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213B1 -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213B1
KR100530213B1 KR10-2003-0098582A KR20030098582A KR100530213B1 KR 100530213 B1 KR100530213 B1 KR 100530213B1 KR 20030098582 A KR20030098582 A KR 20030098582A KR 100530213 B1 KR100530213 B1 KR 100530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est
administra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7592A (ko
Inventor
양순길
Original Assignee
양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순길 filed Critical 양순길
Priority to KR10-2003-0098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213B1/ko
Publication of KR2005006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2Cassia, e.g. golden show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4Orobanchaceae (Broom-rap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6Morin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명자, 숙지황, 복령, 우슬, 산약, 육종용, 파극천, 육계, 음양곽, 보골지, 황기, 당귀, 두충, 저실자, 원지, 석창포, 산수유, 생강, 대추등 19 종의 식물생약을 함유한 정신집중력을 강화시켜주고, 순간기억능력과 장기기억능력을 증진시켜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udying capability and its process}
본 발명은 생약제를 이용하여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결명자, 숙지황, 복령, 우슬, 산약, 육종용, 파극천, 육계, 음양곽, 보골지, 황기, 당귀, 두충, 저실자, 원지, 석창포, 산수유, 생강, 대추 와 같은 19 종의 생약을 함유하는 학습능력 향상용 약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집중력을 강화시켜주고, 학습의 중요한 요소인 순간기억 능력과 장기기억 능력을 증진시켜 주어 학습능력 향상효과가 기대되는 생약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인간의 두뇌능력에 관한 관심은 인류문명이 시작한 이래 수천 년간 계속되어 왔으며, 오히려 갈수록 심화되는 경쟁사회에 살아가면서 학습능력에 대한 관심은 날로 커져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인간의 두뇌개발과 관련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대체로 이러한 관심은 단지 외부적인 약물이나 물질의 공급만으로 학습수행능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하는 것이지만, 사실 이러한 물질이나 약물은 현재까지도 객관적으로 인정받은 것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능력의 경우를 분석해 보면, 성적이 저조한 아이는 몇 분도 책상에 앉아 있지를 못하고 손장난을 하거나 옆 친구에게 말을 걸고, 선생님 설명에도 집중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중에도 주의력이 결핍되어 집중하는 정도가 부족하다. 그런데 이러한 예에서도 항상 그런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변화를 하는데, 예로서 학교에서는 몇 분도 집중을 못하던 아이가 자신이 좋아하는 텔레비젼을 본다던지 컴퓨터 오락을 한다던지 할 때에는 몇 시간이라도 집중을 할 수 있는 것이고, 대체로 문제를 가진 아이의 경우, 자신을 통제하고 조절할 줄 모르며, 규율을 지키고 행동하는 것, 시간을 활용하는 일들을 힘들어하고 잘 하지 못하는데 이를 신경정신학에서는 주의력결핍장애로 분류한다.
이러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는 학령전기 또는 학령기에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질환들 중의 하나로서 100 명 중 약 3-20 명(3~20 %)의 아동들이 이 질환을 갖고 있으며, 남자아이들이 여자 아이들에 비하여 3~9 배 정도 더 흔한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그 원인은 특별히밝혀진 것은 없으나, 쌍생아에서의 높은 일치율을 통해 유전적 요인이나, 뇌손상, 뇌혈류 저하 현상으로 신경해부학적 요인을 추정하거나, 신경전달물질계의 이상현상으로 보건데 신경생화학적 요인의 이상이거나, 뇌파 이상을 통한 뇌 성숙의 지연 또는 심리사회적 요인 등의 복합적인 원인들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우, 진단은 위에서 말한 여러 가지 증상과 심리 검사(지능검사, 집중력변수검사) 전반적인 신체검사 그리고 개인적인 면담을 통해 내리며, 이 질환은 중추신경 흥분제, 항우울제 그리고 일부 항정신병 약물 같은 약으로서 치료를 하고 있다.
이러한 약물 이외에도 전통적인 생약제를 포함하는 약물들이 있는데, 사람의 두뇌와 관련된 한방 처방은 그 종류가 무척 다양하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몇가지를 보면, 총명탕, 귀비탕, 팔진탕, 육사탕이 있다. 가장 보편적인 처방으로 총명탕을 들 수 있는데, 총명탕은 생약중 백복신, 석창포, 원지를 기본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천마 같은 생약을 배합한 것이고, 이 외에도 좀 더 세분된 내용으로는 주로 수험생들을 대상으로 한 귀비탕, 팔진탕(팔물탕), 육사탕(육미지황탕) 등의 처방이 있는데, 귀비탕은 학생들 또는 수험생을 위한 보편적인 처방으로, 당귀, 용안육, 산조인초, 원지, 인삼, 황기, 백출, 백복신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팔진탕은 주로 여학생을 위한 처방으로 인삼, 백출, 백복령, 감초,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여기에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에는 계지, 황기, 방풍을, 두통이 있을 때는 천마, 세신을 추가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이 이외에도 청뇌탕, 공자가 기억력을 높이고 체력을 돋우기 위해 즐겨 먹었다는 공자대성침중방, 주자독서환, 과거를 준비하던 선비들이 먹던 장원환, 수석환, 수석액등이 있다.
또 전통적인 민간요법으로 은행잎 추출물, 담배에 함유된 니코틴(nicotine), 설탕이나 포도당으로 대표되는 당분, 그리고 커피, 콜라나 녹차에 들어있는 카페인 (caffeine)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주로 어류에 존재하는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인 디에이치에이(DHA)등도 두뇌를 좋게 한다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민간요법이나 한방요법 외에도 기억에 관여하는 부위나 신경전달 물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으로 그런 부위나 신경전달을 강화시킴으로서 기억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고, 그 대표적인 약물들로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일종인 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베타수용체차단제 (propranolol)와 함께, 여성 호르몬(estrogen)을 보충해주어 알츠하이머 치매(소위 노인성 치매)의 발병위험을 낮추어주고 기억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 되어 있다. 또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이라는 신경전달물질과 NMDA라는 수용체가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최근에는 신경 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 유전자를 뇌에 직접 투입하는 동물실험도 진행 중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오랫동안의 사용경험으로 볼 때 일반적으로 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적은 생약제들을 배합하여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조성물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는데,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집중력과 기억능력을 증진시키며, 순간 판단력을 향상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효과를 뇌파측정실험, 활자고르기실험, 미로찾기실험, 영어단어 암기력시험을 통해서 증명한 결과, 본 발명 조성물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의 신규 생약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결명자, 숙지황, 복령, 우슬, 산약, 육종용, 파극천, 육계, 음양곽, 보골지, 황기, 당귀, 두충, 저실자, 원지, 석창포, 산수유, 생강, 대추 와 같은 19 종의 생약을 함유하는 학습능력 향상용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더더욱 구체적으로는,
결명자 5-50 중량부, 숙지황 6-60 중량부, 복령 4-40 중량부, 우슬 4-40 중량부, 산약 4-40 중량부, 육종용 3-30 중량부, 파극천 4-40 중량부, 육계 4-40 중량부, 음양곽 3-30 중량부, 보골지 4-40 중량부, 황기 5-50 중량부, 당귀 5-50 중량부, 두충 3-30 중량부, 저실자 4-40 중량부, 원지 4-40 중량부, 석창포 3-30 중량부, 산수유 4-40 중량부, 생강 1-10 중량부, 대추 2-20 중량부 와 같은 19종의 생약을 함유하는 학습능력 향상용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감초 5-50 중량부, 반하 6-40 중량부, 오미자 6-10 중량부, 인삼 또는 홍삼 5-50 중량부, 진피 5-50 중량부, 천궁 3-10 중량부를 추가하여 총 25 종의 식물생약을 함유하는 학습능력 개선용 약제물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결명자 5-50 중량부, 숙지황 6-60 중량부, 복령 4-40 중량부, 우슬 4-40 중량부, 산약 4-40 중량부, 육종용 3-30 중량부, 파극천 4-40 중량부, 육계 4-40 중량부, 음양곽 3-30 중량부, 보골지 4-40 중량부, 황기 5-50 중량부, 당귀 5-50 중량부, 두충 3-30 중량부, 저실자 4-40 중량부, 원지 4-40 중량부, 석창포 3-30 중량부, 산ㅅ유 4-40 중량부, 생강 1-10 중량부, 대추 2-20 중량부를 세절한 다음, 정제수로 추출한 다음 액체화하거나 건조분말로하여 정제 또는 캅셀제로 제제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능력 향상용 약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고,
나아가 청구항 3의 생약외 추가로 감초 5-50 중량부, 반하 6-40 중량부, 오미자 6-10 중량부, 인삼 또는 홍삼 5-50 중량부, 진피 5-50 중량부, 천궁 3-10 중량부를 함유하여 제제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능력 향상용 약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성분을 설명하고자 한다.
1) 결명자(Cassiae Semen)는 콩과(Leguminosae)의 초결명(Cassia obtusifolia), 긴강남차 또는 결명자(Cassia tora)의 잘 익은 씨를 말린 것으로, 루부로후사린(rubrofusar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올레산, 리놀레산, 에모딘(emodin), 카로틴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잎에는 캠페린(kaemferin)을 함유한다. 결명자는 간을 밝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변을 묽게 하는 효능이 있어 간염, 간경화성 복수, 결막염, 청맹, 고혈압, 습관성변비 등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민간에서는 보리차처럼 볶아서 차를 다리면 아름다운 색택과 향기가 있어 음료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2) 지황(Rehmanniae Radix)은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하는 지황 (Rhemannia glutinosa Liboscitz var. purpurea Makino) 또는 그밖의 동속식물의 뿌리로, 생 그대로의 것을 생지황, 건조한 것을 건지황이라 하고, 찐 것을 숙지황이라고 한다. 지황에는 레오누리드(leonuride), 아큐빈(aucubin), 캅탈폴 (catalpol)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급성피부알러지, 염증이나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어혈을 푸는데 사용하거나, 간 기능을 강화, 혈압저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3) 복령(Hoelen, Poria, Poria cocos)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또는 잔나비걸상과(polyporaceae)의 복령(Poria cocos Wolf)의 균핵(버섯)으로 땅속에서 소나무 등의 나무뿌리에 기생한다. 복령 중 백색인 것을 백복령(白茯笭), 적색인 것을 적복령(赤茯笭)이라 한다. 또 복령 속에 소나무 뿌리가 꿰뚫고 있는 것을 복신(茯神)이라고 한다. 모두 한약재로 강장ㆍ이뇨ㆍ진정 등에 효능이 있어 신장병ㆍ방광염ㆍ요도염에 이용한다.
4) 우슬(Achyranthis Bidentatae Radix)은 비름과(Amarantaceae)에 속하는 다년초 식물인 쇠무릎(Hyssopus officinalis 또는 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뿌리를 말린 약재로, 우슬에는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숙신산(Succinic acid), 사포닌, 베타인, 감마 아미노부틸산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월경불순ㆍ난산 ㆍ산후복통ㆍ산후자궁무력증ㆍ타박상ㆍ부스럼 등에 쓴다. 약리실험에서 이뇨작용 ㆍ자궁수축작용ㆍ식균작용ㆍ항알레르기 작용 등이 밝혀졌다.
5) 산약(Dioscoreae Rhizoma)은 마과(科:Disocoreaceae)에 속한 덩굴성 참마 (Disocorea japonica Thunberg) 또는 마(Disocorea batatas)의 덩이뿌리[塊根]로, 전분이 주성분(15~20%)으로 비타민 C가 풍부하고 아미노산, 칼륨, 철분, 비타민, 단백질, 지방, 인 등과 함께 아르기닌, 디오스신, 콜린, 바타타신(Batatasin), 요노게닌(Yonogenin), 크립토게닌(Kryptogenin), 오스게닌(Diosgenin)과 관절염 치료제인 코티손(Cortisone)이 함유되어 있다. 식욕이 감퇴하며 원기가 부족할 때, 식은 땀을 흘릴 경우, 몸이 마르고 원기가 부족한 증상을 보일 때 사용된다.
6) 육종용(Cistanches Herba 또는 Boschniakiae Herba)은 더불살이과 (Orobanchaceae)에 육종용(Cistanche deserticola) 및 동속 근연식물의 육질경으로 일명 육공용, 종용, 지정이라고도 불리며, 육질경이 거칠고 비대하며 바깥면은 쵸코렛색, 안쪽은 흑색이고 뚜렷하게 기름져 있는 것을 양품으로 치며, 시스타노시드 (cistanoside), 에키나코시드(echinacoside), 베타인, 알칼로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강정, 강장약, 보신, 익정혈, 윤장통변 등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7) 파극천(Morindae Officinalis Radix)은 꼭두서니과(Rubiaceae)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인 파극(Morinda officinalis)의 뿌리로, 아스페루로시드 (asperuloside), 테트라아세테이트(tetraacetate), 이소알리자린(isoalizarin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신양(腎陽) 부족으로 인한 발기 부전, 유뇨(遺尿), 유정(遺精)과 여자의 자궁 기능 허약 및 하복부 냉증, 불임, 생리불순, 대하 등의 증상이나 신장기능 허약으로 허리가 아프고 근육이 강직되며 아픈 증상, 관절염과 굴신(屈伸)을 잘 하지 못하는 증상에 사용되고 있다.
8) 육계(Cinnamomi Cortex)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 (Lauraceae)의 일본계피, 일명 육계(Cinnamomum loureirii)의 껍질을말린 것으로 계수나무라고도 한다(계수나무과의 계수나무와는 다름). 육계에는 휘발성 정유 성분이 l~2 %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은 신나믹 알데히드이며, 그밖에도 점액질, 탄닌등이 함유되어 있다. 정유중에는 펠란드렌(phellandrene), 유게놀(eugenol), 메칠유게놀(methyleugenol)이 함유되어 있다. 줄기와 뿌리의 껍질은 계피라고 하여 맵고 향기가 있으므로 약용하거나 과자의 향료로 사용한다.
9) 음양곽(Epimedii Herba)은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Berberidaceae)에 속하는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의 잎과 줄기를 말린것이다. 음양곽에는 이카린(icariin)등의 플라보노이드 배양체 물질과 휘발성 정유, 알칼로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연구 결과 정액 분비 촉진 작용, 혈압강하, 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촉진, 혈당과 고지혈증을 낮추는 작용, 면역 기능 촉진, 거담, 진정 작용, 억균, 소염 작용의 약리작용이 확인되었다.
10) 보골지(Psoraleae Fructus)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개암풀 또는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L.)의 열매를 말린 것으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정유, 유기산, 소라렌(psoralen), 이소프로라렌(Isoproralen), 지방유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개암풀열매라고도 한다. 보골지는 신양이 허하여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통증이 있을 때, 소변을 자주 볼 때, 남성의 성교 불능증, 정액이 저절로 흐르는 경우, 야뇨증 등에 사용한다. 또 비장과 신장이 허하여 소화가 안 되고새벽마다 설사하거나 심상성 백반증이 있는 경우에도 처방하며, 외용으로는 술에 우려서 바르거나 가루를 내서 바른다.
11) 황기(Astragali Radix)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Leguminosae)의 여러해살이풀인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 몽고황기(Astragalus mogolicus B.)의 뿌리를 말린것으로, 다당류, 아미노산, 단백질, 비타민 P, 미량의 광물질 등이함유되어 있으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 지한, 이뇨,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피로권태, 기혈허탈, 내장하수, 식은땀 등에 사용된다.
12)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산형과(Umbelliferae)의 여러해살이풀인 당귀(Angelica sinensis D.)로, 한국에서는 당귀(Angelicae gigas), 왜당귀 (Ligusticum acutilobum)를 약용으로 사용한다. 함유성분으로는 주성분인 버갑텐 (Bergaptene), 부틸리덴프탈리드(butylidenephthalide)와 함께 지방유, 비타민 (vitamin)류 물질등이 있고, 진통ㆍ배농(排膿)ㆍ지혈ㆍ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복통ㆍ종기ㆍ타박상 및 부인병에 이용되고 있다.
13) 두충(Eucommiae Cortex)은 두충과(Eucommiaceae)의 갈잎큰키나무인 두충 (Eucommia ulmoides O.)의 나무 껍질로 두중이라고도 한다. 구타퍼차(gutta-percha), 탄닌,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소량의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으며,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보약ㆍ강장제로 쓰고, 대뇌를 튼튼하게 하며, 폐와 무릎앓이, 음습증에 쓰이며, 민간에서는 잎을 달여서 신경통ㆍ고혈압에 쓰고 차로도 복용한다.
14) 저실자(Broussonetiae Fructus)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와 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의 과실로 사포닌, 비타민 B, 유지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신의 양기를 보하고 간의 열을 내리고 눈을 밝게 하며, 신허로 인한 요통이나 양위, 무릎이 시리고 저린데 쓴다. 또한 간을 자양시켜 눈을 밝에 하고 혈부족으로 인한 두통이나 어지럼증 등에 쓴다. 수종, 허하고 피로할 때, 눈이 잘 보이지 않을 때, 발기부전, 허리와 무릎이 시린데, 부종 등에 쓴다. 우리나라 각지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며,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려 하루 3-9 g을 탕약, 알약, 가루약 형태로 복용한다. 성분은 사포닌, 비타민 B, 유지 등을 함유하고 있다.
15) 원지(Polygalae Radi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원지과(polygalaceae)의 여러해살이풀인 원지(polygala tenuifolia)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사포닌 성분인 테누게닌(tenuigenin) A, B, 폴리가리톨(polygalytol), 테누이딘(tenuidi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거담, 강장, 강정, 진정 목적으로 사용한다.
16) 석창포(Acori Graminei Rhizoma)는 천남성목 천남성과(Araceae)의 여러해살이풀인 석창포나무(Acorus gramineus)의 뿌리줄기로 베타아사론(β-asarone), 아사론(asarone),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휴물렌(α-humulene), 세키손 (sekishone), 아미노산, 유기산 및 당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진통제,진정제, 건위제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목욕물에 넣기도 한다.
17) 산수유(Corni Fructus)는 층층나무과(Cornaceae)의 갈잎떨기나무인 산수유나무(Cornus officinalis)의 과육으로 코르닌(cornin), 모로니사이드 (Morroniside), 로가닌(Loganin), 탄닌, 사포닌 등의 배당체와 포도주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그밖에 비타민 A와 다량의 당류도 함유되어 있다. 또 종자에는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성분 중 코르닌은 부교감신경의 흥분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과육을 약용하였는데, 강음, 신정과 신기, 수렴, 두통, 이명, 해수, 해열 목적으로 쓰이며 식은땀, 야뇨증 등의 민간요법에도 사용된다.
18) 생강(Zingiberis Rhizoma Recens)는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생강(Zingiber officinale R.)의 근경으로 징기베롤(zingiberol), 징기베렌(zingiberene), 펠란드렌(phellandrene), 캄펜(camphene), 소가올(shogaol)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구토를 멎게 하고, 부종을 없애는 효과로 가벼운 감기와 기침, 속이 차면서 구토를 하고 담이 많을 때 등에 주로 이용된다.
19) 대조(Zizyphi inermis Fructus 또는 Jujuba Fructus)는 갈매나무과 (Rhamnaceae)의 갈잎큰키나무인 대추나무(Zizyphus vulgaris var. inermis Bunge 또는 Zizyphus jujuba M.)의 잘익은 열매로 베툴린(betulin), 아미노산, 비타민류, 유기산, 점액질, 미량의 원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비위 기능 허약으로 피곤을 많이 느끼면서 기운이 없고 식욕이 줄며 변을 묽게 보는 증상이나, 혈허로 인하여 신체에 영양을 고르게 공급하지 못해서 일어나는 얼굴의 황색증, 입술이 건조하고 피부가 마르며 어지럽고 눈앞에서 꽃이나 별과 같은 것이 헛보이는 증상에 사용한다. 또 불면, 신경과민, 히스테리, 갱년기 장애, 독성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20) 감초(Glycyrrhizae Radix)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식물로, 국로, 미초, 밀감, 첨초라고도 부리며,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또는 곧은 감초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각종 통증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다른 처방에 배합되어 들어가는데, 폐를 윤활케 하고, 해열 작용을 하며, 목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비위기능의 허약을 도와주며 정신을 안정시키는데 사용하며 독극성 물질의 해독에도 많이 사용한다. 약리실험결과 해독작용, 강심작용, 간보호작용, 항염증작용, 항궤양작용, 진정작용, 기침을 멎게하고 가래를 삭이는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억균작용, 완화작용, 항암작용, 콜레스테롤 배설촉진 작용, 위산도를 낮추는 작용등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성분으로 글리실리틴 배당체인 글리실리진(glycyrrhizin), 구루크론산, 글리시레트산, 그 밖에 칼슘, 칼륨, 당질, 섬유질, 회분 등이 들어 있다.
21) 반하(Pinelliae Rhizoma)는 지문, 수전, 시고라고도 하는데, 천남성과 (Ar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끼무릇(Pinellia ternata, Pinellia tripartita)의 덩이줄기를 말린 것이다. 반하는 습담으로 인한 모든 증상을 다스리는 가장 보편적이며 일반적인 약제로 사용되고 있다. 제조법에 따라 효능이 달리 나타나는데, 청반하는 습을 없애고 담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고, 생강즙으로 볶은 강반하는 토하는 증상을 다스리며 법반하는 위를 조화롭게 하고 습기를 말리며 반하곡은 담을 없애고 식체를 삭이는 효능이 있고, 생반하는 독이 있어서 외용으로 사용하여 종기를 없애고 덩어리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으며, 함유성분으로는 호모젠틴산(Homogentisic acid), 디히드록시벤조알데히드(3,4-Dihydroxybenzaldehyde), 아미노산, 에페드린, 무신 등이 들어 있다.
22) 오미자(Maximowicziae Fructus 또는 Schizandra Fructus)는 목련과 (Magnoliaceae)에 속한 낙엽 목질등목인 오미자 또는 화중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Schizandra nigra, Kadsura japonica)의 성숙한 과실로 다른 이름으로 현급, 회급, 오매자라고도 불린다. 오미자에는 3 %의 정유와 함께 주성분인 세스퀴카렌(sesquicarene), 비사볼렌(β-2-bisabolene), 카미그렌(β-chamigrene), 이란젠(α-ylang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오미자는 폐에 작용하여 폐의 기를 수렴하여 기침을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또한 신장에 작용하여 설사와 유정을 멎게 하고 인체의 진액을 보충해주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몸이 허약하여 식은 땀을 흘리는 등의 증상에도 효과가 있으며, 약리실험 결과 중추신경흥분작용, 피로회복 촉진작용, 혈압조절작용, 위액분비조절작용, 혈당량강하작용 등이 있음이 밝혀졌다.
23) 인삼(Ginseng Radix)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인삼(Panax schinseng 또는 Panax Ginseng)의 뿌리로 가공방법에 따라 백삼, 홍삼이라고도 부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생약이다. 비장과 폐와 심장에 작용하며, 기를 보하는 약 중에서 으뜸으로 인체 오장육부의 원기를 보하는 중요한 약재이며, 주요한 성분으로 인삼사포닌(ginsenosid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항산화활성 페놀계화합물, 간장보호작용을 하는 고미신(gomisin-N, -A), 인슐린 유사작용을 하는 산성펩티드, 강압작용을 하는 콜린(cholin) 등이 들어 있다.
24) 진피(Fraxini Cortex)는 물푸레나무과(목서과; Oleaceae)에 속한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Fraxinus densata, Fraxinus sieboldiana, Fraxinus chiisanensis)의 가지껍질과 체간부의 껍질로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차갑다. 간과 담, 대장에 작용하며 차고 수렴하는 성질이 있어 습열을 없애주고 간담의 화를 내려 준다. 진피에는 애스큘린(aesculin), 애스큘레틴(aesculet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뇨산증, 이질, 장염, 여성의 대하 등 습열이 원인이 되는 질환과 간담의 화로 눈에 염증이 생겨 붓고 아픈 경우, 눈에 예막이 생겨 잘 보이지 않는 경우 등에 광범위하게 쓰며, 약리실험 결과 장연동운동억제작용, 혈압상승작용, 항염작용, 이뇨작용, 혈액응고억제작용 등이 밝혀졌다..
25) 천궁(Cnidii Rhizoma)은 향과, 호궁, 경궁, 궁궁이라고도 불리는데, 산형과(Umbelliferae) 다년생 초목인 천궁(Lingustieum chuangxiong, Cnidium officinale)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혈액과 기를 잘 돌게 하는 대표적인 약재이다. 천궁에는 정유와 크니드리드, 세다노익산, 아미노산, 알카로이드, 페루릭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월경통, 부월경, 두통, 복통 등의 증상을 개선시켜 주며, 어지럼, 생리불순, 생리통, 복통, 외상으로 인한 타박상 등에도 사용하며, 약리실험 결과 진정작용, 혈압강하작용, 항균작용, 자궁수축작용 등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2-25 % 용액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허용 가능한 부형제등의 제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정제나 캅셀제같은 고형제로의 제제화가 가능하며, 이경우 투여용량은 5-3000 mg/Kg체중/일 까지, 바람직하게는 10-1000 mg/Kg체중/일로 1 일 1-3 회, 1 회 3~5 캅셀(350 mg/캅셀) 또는 100~200 ml 씩 투여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제예와 실험자료를 첨부한다.
(제제예1)
액제의 제조예 1. (100 ml 액제 3,000 병 제조분)
1) 원료생약 및 그 분량
결명자 1,500 g, 숙지황 2,000 g, 복령 1,200 g, 우슬 1,200 g, 산약 1,200 g, 육종용 1,000 g, 파극천 1,200 g, 육계 1,200 g, 음양곽 1,000 g, 보골지 1,200 g, 황기 1,500 g, 당귀 1,500 g, 두충 1,000 g, 저실자 1,200 g, 원지 1,200 g, 석창포 1,000 g, 산수유 1,200 g, 생강 400 g, 대추 600 g
2) 제조방법
이상의 생약들을 잘게 잘라 흐르는 물에 씻은 후 정제수 500 ℓ를 가하여 80-120 ℃에서 그 양이 300 ℓ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이하 대한약전 제제총칙 액제항에 따라 제조한다.
(제제예2)
고형제의 제조예 1. (350 mg/캅셀, 10,000 캅셀 제조분)
1) 원료생약 및 그 분량
결명자 2,500 g, 숙지황 1,000 g, 복령 1,000 g, 우슬 1,400 g, 산약 500 g, 육종용 1,700g, 파극천 1,000 g, 육계 1,500 g, 음양곽 900 g, 보골지 600 g, 황기 2,100 g, 당귀 500 g, 두충 2,000 g, 저실자 1,200 g, 원지 400 g, 석창포 1,800 g, 산수유 3,000 g, 생강 600 g, 대추 1,000 g
2) 제조방법
① 추출공정 ; 상기 분량의 생약을 잘게 자른 후 흐르는 물로 잘 세정한 뒤 물 3-8 배량을 용매로 하여 2 시간동안 추출한다. 추출액을 클로로포름 (1 : 1)으로 2 회 세척하고, 수층을 n-부탄올(1 : 1)을 넣어 3 회 추출한다. 이후 70 ℃이하에서 감압 건조하여 분말로 한다.
② 건조ㆍ과립화 공정 ; 위 추출 건조물을 수분함유량이 9 %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건조과립 3,150 g 을 얻은 뒤 혼합기중에서 교반한다.
③ 제제화 ; 위 물질을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화하고 대한약전 제제총칙 캅셀제항에 따라 제조한다.
(제제예3)
고형제의 제조예 2. (330 mg/ 500 mg정, 13,000 정 제조분)
1) 원료생약 결명자 1,500 g, 숙지황 2,000 g, 복령 500 g, 우슬 2,000 g, 산약 1,500 g, 육종용 700 g, 파극천 1,500 g, 육계 1,000 g, 음양곽 900 g, 보골지 600 g, 황기 600 g, 당귀 2,000 g, 두충 600 g, 저실자 2,000 g, 원지 1,000 g, 석창포 800 g, 산수유 2,000 g, 생강 1,600 g, 대추 1,500 g, 감초 1,500 g, 반하 1,200 g, 오미자 1,000 g, 인삼 또는 홍삼 1,100 g, 진피 700 g, 천궁 800 g 을 준비한다.
2) 상기 생약으로 위 고형제 제조예 1.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건조분말 4,600 g 을 얻는다.
3) 여기에 부형제로서 미결정셀룰로즈 450 g, 유당 200 g, 이산화규소 10 g, PVP K30 400 g과, 코팅제로서 이산화티탄 4 g, PEG6000 70 g, HPMC2910 100 g, 에탄올 1.2 ml, 염화메틸렌 2.0 ml 와, 활택제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60 g 그리고 착색제로 황색 4 호 와 적색 40 호 적량을 넣어 이하 약전 제제총칙의 정제항에 따라 제조한다.
(제제예4)
액제의 제조예 2. (10 %/ 100 ml, 1,000 병 제조분)
1) 원료생약 및 그 분량
결명자 1,200 g, 숙지황 2,300 g, 복령 1,200 g, 우슬 1,200 g, 산약 1,500 g, 육종용 700 g, 파극천 1,200 g, 육계 1,000 g, 음양곽 1,100 g, 보골지 1,800 g, 황기 900 g, 당귀 1,500 g, 두충 1,500 g, 저실자 2,000 g, 원지 500 g, 석창포 1,700 g, 산수유 1,200 g, 생강 600 g, 대추 400 g
2) 제조방법
① 추출공정 ; 상기 분량의 생약을 잘게 자른 후 흐르는 물로 잘 세정한 뒤 15-50 %에탄올, 4-8 배량을 용매로 하여 2 시간동안 추출한다. 추출액을 클로로포름 (1 : 1)으로 2 회 세척하고, 수층을 n-부탄올(1 : 1)을 넣어 3 회 추출한다. 이후 65 ℃이하에서 감압건조하여 분말로 한다.
② 건조ㆍ과립화 공정 ; 위 추출 건조물을 수분함유량이 9 %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혼합기중에서 교반하고,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화한다.
③ 위 추출건조물 3,000 g 을 물 300 ℓ 에 용해시켜 대한약전 제제총칙중 액제항에 따라 제조한다.
(안정성 시험)
1. 시험제품 : 학습능력 개선용 생약 시료 CCBD-C(캅셀 ; 제제예 2) 및 CCDB-S(액제 ; 제제예 4)
2. 시험기간 : 2002. 8. 24. - 2003. 3. 23
3. 시험장소 : 경기도 안산시 ㅇㅇ제약 품질 관리부
4. 시험설비 : 원자흡광도계, HPLC 등
5. 시험검체 :
1) 원료약품의 분량
; 결명자, 숙지황, 복령, 우슬, 산약, 육종용, 파극천, 육계, 음양곽, 보골지, 황기, 당귀, 두충, 저실자, 원지, 석창포, 산수유, 생강, 대추 추출물 520 g
2) 제조년월일(제품코드)
; 2002. 7. 26 (CCBDC1) (CCBDD1)
; 2002. 6. 11 (CCBDC2) (CCBDD2)
; 2002. 5. 21 (CCBDC3) (CCBDD3)
3) 포장용기.
캅셀제 : 1 캅셀 350 mg 1 통(PP용기)중 60 캅셀
액 제 : 1 병 100 ml 중 위 원료약품 10 % 용액
6. 보존조건 ; 40 ℃, 75 %RH, 6 개월 및 실온
7. 시험방법
1) 시험항목은 고형제(캅셀제)의 경우 성상, 정성시험, 붕해도, 정량시험, 중량편차시험을 실시하고 액제 드링크의 경우 성상, 정성시험, 정량시험을 실시하였다.
2) 시험방법 ; 위 ⑹의 조건으로 보존한 검체를 각 개시시, 2 개월, 4 개월, 6 개월후에 취하여 아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3) 각 항목별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성상은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였으며, 붕해도 및 중량편차 시험은 대한약전 제6개정 일반시험법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4) 생약의 정성시험과 정량시험은 전체 생약 중 시험방법이 연구된 당귀, 육계, 음양곽, 지황 네 가지를 기준으로 이하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① 당귀의 정성시험법
이 약을 당귀로서 약 1.0 g에 해당하는 양을 달아 에텔 50 mL를 넣어 30 분간 충분히 흔들어 섞은 다음 여과한다. 여액을 증발건고하고 잔류물에 메탄올 2 mL를 넣어 녹여 검액으로 한다. 따로 당기 약전품의 가루 약 1.0 g을 달아 이하 검액과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만든 액을 표준액으로 한다.
흡 착 제 : 실리카 겔 G
전개용매 : 톨루엔ㆍ에텔ㆍ초산ㆍ물(500 : 500 : 2 : 5)
발 색 제 : 1 % 바닐린황산시액
조 작 : 박층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한 다음 검액과 표준액의 Rf 값 및 색상을 비교하여 확인한다.
② 당귀의 정량시험법
이 약을 가루로 하여 데쿠르신으로서 약 10.0 mg에 해당하는 양을 정밀히 달아 환류냉각기를 달고 메탄올 70 mL를 넣어 2 시간 추출하고 식힌 다음 여과한다.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잔류물에 메탄올을 넣어 녹여 정확히 50 mL로 하여 여과한 액을 검액으로 한다. 따로 정량용 데쿠르신 약 10.0 mg을 정밀히 달아 메탄올을 넣어 녹여 정확히 100 mL로 하여 표준약으로 한다. 검액 및 표준액 10 μL를 가지고 다음의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각 액의 데쿠르신 피크면적 AT 및 AS를 측정한다.
데쿠르신(C19H20O5)의 양(mg)
=정량용 데쿠르신의 양(mg) ×
조작조건
제 1 법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280 nm)
칼 럼 : 안지름 4~6 mm, 길이 15~20 cm인 스테인레스관에 10 μm의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 겔을 충전한다.
이동상 : 메탄올ㆍ물(70 : 30)
유 량 : 1.0 mL/분
제 2 법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280 nm)
칼 럼 : 안지름 4~6 mm, 길이 15~20 cm인 스테인레스관에 5 μm의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 겔을 충전한다.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ㆍ물(52 : 48)
유 량 : 0.7 mL/분
비 고 : 제2법은 데쿠르신과 데쿠르시놀안젤레이트가 분리되는 조건임.
③ 음양곽의 정성시험법
이 약을 음양곽으로서 약 1.0 g에 해당하는 양을 달아 메탄올 100 mL를 넣어 환류냉각기를 달고 1 시간 환류추출한다. 식힌 다음 여과하고 여액을 약 2 mL가 되게 증발농축하여 검액으로 한다. 따로 음양곽 생규품의 가루 약 1.0 g을 달아 이하 검액가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만든 액을 표준액으로 한다.
흡 착 제 : 실리카 겔 GF254
전개용매 : 초산에칠ㆍ메탄올(4 : 1)톨루엔ㆍ개미산에칠ㆍ개미산(5 : 4 : 1)
발 색 제 : 50 % 알코올성황산시액 또는 자외선(364 nm)
조 작 : 박층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한 다음 105 ℃에서 10 분간 가열하고 검액과 표준액의 Rf 값 및 색상을 비교하여 확인한다.
④ 음양곽의 정량시험법
이 약을 가루로 하여 이카린으로서 10.0 mg에 해당하는 양을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 80 mL를 넣어 환류 냉각기를 달고 수욕상에서 3 시간 환류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메탄올로 정확하게 100 mL로 하여 검액으로 한다. 따로 정량용 이카린 약 10.0 mg을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을 넣어 녹여 100 mL로 하여 표준액으로 한다. 검액 및 표준액 10 μL를 가지고 다음의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각 액의 이카린 피크면적 AT 및 AS를 측정한다.
이카린(C33H40O15)의 양(mg)
=정량용 이카린의 양(mg) ×
조작조건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게(측정파장 214 nm)
칼 럼 : 안지름 4~6 mm, 길이 15~25 cm인 스테인레스관에 5~10 μm의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 겔을 충전한다.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ㆍ물(28 : 72)
유 량 : 1.0 mL/분
⑤ 육계의 정성시험법
이 약을 계피(또는 계지, 육계)로서 약 1.0 g에 해당하는 양을 달아 초산에칠 100 mL를 넣어 환류냉각기를 달고 수욕상에서 1 시간 가온한다. 식힌 다음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건고하고 잔류물에 메탄올 2 mL를 넣어 녹여 검액으로 한다. 따로 계피 약전품(또는 계지, 육계 생규품)의 가루 약 1.0 g을 달아 이하 검액과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만든 액을 표준액으로 한다.
흡 착 제 : 실리카 겔 GF
전개용매 : n-헥산ㆍ초산에칠 (85 : 15)
발 색 제 : o-디아니시딘ㆍ빙초산포화용액(쓸 때 만든다).
조 작 : 박층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한 다음 검액과 표준액의 Rf 값 및 색상을 비교하여 확인한다.
⑥ 육계의 정량시험법
이 약을 가루로 하여 신남산으로서 약 10.0 mg에 해당하는 양을 정밀히 달아 속시렛추출기에 넣고 에텔 50 mL를 넣어 2 시간씩 2 회 추출한 다음 에텔층을 모두 합하여 물로 씻고 무산황산나트륨을 통과시킨다. 이 액을 증발건고하고 잔류물에 메탄올 10 mL를 넣어 녹여 검액으로 한다. 따로 정량용 신남산 약 10.0 mg을 정밀히 달아 메탄올을 넣어 녹여 100 mL로 하여 표준액으로 한다. 검액 및 표준액 10 μL를 가지고 다음의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각 액의 신남산 피크면적 AT 및 AS를 측정한다.
신남산(C9H8O2)의 양(mg)
=정량용 신남산의 양(mg) ×
조작조건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게(측정파장 280 nm)
칼 럼 : 안지름 4~6 mm, 길이 15~20 cm인 스테인레스관에 5~10 μm의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 겔을 충전한다.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ㆍ물ㆍ빙초산(25 : 74 : 1)
유 량 : 1.0 mL/분
⑦ 숙지황의 정성시험법
이 약을 지황(또는 생지황, 숙지황)으로서 약 1.0 g에 해당하는 양을 달아 메탄올 100 mL를 넣어 환류냉각기를 달고 1 시간 환류추출한다. 식힌 다음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건고하여 잔류물에 물을 넣고 녹인 다음 분액깔대기에 옮기고 초산에칠 30 mL를 넣고 추출한다. 초산에칠층을 취하여 증발건고하고 잔류물에 에탄올 2 mL를 넣어 녹여 검액으로 한다. 따로 지황(또는 생지황) 생규품(또는 숙지황 약전품)의 가루 약 1.0 g을 달아 이하 검액과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만든 액을 표준액으로 한다.
흡 착 제 : 실리카 겔 GF254
전개용매 : 클로로포름ㆍ메탄올(20 : 1)
발 색 제 : 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진시액 또는 자외선(254 nm)
조 작 : 박층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한 다음 검액과 표준액의 Rf 값 및 색상을 비교하여 확인한다.
⑧ 숙지황의 정량시험법
이 약을 가루로 하여 2-히드록시메칠-2-푸르알데히드로서 약 2.0 mg에 해당하는 양을 정밀하게 달아 희석한 메탄올(1 → 2) 100 mL를 넣고 3 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여과한다. 잔류물에 희석한 메탄올(1 → 2) 100 mL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조작한다. 여액을 모두 합한 다음 n-헥산 200 mL씩으로 2 회 추출하여 n-헥산층은 버린다. 남은 물층을 부피가 반 이하가 되도록 감압 농축한 다음 에칠아세테이트 100 mL씩으로 2 회 추출하고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하여 용매를 날려보낸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녹여 20 mL로 하여 검액으로 한다. 따로 정량용 5-히드록시메칠-2-푸르알데히드 약 10.0 mg을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에 녹여 정확하게 100 mL로 하여 표준액으로 한다. 검액 및 표준액 10 μL를 가지고 다음의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각각의 5-히드록시메칠-2-푸르알데히드의 피크면적 AT 및 AS를 측정한다.
5-히드록시메칠-2-푸르알데히드(C6H6O3)의 양(mg)
=정량용 5-히드록시메칠-2-푸르알데히드의 양(mg) ×
조작조건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게(측정파장 280 nm)
칼 럼 : 안지름 4~6 mm, 길이 15~25 cm인 스테인레스관에 5~10 μm의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 겔을 충전한다.
칼럼온도 : 25 ℃
이동상 : 물ㆍ아세토니틀릴의 혼합액(95 : 5)
유 량 : 1.0 mL/분
8. 시험결과:
시험 결과, 시료 캅셀은 성상, 정성, 붕해도, 중량편차, 정량에서 물리화학적 변화가 없었으며, 시험결과를 표1~6에 나타내었다.
정량시험에서, A는 당귀중 데크르신, B는 음양곽중 이카린, C는 육계중 신남산 및 D는 숙지황중 5-히드록시메칠-2-푸르알데히드의 양을 정량한 것이다.
[표1. CCBDC1 캅셀의 시험결과(40 ℃, 75 %RH/실온)]
[표2. CCBDC2 캅셀의 시험결과(40 ℃, 75 %RH/실온)]
[표3. CCBDC3 캅셀의 시험결과(40 ℃, 75 %RH/실온)]
[표4. CCBDD1 액제의 시험결과(40℃, 75 %RH/실온)]
[표5. CCBDD2 액제의 시험결과(40 ℃, 75 %RH/실온)]
[표6. CCBDD3 액제의 시험결과(40 ℃, 75 %RH/실온)]
(효능시험)
본 발명의 치료효과를 증명하기 위하여 일차로 동물모델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실시하고, 이후 인체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동물실험은 본 발명조성물이 두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험동물을 이용하여 미로찾기실험을 실시, 학습능력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인체에 대한 뇌파측정실험을 통해 두뇌활동에 대한 측정을 그리고 활자찾기실험을 통해 집중력과 개선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 조성물의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미로실험(학습능력실험)
1. 서 론
동물의 행동양식은 크게 주성(자극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반응하는 것), 무조건반사(자극에 대해 몸의 일부분에서 일어나는 반응), 본능(섭식, 귀소 등) 과 같은 선천적 행동과, 학습(조건반사, 시행 착오등과 같이 경험에 의해 익힌 새로운 행동)과 지능행동(새로운 상황에 대해 학습경험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구분 할 수 있다. 특히 연구에 의하면 후천적 행동양식은 대뇌의 활동과 밀접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동물을 모델로 한 미로찾기 실험은 이 중에서도 시행착오나 지능행동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실험방법으로, 보통 T자형 미로를 이용하여 공간인지능력을, 수미로실험을 통해서 학습능력을 측정한다.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이론을 토대로 본 발명 조성물이 대뇌 즉,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ICR 계 마우스를 이용하여 T자형 미로에 대한 미로찾기실험을 실시하여 학습능력에 대한 조성물의 효과를 측정하여 보았다.
2. 실험방법
1) 실험동물의 분류 ; 평균 4.5 주령의 ICR계 알비노 마우스를 실험동물로 하여 총 45 마리를 시험군, 대조군 1, 대조군 2 각 15 마리씩 분류하였다.
2) 실험용 미로 장치
본 실험에서는 공간인지능력과 학습능력을 함께 측정하기 위해, 시행착오의 횟수와 목표점까지의 도달시간을 고려하여 새로운 형태의 미로실험장치를 고안하였으며, 그 구조가 아래 도 1에 나타나 있다. 재질은 가로, 세로 각 50 cm, 높이 20 cm 로 하였으며, 바닥과 벽면은 합판, 덮개는 관찰을 위해 유리판으로 제작하였으며, 출구에는 시험동물의 유도를 위해 치즈를 놓아두었다.
3) 투여방법
시험군에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제제예 2, 캅셀제)을 110 mg/Kg체중/일씩 투여, 대조군1에게는 백미를, 대조군 2 에게는 백미에 홍삼 분말을 (1 : 5)로 섞은 뒤 각각 110 mg/Kg체중/일씩 투여하였는데, 최초 미로착기측정일 다음날부터 1 주간 물과 함께 섭취시켰다.
4) 실험방법
시험개시 시 군별 구분없이 출구에 이르는 시간을 측정하여 기록하였으며, 이후 1 주일간 시료를 투여한 후 위 3 개군으로 분류하여 같은 실험을 반복하여 그 도달시간을 기록하였다.
3. 실험결과: CCBD의 미로찾기 실험결과(표 7참조)
[표7]
위 표에서 실험개시 시는 총 45 마리의 측정시간의 평균수치이고, 투약 후는 총 43 마리의 평균치인데 이는 시험군과 대조군 2에 동물군에서 각 1 마리씩 투약 후 측정전에 사망한 때문이다.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시험 개시 시에 비해 투약 후에 전체적으로 목표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되었는데 이는 학습효과에 의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군이 위약으로 백미를 섭취한 대조군에 비해 20 % 이상, 홍삼분말을 섭취한 대조군 2에 비해서도 15 % 이상의 시간이 단축되었다.
4. 결론.
이상의 실험을 통해 본 발며 조성물이 학습능력과 기억력, 공간 인지능력의 향상에 큰 효능이 있음을 밝혀냈다.
(실험예 2) 집중력실험
1. 실험목적
기억력과 학습능력 같은 두뇌활동에 대한 시료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인쇄소에서 사용하는 활자 고르기 작업을 이용하여 실험함으로써, 시료가 두뇌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여 보았다.
2. 실험방법
1) 3 개군 비교실험
20 세 이상의 성인 54 명을 각 군 별 18 명씩 A, B, C 3개 군으로 나누고, 이들 모두에게 인쇄소에서 사용하는 간체자 활자를 가득 담은 상자를 주고 30 분 동안 그 중에서 특정한 2 종류의 활자만을 골라나게 한 후 그 중 틀린 활자를 골라낸 결과를 기록하였다.
이 후 A 군에는 10 % 포도당 액을, B 군에는 7 % 알코올을, C 군에는 본 시료로 조제한 음료(제제예 1, 액제)를 각 200 ml/1 회 씩 복용시킨 후 동일한 작업을 반복시킨 후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2) 2 개군 비교실험
위 실험 후 대상군을 다시 무작위로 18 명씩 3 개군으로 나누고 이들을 오전 11 시부터 이튿날 오전 9 시 까지 잠을 자지 않도록 관리한 뒤 9 시부터 동일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3. 실험결과
[표8. 활자 고르기 실험결과]
[표9. 철야 후 활자 고르기 실험결과]
4. 결론
위 2-1)의 실험에서 본 발명품 시료를 투여한 군이 본 발명품 대신에 포도당을 투여한 대조군 A나, 7 % 알코올을 투여한 대조군 B에 비해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으며, 또한 철야 후 행한 2-2)의 실험에서도 발명품을 투여 받은 C군이 그렇지 않은 A군이나 B군에 지구력을 높여주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뇌파측정 실험
1. 일 반
1) 서 론
뇌파에 관한 연구는 1875년 영국의 생리학자 R.케이튼이 처음으로 주창하였으며, 토끼와 원숭이의 대뇌피질에서 나온 미약한 전기활동을 검류계(檢流計)로 기록하였다. 사람의 경우는 1924년 독일의 H.베르거가 처음으로 기록하였는데, 이를 심전도나 근전도와 같이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EEG)라고 하며, 그의 공적을 기리고자 뇌파를 ‘베르거 리듬’이라고도 한다.
2) 원 리
뇌파의 발생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스파이크 집합전위설(集合電位說)이나 뇌피질 흥분기의 동기적(同期的) 변동설과 같은 가설 등 여러 설이 있지만 정설은 없고, 대뇌피질의 신경세포에서 발생하는 시냅스 전위(電位)가 모여서 일어난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또 뇌파의 리듬이 생기는 것은 다수의 신경세포가 동기(同期)하여 활동하기 때문인데, 여기에는 시상(視床)의 비특수핵(非特殊核)이라는 부분과 대뇌피질 사이를 순환하는 회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3) 뇌파의 종류와 기능
α파는 사람 뇌파의 대표적인 성분이며, 보통 10 Hz 전후의 규칙적인 파동이며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진폭은 평균 50 μV 정도로, 두정부(頭頂部)와 후두부에서 가장 크게 기록되며, 전두부에서는 작다. α파가 안정하게 나타나는 것은 눈을 감고 진정한 상태로 있을 때이며, 눈을 뜨고 물체를 주시하거나 정신적으로 흥분하면 α파는 억제된다. 또 α파는 뇌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그 주파수는 유아기에는 4~6 Hz이며, 그 후 나이가 들면서 주파수도 증가하여 20 세 정도에 성인의 값에 이른다.
β파는 α파보다 빠른 파동으로 일명, 속파(速波)라고도 하는데, 뇌의 중심부나 전두부에서 우세하게 나타난다. 진폭은 보통 20 μV 정도이다. α파보다 늦은 주파수를 가진 파동을 서파(徐波)라고 하는데, 4~7 Hz의 것을 θ파, 그 이하의 것을 δ파라고 한다. 이것은 처음에는 뇌종양환자에서 관찰되었으나 반드시 이상상태의 뇌에만 특유한 것이 아니고, 유유아(乳幼兒)에서는 정상상태에서도 상당히 나타나며, 그 외에도 정상적인 성인에서는 수면 중에 이 서파가 주성분이 되고 있다.
2. 뇌파와 두뇌활동
뇌파는 뇌기능의 일부를 표시하는 지표로 사용되는데, α파를 명상파라고도 하는데 근육이 이완되고 마음이 편안하면서도 의식이 집중되고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α파가 나오면 몸과 마음이 매우 안정된 상태를 의미하며, 건강하고 스트레스 없는 상태의 사람들은 α파 활동상태가 많이 생성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β파는 긴장, 흥분 상태 등 활동할 때에 나타나며, 운동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의식이 깨어있을 때의 뇌파가 β파이다. 이 상태가 계속해서 지속되면 뇌는 혼돈에 이르고 초조해지며 학습효율도 저하 된다.
θ파는 꾸벅 꾸벅 졸고 있거나 잠들었을 때 나타나며 지각과 꿈의 경계상태로 불린다. θ파는 갑작스러운 통찰력 또는 창조적 아이디어로 연결되기도 하여 문제해결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창조적인 힘이 되기도 한다.
δ파는 잠잘 때나 혼수상태에 나타나 심신의 치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우리가 델타 상태에 있을 때는 잠들어 있거나 무의식 상태임을 말하는 것입니다. δ파 상태에서 많은 양의 성장 호르몬을 생성된다.
3. 뇌파측정 실험
1) 실험개요
이상과 같은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품을 복용한 후의 α파와 θ파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보았다.
2) 실험방법
(1) 실험대상 : 경기도 안산시 ㅇㅇ동 ㅇㅇ고등학교 2학년 2반 학생 35 명(남 19, 여 16)
(2) 실험기기 : 락스타(Laxtha Inc.) 제조 뇌파측정장치 QEEG-8 (모델명 : LXE 3208) 외 매킨토시 시스템, 헤드 세트, 송신기, 수신기 등
(3) 측정방법 : 각 피험자의 전두엽을 대상으로 위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측정시간은 75 분으로 최초 5 분간 소음효과를 제거한 뒤 이후 10 분간의 누적뇌파를 측정하고, 이를 평균하였다.
: 이 때 본 발명품으로 만든 시료를 액제(제제예 1, 액제)화하여 각 피험자별로 50 ml 복용시켰다.
: 시료를 복용한 후 매 10 분 간격으로 120 초간의 누적뇌파를 측정하고, 변화를 기록하였다.
(4) 결과기록 : 각 측정치들은 평균 전압으로 전체뇌파 중 α파와 θ파의 비율로 공식(α+θ)×00/{(α + β(고)+β(저)+θ+δ)으로 계산 한 것이다.
3) 실험결과
아래 표는 뇌파의 측정결과의 평균치와 그 평균치를 복용 전과 비교하여 증가율을 기록한 것이고(표10 참조), 이 수치를 그래프로 도식 하였다.(도2참조)
[표10. 발명품 복용 전후의 뇌파 측정 평균치(전체 뇌파 중 α파 및 θ파의 비율)]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시료 복용전과 비교했을 때 복용 후에 전체적으로 α파와 θ파의 발현비율이 증가(38.5 : 40.9) 했으며, 시간 대 별로는 복용후 20 분이 경과하면서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40 분이 지나면서 42.1 로서 복용전과 비교하여 9.07 %가량 증가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 결 론
이 실험을 통해 본 시료는 인간의 두뇌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α파와 θ파의 발현에 유의 할만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결국 기억력이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안전성 시험)
1.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1) 시 험 일 반
⑴ 시험번호 : CC02-016
⑵ 시험목적 : 시료 CCBD(제제예 2, 캅셀제)의 4 주간 반복 경구투여에 의해 나타나는 독성과 표적장기 및 회복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⑶ 시험방법 : '독성시험 기준(1999. 11. 17)'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⑷ 시험일정
① 시험개시일 : 2002년 10월 11일
② 동물입수일 : 2002년 10월 14일
③ 검역, 순화기간 : 2002년 10월 15일 ∼ 2002년 10월 20일
④ 투여기간 : 2002년 11월 11일 ∼ 2002년 12월 8일(수컷)
2002년 11월 11일 ∼ 2002년 12월 9일(암컷)
⑤ 부검 및 채혈일 : 2002년 12월 19일(수컷 주요군)
2002년 12월 20일(암컷 주요군)
2003년 1월 2일(암수 회복군)
⑥ 혈액 생화학 검사일 : 2002년 12월 22일∼ 2002년 12월 29일
⑦ 병리조직학적 검사일 : 2003년 2월 11일 ∼ 2003년 3월 12일
⑧ 최종보고서(안) 제출일 : 2003년 3월 24일
⑸ 시험의뢰자 : ㅇㅇ유한공사
⑹ 시험기관 : ㅇㅇ임상연구중심
⑺ 동물사육실 : 제 1 동물사육구역 제 6 호실
⑻ 시험물질의 보관 : 본 시험에 사용한 시험물질은 실온보관 (보관번호 CC02-016) 하였으며, 부형제와 혼합한 후에는 바로 사용하였다.
⑼ 시험자료의 보관 : 본 시험의 시험기초자료 및 관계자료는 위 보고일로부터 5년까지 본 기관의 보관실에 보관한다. 최종보고서 제출 후 보관될 자료는 다음과 같다.
; 시험계획서 및 관련서류, 시험기초자료(문서류, 디스켓류), 최종보고서 및 관련서류
⑽ 통계분석
; 외부 통계분석 전문가에게 의뢰 수행
2) 실 험 내 용
1) 개 요
실험물질 CCBD(제제예 2, 캅셀제)의 4 주간 반복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암수 공히 시험물질 0 ㎎/㎏, 111 ㎎/㎏, 333 ㎎/㎏ 및 1,000 ㎎/㎏의 용량으로 각각 10 마리씩의Sprague-Dawley (SD) 계통 랫드에 4 주간 투여하였다. 회복군으로는 부형제 투여 대조군과 최고 용량군에서 암수 각각 5 마리를 추가로 두어 시험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시험물질 투여와 관련된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암컷 111 ㎎/㎏ 투여군에서 투여 29 일째 사망이 1례 관찰되었으나 이는 임상증상으로 볼 때 시험물질이 아니라 투여실수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시험물질 투여와 관련된 일반증상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체중변화에서는 전 시험군에서 암수 모두 시험물질투여와 관련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4) 사료 및 물 섭취량에서는 전 시험군에서 암수 모두 시험물질투여와 관련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5) 안검사에서 모든 투여군에서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6) 요검사상의 변화에서 본 시험물질과 관련된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7) 혈액학적 검사에서 본 시험물질과 관련된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8)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는 암컷 주요군에서 정상 범위내에서의 농도 의존적인 혈당감소가 관찰되었다.
(9) 부검소견에서 본 시험물질에 특이적인 독성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10) 장기중량에서 모든 시험군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독성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11)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주목할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본 시험물질의 표적장기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CCBD의 랫드에 대한 4 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에서 본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이상 증상과 표적장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물질의 무해용량(NOAEL)은 1,000 ㎎/㎏을 상회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2) 시험물질
(1) 시험물질
① 명 칭 : CCBD
② 입 수 량 : 1 kg
③ 입 수 일 : 2002년 10월 7일
④ 외관 및 성상 : 황색 분말
⑤ 순도 및 안정성 : 자료 참조
⑥ 제조번호 :
⑦ 보관조건 : 실온보관
⑧ 공 급 자 : ㅇㅇ유한공사
(2) 부형제
① 명 칭: 0.5 % CMC 수용액
② 입 수 량 : 500 g
③ 입 수 일 : 2001년 6월 8일
④ 제조번호 : ZMP117
⑤ 보관조건 : 실온보관
⑥ 공 급 자 : ㅇㅇ화학유한공사
3) 재료 및 방법
(1) 시험계
① 종 및 계통 SD (Sprague-Dawley) 계통의 특정병원균 부재(SPF) 랫드
② 공급원 ; ㅇㅇ실험동물중심
③ 시험계의 선택이유
; 시험에 사용된 랫드는 독성시험에 적당한 실험동물로서 일반독성시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본 계통의 랫드는 풍부한 시험기초자료가 축적되어 있어서, 시험결과를 해석하고 평가할 때에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었다.
④ 주령 및 체중범위
°입수 시 주령 : 4 주령
°입수 시 동물 수 : 암수 각각 60 마리
°입수 시 체중 : 수컷 ; 102.80 g∼ 114.83 g, 암컷 ; 90.71 g ∼ 108.06 g
°투여 개시 시 주령 : 5 주령
°투여 개시 시 동물수 : 암수 각각 50 마리
°투여 개시 시 체중 : 수컷; 146.33 g ∼ 173.16 g, 암컷; 119.42 g ∼ 145.06 g
⑤ 검역 및 순화
공급처에서 제공한 시험계의 병원체 검사 성적서를 참고로 하여 입수동물의 검수검역을 실시하였으며, 동물 입수 후 7 일간 시험을 실시하는 동물실내에서 순화시키며, 관찰하여 건강한 동물만을 사용하였다.
(2) 사육환경
① 환경조건
본 시험 환경은 온도 23±3 ℃, 상대습도 55±15 %, 환기횟수 10∼20 회/hr., 조명시간 12 시간(오전 8 시∼오후 8 시)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하였으며, 시험자들은 멸균(121 ℃, 20 분)된 작업복과 보호장구를 착용하였다.
② 사육환경 모니터링
시험기간 중 동물실의 온,습도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온, 습도측정기에 의하여 매시간마다 측정되었으며, 환기횟수 및 조도 등의 환경조건은 정기적으로 측정되었다. 시험기간 중에 시험의 결과에 나쁜 영향을 줄만한 환경의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③ 사육상자, 사육밀도 및 사육상자의 식별
동물은 스테인레스제 망 사육상자(215 W x 360 L x 200 H mm)에 순화기간에는 5마리씩, 투여 및 관찰기간에는 2 ~ 3 마리씩 사육하였다. 사육상자는 시험번호 및 동물번호를 기입한 개체 식별카드를 부착하였다.
④ 사료 및 물의 급여방법
사료는 방사선 멸균 처리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를 자유섭취 시켰다. 사료의 오염물질 분석은 생산자측의 분석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물은 지하수를 자외선 살균기 및 여과장치로 소독한 후 물병을 이용하여 자유섭취 시켰다. 이들 검사결과, 시험의 성적에 나쁜 영향을 줄만한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3) 투여량 및 시험군의 구성
① 투여량 설정
예비시험의 결과, 최고용량인 2,000 ㎎/㎏ 투여군에서도 부형제 대조군과 비교시 특이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시험에서는 설치류에서의 반복 경구투여 한계용량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1,000 ㎎/㎏을 최고용량으로 하였다. 이는 임상예정 용량인 성인 기준 1 일 4.0 g의 5~10 배 범위보다 높은 농도이며, 다음 용량으로 333 ㎎/㎏ 및 111 ㎎/㎏의 용량과 부형제 대조군을 설정하였다.
② 시험군의 구성
㉠ 주요군(Main group) (표 11참조)
[표11]
㉡ 회복군(Satellite group) (표 12참조)
[표12]
③ 군분리 및 동물식별
순화기간 중 건강하다고 판정된 동물의 체중을 측정한 후 5 g 간격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평균체중에 가까운 동물들을 암수 각각 50 마리씩을 선택하였다. 이렇게 선택된 암수 각 50 마리를 각 군에 10 마리씩, 회복군은 5 마리씩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순위화 한 체중을 이용하여 무작위 법으로 분배하였다.
동물의 개체식별은 무수 에탄올에 용해된 포화 피크릭산을 이용한 피모 색소표식법,귀천공법 및 사육상자에 부착된 개체 식별카드 표시법을 사용하였다.
(4) 시험물질의 투여
① 투여액의 조제법
시험물질을 측량하여 0.5 % CMC 수용액에 현탁하여 투여할 시험물질을 조제하였다.
② 투여경로 및 투여방법
투여경로는 경구투여를 선택하였다. 투여 방법은 동물을 경배부 피부 고정법으로 고정하고 금속제 경구 투여용 존데를 이용하여 위내에 직접 주입하였다.
③ 투여횟수 및 투여기간
1 회/일, 7 일/주로 하여 4 주간 투여하였다. 4 주간의 투여 후 최고용량군 및 부형제 투여 대조군에서 2 주간 회복기간을 설정하였다
④ 투여량 계산
투여개시일에는 투여 직전의 체중을 측정하고 그 이후 부터는 주 1 회 체중을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투여량은 10 ml/kg으로 산출하였다.
(5) 관찰 및 검사항목
① 일반증상 및 사망동물의 관찰
매일 투여 직후에 일반상태 중독증상 및 사망의 유무를 관찰하였고, 이상이 있었던경우에는 증상의 종류, 발견일 및 증상의 정도를 개별적으로 기록하였다.
② 체중측정
모든 동물에 대하여 시험기간 중 주 1 회와 부검일에 절식된 체중을 측정하였다.
③ 사료 및물 섭취량 측정
투여당일 및 전 시험기간 중에 주 1 회 사료 및 물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체중 측정일에 사료 및 물의 정량을 측정하고 익일에 잔량을 측정하여 마리 당 평균 섭취량(g/rat/day)으로 산출하였다.
④ 안검사
순화기간 중에 모든 동물에 대하여 눈의 외관을 육안적으로 관찰하였다. 투여 후에는 투여 최종 주 및 회복군의 경우 부검 전에 모든 동물의 눈의 외관을 육안적으로 관찰하였다. 특히 대조군과 최고용량군의 경우 안저 사진기와 산동제를 이용하여 안저를 검사하였다.
⑤ 요검사
투여 최종주에 시험군별 각 5 마리의 동물에 대하여 대사케이지에 동물을 수용하여 3~4 시간동안 채뇨한 신선뇨를 이용하여 요검사용 시험지와 요자동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요당, 빌리루빈, 케톤체, 요비중, 잠혈 pH, 뇨단백, 아질산염 및 백혈구를 측정하였다. 요침사검사는 Sternheimer Malbin 염색후 적혈구, 백혈구, 상피세포 및 원주를 관찰하였으며, 색조는 육안적으로 관찰하였고 요량은 24 시간동안 채집된 요를 측정하였다.
⑥ 혈액학적검사
계획도살 시까지 생존한 모든 동물에 대하여 부검 전에 하룻밤 절식시킨 후, 에테르를 이용한 마취 상태에서 개복하여 후대정맥에서 채혈한 혈액으로 아래의 항목을 측정하였다. 채혈은 혈액 응고방지제로 EDTA-2K가 들어있는 CBC 채혈병에 0.5 ml을 취한 후 쿨터 혼합기(coulter mixer) 위에서 5 분 이상 혼합하였다.(표 13참조)
[표13]
⑦ 혈액생화학적 검사
최종 계획 도살되는 동물들에 대하여 혈액학적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후대정맥에서채혈한 혈액을 혈청분리관에 넣고 15~20 분 동안 상온에 방치하여 응고시켰다. 이후 원심분리(3,000 rpm, 10 min) 하여 획득한 혈청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항목을 측정하였다. (표 14참조)
[표 14]
⑧ 부검소견
계획도살 시까지 생존한 모든 동물에 대하여 에테르 마취 하에 후대정맥에서 혈액검사를 위한 채혈을 실시한 후, 복대동맥을 절단하여 방혈 하는 방법으로 절박도살을 하고 부검하여 외부소견, 피하, 복강장기, 흉강장기 및 뇌에 대하여 부검소견을 관찰하였다.
⑨ 장기중량측정
계획도살 시까지 생존한 모든 동물에 대하여 부검 후 뇌, 뇌하수체, 흉선, 폐, 심장, 간장, 비장, 신장, 부신, 정소, 난소, 전립선, 자궁에 대하여 절대장기 중량을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부검 전 절식된 체중에 대한 상대장기 중량을 산출하였다.
⑩ 병리조직학적인 검사
투여한 모든 동물의 아래 장기는 10 %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였고 고환과 부고환은 바우인액에 고정시켰다. 이렇게 고정된 장기를 이용하여 부형제투여 대조군과 최고용량군(회복군 포함)에서는 아래의 모든 장기를 파라핀 처리하고, 5 ㎛로 박절하여 H&E 염색 표본을 만들어 검경하였다. 저용량 및 중간 용량군에서는 육안적 부검 소견이 인정되는 장기와 비장에 대하여 검경하였다.
고정한 장기는 다음과 같았다.
모든 육안적 병변. 피부(유선포함), 저정낭, 전립선, 방광, 고환, 부고환, 난소, 자궁, 질,비장, 췌장, 장간막 림프절, 위,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결장, 직장, 신장, 부신,간장, 타액선, 악하 림프절, 갑상선(부갑상선 포함), 대동맥, 흉선, 심장, 폐장, 기관, 식도, 좌골신경, 골격근, 흉골, 혀, 흉척수, 안구, 하더리안선, 뇌, 뇌하수체
(6) 통계학적 방법
얻어진 자료에 대한 부형제 대조군과 시험물질 투여군간의 비교는 일반적으로 모수적인 다중비교 (parametric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s) 혹은 비모수적인 다중비교(non parametric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s )를 사용하였다. 관심 검사항목에 대하여 용량상관성이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 혹은 기타 모델링 기법을 실시하였다. 발생율의 표기는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나타내며 필요한 경우 Fisher's exact test로서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검사하였다.
① 데이터 처리
㉠ 모든 데이터는 부형제 투여 대조군과 각각의 시험물질 처치군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 혈액 샘플가운데 조금이라도 응고된 경우가 있어 이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는 통계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유는 시험물질에 의한 효과라기보다는 측정오류로써 통계분석에 포함하기에는 이상치로써 오차가 커지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었다.
㉢ 요검사의 데이터는 척도변환을 실시하였다. 증상의 정도로 표기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값을 대응하였다.(표 15참조)
[표 15]
② 통계분석 절차
㉠ 연속인 자료의 분석
- 검사항목 : 체중, 사료, 물 섭취량, 혈액학적 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장기중량
- 통계분석
1 단계. 정규성검정인 Kolmogorov-Smirnov 검정을 실시하였다.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모수적인 검정방법을 사용하였다.
2 단계. 정규성을 만족하는 경우에 등분산성을 검정하는 Bartlett 검정을 실시하였다.
3 단계. 모수적인 다중비교 혹은 비모수적인 다중비교를 실시하였다.
㉡ 비연속인 자료의 분석
- 검사항목 : 요검사
- 통계분석
1 단계 : 척도변환을 통하여 데이터를 재입력하였다.
2 단계 : 비모수적인 다중비교를 실시하였다.
③ 부검소견의 관찰
계획도살 시까지 생존한 동물들에 대하여는 에테르 마취로 동물을 절박도살 시킨 후 모든 장기에 대한 육안적인 부검소견을 관찰하였다.
4) 시험결과
(1) 일반증상 및 사망률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사망동물은 암컷 111 mg/kg 투여군 주요군에서 최종 투여 이후 부검당일 1례 발생하였다. 일반증상으로는 수컷 주요군의 경우 333 mg/kg 및 1,000 mg/kg 투여군에서 비음(Nasal noise)이 투여 후 27 일째 각각 1례씩 발생된 것 이외에는 전 시험군에서 아무런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암컷 주요군에서는 111 mg/kg 투여군에서 투여 후 27 일째 쇠약 및 보행실조가 관찰되었고 투여 후 28 일째 쇠약, 보행실조 및 입모 증상이 나타난 후 최종투여일인 투여 29 일 이후 부검당일 폐사된 상태로 관찰되었다. 333 mg/kg 투여군에서는 투여 후 27 일째 일시적으로 비음이 관찰되었으나 회복되어짐을 보였다. 회복군에서는 아무런 일반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2) 체중변화
본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체중변화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어떠한 변화도 인정되지 않았다.
(3) 사료 섭취량
본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사료 섭취량의 변화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어떠한 변화도 인정되지 않았다.
(4) 물 섭취량
본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물 섭취량의 변화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어떠한 변화도 인정되지 않았다.
(5) 안검사
안검사에서 본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6) 뇨검사
본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뇨검사상의 변화에서는 수컷 주요군 1,000 mg/kg 투여군에서 pH가 약간 낮은 것 (p<0.05)으로 관찰되었다.
(7) 혈액학적 검사
본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혈액학적 검사상의 변화로는 수컷 주요군 333 mg/kg 투여군에서의 백혈구 수치 및 호산구의 유의성(p<0.05)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다. 수컷 주요군 1,000 mg/kg 투여군에서는 호중구의 유의성(p<0.05) 있는 증가, 림프구의 유의성(p<0.05) 있는 감소 및 호염기구의 유의성(p<0.05)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다.
(8) 혈액생화학적 검사
본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혈액생화학 검사상의 변화로는 암컷 주요군 1,000 mg/kg 투여군에서의 BUN치 및 혈당치의 유의성 있는 감소(p<0.01) 가 관찰되었다. 암컷 주요군 333 mg/kg 투여군에서는 혈당의 유의성 있는 감소(p<0.05)가 관찰되었다. 암컷 주요군 333 mg/kg 및 111 mg/kg 투여군에서는 염소이온이 약간 증가되는 것(p<0.05)으로 관찰되었다. 수컷 회복군에서는 부형제 투여군과 비교시 총콜레스테롤치의 감소(p<0.05)가 관찰되었다.
(9) 육안적인 부검소견
부검소견에서 수컷 주요군에서는 333 mg/kg 투여군을 제외한 모든 시험군에서 폐의 붉은 반점이 1례씩 관찰되었다. 암컷 주요군에서는 부형제 투여군에서 흉선의 검은 반점이 1례, 333 mg/kg 투여군에서는 흉선의 암적색 반점, 보라색 반점 및 위축소견이 각각 1례씩 관찰되었다. 암컷 주요군 333 mg/kg 투여군에서는 폐의 황갈색 반점이 1례, 1,000 mg/kg 투여군에서는 경결소견이 3례 및 암적색 반점이 1례씩 관찰되었다. 회복군 암수 부형제 투여군에서 모두 흉선의 암적색 반점 및 폐의 암적색 변색이 각각 1례씩 관찰되었다.
(10) 장기중량
본 시험물질투여로 인한 절대장기중량에서의 변화로는 수컷 주요군 333 mg/kg 투여군에서의 흉선중량의 유의성(p<0.05)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다. 상대장기중량 비교에서는 수컷 주요군 333 mg/kg 투여군에서의 흉선중량의 유의성(p<0.05) 있는 감소와 암컷 회복군의 부형제 대조군과 비교시 뇌하수체의 유의성(p<0.05) 있는 중량감소 및 심장중량의 유의성(p<0.05)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다.
(11) 병리조직학적 검사
본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병리조직학적 검사상에서의 변화로는 수컷 주요군 부형제 투여군의 경우, 신장의 집합관내 균질성 호산성물질의 출현이 1례, 전립선 간질의 림프구 침윤이 2례씩 관찰되었다. 수컷 주요군 1000 mg/kg투여군에서는 전립선 간질의 림프구 침윤이 1례, 심장 우심실벽의 호중구, 림프구 침윤이 1례가 관찰되었다. 회복군에서는 수컷 부형제 투여군의 경우, 전립선 간질의 림프구 침윤이 1례, 수컷 1000 mg/kg투여군의 전립선 간질의 림프구 침윤이 2례 및 심장의 심실벽 림프구 침윤이 1례 관찰되었다. 암컷 주요군에서는 아무런 이상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암컷 최고용량군의 회복군에서는 심장 우심실벽의 염증세포 침윤이 1례 관찰되었다. 수컷과 암컷의 중간용량군에서의 심장의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암컷 111 mg/kg 투여군에서 실험도중 폐사한 1례의 조직학적 검사결과에서는 신장의 신사구체염과 신우부위의 괴사 소견 및 신사구체와 세뇨관에서 크고 작은 무정형의 호염기성의 질점이 다수 관찰되었다.
5) 결 론
본 시험물질 CCBD의 반복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암수 공히 시험물질 0 mg/kg, 111 mg/kg, 333 mg/kg 및 1,000 mg/kg의 용량으로 각각 10 마리씩의 Sprague-Dawley(SD) 계통 랫드에 4 주간 투여하고 0 mg/kg 및 1,000 mg/kg 투여군에는 암수 각각 5 마리의 회복군을 설정하여 회복성을 관찰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사망률에 있어서는 111 mg/kg 투여군에서 투여 마지막날 사망이 1례 발생하였으나, 사망 이전의 임상증상, 사망시기 및 병리조직소견으로 보아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이라기보다는 투여실수에 의한 것으로 보였다. 일반증상에 있어서는 투여 27 일째 비음이 수컷 주요군 333 mg/kg 및 1,000 mg/kg 투여군과 암컷 주요군 111 mg/kg 및 333 mg/kg 투여군에서 발생하였으나 이는 농도 상관성을 보이지 않으며 사망을 보인 1례를 제외하고는 바로 회복된 것으로 보아 투여 실수로 인한 시험물질 역류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체중변화, 사료 및 물 섭취량, 안검사에서는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뇨검사에서는 수컷 주요군 1,000 mg/kg 투여군에서 pH가 약간 낮게 관찰되었으나 이는 소수 례에서의 우발적인 결과로 본 시험물질과는 무관한 것으로 생각된다. 혈액학적 검사에서 관찰된 수컷 주요군 333 mg/kg 투여군에서의 백혈구 수치 및 호산구의 감소, 수컷 주요군 1,000 mg/kg 투여군에서는 호중구의 증가, 림프구의 감소 및 호염기구의 증가는 농도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은 변화로 본 시험물질과는 무관한 것으로 생각된다.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암컷 1,000 mg/kg 투여군에서 BUN 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정상범위내에서의 변화였다. 암컷 주요군에서 관찰된 농도 의존적인 혈당감소는 정상범위내의 감소이며 조직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독성학적 영향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암컷 주요군 111 mg/kg 투여군 및 333 mg/kg 투여군에서 관찰된 염소이온의 경미한 증가도 농도상관성이 결여된 소견이며 정상범위내에서의 변화였다. 수컷 회복군에서 부형제 투여군과 비교시 총콜레스테롤치의 감소를 보였지만 다른 시험군과 비교시 그 정도가 경미하며 본 시험물질의 독성영향으로 보기는 곤란하다. 육안적인 부검소견에서는 폐의 붉은 반점, 황갈색 반점 및 경결소견, 흉선의 검은 반점, 암적색 반점, 보라색 반점 및 위축소견 등이 산발적으로 관찰되었으나 농도 상관성이 없으며 부형제 투여군에서도 관찰된 것으로 보아 본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장기중량에서 관찰된 수컷 주요군 333 mg/kg 투여군에서의 흉선의 절대 및 상대중량의 감소와 암컷 회복군에서의 뇌하수체의 중량 감소 및 심장중량의 증가는 병리조직학적 검사시 뚜렷한 이상소견을 수반하지 않았으며 부검자의 부검기술 차이에 의한 변화로 생각된다. 병리조직학적 검사결과에서는 주목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수컷 1000 mg/kg 투여군과 수컷 및 암컷의 1000 mg/kg 용량 투여 회복군에서 일부 관찰된 심실벽의 국소적 염증세포 침윤에 대해서는 경도가 경미하여 독성학적 의의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수컷의 부형제 투여 대조군과 1000 mg/kg 투여군 일부에서 관찰된 전립선 간질의 국소적 염증세포 침윤은 실험물질과는 무관한 소견으로 추정된다. 수컷 부형제 투여군에서 관찰된 신장 집합관내 호산성물질 저류 등의 소견도 실험물질과 무관한 소견으로 판단하였다. 투여 마지막날 폐사한 암컷 111 mg/kg 투여군 1례의 조직학적 검사결과에서는 신장의 신사구체염과 신우부위의 괴사 및 신사구체와 세뇨관에서의 세균의 군락소로 보이는 무정형의 호염기성 질점이 다수 관찰된 것 이외에는 특이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발명품의 랫드에 대한 4 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에서 본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이상 증상과 표적장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물질의 무해용량(NOAEL)은 1,000 mg/kg 을 상회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2. 급성독성시험
시 험 일 반
1) 시험번호 : CC01-276
2) 시험목적 : 시료 CCBD 의 경구투여에의해 나타나는 급성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3) 시험방법 : '독성시험 기준(1999. 11. 17)'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4) 시험일정
⑴ 시험개시일 : 2001년 6월 30일
⑵ 동물입수일 : 2001년 7월 4일
⑶ 순화기간 : 2002년 7월 4일 ∼ 2002년 7월 10일
⑷ 투여일 : 2001년 7월 11일
⑸ 부검일 : 2001년 10월 25일
⑹ 최종보고 : 2002년 11월 20일
5) 시험의뢰자 : ㅇㅇ유한공사
6) 시험기관 : ㅇㅇ임상연구중심
7) 동물사육실 : 제 1 동물사육구역 제 4 호실
8) 시험물질의 보관 : 본 시험에 사용한 시험물질은 실온보관(보관번호 CC01-276) 하였으며, 부형제와 혼합한 후에는 바로 사용하였다.
9) 시험자료의 보관 : 본 시험의 시험기초자료 및 관계자료는 위 보고일로부터 5년까지 본 기관의 보관실에 보관한다. 최종보고서 제출 후 보관될 자료는 다음과 같다.
; 시험계획서 및 관련서류, 시험기초자료(문서류,디스켓류),최종보고서 및 관련서류
시 험 내 용
1) 시험개요
시료 CCBD의 단회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암수 공히 시료 0 ㎎/㎏, 500 ㎎/㎏, 1,000 ㎎/㎏ 및 2,000 ㎎/㎏의 용량으로 각각 5 마리씩의 Sprague-Dawley (SD) 계통 랫드에 투여하고 2 주간의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부검소견을 관찰하였다.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사망동물은관찰되지 않았다.
(2) 일반증상에서도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어떠한 이상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3) 체중변화에서는 전 시험군에서 암수 모두 정상적인 성장이 관찰되었다.
(4) 부검소견에서도 시험물질과 관련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시료의 랫드에 대한 단회 경구투여 독성시험에서 본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이상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최소치사량은 2,000 ㎎/㎏을 상회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2) 시험물질
(1) 시험물질
① 명 칭 : CCBD
② 입 수 량 : 1 kg
③ 입 수 일 : 2001년 5월 7일
④ 외관 및 성상 : 황색 캡슐
⑤ 순도 및 안정성 : 자료참조
⑥ 보관조건 : 실온보관
⑦ 공 급 자 : ㅇㅇ유한공사
(2) 부형제
① 명 칭 : 0.5 % CMC 수용액
② 입 수 량 : 500 g
③ 입 수 일 : 2001년 4월 8일
④ 제조번호 : CCRM 004
⑤ 보관조건 : 실온보관
⑥ 공 급 자 : ㅇㅇ화학공사
3) 재료 및 방법
(1) 시험계
① 종 및 계통 SD (Sprague-Dawley) 계통의 특정병원균 부재(SPF) 랫드
② 공급원 ; ㅇㅇ실험동물중심
③ 시험계의 선택이유
본 시험에 사용된 랫드는 독성시험에 적당한 실험동물로서 일반독성시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본 계통의 랫드는 풍부한 시험기초자료가 축적되어 있어서, 시험결과를 해석하고 평가할 때에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었다.
④ 주령 및 체중범위
-입수 시 주령 : 4 주령
-입수 시 동물 수 : 암수 각각 25 마리
-수 시 체중 : 수컷 ; 94.17 g ∼ 108.33 g, 암컷 ; 93.86 g ∼ 103.79 g
-투여 개시 시 주령 : 5 주령
-투여 개시 시 동물수 : 암수 각각 20 마리
-투여 개시 시 체중 : 수컷 ; 130.12 g ∼ 145.67 g, 암컷 ; 118.49 g ∼ 134.38 g
⑤ 검역 및 순화
입수 시 시험동물의 검수검역을 실시하였으며 동물 입수 후 7 일간 시험을 실시하는 동물실내에서 순화시켰다. 순화기간 중 일반증상을 관찰하여 건강한 동물만을 시험에 제공하였다.
(2) 사육환경
① 환경조건
온도 23±3 ℃, 상대습도 55±15 %, 환기횟수 10∼20 회/hr., 조명시간 12 시간(오전 8 시∼오후 8 시)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하고, 시험자들은 모두 멸균(121 ℃, 20 분)된 작업복과 보호장구를 착용하였다.
② 사육환경 모니터링
시험기간 중 동물실의 온,습도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온,습도측정기에 의하여 매 시간마다 측정되었으며, 환기횟수 및 조도 등의 환경조건은 정기적으로 측정되었다. 시험기간 중에 시험의 결과에 나쁜 영향을 줄만한 환경의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③ 사육상자, 사육밀도 및 사육상자의 식별
실험동물은 스테인레스제 망 사육상자(215 W x 360 L x 200 H mm)에 순화기간에는 5 마리씩, 투여 및 관찰기간에는 2~3 마리씩 사육하고, 상자에는 시험번호 및 동물 번호를 기입한 개체식별카드를 부착하여 식별하였다.
④ 사료 및 물의 급여방법
사료는 방사선조사로 멸균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 자유섭취 시켰다. 사료의 오염물질 분석은 생산자측의 분석자료를 이용하였다. 물은 지하수를 자외선 살균기 및 미세여과장치로 소독한 후 물병을 이용하여 자유섭취 시켰다. 검사결과, 시험의 성적에 나쁜 영향을 줄만한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3) 투여량 및 시험군의 구성
① 투여량 설정
본 시험의 예비시험의 결과, 본 시험물질의 최소치사량이 2,000 ㎎/㎏을 상회할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에 본 시험에서는 경구투여 한계용량으로 사용되는 2,00 ㎎/㎏을 최고용량으로 하고, 1,000 ㎎/㎏ 및 500 ㎎/㎏의 용량과 부형제 대조군을 설정하였다. (표 16참조)
② 시험군의 구성
[표 16]
③ 군분리 및 동물식별
순화기간 중 건강하다고 판정된 동물의 체중을 측정한 후 5 g 간격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평균체중에 가까운 동물들을 암수 각각 20 마리씩을 선택하였다. 이렇게 선택된 암수 각 20 마리를 각 군에 5 마리씩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순위화 한 체중을 이용하여 무작위법으로 동물의 개체식별은 무수 에탄올에 용해된 포화 피크릭산을 이용한 피모색소 표식법 및 사육상자에 부착된 개체 식별카드 표시법으로 실시하였다.
(4) 시험물질의 투여
① 투여액의 조제법
시험물질을 측량하여 0.5 % CMC 수용액에 현탁하여 투여할 시험물질을 조제하였다.
② 투여경로 및 투여방법
경구투여를 경로로 투여 방법은 동물을 경배부 피부 고정법으로 고정하고 금속제 경구 투여용 존데를 이용하여 위내에 직접 주입하였다.
③ 투여경로 선택이유 사람에서의 적용 예상경로로서 경구투여를 선택하였다.
④ 투여횟수 및 투여기간 ; 1 회/일, 1 일 투여
⑤ 투여량 계산
투여개시 직전의 절식 된 체중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투여량은 12 ml/kg으로 산출하였다.
(5) 관찰 및 검사항목
① 일반증상 및 사망동물의 관찰
매일 1 회 이상 증상관찰을 실시하였다. 단 투여 당일에는 투여 후 6 시간까지는 매 시간마다 관찰하였다.
② 체중측정
모든 동물에 대하여 투여 전, 투여 후 1, 3, 7 및 14 일째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③ 부검소견의 관찰
계획도살 시까지 생존한 동물들에 대하여는 에테르 마취로 동물을 절박도살 시킨 후 모든 장기에 대한 육안적인 부검소견을 관찰하였다.
(6) 통계학적 방법
체중은 군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여 대조 비교하였다.
시 험 결 과
1) 결 과
(1) 사망동물 및 최소치사량(MLD)
모든 시험군에서 본 시험물질 투여 이후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료의 최소치사량(MLD)은 암수 모두에서 2,000 ㎎/㎏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2) 일반증상
모든 시험군에서 본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증상은 투여당일은 물론 투여 이후의 전 관찰기간 동안 관찰되지 않았다.
(3) 체중변화
본 시험물질 투여 이후의 체중의 변화에서는 암컷 G2군 1 례에서 투여 후 1 일째 일시적인 체중의 감소를 보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전 투여 용량군에서 암수 모두 투여 이후 1 일째, 3 일째, 7 일째 및 14 일째 모두에서 정상적인 성장이 관찰되었다.
(4) 부검소견
부검소견에서 본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특이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결 론
본 시험물질인 CCBD는 천연물 유래로 구강투여가 예정인 물질이다. 본 시험은 시료의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암수 공히 시험물질 0 ㎎/㎏, 500 ㎎/㎏, 1,000 ㎎/㎏ 및 2,000 ㎎/㎏의 용량으로 각각 5 마리씩의 Sprague-Dawley(SD) 계통 랫드에 투여하고 2 주간의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부검소견을 관찰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사망률과 일반증상 및 증체율에서 시험물질의 투여에 기인된 유의성 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단, 암컷 G2군 1례에서 관찰된 투여후 1 일째 일시적인 체중감소를 보였으나 투여 3 일 후부터는 정상적인 증체율을 보였으며 다른 전 투여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우발적인 경우로 판단되었다. 육안적인 부검소견에서도 특이할만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위의 결과로 보아 독성시험에서 유의성 있는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고 최소치사량은 2,000 mg/kg을 상회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명자, 숙지황, 복령, 우슬, 산약, 육종용, 파극천, 육계, 음양곽, 보골지, 황기, 당귀, 두충, 저실자, 원지, 석창포, 산수유, 생강, 대추등 19 종의 생약 또는 추가로 감초, 반하, 오미자, 인삼 또는 홍삼, 진피, 천궁을 포함한 정신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순간기억능력과 장기기억능력을 증진시켜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제제학적으로 안정하고 안전한 약제을 제공할 수 있다는 특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사용된 미로찾기 장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품 투여전후의 뇌파측정치를 그림으로 나타낸 도이다.

Claims (4)

  1. 결명자 5-50 중량부, 숙지황 6-60 중량부, 복령 4-40 중량부, 우슬 4-40 중량부, 산약 4-40 중량부, 육종용 3-30 중량부, 파극천 4-40 중량부, 육계 4-40 중량부, 음양곽 3-30 중량부, 보골지 4-40 중량부, 황기 5-50 중량부, 당귀 5-50 중량부, 두충 3-30 중량부, 저실자 4-40 중량부, 원지 4-40 중량부, 석창포 3-30 중량부, 산수유 4-40 중량부, 생강 1-10 중량부, 대추 2-20 중량부로 구성된 학습능력향상용 약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청구항 1의 생약외 추가로 감초 5-50 중량부, 반하 6-40 중량부, 오미자 6-10 중량부, 인삼 또는 홍삼 5-50 중량부, 진피 5-50 중량부, 천궁 3-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
  3. 결명자 5-50 중량부, 숙지황 6-60 중량부, 복령 4-40 중량부, 우슬 4-40 중량부, 산약 4-40 중량부, 육종용 3-30 중량부, 파극천 4-40 중량부, 육계 4-40 중량부, 음양곽 3-30 중량부, 보골지 4-40 중량부, 황기 5-50 중량부, 당귀 5-50 중량부, 두충 3-30 중량부, 저실자 4-40 중량부, 원지 4-40 중량부, 석창포 3-30 중량부, 산수유 4-40 중량부, 생강 1-10 중량부, 대추 2-20 중량부를 세절한 다음, 정제수로 추출한 다음 액체화하거나 건조분말로하여 정제 또는 캅셀제로 제제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능력 향상용 약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청구항 3의 생약외 추가로 감초 5-50 중량부, 반하 6-40 중량부, 오미자 6-10 중량부, 인삼 또는 홍삼 5-50 중량부, 진피 5-50 중량부, 천궁 3-10 중량부를 함유하여 제제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능력향상용 약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3-0098582A 2003-12-29 2003-12-29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30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582A KR100530213B1 (ko) 2003-12-29 2003-12-29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582A KR100530213B1 (ko) 2003-12-29 2003-12-29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592A KR20050067592A (ko) 2005-07-05
KR100530213B1 true KR100530213B1 (ko) 2005-11-22

Family

ID=3725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582A KR100530213B1 (ko) 2003-12-29 2003-12-29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2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02B1 (ko) * 2005-11-24 2007-06-19 (주)이노팜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1739B1 (ko) 2010-10-06 2013-01-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당귀와 건지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79673B1 (ko) 2013-01-23 2014-04-0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를 이용한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훈향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55B1 (ko) * 2007-05-21 2008-06-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초콜릿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GB0722758D0 (en) * 2007-11-20 2008-01-02 Medipearl Pte Ltd Herbal medicine for osteoporosis and related condi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02B1 (ko) * 2005-11-24 2007-06-19 (주)이노팜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1739B1 (ko) 2010-10-06 2013-01-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당귀와 건지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79673B1 (ko) 2013-01-23 2014-04-0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를 이용한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훈향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592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30049T2 (de) Ätherisches öl beinhaltende zubereitung
DE602004008222T2 (de) Pflanzliche zusammensetzungen für prostataleiden
CA2555235C (en) Plant-based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CN100374538C (zh) 五脏滋补酒及其制备工艺
EP1924273A2 (en) Plant-based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KR100980819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CN103719498A (zh) 一种提高免疫力的黄精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0530211B1 (ko)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250675B (zh) 一种用于制备治疗肿瘤的药物的中药组合物
CN103893549A (zh) 一种缓解疲劳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8558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및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CN102120015A (zh) 一种用于舒肝解郁、安神定志的中药及制法和质量标准
Li Chinese herbal medicine
Kamble et al. Pharmaceutico-Analytical Study of Muktashukti Pishti and Muktashukti Bhasma and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ir Relative Oral Bioavailability
EP3653219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fatty liver
KR100530213B1 (ko)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3142848B (zh) 一种抗衰老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12869160B (zh) 一种含叶酸的祛斑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081171A (zh) 一种具有辅助改善睡眠作用的功能性食品组合物
Saad et al. Tradition and Perspectives of Greco‐Arab and Islamic Herbal Medicine
Carradori et al. Patent survey on saffron and its multiple applications: an update
CN101574427B (zh) 辅助戒毒的中药组合物和含有该组合物的中药
JP2003135023A (ja) 健康食品
JP2023062689A (ja) 依存症の治療、改善および/または予防のための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