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634B1 - 블루투스모듈 - Google Patents

블루투스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634B1
KR100533634B1 KR10-2003-0081667A KR20030081667A KR100533634B1 KR 100533634 B1 KR100533634 B1 KR 100533634B1 KR 20030081667 A KR20030081667 A KR 20030081667A KR 100533634 B1 KR100533634 B1 KR 100533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dule substrate
cover
fitting
bluetoot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867A (ko
Inventor
박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6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모듈에 관한 것으로, 소형 휴대단말기의 메인기판상에 구비되는 모듈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변의 선후단에 끼움부가 각각 절개형성되고, 상부면에 다수개의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사각판상의 모듈기판; 상기 끼움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부와 대응하는 변의 선후단에 ' ㄱ'자형 끼움턱을 형성하며, 상기 모듈기판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모듈기판의 상부면적을 전자부품이 실제 탑재되는 점유면적에 근접하도록 축소하여 휴대단말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모듈기판과 커버의 결합부위에 충분한 고정력을 확보하여 조립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블루투스모듈{A BLUETOOTH MODULE}
본 발명은 소형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모듈기판의 상부면적을 전자부품이 실제 탑재되는 점유면적에 근접하도록 축소하여 휴대단말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모듈기판과 커버의 결합부위에 충분한 고정력을 확보하여 조립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블루투스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는 통신기기 간의 기계적으로 취약하고 불편한 유선케이블을 대체할 수 있는 하나의 무선통신수단이며, 이는 휴대폰, PDA와 같은 소형 통신단말기와 노트북과의 즉각적인 네트워킹과 음성통신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그 적용범위는 핸드폰, 무선 헤드셋, 랜 억세스 포인트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조이스틱, PDA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로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휴대폰, PDA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의 경우 세트제품의 특성상 유저업체의 가장 큰 요구사항은 집적회로칩, LC필터, 쏘필터(SAW FILTER), 수정발진기, 발룬(Balun), 전력증폭기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기판상에 모듈화된 블루투스모듈을 단말기의 메인기판상에 최소의 점유공간을 차지하도록 탑재하여 세트제품을 소형화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블루투스모듈에 구비되는 모듈기판과 커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블루투스모듈에 구비되는 모듈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a)(b)(c)는 종래 블루투스모듈에 구비되는 커버를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및 정면도이다.
종래 블루투스모듈의 모듈기판(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마주하는 변에 요홈(12)을 각각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집적회로칩, LC필터, 쏘필터(SAW FILTER), 수정발진기, 발룬(Balun), 전력증폭기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부품이 탑재되어 미도시된 메인기판상에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듈기판(10)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전자부품들의 작동시 발생되는 유해한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들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커버(20)를 조립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커버(20)는 상기 모듈기판(10)의 요홈(12)과 대응하는 변에 끼움턱(22)을 수직하게 연장하고, 상기 끼움턱(22)의 내측면에는 상기 모듈기판(10)과의 조립시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엠보싱부(22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턱(22)의 좌우양측과 상기 끼움턱(22)이 형성되지 않는 커버(20)의 테두리에는 상기 모듈기판(10)과 커버(20)와의 조립시 상기 커버(20)가 모듈기판(10)측으로 과도하게 삽입되어 상기 커버(20)의 상부내면과 전자부품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단이 상기 모듈기판(10)의 상부면에 접하는 돌출턱(24)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모듈기판(10)의 요홈(12)은 상기 커버(20)의 끼움턱(22)을 대응시켜 끼움조립하여 이들은 서로 상하조립되고, 상기 커버(20)의 돌출턱(24)의 하부단이 상기 모듈기판(10)의 상부면 외측테두리에 접해짐으로써 상기 커버(20)의 끼움깊이를 전자부품과의 접촉이 발생되지 않도록 규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전자부품들이 탑재되는 모듈기판(10)의 상부면에는 기판설계시 상기 돌출턱(24)이 접하는 영역을 고려하여 기판면적을 설계해야만 하기 때문에 상기 전자부품들이 점유되는 면적(E)외측에 상기 돌출턱(24)이 점유하게 되는 여유면적을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고려해야할 여유면적만큼 모듈기판(10)상에서 전자부품이 점유하는 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모듈기판을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발생되어 블루투스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모듈기판(10)의 끼움홈(12)에 걸리는 엠보싱부(22a)의 고정력이 약하기 때문에 조립라인에서 완성된 블루투스모듈의 취급시 상기 커버(20)가 모듈기판(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이탈되는 조립불량을 빈번하게 유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모듈기판의 상부면적을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점유면적에 근접하도록 축소하여 블루투스모듈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모듈기판과 커버의 결합부위에 충분한 고정력을 확보하여 조립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블루투스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소형 휴대단말기의 메인기판상에 구비되는 모듈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변의 선후단에 끼움부가 각각 절개형성되고, 상부면에 다수개의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사각판상의 모듈기판;
상기 끼움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부와 대응하는 변의 선후단에 ' ㄱ'자형 끼움턱을 형성하며, 상기 모듈기판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을 마련함에 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턱은 상기 끼움부의 수직면에 탄력적으로 접하는 탄성편과 상기 모듈기판의 상부면에 하부단이 접하는 높이규제용 돌출편으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편은 상기 끼움부의 수직면과 대응하는 모서리에 산단면상의 칼날부를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편과 돌출편사이에는 상기 탄성편에 상기 끼움부의 수직면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절개홈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홈은 상기 탄성편과 돌출편사이에서의 집중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수 있도록 U자형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모듈기판의 상부면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모듈기판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전자부품중 일부를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모듈의 모듈기판과 커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모듈에 구비되는 모듈기판의 평면도이며, 도 6(a)(b)(c)(d)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모듈에 구비되는 커버의 평면도, 좌,우측면도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모듈(100)은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판상에 탑재되는 전자부품의 실제 점유공간(F)을 모듈기판(110)의 상부면적과 거의 유사하도록 모듈기판(110)과 커버(120)의 조립구조를 개선하고, 모듈의 취급시 모듈기판(110)로부터 커버(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안정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블루투스모듈(100)은 모듈기판(110), 커버(1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듈기판(110)은 소형화 설계를 도모하고자 하는 휴대폰단말기의 메인기판(미도시)상에 구비되는 사각판상의 기판부재로서, 상부면에 집적회로칩, LC필터, 쏘필터, 수정발진기, 발룬, 전력증폭기등과 같이 형태및 크기가 다양한 전자부품들이 탑재된다.
그리고, 사각판상의 모듈기판(110)의 4개의 변중 서로 마주하는 변의 선후단에는 몸체측으로 일부 절개되는 끼움부(112)가 각각 절개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120)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상부면에 탑재된 모듈기판(110)의 상부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덮는 보호부재로서, 상기 모듈기판(110)의 각 끼움부(112)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부(112)와 서로 대응하는 변의 선후단에 ' ㄱ'자형 끼움턱(122)을 돌출형성한다.
이러한 끼움턱(122)은 수평한 커버(12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모듈기판(110)의 상부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상기 끼움부(112)의 수직면에 탄력적으로 접하는 탄성편(122a)과 상기 모듈기판(110)의 상부면에 하부단이 접하는 높이규제용 돌출편(122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턱(122)을 구성하는 탄성편(122a)은 상기 모듈기판(110)과 커버(120)의 조립시 상기 끼움부(112)의 수직면을 따라 탄성편(122a)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끼움부(122)의 수직면과 대응하는 모서리에 선단이 산단면상의 칼날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규제용 돌출편(122b)의 하부단은 상기 모듈기판(110)의 수평한 상부면과 수평하게 접하도록 면접촉하도록 일직선상으로 절개되거나 상기 모듈기판(110)의 상부면과 점접촉하도록 산단면상으로 절개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끼움턱(122)의 탄성편(122a)과 돌출편(122b)사이에는 상기 모듈기판(110)과 커버(120)의 조립시 상기 끼움부(122)의 수직면을 따라 하방으로 삽입되는 탄성편(122a)에 상기 끼움부(112)의 수직면측으로 향하여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절개홈(123)을 형성한다.
여기서,상기 절개홈(123)은 상기 탄성편(122a)과 돌출편(122b)사이에 집중되는 집중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수 있도록 U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듈기판(110)의 각 변과 대응하는 커버(120)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모듈기판(110)의 상부면과 일정간격을 형성하도록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커트부(124)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스커트부(124)는 상기 모듈기판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전자부품중 일부 전자부품을 상기 모듈기판의 외측테두리에 근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자부품을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키는 노출부(124a)를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모듈기판(110)과 커버(120)를 서로 조립하는 작업은, 상부면에 형태및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전자부품이 탑재된 모듈기판(110)의 직상부에 상기 커버(120)를 배치한다.
이어서, 상기 모듈기판(110)의 서로 마주하는 변의 선,후단에 구비된 끼움부(122)와 상기 커버(120)의 외측테두리에 수직하게 형성된 끼움턱(122)을 서로 대응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120)를 모듈기판(110)에 대하여 직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끼움부(112)의 수직면에 접하는 끼움턱(122)의 탄성편(122a)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탄성편(122a)의 모서리에 형성된 산단면상의 칼날부가 상기 끼움부(112)의 수직면에 흠집을 내면서 이를 따라 억지끼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편(122a)에는 상기 끼움턱(122)에 형성된 절개홈(123)에 의해서 상기 끼움부(122)측으로 일정세기의 탄성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상기 끼움턱(122)과 끼움부(122)사이에는 확고한 고정력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끼움부(112)의 수직면을 따라 끼움턱(122)이 억지끼움되면서 상기 모듈기판(110)에 끼워지던 커버(120)는 상기 끼움턱(122)의 돌출편(122b)의 하부단이 상기 모듈기판(110)의 상부면과 접해질때 더이상의 삽입은 중단되고, 상기 모듈기판(110)과 커버(120)의 조립작업은 종료된다.
그리고, 상기 모듈기판(110)과 커버(120)의 조립시 상기 커버(120)의 각 끼움턱(122)이 상기 모듈기판(110)의 각 모서리부에 분산배치됨으로서, 종래 커버(20)의 돌출턱(22)이 배치되어 전자부품의 배치가 곤란하였던 상기 모듈기판(110)의 각변 중앙부위에 전자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120)의 외측테두리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커트부(124)에 노출부(122a)를 형성함으로서,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일부 전자부품을 상기 노출부(122a)에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의 배치시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듈기판과 커버의 결합위치를 모서리부로 분산배치하도록 끼움부와 끼움턱을 모서리에 형성하고, 일부 전자부품을 모듈기판의 외측테두리에 근접배치하도록 노출부를 형성함으로서,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모듈기판의 상부면적을 전자부품이 실제로 탑재되는 점유면적에 거의 근접하도록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휴대단말기에 탑재되는 블루투스모듈의 부피를 줄여 소형휴대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모듈기판과 커버의 결합부위에 고정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라인에서의 모듈취급시 기판과 커버가 서로 분리되는 조립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블루투스모듈에 구비되는 모듈기판과 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블루투스모듈에 구비되는 모듈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블루투스모듈에 구비되는 커버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며,
c)는 정면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모듈의 모듈기판과 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모듈에 구비되는 모듈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모듈의 커버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우측면도이고,
d)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블루투스모듈 110 : 모듈기판
112 : 끼움부 120 : 커버
122 : 끼움턱 122a : 탄성편
122b : 돌출편 123 : 절개홈
124 : 스커트부 124a : 노출부

Claims (7)

  1. 소형 휴대단말기의 메인기판상에 구비되는 모듈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변의 선후단에 끼움부가 각각 절개형성되고, 상부면에 다수개의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사각판상의 모듈기판;
    상기 끼움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부와 대응하는 변의 선후단에 ' ㄱ'자형 끼움턱을 형성하며, 상기 모듈기판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턱은 상기 끼움부의 수직면에 탄력적으로 접하는 탄성편과 상기 모듈기판의 상부면에 하부단이 접하는 높이규제용 돌출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끼움부의 수직면과 대응하는 모서리에 산단면상의 칼날부를 형성함을 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과 돌출편사이에는 상기 탄성편에 상기 끼움부의 수직면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절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탄성편과 돌출편사이에서의 집중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수 있도록 U자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모듈기판의 상부면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모듈기판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전자부품중 일부를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
KR10-2003-0081667A 2003-11-18 2003-11-18 블루투스모듈 KR100533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67A KR100533634B1 (ko) 2003-11-18 2003-11-18 블루투스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67A KR100533634B1 (ko) 2003-11-18 2003-11-18 블루투스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67A KR20050047867A (ko) 2005-05-23
KR100533634B1 true KR100533634B1 (ko) 2005-12-06

Family

ID=3724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667A KR100533634B1 (ko) 2003-11-18 2003-11-18 블루투스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573B1 (ko) 2016-09-09 202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쿡탑, 레인지 후드 및 그들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67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0326B2 (en) Contact terminal for printed circuit board
US7833056B1 (en) USB application device
US7824227B1 (en) USB application device with a flexible supporter under a printed circuit board
KR100664365B1 (ko) 푸쉬온 스위치
US7029308B2 (en) Socket for electronic module
US7914299B2 (en) USB application device
KR100581032B1 (ko) 전자부품부착용 소켓
US8439694B2 (en) Socket with pick up cap with a pivot having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US7442082B2 (en) Shielded connector with folding arrangement ensuring perpendicularity between sidewall and bottom wall of the metal housing
US7748995B1 (en) USB application device having a supporting portion projected from the inner bottom wall of the casing
US7559799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7049098A (ja) 回路モジュール、電池パック、及び回路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WO2004001901A1 (ja) 機器内収納型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組み入れた携帯端末
KR100533634B1 (ko) 블루투스모듈
US20070128914A1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KR100585298B1 (ko) 누름버튼 스위치
JP5765334B2 (ja) フレーム部材、フレームユニット、実装基板ユニット、及び製造方法
JP2003179377A (ja)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これを有する無線通信装置
JP5928415B2 (ja)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6171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안테나
JPH0818640A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3556432B2 (ja) シールドケース
JP4418378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TWI345439B (en) Chip card locking structure
KR100593923B1 (ko) 블루투스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