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632B1 -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 Google Patents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632B1
KR100530632B1 KR10-2003-0016571A KR20030016571A KR100530632B1 KR 100530632 B1 KR100530632 B1 KR 100530632B1 KR 20030016571 A KR20030016571 A KR 20030016571A KR 100530632 B1 KR100530632 B1 KR 100530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heating
assembly panel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959A (ko
Inventor
이실근
이희욱
Original Assignee
이실근
이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실근, 이희욱 filed Critical 이실근
Priority to KR10-2003-001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632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8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with heat sprea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09Radiators
    • F24D2220/2063Central heating radiators having heat storage material incorpo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이 간편하면서 냉난방효율이 우수한 양질의 조립판넬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판넬(100)을 구성하는 상부본체(200) 테두리에 걸림턱(211)이 형성된 돌출테(210)와 지지돌부(213)를 돌출구성하므로서 요입부(220)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요입부(220) 상에 냉온수 유도관(224)이 곡선형태로 배치되게 하되, 냉온수유도관(224)의 양측 단부가 돌출테(210) 양측에 구성된 배관홈(212)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Assembly panel for heating and air-conditioning by hot and cold water}
본 발명은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이 간편하도록 하여 시공 기술자가 아닌 일반인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냉난방 효율이 우수한 양질의 조립식 판넬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는 주로 전기히터를 이용한 난방장치이다.
따라서 전기히터를 이용한 난방장치는 전기열선이 조립식 판넬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립식 판넬을 난방하고자 하는 바닥에 조립식으로 깔아 설치하되, 각 조립식 판넬에 설치된 전기열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열선이 발열되면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조립식 판넬의 경우 전기열선의 발열에 의한 난방이므로 전기소모량이 많아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기열선의 발열에 의한 난방이므로 다량의 전자파가 발생하게 되므로 인체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될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물을 통한 채소 재배시 바닥 난방용이나 잔디구장의 가온 바닥재 및 건물 옥상의 정원 시설물의 가온 용도와 같이 물기가 많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문제를 시정하고자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장치를 구성하되 냉난방장치를 조립판넬로 구성하여 조립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므로서 시공 기술자가 아닌 일반인도 간단하게 조립 시공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비닐하우스나 잔디구장, 건물의 옥상 정원과 같은 시설물의 바닥에도 문제없이 시공하여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장치를 조립식 판넬로 구성되게 하되, 상기 조립식 판넬내에 유도관을 설치하되, 상기 유도관의 양측단부가 조립식 판넬의 측부로 돌출되게 하므로서 여러개의 판넬을 근접되게 위치시키면 측부로 돌출한 유도관이 서로 근접하여 이들이 서로 조립식으로 연결구성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로 여러개의 필요한 판넬이 조립식으로 구성되게 한다.
상기 조립식 판넬은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분리제작한 다음 상하부 본체가 열접착구성되게 하고, 상하부 본체 사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게함과 동시에 하부 본체 하단에도 원호형홈이 구성되게 하여 바닥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감소되게 한다.
상부 본체 상면 테두리와 중앙에는 돌출테와 지지돌부를 구성하여 상대적으로 요입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요입부에는 반구형홈을 구성하여 유도관이 끼워지게하고, 요입부에는 축열재를 충진하고 축열재가 충진된 상부 본체 상면에는 열확산판을 안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하는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100)은 상부 본체(200)와 하부 본체(300)로 구성되며 상부 본체(200) 및 하부 본체(300)는 폴리프로필렌수지를 발포하여 구성되게 하되, 발포 배율은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조립판넬(100)에 적용되는 하중이 무거울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저배율 발포하여 강도를 높게하고, 하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배율 발포하여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조립판넬(100)을 구성하는 상하부 본체(200)(300)의 재질은 여러 종류의 압축발포수지나, 목질 섬유판 및 목질 섬유성형체등 다양한 재질로 하여 성형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립판넬(100)의 형상은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형이상 다각형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부 본체(2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7내지 도 9는 상부 본체(200)의 사시도 및 평면구성도로서 사각형상의 상부 본체(200) 상면 테두리에 돌출테(210)를 구성하고, 돌출테(210) 내측에는 돌출테(210)보다 조금 낮은 걸림턱(211)이 구성되게 하고, 양측 돌출테(210) 중앙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요입된 배관홈(212)이 구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물굽이 형상으로 구성된 지지돌부(213)가 돌출 구성되게 하므로서 상대적으로 요입부(220)가 구성되게하며 요입부(220) 각 모서리부에는 나사공(214)이 뚫린 보강돌부(215)가 돌출 구성되게 한다.
상기 요입부(220) 중앙에는 반구형홈(222)이 태극문양으로 구성되어 있고, 반구형홈(222)의 양측단부는 돌출테(210) 중앙에 구성된 배관홈(212)의 통공(226)과 연결되게하고 상기한 구성의 상부 본체(200) 상면에는 열전달판(223)이 안치되게 하되, 상기 열전달판(223)의 형상이 상부 본체(200)의 상면 형상과 동일하게하여 열전달판(223)이 걸림턱(211)과 요입부(220) 반구형홈(222) 및 지지돌부(213)와 밀착되게 한다. 이때 열전달판(223)의 구성은 별도의 금속판으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나 열전달이 우수한 금속성분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무하여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요입부(220)에 구성된 반구형홈(222)에 냉온수가 흐를수 있게 구성한 유도관(224)을 설치하되, 유도관(224)의 양측 단부는 양측 돌출테(210)에 구성된 통공(226)을 통하여 배관홈(212)내에 돌출 구성되게 한다.
요입부(220)내에는 축열재(230)을 충진하되, 상기 축열재(230)는 열을 축열할 수 있는 황토나 게르마늄, 돌가루, 숯가루, 옥가루등과 같은 축열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축열재(230)는 원적외선방사기능과 축열기능이 있는 기능성소재인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요입부(220)내에 축열재(230)가 충진된 상태에서 그 위에 열확산판(240)을 안치하며 상기 열확산판(240)에는 관통공(241)이 뚫려 있다.
상기 열확산판(240)의 각 모서리와 양측 중앙부에는 절삭홈(242)을 구성하여 열확산판(240)을 상부 본체(200) 상면에 안치하게 되면 열확산판(240)의 테두리부분이 돌출테(210) 내측에 구성된 걸림턱(211)에 걸려 안치되고 동시에 중앙부는 상부 본체(200)의 상면에 돌출 구성된 지지돌부(213)와 보강돌부(21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열확산판(240)에 뚫린 체결공(243)에 나사못(도시안됨)을 이용하여 보강돌부(215)의 나사공(214)에 나사결합되게 하므로서 열확산판(240)이 상부 본체(200) 상면에 체결고정된다.
이때 상부 본체(200)의 요입부(220)에 충진되는 황토나 옥, 게르마늄 및 숯과 같은 기능성을 갖는 축열재(230)는 물에 반죽하여 적절한 점성을 갖는 상태에서 충진하여 경화되게 하므로서 취급도중 축열재(230)가 분말화되어 열확산판(240)의 관통공(241)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본체(200) 저면 바닥부(202)에는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구형홈(250)을 구성하고, 상부 본체(200) 각 모서리에는 체결공(204)이 뚫려지게 구성하여 상부 본체(200)을 구성한다.
상부 본체(200) 아랫쪽에 접합구성되는 하부 본체(3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부 본체(200)의 외형과 동일하게 사각형상으로 하부 본체(300)를 구성하되, 상면부(310)와 바닥부(320)에 다수개의 구형홈(350)(351)을 구성하고, 상기 구형홈(350)의 위치는 상부 본체(200) 저면에 구성된 구형홈(250)의 위치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하부 본체(300) 각 모서리에는 체결공(304)를 구성하되 상부 본체(200)의 체결공(204)과 나란히 일치되게 한다.
상기한 구성의 상부 본체(200)와 하부 본체(300)를 일체로 접합하게 되며 이때 접합수단은 여러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부 본체(200)의 바닥부(202)와 하부 본체(300)의 상면부(310) 표면을 가열한 다음 서로 접합하여 열융착되게 하므로서 상하부 본체(200)(300)사이에 구형홈(250)(350)에 의한 중공부(260)가 구성되게 한다.
본 발명의 조립판넬(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 9에서와 같이 상부 본체(200)의 돌출테(210)에 구성되는 배관홈(212)을 직각방향으로 교차되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구성의 조립판넬의 경우 조립판넬(100)을 직각방향으로 조립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하는 조립판넬(100)의 각 모서리부에 구성된 체결공(204)에는 조립판넬(1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조립판넬(100)을 구성하는 하부 본체(300)의 체결공(304)에 걸림편(331)이 형성된 지지관체(330)을 끼워 지지관체(330)의 상단부가 상부 본체(200)의 체결공(204) 윗쪽으로 돌출구성되게 하고, 체결공(204)을 관통한 지지관체(330)의 상단에 체결너트(332)를 나사결합하여 지지관체(330)가 조립판넬(100)의 각 모서리에 체결고정되게 한다.
지지관체(330)가 조립판넬(100)의 각 모서리에 체결고정된 상태에서 지지관체(330) 내면에 구성된 나사공에 승강조정나사봉(333)을 나사식으로 조립하여 체결고정되게 하고, 상기 승강조정나사봉(333) 내면에는 다시 통공(339)이 뚫린 지지편(334)을 끼워 지지편(334)의 상단부가 승강조정나사봉(333)의 상단 개방부(335) 내에 돌출구성되게 한 다음 너트(336)로 체결고정되게 한다.
이때 지지편(334) 하단에 구성된 받침판(337)과 승강조정나사봉(333) 사이에는 볼베어링(338)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관체(330)에 나사식으로 조립된 승강조정나사봉(333)을 회전시키면 승강조정나사봉(333)이 승강하면서 높낮이가 조정되며 이때 승강조정나사봉(333) 내면에 끼워진 지지편(334)은 회전하지 않고 승강조정나사봉(333)을 따라 승강만하게 되며 이는 승강조정나사봉(333)과 지지편(334)에 구성된 받침판(337) 사이에 볼베어링(338)이 있어 승강조정나사봉(333)이 회전하더라도 지지편(334)은 회전하지않고 승강만하게 되더라도 작동에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립판넬(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 13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구성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13에서와 같이 조립판넬(100)을 구성하는 상부 본체(200)의 요입부(220)에 구성되는 반구형홈(222)을 태극문양으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반구형홈(222)에 유도관(224)이 끼워져 위치되게 하므로서 냉온수의 흐름을 원만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조립판넬(100)을 구성하는 상부 본체(200)의 요입부(220)에 구성되는 반구형홈(222)을 태극문양으로 구성하되, 반구형홈(222)이 한번 더 감겨지게 구성하고 상기 반구형홈(222)에 유도관(224)이 끼워져 위치되게 하므로서 냉난방 면적을 넓게 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는 (400)은 연결관, (404)는 연결관커버, (410)은 냉온수 유입구, (412)는 냉온수 유출구, (414)는 냉온수 유입관, (416)은 냉온수 유출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판넬(100) 시공은 다음과 같이 된다.
먼저 한장의 조립판넬(100)을 시공하고자하는 바닥상에 먼저 깔아 설치하되, 조립판넬(100)에 구성된 유도관(224)의 단부가 조립하고자하는 또 다른 조립판넬(100)쪽으로 향하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유도관(224)의 단부가 위치한 쪽에 또 다른 조립판넬(100)을 깔아 설치하되, 양측 조립판넬(100)에 구성된 유도관(224)의 단부가 서로 대향되게 한다.
위에서와 같이 유도관(224)의단부가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도 12에서와 같이 연결관(400)을 이용하여 양측 유도관(224)이 서로 조립 연결되며 이때 견고하고 완전한 조립을 위하여 외면에 접착재를 고르게 도포한 다음 조립되게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때 연결관(400)은 열수축관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편리한 연결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유도관(224)의 양측 단부를 열수축관으로 구성된 연결관(400)을 끼운 다음 외면을 가열하면 연결관(400)이 수축하면서 유도관(224) 외면을 견고히 밀착하게 되므로 완전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도 12에서와 같이 바닥(408)상에 필요한 갯수의 조립판넬(100)을 정열하여 조립되게하고, 조립판넬(100)이 깔려지지 않는 바닥에는 별도의 발포수지로 압축 성형된 보조판넬(406)를 깔아 조립판넬(100)이 깔려지지 않는 부분을 처리함과 동시에 조립판넬(100)에 구성된 유도관(224)의 일측단부에 냉온수유입관(414)이 연결되게하고, 다수개의 조립판넬(100)에 구성된 유도관(224)과 연결된 마지막 조립판넬(100)의 유도관(224) 단부에는 냉온수유출관(416)을 연결되게 하되, 상기 냉온수 유입관(414) 및 유출관(416)은 보일러와 연결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바닥에 다수개의 조립판넬(100) 조립이 완료되면 각 조립판넬(100) 상에 수평기를 이용하여 수평상태로 조정한다.
이때 수평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조립판넬(100)의 일측이 낮게 측정될 경우에는 조립판넬(100)의 체결공(204)(304)에 끼워진 승강조정나사봉(333)을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조립판넬(100)의 일측이 낮을 경우에는 낮은 쪽에 위치한 승강조정나사봉(333)을 회전시키면 지지관체(330)에 끼워진 승강조정나사봉(333)이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나 볼베어링(338)에 의해 지지편(334)은 회전하지 않고 승강조정나사봉(333)을 따라 하강만 하게 되고, 따라서 조립판넬(100)의 낮은 쪽이 상승하게 되므로 조립판넬(100)의 수평상태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조립판넬(100)의 일측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승강조정나사봉(333)을 위와는 반대로 회전시켜 지지관체(330)에 나사조립된 승강조정나사봉(333)이 상승되게 하면 지지편(334)도 함께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조립판넬(100)의 높은 위치가 낮아지게 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전체 조립판넬(100)의 상태를 수평으로 조정한다.
바닥에 깔려진 다수개의 조립판넬(100)에 구성된 냉온수 유도관(224)이 연결관(400)을 통하여 연결완료되고, 동시에 조립판넬(100)의수평상태조정이 완료되면 각 조립판넬(100)의 냉온수 유도관(224) 연결을 위하여 연결공간을 제공하였던 배관홈(212)에 연결관 커버(404)를 끼워 하단에 구성된 절개부(406)내에 냉온수 유도관(224)의 연결부가 위치되게 하므로서 연결관 커버(404)에 의해 조립판넬(100)에 구성된 배관홈(212)이 메워지면서 나란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조립판넬(100)의 배관홈(212) 부분에 연결관 커버(404)가 끼워져 결합 완료되면 조립판넬(100) 위에 바닥재를 깔아 설치하므로서 바닥상에 조립판넬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때 조립판넬(100)상에 깔아지는 바닥재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장판이나 원목마루판, 돌판등 다양한 소재로된 바닥재를 깔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바닥상에 조립판넬(100)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난방을 위하여 보일러를 동작시키면 순환펌프(도시안됨)에 의해 온수가 순환하면서 난방이 이루어지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조립판넬(100)은 전문 시공기술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조립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시공하고자하는 바닥상에 조립판넬(100)을 근접하여 위치시킨 다음 조립판넬(100)의 배관홈(212)에 돌출 구성된 냉온수 유도관(224)을 연결관(400)으로 조립하고 상기 배관홈(212)에 연결관 커버(404)를 씌워 결합하고, 조립판넬(100)의 각 모서리에 구성된 승강조정나사봉(333)을 이용하여 조립판넬(100)의 높낮이를 조정하고 그 위에 원하는 종류의 바닥재를 깔아 시공하면 되므로 전문 시공 기술자가 아닌 일반인도 누구나 간단히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립판넬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하되 냉온수의 순환에 의해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난방유지비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설치장소에 관계없이 비닐하우스나 잔디구장, 건물의 옥상 정원시설물들의 바닥가온용으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각 조립판넬(100)에 설치된 냉온수 유도관(224)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꺽임없이 직선이나 완만한 곡선형태로 연결구성되어 있어 냉온수의 순환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특히 냉온수 유도관(224)이 조립판넬(100)내에서 완만한 곡선형태를 그리면서 전면에 고르게 배치되고 있어 냉온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뿐 아니라 조립판넬(100) 전면적을 고르게 난방하여 주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하는 조립판넬(100)은 신속한 난방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난방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난방이 된다.
즉 난방을 위하여 온수를 냉온수 유도관(224)내로 순환시키게 되면 1차적으로 냉온수 유도관(224)이 가열되고, 냉온수 유도관(224)이 가열되면 반구형홈(222)에 위치하고 있는 열전달판(223)이 가열되며 상기 열전달판(223)은 열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소재로 되어 있어 신속히 전면에 걸처 열이 전달된다.
상기 열전달판(223)의 전면에 열이 전달되면 조립판넬(100)의 돌출테(210)에 구성된 걸림턱(211)과 지지돌부(213)와 보강돌부(215)상에 위치한 열전달판(223)도 가열이 되고, 따라서 이와 접한 열확산판(240)에 열이 전달되므로 신속한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온수의 열이 열확산판(240)에 1차 전달이 완료된 다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조립판넬(100)의 요입부(220)내에 충진된 축열재(230)에도 서서히 열이 전달되면서 가열이 된다.
상기 축열재(230)에 열이 전달되는데에는 약간의 시간이 걸리게 되나 축열기능이 있어 한번 가열된 열은 쉽게 냉각되지 않고 장시간 지속시키게 되므로 가열을 위한 온수의 필요성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난방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립판넬(100)을 구성하는 상하부 본체(200)(300)의 재질은 단열성이 우수한 발포수지로 구성되어 있어 가열된 열이 아래로는 전달되지 않고 차단되므로 더욱 효과적인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축열재(230)는 황토나 세라믹 옥, 게르마늄 및 숯과 같은 기능성소재들로 혼합구성되어 있어 소재들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사될 뿐 아니라 가열이 되면 원적외선의 방사량이 늘어나게 되므로 그로인한 건강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소재들은 건강에 유해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는 수맥파를 차단하는 기능이 있고, 진드기나 바퀴벌레, 개미등과 같은 유해충의 서식을 방지하게 되므로 쾌적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조립판넬(100)은 발포수지로 된 상부 본체(200)와 하부 본체(300)를 열접착하여 구성하되, 상하부 본체(200)(300)사이에는 중공부(260)가 구성되어 있고 하부 본체(300)의 바닥부(320)에는 구형홈(351)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조립판넬(100) 윗쪽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이 아랫쪽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현격히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층간 소음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조립판넬(100)을 이용하여 냉방하고자할 경우에는 차거운 냉수를 냉온수 유도관(224)내를 순환시키게 되면 순환하는 냉수가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시키게 되므로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냉방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조립판넬(100)을 벽체 시공시 벽체내면에 시공설치하게 되면 실내의 냉난방효과를 증진시키게될 뿐 아니라 방음 차단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이때에도 냉온수의 순환은 순환펌프에 의한 강제순환방식이므로 냉온수의 순환에는 장애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냉난방을 위하여 조립판넬을 사용하되, 상기 조립판넬내면에 냉온수 순환용 유도관을 설치, 냉온수가 순환되게 하여 냉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냉온수가 순환 가능케 구성된 조립판넬을 이용하여서도 냉난방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조립판넬의 시공이 용이하게하여 일반인 누구나 쉽게 시공할 수 있게 구성함과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시공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효율적인 난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조립판넬의 단면구성도
도 2 : 도 1의 상태에서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분리한 상태도
도 3 : 본 발명의 일요부 단면구성도
도 4 : 도 3의 분해구성도
도 5 : 본 발명에 시공되는 유도관의 연결구성도
도 6 : 본 발명 조립판넬에 구성된 높낮이 조정부의 구성도
도 7 : 본 발명 상부본체의 사시도
도 8 : 본 발명 상부본체의 평면구성도
도 9 : 본 발명 상부본체의 타실시예의 평면구성도
도 10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확산판의 평면구성도
도 11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결관 커버의 사시도
도 12 : 본 발명 조립판넬을 이용한 시공상태도
도 13 : 본 발명 조립판넬의 타실시예의 평면구성도
도 14 : 본 발명 조립판넬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구성도
도 15 : 본 발명 조립판넬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조립판넬 (200)--상부본체
(210)--돌출테 (211)--걸림턱
(212)--배관홈 (213)--지지돌부
(214)--나사공 (215)--보강돌부
(220)--요입부 (222)--반구형홈
(224)--유도관 (230)--축열재
(240)--열확산판 (241)--관통공
(242)--절삭홈 (243)--체결공
(250)--구형홈 (260)--중공부
(300)--하부본체 (320)--바닥부
(330)--지지관체 (331)--걸림편
(332)--체결너트 (333)--승강조정나사봉
(334)--지지편 (335)--개방부
(336)--너트 (337)--받침판
(338)--볼베어링 (339)--통공
(350)(351)--구형홈

Claims (7)

  1.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판넬(100)을 구성하는 상부본체(200) 테두리에 돌출테(21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테에 의하여 둘러싸인 상부본체 상면이 요입부(220)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요입부(220) 상에는 냉온수유도관(224)을 곡선으로 이루어진 물굽이 형상이 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냉온수유도관(224)의 양측 단부는 돌출테(210) 양측에 구성된 배관홈(212)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냉온수유도관(224)이 설치된 요입부에는 축열재(230)을 반죽하여 충진시킨 후 경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220)상에 물굽이 형상으로 설치된 냉온수유도관(224) 사이에는 지지돌부(2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220) 상에 물굽이 형상으로 설치된 냉온수유도관(224) 아래에는 요입부(220)상에 반구형홈(222)이 형성되어 상기 냉온수유도관(224)이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220) 내에 충진된 축열재 상부에는 열확산판(24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220) 및 반구형홈(222)의 상면에는 열전달판(223)이 밀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200)의 저면 바닥부(202)에는 다수개의 구형홈(25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본체의 테두리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면부(310)의 상기 상부본체의 구형홈(250)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형홈(350)이 마주봄으로써 그 사이에 중공부(260)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KR10-2003-0016571A 2003-03-17 2003-03-17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KR100530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571A KR100530632B1 (ko) 2003-03-17 2003-03-17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571A KR100530632B1 (ko) 2003-03-17 2003-03-17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910U Division KR200317462Y1 (ko) 2003-03-17 2003-03-17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959A KR20040081959A (ko) 2004-09-23
KR100530632B1 true KR100530632B1 (ko) 2005-11-22

Family

ID=3736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571A KR100530632B1 (ko) 2003-03-17 2003-03-17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6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770B1 (ko) * 2019-11-06 2020-05-08 지대환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2826A (ja) * 1986-01-14 1987-07-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房パネル
JPH0198832A (ja) * 1987-10-08 1989-04-17 Fukuvi Chem Ind Co Ltd 床暖房装置
KR920010220A (ko) * 1990-11-10 1992-06-26 최익천 단열재부착식 난방배관용 파이프홀더 및 이를 사용한 패널형상의 난방배관블럭체
KR200274865Y1 (ko) * 2002-01-25 2002-05-13 김항년 난방용 조립판넬
KR20030064080A (ko) * 2002-01-25 2003-07-31 김항년 난방용 조립판넬 및 그 조립판넬에 삽입되는 축열소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2826A (ja) * 1986-01-14 1987-07-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房パネル
JPH0198832A (ja) * 1987-10-08 1989-04-17 Fukuvi Chem Ind Co Ltd 床暖房装置
KR920010220A (ko) * 1990-11-10 1992-06-26 최익천 단열재부착식 난방배관용 파이프홀더 및 이를 사용한 패널형상의 난방배관블럭체
KR200274865Y1 (ko) * 2002-01-25 2002-05-13 김항년 난방용 조립판넬
KR20030064080A (ko) * 2002-01-25 2003-07-31 김항년 난방용 조립판넬 및 그 조립판넬에 삽입되는 축열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959A (ko) 200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7852A1 (en) Modular elements for building roofs
US9410706B2 (en) Modular heating structure that can be fitted to the interior walls of buildings
KR102409179B1 (ko) 다중 축열 구들
KR100632177B1 (ko) 히트파이프를 내장하는 방열부재를 이용한건식바닥난방시공공법
KR200317462Y1 (ko)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KR100530632B1 (ko)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WO2004111544A1 (en) Indoor floor heating system
RU2215858C2 (ru) Элемент пол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устотелых полов с полостями для труб системы для обогрева и охлаждения помещ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элементов пола, а также группа элементов пола с этой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пластиной
KR101654157B1 (ko) 에어 순환용 입체구조를 가진 에어 순환 난방 매트
LV10529B (en) Radiant or radiant/ventilating air-conditioning prefabricated elements and air-conditioning installation including said elements
EP1609924A1 (en) Prefabricated building, floor element for such a buil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element
KR101177696B1 (ko) 무배관 온돌구조를 가진 층간 차음패널 및 그 조립체
US20040194919A1 (en) Air hypocaust structure for cooling and/or heating
KR100684637B1 (ko) 히트파이프를 내장하는 방열패널 및 이의 받침대
JP2005201601A (ja) 建物の暖房システム。
KR200384608Y1 (ko) 온수 방열판
JP6541740B2 (ja) 床下空調装置
KR200163491Y1 (ko) 견운모의 소재를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 온수 온돌 난방 조립식 판넬 시스템
KR102484392B1 (ko) 냉온조절기능을 구비한 목재패널
JPWO2006118336A1 (ja) 健康補助装置
KR101617939B1 (ko)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00012295A (ko) 조립식 난방패널
JP2012241409A (ja) 冷暖房システム
KR101163951B1 (ko) 공기 유입관을 구성한 통풍프레임
KR20040052549A (ko) 히트파이프를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