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538B1 - 볼터치용 브러쉬 - Google Patents

볼터치용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538B1
KR100530538B1 KR10-2004-0018040A KR20040018040A KR100530538B1 KR 100530538 B1 KR100530538 B1 KR 100530538B1 KR 20040018040 A KR20040018040 A KR 20040018040A KR 100530538 B1 KR100530538 B1 KR 10053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owder
cap
nozzle cap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912A (ko
Inventor
임병선
Original Assignee
임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선 filed Critical 임병선
Priority to KR10-2004-001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538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분체수용공간에 보관되는 분체가 안내봉에 의해 분체배출공으로 안내되어 배출되고, 이어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선단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노즐캡과 파지부의 결합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브러쉬 내부에 위치한 노즐의 배출구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볼터치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볼터치용 브러쉬는 분체가 배출되는 볼터치용 브러쉬에 있어서, 브러쉬(112)가 형성된 브러쉬캡(110);과, 분체가 배출되는 노즐(122)이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캡(110)의 후단에 고정되는 노즐캡(120);과, 분체가 수용되는 분체수용공간(132)을 형성하고 선단에 분체배출공(134)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캡(120)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파지부(130);와, 상기 파지부(130) 후방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마개(140); 및, 스크류(152)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캡(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파지부(130)의 선단에 고정되는 배출작용체(150);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볼터치용 브러쉬{Dressing brush}
본 발명은 분체수용공간에 보관되는 분체가 안내봉에 의해 분체배출공으로 안내되어 배출되고, 이어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선단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노즐캡과 파지부의 결합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브러쉬 내부에 위치한 노즐의 배출구로 원활하게 배출되며, 스크류를 통해 분체가 이동하게 되므로 휴대시에는 분체가 과도하게 배출되지 않아 휴대가방이나 용기등을 오염시키지 않는 볼터치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어온 볼 터치용 화장솔로는 몸체에 화장솔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볼터치나 마스카라시에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져 있는 화장솔을 인출시켜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져 있는 분체를 배출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어온 볼터치용 화장솔은 몸체의 일측에는 화장솔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분체를 밀어주는 에어밸브를 설치하였는 바, 상기의 볼터치용 솔은 몸체의 후미에 설치된 누름구를 눌러 분체를 배출시킨 다음 솔을 이용하여 볼에 분을바르는 방법이였기 때문에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밸브로 인하여 제조단가가 고가이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볼 터치용 화장솔은 분체를 인출할때 에어가 미는 힘에 의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많은 량의 분이 배출됨으로서, 분체가 솔의 바깥부분으로 떨어져 분을 낭비하기도 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솔의 분체 토출장치는 실용신안등록제224633호로 등록되어 있다.
이 고안은 첨부 도면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솔이 매설되고 분체 배출구와 분체수용공간을 형성한 브러쉬체와, 브러쉬체 후단에서 연결되고 분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쇠구슬이 내장된 본체와, 이 본체 선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브러쉬체와의 사이에 브러쉬 커버를 출몰가능하게 수용한 브러쉬 커버체와, 브러쉬캡 및 후방마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고안의 분체 배출원리는 분체가 수용된 공간에 분체와 쇠구슬을 함께 내장하여 브러쉬 본체의 유동에 의하여 쇠구슬이 유동함에 따라 배출공 내측 인출구를 개폐하는 원리로 분체를 배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분체가 배출되는 볼 터치용 화장솔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가 있다.
먼저, 분체 수용공간내에 수용된 분체가 꽉찬 경우 구슬의 이동이 어려워 사용자는 브러쉬 전체를 전,후,좌,우로 심하게 흔들게 되는 번거로움은 물론 심하게 흔들어 줌에 따라 분체의 배출량이 불필요하게 과다 배출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어느 정도 사용이 되어 구슬의 이동이 가능하더라도 수직상태에서는 분체 배출이 막힐 뿐만아니라 구슬과 무관하게 분체가 배출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이러한 볼 터치용 브러쉬는 구조적으로 또 다른 문제점과 불편함을 갖기도 한다. 즉, 분체 수용공간에서 배출구측으로 맞뚫려 있는 배출구 직경이 지나치게 넓으면 분체의 배출량이 많고, 직경이 좁으면 배출중 막혀버리는 등의 분체배출구조의 정확한 설계가 어려움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볼터치용 브러쉬의 제품 유통과정 또는 휴대시 내부의 분체가 노즐을 통해 유출되어 제품보관함 내부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수용 보관되는 분체의 배출이 원활하면서도 과다배출이 되지 않는 볼터치용 브러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휴대보관시에는 분체가 배출되지 않아 휴대보관하는 가방등을 오염시키지 않는 볼터치용 브러쉬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는 분체가 배출되는 볼터치용 브러쉬에 있어서, 브러쉬가 형성된 브러쉬캡;과, 분체가 배출되는 노즐이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캡의 후단으로 고정되는 노즐캡;과, 분체가 수용되는 분체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선단에 분체배출공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캡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 후방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마개; 및, 스크류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캡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파지부의 선단에 고정되는 배출작용체;를 포함하는 볼터치용 브러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의 상기 파지부는 선단측 결합면 내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노즐캡은 후단 결합면 외측에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안내홈과 멈춤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의 상기 노즐캡의 안내홈과 멈춤홈은 다수 형성되어 회전에 단계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의 상기 노즐캡의 내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의 선단에는 상기 노즐캡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는 브러쉬캡(110)과, 상기 브러쉬캡 후방에 고정되는 노즐캡(120)과, 상기 노즐캡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130)와, 파지부의 후방 개구측을 개폐시키는 마개(140) 및, 상기 파지부(130)의 선단에 고정되어 분체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작용체(150)로 구성된다.
상기 브러쉬캡(110)은 선단에 브러쉬(112)를 형성하고 후방으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노즐캡(120)은 선단에 노즐(122)을 형성하고 후방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용공간 내측 노즐입구측에 경사면(124)을 형성하며, 후단 결합면 외측에 안내홈(126)과 멈춤홈(128)을 다수 형성한다.
상기 파지부(1300는 상기 노즐캡(120)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중앙내측에 분체수용공간(132)을 형성하고, 선단 결합면 내측에 상기 노즐캡(120)의 안내홈(126)과 멈춤홈(128)에 삽입되는 돌기(138)가 형성되고, 선단 중앙에 삽입공(135)이 형성되고 그 주변으로 분체배출공(134)이 다수 형성되며, 후단 개구측에는 나선(136)이 형성된다.
상기 마개(140)는 상기 파지부(130)의 후단 개구측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파지부(130)의 후단에 형성된 나선(136)에 나사결합하도록 내측으로 나선(142)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작용체(150)는 몸체의 외측으로 스크류(152)가 형성되고, 선단측에 상기 노즐캡(120)의 경사면(124)에 대응하는 경사부(154)가 형성되며, 후단에 상기 파지부(130)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공(135)에 삽입되는 안내봉(156)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분체배출장치가 구비된 볼터치용 브러쉬의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3은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4a, 4b는 도 2의 "A"부분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단면도들이다.
상기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는 선단에 브러쉬(112)가 형성된 브러쉬캡(110)의 후방으로 노즐(122)이 브러쉬(112)내에 위치하도록 노즐캡(120)이 고정되고, 이 노즐캡(120)의 후방으로는 분체수용공간(132)에 분체를 수용한 파지부(130)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이 파지부(130)의 후방 개구측에는 마개(140)가 나선(136,142)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파지부(130)의 선단측 분체배출공(134)과 함께 형성된 삽입공(135)에 배출작용체(150)의 후방에 형성된 안내봉(156)이 삽입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작용부(150)의 몸체 외측에 형성된 스크류(152)는 선단부분에서 단부를 향해 좁아지는 경사부(154)가 상기 노즐캡(120)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13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배출작용체(150)의 선단이 노즐(120)의 입구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캡(120)의 후방 조립면 외측으로는 안내장홈(126)과 함께 멈춤홈(128)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130)의 결합면 내측에 형성된 돌기(138)에 의해 회전에 단계가 부여되도록 조립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는 사용시 한손으로 노즐캡(120)에 고정된 브러쉬캡(110)을 붙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파지부(130)를 잡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파지부(130)의 선단에 고정된 배출작용체(150)의 스크류(152)의 회전작용과 노즐캡(120)과 파지부(130)의 결합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분체가 노즐(122)로 이송되는 것이다.
즉, 상기 파지부(130)의 분체수용공간(132)내에 수용되어있는 분체가 삽입공(135)을 통해 분체수용공간(132) 내로 삽입된 안내봉(156)에 의해 분체배출공(134)으로 안내되어 배출작용체(150)의 스크류(152)내로 유입되면, 상기의 회전작용에 의해 분체가 스크류(152)를 타고 배출작용체(150)의 선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캡(12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파지부(130)의 결합면 내측에 돌출형성된 돌기(138)가 노즐캡(120)의 결합면에 형성된 안내홈(126)을 따라 이동하다가 안내홈(126) 단부에서 돌출된 턱을 넘어 멈춤홈(128)에 걸려지게 되는데, 이때 회전진행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어 상기 배출작용체(150)의 스크류(152) 사이에 위치한 분체의 뭉침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체의 배출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노즐캡(120)의 안내홈(126) 및 멈춤홈(128)은 노즐캡(120)의 후방 결합면에 다수 형성하여 회전중에 진동이 여러차례 발생되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 파지부(130)의 결합면 내측에 형성된 돌기(138)는 상기 다수 형성되는 멈춤홈(128)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게 함으로써 진동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배출작용체(150)의 스크류(152)를 타고 노즐(122)입구까지 이동한 분체는 노즐캡(120)의 내측 경사면(124)에 대응하도록 스크류(152)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부(154)를 통해 노즐(122)로 유입된다.
따라서 분체수용공간(132)에 보관되는 분체가 안내봉(156)에 의해 분체배출공(134)으로 안내되어 배출되고, 이어서 스크류(152)의 회전에 의해 선단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노즐캡(120)과 파지부(130)의 결합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뭉침없이 브러쉬(112) 내부에 위치한 노즐(120)의 배출구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특징이 있으며, 스크류(152)를 통해 분체가 이동하게 되므로 휴대시에는 분체가 과도하게 배출되지 않아 휴대가방이나 용기등을 오염시키지 않는 장점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는 스크류를 회전시켜 분체를 이송시키면서 분체의 뭉침을 방지하도록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분체의 토출이 원활함과 동시에 과다토출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는 스크류에 의해 분체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휴대보관시에는 분체가 배출되지 않아 휴대보관하는 가방등을 오염시키지 않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분체가 배출되는 볼 터치용 브러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볼터치용 브러쉬의 결합단면도,
도 5a, 5b는 도 2의 A부분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브러쉬캡 112:브러쉬
120:노즐캡 122:노즐
124:경사면 126:안내홈
128:멈춤홈 130:파지부
132:분체수용공간 134:분체배출공
135:삽입공 136:나선
140:마개 142:나선
150:배출작용체 152:스크류
154:경사부 156:안내봉

Claims (4)

  1. 분체가 배출되는 볼터치용 브러쉬에 있어서,
    브러쉬(112)가 형성된 브러쉬캡(110);
    분체가 배출되는 노즐(122)이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캡(110)의 후단에 고정되는 노즐캡(120);
    분체가 수용되는 분체수용공간(132)을 형성하고 선단에 분체배출공(134)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캡(120)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파지부(130);
    상기 파지부(130) 후방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마개(140); 및,
    스크류(152)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캡(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파지부(130)의 선단에 고정되는 배출작용체(150);를 포함하는 볼터치용 브러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30)는 선단측 결합면 내측에 돌기(138)를 형성하고, 상기 노즐캡(120)은 후단 결합면 외측에 상기 돌기(138)에 대응하는 안내홈(126)과 멈춤홈(12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터치용 브러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캡(120)의 안내홈(126)과 멈춤홈(128)은 다수 형성되어 회전에 단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터치용 브러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캡(120)의 내측에는 경사면(124)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작용체(150)의 스크류(152) 선단에는 상기 노즐캡(120)의 경사면(124)에 대응하는 경사부(1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터치용 브러쉬.
KR10-2004-0018040A 2004-03-17 2004-03-17 볼터치용 브러쉬 KR10053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040A KR100530538B1 (ko) 2004-03-17 2004-03-17 볼터치용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040A KR100530538B1 (ko) 2004-03-17 2004-03-17 볼터치용 브러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912A KR20050092912A (ko) 2005-09-23
KR100530538B1 true KR100530538B1 (ko) 2005-11-22

Family

ID=3727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040A KR100530538B1 (ko) 2004-03-17 2004-03-17 볼터치용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495B1 (ko) 2012-05-07 2013-01-16 (주)게릿코퍼레이션 화장용 전동 브러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495B1 (ko) 2012-05-07 2013-01-16 (주)게릿코퍼레이션 화장용 전동 브러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912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3016B2 (en) Material dispenser with applicator
EP1803368A1 (en) Cosmetics Case
EP1195106A1 (en) Cosmetic brush assembly
JP2004522651A (ja) ブラシを備えるねじ込みふた
JP2007209743A (ja) 化粧用ブラシ
US5769585A (en) Toothbrush with toothpaste
JPS6279010A (ja) 伸縮自在のブラシを具えたマスカラアプリケ−タ−
KR100530538B1 (ko) 볼터치용 브러쉬
US20040084343A1 (en) Liquid lipstick case
KR101089423B1 (ko) 파우더의 배출을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된 화장용 브러쉬
US10709231B2 (en) Rotary scrubber
JP3202178B2 (ja) 化粧料塗布容器
JP3068433B2 (ja) 刷子付き化粧用具
KR200473460Y1 (ko)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JP2018075363A (ja) 化粧品の密封容器
KR100530537B1 (ko) 분체배출장치가 구비된 볼터치용 브러쉬
JP5409051B2 (ja) 化粧料用塗布具
KR20060060532A (ko) 매니큐어
JPH0637772Y2 (ja) 液体化粧料等の収納容器
KR200350245Y1 (ko) 누름버튼식 겔상 화장품 용기
KR200255523Y1 (ko) 휴대용 치솔
CN109849555B (zh) 一种集笔、墨、砚于一体的组合化毛笔
KR200468389Y1 (ko) 화장품 내용물 배출용기
JP4331935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KR20030054739A (ko) 분체가 배출되는 볼 터치용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