루가 손에 묻지 않은 취사, 숯불구이, 훈제구이, 보온 등이 가능한 고체연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고체연료 조성물{Solid fuel composition}
본 발명은 고체연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화야자껍질분말을 이용하여 착화가 용이하고 지속적인 강한 연소로 발열량이 높으면서 연소회가 거의 남지 않고,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유독가스와 연기 및 냄새발생을 저감시키고, 고기의 맛을 향상시키며, 숯가루가 손에 묻지 않는 취사, 숯불구이, 훈제구이, 보온이 가능한 고체연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화여자껍질 분말은 입자 간 결합력이 전혀 없고 상호간 쉽게 탈리되는 특성 때문에 액체 착화제를 이용한 고형연료로 이용하기 곤란하며, 이제까지는 톱밥 또는 탄화야자껍질분말에 소정의 결합제와 순간착화성 화학제(질산바륨 또는 질산소다)를 첨가하여 고형연료를 제조하여 왔으나, 저장 및 운반시에 약한 충력에도 부서지기 쉽고, 독성가스와 냄새를 유발하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요식업계 또는 가정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없는 고체연료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고체연료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결과 탄화야자껍질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강한 연소로 발열량이 높으면서 연소회가 거의 남지 않고, 고기의 맛을 향상시키고 유독가스와 연기 및 냄새발생을 저감시켜주며, 숯가루가 손에 묻지 않는 고체연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고체연료 조성물은 하기의 조성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연소기재성분으로서 탄화야자껍질분말--- 65 ~ 75 중량%
(b) 다음 조성으로서는 점질연소접착제성분-- 20 ~ 35 중량%
㉮ 설탕 ------------------------------ 10 ~ 25 중량%
㉯ 메탄올 ---------------------------- 10 ~ 25 중량%
㉰ 장뇌 ------------------------------ 0.1 ~ 1 중량%
㉱ 에틸셀룰로스 ---------------------- 1 ~ 1.5 중량%
㉲ 디알파놀프탈레이트 ---------------- 0.1 ~ 1 중량%
㉳ 디노르말옥틸프탈레이트 ------------ 0.1 ~ 1 중량%
(c) 게르마늄석분말 ----------------------- 5 ~ 10 중량%
본 조성물에 있어서 탄화야자껍질분말은 폐기되는 야자껍질을 태워서 만든 숯 분말로서 수분함유량이 10%이하로 건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점질연소접착제 성분은 연소기재에 결합성, 착화성, 강한 연소, 고기의 맛 향상, 유독가스 및 연기 및 냄새 발생량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부가되는 것으로서 점질연소접착제 중에서 설탕의 당분은 접착성, 강한 화력과 숯불구이시 고기의 맛을 향상시켜 준다.
메탄올은 순간점화, 저온착화, 무연연료를 가능케 하며, 장뇌는 불꽃의 지속시간을 오래도록 유지시켜 연소기재의 강한 연소를 도우며, 에틸셀룰로스는 디알파놀프탈레이트, 디노르말옥틸프탈레이트와 함께 유연성, 성형안정성 및 연소기재의 외부에 피막을 형성하며, 수분유입을 방지하고, 숯가루가 손에 묻지 않게 하며, 게르마늄석 분말은 인체에 유효한 원적외선 발생량을 증가시키고 유독가스와 냄새 발생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이하 본 발명을 비한정적인 실시예의 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연소기재
8메쉬 - 40메쉬 범위로 체거름한 탄화야자껍질분말 65kg을 준비하였다.
2) 점질 연소접착제
설탕 15kg, 메탄올 10kg, 장뇌 100kg, 에틸셀룰로스 100g, 디알파놀프탈레이트 50g, 디노르말옥틸프탈레이트 50g, 게르마늄석분말 10kg을 교반하여 점질연소접착제를 준비하였다.
3) 고체연료의 제조
상기 1)과 2)에서 얻어진 연소기재와 점질연소 접착제를 교반한 다음 압축 성형하여 직경 10mm 구멍이 있는 원통형의 고체연료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고체연료는 성형 후 모양이 일정하며, 순간착화가 용이하고, 강력한 화력이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연소 시 연기가 나지 않으며,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고, 유독가스와 냄새발생이 저감되며, 숯가루가 손에 묻어나지 않고, 강력한 연소로 연소회가 거의 남지 않았으며,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지 않아서 착화가 잘되며, 보관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하여도 응고력이 저하되지 않고 강도를 유지하여 잘 부서지지 않는 것으며, 특히 고체연료 제조시 분진, 매연, 폐기물 등의 공해발생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탄화야자껌질분말, 점질연소접착제성분을 포함하며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고체연료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의 조성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조성물.
    (a) 연소기재성분으로서 탄화야자껍질분말--- 65 ~ 75 중량%
    (b) 다음 조성으로서는 점질연소접착제성분-- 20 ~ 35 중량%
    ㉮ 설탕 ------------------------------ 10 ~ 25 중량%
    ㉯ 메탄올 ---------------------------- 10 ~ 25 중량%
    ㉰ 장뇌 ------------------------------ 0.1 ~ 1 중량%
    ㉱ 에틸셀룰로스 ---------------------- 1 ~ 1.5 중량%
    ㉲ 디알파놀프탈레이트 ---------------- 0.1 ~ 1 중량%
    ㉳ 디노르말옥틸프탈레이트 ------------ 0.1 ~ 1 중량%
    (c) 게르마늄석분말 ----------------------- 5 ~ 10 중량%
KR10-2003-0005439A 2003-01-28 2003-01-28 고체연료 조성물 KR10053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439A KR100535303B1 (ko) 2003-01-28 2003-01-28 고체연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439A KR100535303B1 (ko) 2003-01-28 2003-01-28 고체연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028A KR20040069028A (ko) 2004-08-04
KR100535303B1 true KR100535303B1 (ko) 2005-12-09

Family

ID=3735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439A KR100535303B1 (ko) 2003-01-28 2003-01-28 고체연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3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555B1 (ko) * 2014-12-10 2016-12-19 양혜모 순간 점화가 용이한 고체연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028A (ko)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946B1 (ko) 친환경 연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탄의 제조방법
RU94011281A (ru) Состав горючего элемента
KR930000049A (ko) 끽연 용구의 연료 요소용 탄소질 조성물
RU2002106397A (ru) Искусственное полено для сжигания (варианты)
EP0720429A1 (en) Briquette containing aromatic pellets
US3689234A (en) Instantaneously ignitable solid fuel
KR100535303B1 (ko) 고체연료 조성물
US2876084A (en) Fuel composition
KR101550538B1 (ko)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
US20030217504A1 (en) Fuel gel
US4417900A (en) High temperature solid fire starter
KR20200009427A (ko) 숯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착화탄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86570A (ko) 고체연료 조성물
US4014348A (en) Smoking mixture
KR0144698B1 (ko) 고체연료 조성물
KR20050031310A (ko) 야자숯가루를 이용한 착화탄 및 그 제조방법
KR101978939B1 (ko) 고체 알코올 연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9038241A1 (en) Method for preparing solid carbonizing fuels using wood biomass
KR20050003585A (ko) 야자숯 및 그 제조방법
JP2007297425A (ja) 竹炭成形炭及びその製造方法
KR0153137B1 (ko) 고체연료 조성물 및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KR960009894B1 (ko) 청정 목탄연료
JP2007070331A (ja) ネギを含有する線香
BE1011334A6 (nl) Brandstof voor barbecue.
US3133799A (en) Charcoal-containing porous fuel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