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974B1 -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974B1
KR100529974B1 KR10-1999-0018241A KR19990018241A KR100529974B1 KR 100529974 B1 KR100529974 B1 KR 100529974B1 KR 19990018241 A KR19990018241 A KR 19990018241A KR 100529974 B1 KR100529974 B1 KR 10052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data
spool
length
rotation position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8446A (ko
Inventor
후로모토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889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14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888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708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1152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9781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19990088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를 제공한다. 이 계측장치는 낚시용 릴의 스풀에서 풀리거나 상기 스풀에 감기는 낚시줄의 길이를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를 검출하는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과,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소정의 실패직경에 있어서 낚시줄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절편으로 하는 일차함수로 기억하는 관계기억수단과,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회전위치데이터와 관계기억수단에 기억된 일차함수에 근거하여 낚시줄의 길이를 구하는 줄길이 산출수단과, 관계기억수단에 기억된 일차함수의 절편으로부터의 기울기를 변경하기 위한 기울기 변경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length of fishing line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줄길이 계측장치, 특히 낚시용 릴의 스풀에서 풀리거나 스풀에 감기는 낚시줄의 길이를 계측하기 위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베어링릴이나 일베어링릴 등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스풀에서 풀린 낚시줄의 길이에 의해 낚시줄의 수심을 표시하는 수심표시장치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개평2-107908호). 이 수심표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낚시줄을 정확히 같은 수저면에 내리거나, 던질낚시시 낚시줄의 날아간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종류의 수심표시장치는 스풀회전시 스풀에서 풀린 줄길이를 계측하는 줄길이 계측부와, 줄길이 계측부에서 계측된 줄길이에 의해 수심을 표시하는,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수심표시부를 갖추고 있다. 줄길이 계측부는 스풀의 회전수로부터 줄길이를 산출한다. 또한 스풀의 실패직경은 스풀에 감기 시작했을 때부터의 회전수나 줄의 굵기에 따라 변화되며 스풀 1회전당 줄길이는 실패직경에 의해 변화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스풀회전수나 줄의 굵기를 고려하여 스풀회전수로부터 줄길이를 산출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풀의 낚시줄 감는 부분의 외주에 접촉하는 줄길이 검출기를 릴에 장착하여, 낚시줄을 스풀에 감을 때 줄길이 검출기에서 계측된 실제 줄길이와 스풀회전수의 관계를 학습하고 그 관계를 장치 내부의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있다. 그리고 낚시질할 때에는 줄길이 검출기를 벗겨 스풀회전수와 줄길이의 관계를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스풀회전수로부터 줄길이를 산출하고 있다.
한편 스풀직경은 릴의 크기에 따라 설정된 사이즈의 낚시줄을 판매되는 단위인 1OOm 단위로 감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6호 낚시줄을 300m 감으면 스풀의 플랜지부 가장자리까지 낚시줄이 감긴다. 그러나 그것보다 가는, 예를 들어 4호 낚시줄을 감으면 스풀의 플랜지부 가장자리까지 감았을 때 420m로 우수리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우수리가 나올 경우 그만큼 쓸데없이 낚시줄을 구입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설정된 스풀에 우수리가 나올 것 같은 낚시줄을 감을 경우, 미리 밑줄을 스풀에 적당히 감거나 이코노마이저라고 불리는 통체를 스풀에 장착한 후 예를 들어 300m의 낚시줄을 감는 것이 통상 실시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구성으로는, 스풀의 회전수나 줄의 굵기에 따른 실패직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줄길이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 길이와 산출된 줄길이의 오차는 스풀회전수로부터 직접 줄길이를 산출하는 경우에 비해 미미하다. 그러나 낚시줄에 실제로 장력이 작용하면 스풀에 감긴 낚시줄 사이의 빈틈이 축소되고 스풀 1회전당 줄길이가 감소되어 같은 줄길이의 낚시줄을 감을 때 여분으로 스풀을 회전시켜야만 한다. 즉 낚시줄에 장력이 작용하면 스풀회전수와 실제 줄길이의 관계가 메모리에 기억된 관계와 달라져 표시되는 줄길이가 실제 줄길이보다 길어진다.
그래서 낚시줄에 장력이 작용하여 수심표시가 어긋났을 때 스풀회전수와 단위회전당 줄길이의 상관관계를 보정하는 기술이 특개평9-23642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보정기술에서는, 스풀의 단위회전당 회전위치데이터와 줄길이의 상관관계를 학습하고 또 학습 후에 낚시줄을 푼 가장 깊은 위치를 기억하여 가장 깊은 위치로부터의 상관관계를 보정하고 있다. 또한 보정시에는, 장력의 작용에 따른 스풀 단면의 변형을 모델화한 식에 의해 상관관계를 변경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제로 장력의 작용에 의해 상관관계가 변동한 점으로부터의 보정을 실시하여 모델화한 식에 의해 정확한 텐션보정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텐션보정을 하면 보정을 위한 데이터량이 많아짐과 동시에 연산식이 복잡해지고 연산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짐과 동시에 비싸진다.
또한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스풀회전수와 줄길이의 관계를 학습하기 위한 줄길이 검출기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이 줄길이 검출기는 스풀에 감기 시작했을 때부터 다 감을 때까지 스풀의 실패부분 외주에 접촉하여 줄길이를 계측한다. 그리고 학습이 종료되면 줄길이 검출기를 벗긴다. 이 때문에 줄길이 검출기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구성은, 학습시 줄길이 검출기의 착탈이 번거롭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줄로의 장력 작용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된 상관관계가 어긋나더라도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의 연산장치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밑감기줄 등을 사용하더라도 줄길이 검출기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히 줄길이와 스풀회전수의 관계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과제는, 낚시줄을 감기 시작했을 때의 직경에 상관없이 줄길이 검출기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히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제 1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낚시용 릴의 스풀에서 풀리거나 상기 스풀에 감기는 낚시줄의 길이를 계측하기 위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로서,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과 관계기억수단과 줄길이 산출수단과 기울기 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은,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를 검출하는 수단이다. 관계기억수단은,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소정의 실패직경에 있어서 낚시줄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절편으로 하는 일차함수로 기억하는 수단이다. 줄길이 산출수단은,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회전위치데이터와 관계기억수단에 기억된 일차함수에 근거하여 낚시줄의 길이를 구하는 수단이다. 기울기 변경수단은, 관계기억수단에 기억된 일차함수의 절편으로부터의 기울기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줄길이 계측장치에서는, 관계기억수단에 일차함수형태로 기억된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의 상관관계에 의거, 낚시줄길이가 산출된다. 그리고 낚시줄에 장력 등이 작용하여 기억된 일차함수의 상관관계가 변화하면, 기울기 변경수단에 의해 절편으로부터의 기울기를 변경함으로써 보정한다. 여기서는 절편으로부터의 기울기를 변경하는 것 뿐인 연산처리로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의 상관관계가 변화하더라도 보정을 위한 연산처리가 간단해져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의 연산장치로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제 2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제 1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스풀에 낚시줄을 감을 때 대략 마지막 감김부분에서의 낚시줄의 소정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와의 측정관계를 학습하는 관계학습수단과, 측정관계에 근거하여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구하는 관계산출수단을 더 구비하며, 기억수단에는 관계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관관계가 기억된다.
이 경우에는 스풀에 낚시줄을 감았을 때, 대략 마지막 감김부분에서의 낚시줄의 소정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와의 측정관계, 즉 최종 감김부분에서의 실패직경에 대한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학습하고, 이 측정관계에 근거하여 감기 시작했을 때부터 서서히 굵어지는 실패직경에 대한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이 상관관계를 관계기억수단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이 상관관계를 독출하여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에 의해 줄길이가 산출된다. 여기서는 대략 마지막 감긴 부분의 짧은 소정길이에서의 학습만으로 실패직경에 의해 변화되는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와 줄길이와의 관계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줄길이 검출기를 장착하지 않고도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더구나 학습에 의해 줄길이를 산출하기 때문에 낚시줄의 종류에 상관없이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제 3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실길이 계측장치는, 제 2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관계학습수단은 다 감은 후 소정길이만큼 상기 낚시줄을 풀었을 때 또는 더 감았을 때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스풀의 제1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1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을 구비하며, 관계산출수단은 스풀로 낚시줄을 감기 시작한 때부터 다 감을 때까지의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스풀의 제2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2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과, 감기 시작했을 때의 스풀의 실패직경을 접수하는 실패직경 접수수단과, 제1 및 제2 회전위치데이터와 소정길이, 실패직경에 의해 상관관계를 일차함수와 근사하게 하는 직선근사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스풀에 낚시줄을 다 감은 후 소정길이의 낚시줄을 풀거나 감았을 때의 제1 회전위치데이터에 의해 마지막 감김부분 근방에서의 실패직경에 대한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구한다. 그리고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스풀회전위치데이터와의 상관관계가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에 의한 줄길이를 절편으로 하는 일차직선으로 회귀하는 것에 착안하여, 감기 시작해서부터 다 감을 때까지의 제2 회전위치데이터, 즉 스풀의 총회전수와 제1 회전위치데이터, 소정길이,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에 의해 일차직선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스풀회전위치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일차직선에 근사하게 한다. 그리고 이 일차직선을 감기 시작했을 때부터 회전위치데이터가 지시하는 부분까지 적분함으로써 회전위치데이터에 의해 줄길이를 구한다. 여기서는, 상관관계가 일차직선으로 회귀하는 것에 착안하여 연산처리에 의해 회전위치데이터로부터 줄길이를 산출하기 때문에, 연산처리가 용이하며 회전위치데이터로부터 순식간에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제 4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측정장치는, 제 3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기울기변경수단은, 기울기변경을 접수하기 위한 기울기변경 접수수단과, 기울기변경이 접수되었을 때의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회전위치데이터로 제2 회전위치데이터를 변경하는 제2 회전위치데이터 변경수단을 가지며, 기울기변경이 접수된 후 관계학습수단으로 얻어진 제1 회전위치데이터, 변경된 제2 회전위치데이터와 소정길이, 실패직경을 이용하여 직선근사수단으로 근사해진 일차함수에 의해 절편으로부터의 기울기를 변경한다. 이 경우에는 기억수단에 기억시킨 상관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계산출수단에 의해 기울기를 산출하기 때문에 기울기변경처리에 특별한 처리는 불필요하다.
제 5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제 1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기억수단에는 미리 상기 상관관계가 기억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학습하지 않고도 상관관계가 관계기억수단에 기억되기 때문에 기억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제 6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낚시용 릴의 스풀에서 풀리거나 스풀에 감기는 낚시줄의 길이를 계측하기 위한 장치로서,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 관계기억수단, 줄길이 산출수단, 함수변경수단을 구비한다.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은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를 검출하는 수단이다. 관계기억수단은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의 관계를 소정의 실패직경에 있어서 낚시줄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절편으로 하는 일차함수로 기억하는 수단이다. 줄길이 산출수단은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회전위치데이터와 관계기억수단에 기억된 일차함수에 근거하여 낚시줄의 길이를 구하는 산출이다. 절편입력수단은 관계기억수단에 기억된 일차함수의 절편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줄길이 계측장치에서는, 관계기억수단에 일차함수형태로 기억된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와의 관계에 근거하여 낚시줄의 길이가 산출된다. 그리고 밑감기를 한 후 낚시줄을 감을 때에는 절편을 스풀의 실패몸통직경이 아닌 밑감기직경으로 하기 위해 절편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스풀에 소정의 표적을 붙여 놓고 거기까지 밑줄을 감아놓는다. 그리고 절편입력이 접수되면 절편을 소정값(예를 들면 표적의 실패직경)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입력된 절편과 학습결과에 의해 일차함수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절편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밑감기를 해도 일차직선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밑감기줄 등을 사용하여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이 변동하더라도 줄길이 검출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줄길이와 스풀회전수의 관계를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제 7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실길이 계측장치는, 제 6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스풀에 낚시줄을 감을 때 대략 마지막 감김부분에서의 낚시줄의 소정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와의 측정관계를 학습하는 관계학습수단과, 측정관계에 근거하여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와의 관계를 구하는 관계산출수단을 더 구비하며, 기억수단에는 관계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관관계가 기억된다.
이 경우에는 스풀에 낚시줄을 감았을 때, 대략 마지막 감김부분에서의 낚시줄의 소정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와의 측정관계, 즉 최종 감김부분에서의 실패직경에 대한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학습하고, 이 측정관계에 근거하여 감기 시작했을 때부터 서서히 굵어지는 실패직경에 대한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이 관계를 관계기억수단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이 상관관계를 독출하여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에 의해 줄길이가 산출된다. 여기서는 대략 마지막 감긴 부분의 짧은 소정길이에서의 학습만으로 실패직경에 의해 변화되는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와 줄길이와의 관계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줄길이 검출기를 장착하지 않고도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더구나 학습에 의해 줄길이를 산출하기 때문에 낚시줄의 종류에 상관없이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제 8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실길이 계측장치는, 제 7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관계학습수단은 다 감은 후 소정길이만큼 낚시줄을 풀었을 때 또는 더 감았을 때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스풀의 제1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1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을 구비하며, 관계산출수단은 스풀로 낚시줄을 감기 시작한 때부터 다 감을 때까지의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스풀의 제2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2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과, 감기 시작했을 때의 스풀의 실패직경을 접수하는 실패직경 접수수단과, 제1 및 제2 회전위치데이터와 소정길이, 실패직경에 의해 상기 관계를 일차함수에 근사하게 하는 직선근사수단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스풀에 낚시줄을 다 감은 후 소정길이의 낚시줄을 풀거나 감았을 때의 제1 회전위치데이터에 의해 마지막 감김부분 근방에서의 실패직경에 대한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구한다. 그리고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스풀회전위치데이터와의 상관관계가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에 의한 줄길이를 절편으로 하는 일차직선으로 회귀하는 것에 착안하여, 감기 시작해서부터 다 감을 때까지의 제2 회전위치데이터, 즉 스풀의 총회전수와 제1 회전위치데이터, 소정길이,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에 의해 일차직선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스풀회전위치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일차직선에 근사하게 한다. 그리고 이 일차직선을 감기 시작했을 때부터 회전위치데이터가 도시하는 부분까지 적분함으로써 회전위치데이터에 의해 줄길이를 구한다. 여기서는, 상기 관계가 일차직선으로 회귀하는 것에 착안하여 연산처리에 의해 회전위치데이터로부터 줄길이를 산출하기 때문에, 연산처리가 용이하며 회전위치데이터로부터 순식간에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제 9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실길이 계측장치는, 제 8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절편입력수단은 절편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절편입력 접수수단과, 절편입력이 접수되면 실패직경을 미리 설정된 실패직경으로 변경하는 실패직경 변경수단을 구비하며, 직선근사수단은 절편입력이 접수된 후 관계학습수단으로 얻어진 제1 회전위치데이터, 상기 제2 회전위치데이터, 소정길이와 변경된 실패직경을 이용하여 상기 함수를 일차함수에 근사하게 한다. 이 경우에는 관계기억수단에 기억된 절편을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관계가 산출되기 때문에, 밑감기 등에 의해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이 변경되더라도 일차함수를 간단히 결정할 수 있다.
제 10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제 6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관계기억수단에는 미리 상기 관계가 기억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학습하지 않고도 상관관계가 기억수단에 기억되기 때문에 기억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제 11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낚시용 릴의 스풀에서 풀리거나 스풀에 감기는 낚시줄의 길이를 계측하기 위한 장치로서,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 관계산출수단, 줄길이 산출수단, 절편산출수단을 구비한다.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은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를 검출하는 수단이다. 관계산출수단은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의 관계를, 줄을 감기 시작했을 때의 낚시줄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절편으로 하는 함수로 산출하는 수단이다. 줄길이 산출수단은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회전위치데이터와 함수산출수단으로 산출된 함수에 근거하여 낚시줄의 길이를 구하는 수단이다. 절편산출수단은 함수산출수단에서 사용되는 함수의 절편을 산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줄길이 계측장치에서는, 함수산출수단으로 함수형태로 산출된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와의 관계에 근거하여 낚시줄의 길이가 산출된다. 그리고 밑감기나 이코노마이저를 사용한 후 낚시줄을 감을 때에는 절편을 스풀의 실패몸통직경이 아닌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으로 하기 위해 절편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절편에 의해 새로운 함수를 산출한다. 여기서는 절편을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이 변화하더라도 함수를 새롭게 결정할 수 있으며, 밑감기줄이나 이코노마이저 등을 사용해도 낚시줄을 감기 시작했을 때의 직경에 상관없이 줄길이 검출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줄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제 12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제 11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함수는 일차함수이다. 이 경우에는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의 관계가 단순한 일차함수이기 때문에 함수의 산출이 용이해진다.
제 13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함수산출수단은, 스풀에 낚시줄을 감을 때 대략 마지막 감김부분에서의 낚시줄의 제1 소정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와의 측정관계를 학습하는 관계학습수단과, 측정관계에 근거하여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와의 관계를 함수로 구하는 관계산출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스풀에 낚시줄을 감았을 때, 대략 마지막 감김부분에서의 낚시줄의 소정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와의 측정관계, 즉 최종 감김부분에서의 실패직경에 대한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학습하고, 이 측정관계와 산출된 절편에 근거하여 감기 시작했을 때부터 서서히 굵어지는 실패직경에 대한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와의 관계를 함수로 구하고, 이 함수를 예컨데 적분처리함으로써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로부터 줄길이가 산출된다. 여기서는 대략 마지막 감긴 부분의 짧은 소정길이에서의 학습만으로 실패직경에 의해 변화되는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와 줄길이와의 관계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줄길이 검출기를 장착하지 않고도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더구나 학습에 의해 줄길이를 산출하기 때문에 낚시줄의 종류에 상관없이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제 14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제 13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관계학습수단은, 다 감은 후 상기 제1 소정길이만큼 상기 낚시줄을 풀었을 때 또는 더 감았을 때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스풀의 제1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1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을 구비하며, 관계산출수단은 스풀로 낚시줄을 감기 시작한 때부터 다 감을 때까지의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스풀의 제2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2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과, 절편산출수단으로 산출된 절편을 접수하는 절편접수수단과, 제1 및 제2 회전위치데이터와 제1 소정길이, 절편에 의해 관계를 일차함수에 근사하게 하는 함수근사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스풀에 낚시줄을 다 감은 후 소정길이의 낚시줄을 풀거나 감았을 때의 제1 회전위치데이터에 의해 마지막 감김부분 근방에서의 실패직경에 대한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구한다. 그리고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스풀회전위치데이터와의 상관관계가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에 의한 줄길이를 절편으로 하는 일차직선으로 회귀하는 것에 착안하여, 감기 시작해서부터 다 감을 때까지의 제2 회전위치데이터, 즉 스풀의 총회전수와 제1 회전위치데이터, 제1 소정길이, 산출된 절편에 의해 일차직선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스풀회전위치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일차직선에 근사하게 한다. 그리고 이 일차직선을 감기 시작했을 때부터 회전위치데이터가 도시하는 부분까지 적분함으로써 회전위치데이터에 의해 줄길이를 구한다. 여기서는, 상기 관계가 일차직선으로 회귀하는 것에 착안하여 연산처리에 의해 회전위치데이터로부터 줄길이를 산출하기 때문에, 연산처리가 용이하며 회전위치데이터로부터 순식간에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제 15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제 14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절편산출수단은, 절편산출을 접수하기 위한 절편산출 접수수단과, 절편산출이 접수되면 그 후 제2 소정길이만큼 낚시줄을 감았을 때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스풀의 제3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3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과, 제1 회전위치데이터, 제2 회전위치데이터, 제3 회전위치데이터와 제1 소정길이, 제2 소정길이에 의해 절편산출이 접수되었을 때의 실패직경을 산출하는 실패직경 산출수단을 구비하며, 함수근사수단은, 절편산출이 접수된 후 관계학습수단으로 얻어진 제1 회전위치데이터, 제2 회전위치데이터, 제1 소정길이와 실패직경 산출수단으로 산출된 실패직경에 기초한 절편을 이용하여 상기 관계를 상기 일차함수에 근사하게 한다. 이 경우에는 절편산출수단으로 산출된 절편을 이용하여 일차함수가 산출되기 때문에 밑감기줄을 감거나 이코노마이저를 장착하더라도 그 때의 실패직경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밑감기 등에 의해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절편)이 변동되더라도 일차함수를 고정밀도로 결정할 수 있다.
제 16항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제 1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수산출수단으로 산출된 관계를 기억하기 위한 관계기억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학습내용이 보존되기 때문에, 줄길이를 산출할 때에는 기억수단의 내용을 독출하여 간단히 산출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전동릴은, 줄풀기 길이(또는 줄감기 길이)에 의해 수심을 표시하는 수심표시부를 갖는 릴이다. 전동릴은, 낚싯대(R)에 장착된 릴 본체(1)와, 릴 본체(1) 옆에 배치된 스풀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조정용 스타드래그(3)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좌우 1쌍의 측판(7a),(7b)과 그것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8)로 이루어진 프레임(7)과, 프레임(7)의 좌우를 덮는 좌우 측커버(9a),(9b)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측(도 1 오른쪽)의 측커버(9b)에는 핸들(2)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핸들(2)과 반대쪽(도 1 왼쪽)의 측커버(9a)에는 외부전원(PS)접속용 전원코드(18)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9)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핸들(2)에 연결된 스풀(10)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스풀(10) 내부에는 스풀(10)을 줄감기 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직류구동모터(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1)의 핸들쪽 측면에는 핸들(2) 및 모터(12)와 스풀(10)과의 구동전달을 온오프하는 클러치(미도시)의 조작레버(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를 온하면 장치의 자중(自重)에 의한 줄풀기 도중에 줄풀기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릴 본체(1)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0)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레벨와인드기구(13)나, 스풀(10)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자석휠(14)이나 핸들(2)의 회전을 스풀(10)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미도시)등이 설치되어 있다.
자석휠(14)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측판(7a)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자석휠(14)에는 기어부(14a)와 기어부(14a)에 인접하게 자석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자석부(14b)에는 180도 간격을 두고 2개의 자석(14c)이 장착되어 있다. 기어부(14a)는 중간기어(미도시)를 통해 스풀(10)에 형성된 스풀기어(미도시)에 맞물려 있다. 그 결과, 자석휠(14)은 스풀(10)에 연동되어 스풀(1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릴 본체(1)의 상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케이스(4)가 고정되어 있다. 카운터케이스(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상부에 배치되어, 윗면에 표시창문(20a)이 아랫면에 제1개구(20b)가 각각 형성된 케이스본체(20)와, 케이스본체(20)의 제1개구(20b)를 닫는 바닥뚜껑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20)는, 예를 들면 6나일론을 유리섬유로 보강한 합성수지 성형품이고, 릴 본체(1)의 상부에 연속하여 만곡된 매끄러운 외주면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창(20a)은 투명수지제 표시창(22)에 의해 닫혀있다. 케이스 본체(20) 내부에는 상자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뿔통형 벽부(20c)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밑바닥은 제1 개구(20b)로 되어 있다.
바닥뚜껑부재(2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합금 등의 도전금속을 성형하여 얻어진 판형 부재이며 나사에 의해 케이스 본체(20)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뚜껑부재(21)는 좌우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 및 제3 개구(21a),(21b)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뚜껑부재(21)의 양 개구(21a),(21b)사이의 영역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21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개구이며 원형의 뚜껑부재(23)로 닫혀 있다. 제3 개구(21b)는 자석휠(14)에 대향된 위치에 형성된 직사각형 개구이며 직사각형 뚜껑부재(24)로 닫혀있다. 이들 양 뚜껑부재(23),(24)는 모두 합성수지제 부재이며 나사에 의해 안쪽에서 바닥뚜껑부재(21)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뚜껑부재(21)와 케이스 본체(20)의 제1 개구(20b) 사이에는, 둘 사이에서 카운터케이스(4) 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고무제 패킹(2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개구(21a) 및 제3 개구(21b)와 양 뚜껑부재(23),(24) 사이에도 같은 목적으로 패킹(26),(27)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패킹(25)∼(27)에 의해 카운터케이스(4) 내부는 외부에 대하여 방수되도록 봉해져 있다.
카운터케이스(4)의 윗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창(22)을 통해 낚시줄의 수심이나 수저면을 수면에서와 밑바닥에서의 2개의 기준으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수심표시부(5)가 임해 있으며 수심표시부(5) 주위에는 조작키부(6)가 설치되어 있다.
수심표시부(5)는, 중앙에 배치된 4자리수의 7세그먼트 표시의 수심표시영역(5a)과, 그 아래쪽에 배치된 3자리수의 바닥수심 표시영역(5b)과, 수심표시영역(5a)의 도 4 오른쪽에 배치된 변속단수 표시영역(5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심표시부(5)에는「바닥에서」「학습」「지정」「밑감기」「수정」「입력」「방사멈춤」「0세트」의 8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바닥에서」의 문자는, 수심표시모드가 바닥기준모드시 표시된다. 바닥기준모드란, 낚시줄의 수심을 바닥을 기준으로 표시하는 모드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낚시줄의 수심은 수면기준(상방기준모드)으로 표시된다. 또한「학습」∼「입력」까지의 문자는 실패모드의 종류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실패모드의 문자가 표시된다.
조작키부(6)는 수심표시부(5)의 도 1 오른쪽에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변속키(SK) 및 모터키(PW)와, 왼쪽에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바닥메모키(SM) 및 모드키(MD)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키(PW)는 모터(12)를 온오프함과 동시에 온(on)시간에 의해 모터(12)를 증속하기 위한 토글스위치이다.
변속키(SK)는 구동된 모터(12)를 증감속하기 위한 키로서 상하 2개의 스위치와 중립위치를 갖는 시소형 스위치이다. 이 변속키(SK)의 위쪽 스위치를 누르면 증속하고 아래쪽 스위치를 누르면 감속한다. 또한 모터(12)를 구동시키지 않을 때에 위쪽 스위치를 소정시간 이상 누르면 표시모드를「상방기준」와「바닥기준」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아래쪽 스위치를 소정시간 이상 누르면 방사모드(줄을 풀 때 클러치를 끊은 상태에서 모터(12)를 구동시켜 방사속도를 빠르게 하는 모드)를 온오프할 수 있다.
바닥메모키(SM)는 낚시줄이 바닥에 도달했을 때 눌러지는 스위치로서 그 때의 수심이 바닥으로 설정된다. 이 바닥메모키(SM)를 소정시간 이상 누르면 낚시줄이 끊어졌을 때 등에 수심표시의 O점을 새로운 위치에 세팅할 수 있다.
모드키(MD)는 5종의 실패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예를 들어 이것을 1회 누르면 학습모드로 설정되고, 2회 연속하여 누르면 지정모드, 3회 연속하여 누르면 밑감기모드, 4회 연속하여 누르면 수정모드, 5회 연속하여 누르면 입력모드로 각각 실패모드가 설정된다. 여기서 학습모드는 줄굵기나 길이를 알 수 없는 낚시줄을 스풀(10)에 감을 때 사용되는 실패모드로서, 줄감기 마지막 부분에서의 스풀회전수와 스풀 1회전당 줄길이의 상관관계를 학습하여 낚시줄 전 길이에 걸친 스풀회전수와 1회전당 줄길이의 관계를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드이다. 지정모드는 기억부(43) 내에 준비된 호수 및 길이의 낚시줄을 스풀에 감을 때 사용되는 모드이다. 밑감기모드는 미리 지정된 실패직경까지 밑줄을 감은 후 미지의 낚시줄을 감을 때 사용되는 모드이다. 이 밑감기모드는 실패직경이 다를 뿐 기본적으로는 학습모드와 동일한 사상으로 학습한다. 수정모드는 텐션 등에 의해 표시가 어긋났을 때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드로서, 학습모드로 얻어진 일차직선 전체의 기울기를 재계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드이다. 입력모드는 스풀 총회전수와 소정거리의 풀기거리를 임의로 편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드이다.
카운터케이스(4)내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심표시부(5)와, 표시제어 및 모터제어를 하는 릴제어부(30)가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케이스(4)내의 하부에는 모터(12)를 PWM구동시키는 PWM구동회로(3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케이스(4)내의 하부에는 버저(40)와 스풀센서(41)가 배치되어 있다.
릴제어부(30)는 카운터케이스(4)내에 배치된 CPU, RAM, ROM, I/0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고 있다. 릴제어부(30)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수심표시부(5)의 표시제어나 모터구동제어 등 각종 제어동작을 실행한다. 릴제어부(30)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키부(6)의 각종 키와 스풀(10)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회전위치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스풀센서(41)와 스풀카운터(4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릴제어부(30)에는 버저(40)와 PWM구동회로(31), 수심표시부(5), 기억부(43)와 다른 입출력부가 접속되어 있다.
PWM구동회로(31)는 모터(1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로서의 FET(32)를 포함하고 있다. PWM구동회로(31)는 릴제어부(30)에 의해 듀티비가 제어되어 모터(12)의 속도를 가변적으로 구동시킨다.
스풀센서(4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뒤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리드스위치(41a),(41b)로 구성되어 있다. 리드스위치(41a),(41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부재(24)에 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리드스위치(41a),(41b)는 자석휠(14)에 장착된 2개의 자석(14c),(14c)을 검출한다. 이 검출펄스를 스풀카운터(42)로 계수함으로써 릴의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어느쪽 리드스위치(41a),(41b)가 먼저 검출펄스를 발생했는지에 의해 스풀(10)의 회전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스풀카운터(42)는 스풀센서(41)의 온오프 횟수를 계수하는 카운터로서, 이 계수치(SP)에 의해 스풀회전수에 관한 회전위치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스풀카운터(42)는 스풀(10)이 정회전(줄풀기 방향의 회전)하면 계수치가 감소하고 역회전하면 증가한다.
기억부(43)는 예를 들어 EEPROM 등의 비휘발메모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학습결과데이터나 줄길이 산출시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줄길이 산출방법의 개략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풀 1회전당 줄길이(Y)와 스풀회전수(X)의 관계를 일차직선에 근사하게 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하여 줄길이(L)를 산출한다.
굵기와 길이를 알 수 없는 낚시줄을 실패직경 Bmm에서 스풀(10)로 층모양으로 감고 c회전으로 모든 낚시줄을 다 감았다고 가정한다. 다음에 그 상태에서 Smm 낚시줄을 풀었을 때 스풀(1O)이 d회전했다고 가정한다.
이제 스풀회전수(X)와 스풀 1회전당 줄길이(Y)의 관계를, 가로축으로 스풀회전수(X)를, 세로축으로 스풀 1회전당 줄길이를 취하면 일차직선으로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기울기를 A로 하면 하기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Y=AX+Bπ
따라서 스풀회전수(X)와 스풀 1회전당 줄길이(Y)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는 도 6에 도시한다.
이제 스풀(10)이 c회전했을 때의 스풀 1회전당 줄길이를 Y(c), c회전의 감기 후 소정 길이(S) 풀어 d회전했을 때의 스풀 1회전당 줄길이를 Y(c-d)로 하면 이것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Y(c)=A·c+Bπ
Y(c-d)=A·(c-d)+Bπ
도 6에 도시한 그래프에서는 해칭으로 도시한 사다리꼴 면적이 다 감은 후의 줄풀기 길이(S)에 상당하기 때문에 줄풀기 길이(S)는 다음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d·{Y(c)+Y(c-d)}/2
수학식 4에 수학식 2, 수학식 3을 대입하면
S=d·{A·c+Bπ+A·(c-d)+Bπ}/2
=d·{A·(2c-d)+2Bπ}/2
수학식 5를 기울기(A)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
A=2(S-Bπd)/d(2c-d)
따라서 4개의 데이터 S,B,c,d를 수학식 6에 대입함으로써 일차직선의 기울기(A)를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풀(10)이 감기 시작해서 2000회전으로 다 감고, 거기에서 10m 풀었을 때 스풀이 60회전한 경우, 스풀(10)의 실패몸통직경(실패직경)이 30mm였다고 하면 일차직선의 기울기(A)는 다음과 같다.
A=2(10000-94.2*60)/60(2*2000-60)
=0.0368
그리고 기울기(A), 절편(Bπ)과 근사한 일차직선을 결정할 수 있으면 산출된 기울기(A)와 절편(Bπ), 총회전수(c)와 현재 회전수에 있어서의 줄길이와 0세트의 회전수(처음에는 총회전수와 동일함)를 기억부(4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실제로 낚시할 때 스풀(10)이 회전하면 소정의 타이밍(예를 들면 스풀 20회전마다)으로 기억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일차직선을 적분처리(면적산출처리)함으로써 그 때의 줄길이(LN)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구한 줄길이(LN)에 기초하여 낚시줄의 수심(낚시줄 선단의 수심)을 수심표시부(5)에 표시한다.
다음에 릴제어부(30)에 의해 실행되는 구체적인 제어처리를, 도 7 이후의 제어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전동릴이 전원코드(18)를 통해 외부전원(PS)에 접속되면 단계 S1에서 초기설정을 실행한다. 이 초기설정에서는 스풀카운터(42)의 계수치를 리셋하거나 각종 변수나 플래그를 리셋하거나 수심표시모드를 상방기준모드로 설정한다.
다음에 단계 S2에서는 표시처리를 실행한다. 표시처리로는 수심표시 등 각종 표시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상방기준모드일 때에는 수심표시영역(5a)에 수면기준의 수심이 표시된다. 또한 바닥메모키(SM)에 의해 바닥위치가 세팅되어 있으면 바닥위치가 바닥수심표시영역(5b)에 표시된다.
단계 S3에서는 조작키부(6) 중 어느 한 키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단계 S4에서는 스풀(10)의 회전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센서(41)의 출력에 의해 판단한다. 단계 S5에서는 그 밖의 지령이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키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단계 S3에서 단계 S6으로 이행하여 키입력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스풀(10)의 회전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S4에서 단계 S7로 이행한다. 단계 S7에서는 각 동작모드처리를 실행한다.
그 밖의 지령 또는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단계 S5에서 단계 S8로 이행하여 다른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6의 키입력처리에서는 도 8의 단계 S11에서 실패모드의 설정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모드키(MD)가 눌러졌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단한다. 단계 S12에서는 모터키(PW)가 눌러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3에서는 변속키(SK)의 위쪽 스위치가 눌러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4에서는 변속키(SK)의 아래쪽 스위치가 눌러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5에서는 다른 키의 조작여부를 판단한다. 이 밖의 키 조작에는 바닥메모키(SM) 외에 각 키의 소정시간 이상의 조작도 포함하고 있다.
모드키(MD)가 눌러지면 단계 S11에서 단계 S16으로 이행한다. 단계 S16에서는 실패모드를 실행한다. 이 실패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모드, 지정모드, 밑감기모드, 수정모드, 입력모드이다.
모터키(PW)가 눌러지면 단계 S12에서 단계 S17로 이행한다. 단계 S17에서는 모터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이 모터제어처리에서는, 모터(12)가 회전하지 않을 때에는 모터키(PW)가 눌러지면 모터(12)를 온하고 그 모터키(PW)의 온시간만큼 듀티비를 서서히 크게 하여 모터(12)의 회전을 증가시킨다. 모터(12)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모터(12)를 오프한다. 또한 모터키(PW)는 모터(12) 회전중에 손을 떼면 그 때의 회전을 유지한다. 이것은 변속키(SK)에서도 동일하다.
변속키(SK)의 위쪽 스위치가 눌러지면 단계 S13에서 단계 S18로 이행한다. 단계 S18에서는 그 온시간만큼 듀티비를 서서히 크게 하여 모터(12)의 회전을 증가시킨다. 변속키(SK)의 아래쪽 스위치가 눌러지면 단계 S14에서 단계 S19로 이행한다. 단계 S19에서는 그 온시간만큼 듀티비를 서서히 작게 하여 모터(12)의 회전을 감소시킨다.
다른 키입력이 이루어지면 단계 S15에서 단계 S20으로 이행하여, 예를 들면 현재 수심의 바닥면값으로 세팅하는 등 조작된 키입력에 따른 다른 키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16의 실패모드처리에서는 도 9의 단계 S21에서 학습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 S22에서는 수정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 S23에서는 밑감기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 S24에서의 판단이「NO」인 경우에는 단계 S24로 이행하여 지정모드나 입력모드 등 다른 실패모드를 실행한다.
학습모드로 판단되면 단계 S21에서 단계 S31로 이행하여 줄감기 시작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센서(41)에 의해 스풀(10)이 회전을 시작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판단한다. 단계 S32에서는 줄감기 종료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소정의 키조작(예를 들면 바닥메모키(SM)의 소정시간 이상의 조작)여부에 따라 판단한다. 줄감기가 종료된 후, 예를 들어 1Om의 낚시줄을 풀어 스풀회전수와 스풀 1회전당 줄길이의 관계를 학습하는데, 단계 S33에서는 그 1Om의 줄풀기의 종료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도 소정의 키조작여부에 따라 판단한다. 또 낚시줄에, 예를 들면 1Om마다 다르게 착색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풀기조작을 실행할 수 있지만, 낚시줄에 따라 착색이 안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1Om의 낚시줄을 선단에 묶고 다시 1Om의 낚시줄을 감아 학습처리해도 좋다. 다 풀리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1로 되돌아간다.
줄감기가 시작되면 단계 S31에서 단계 S34로 이행한다. 단계 S34에서는 스풀회전수(X)를 스풀카운터(42)의 값에 따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스풀센서(41)가 스풀 1회전당 10펄스 출력하고 스풀카운터(42)가 스풀 1회전당 10씩 증가할 때에는, 스풀카운터(42)가 10이 증가하면 스풀회전수(X)를 1씩 증가시킨다.
줄감기가 종료되고 스풀(10)의 회전이 멈추면 단계 S32에서 단계 S35로 이행한다. 단계 S35에서는 감기완료했을 때의 스풀회전수(X)를 총회전수(c)로 세팅한다. 단계 S36에서는 낚시줄 풀기에 따라 스풀회전수(X)를 줄인다. 이 감산도 단계 S34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스풀카운터(42)가 10씩 줄어들면 스풀회전수(X)를 1씩 감소시킨다.
줄풀기가 종료되면 단계 S33에서 단계 S37로 이행한다. 단계 S37에서는, 스풀 총회전수(c)에서 풀기에 의해 감소된 스풀회전수(X)를 감산하고 감산치를 풀기회전수(d)로 세팅한다. 이 풀기회전수(d)가 10m의 낚시줄을 풀었을 때의 스풀(10)의 회전수이다. 단계 S38에서는 기억부(43)로부터 실패직경(Bπ) 및 풀기길이(S)를 독출한다. 이 2개의 데이터는 미리 기억부(43)에 기입되어 있다.
도 10의 단계 S41에서는 얻어진 4개의 데이터 c,d,Bπ,S에 의해, 상기 수학식 6에 의해 근사 일차직선의 기울기(A)를 구하여 근사 일차직선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줄굵기 및 길이를 알 수 없는 낚시줄의 전 길이에 걸친 스풀 1회전길이(Y)와 스풀회전수(X)의 상관관계가 결정된다.
단계 S42에서는, 얻어진 일차직선을 총회전수(c)의 시점에서 적분처리하여 감기 시작해서부터 다 감을 때까지의 줄길이(LN)를 산출한다. 그리고 줄길이(LN)를 수심 0으로 세팅한다. 단계 S43에서는 총회전수(c), 절편(Bπ), 얻어진 기울기(A) 및 줄길이(LN)를 기억부(43)에 기억시킨다. 이들 처리가 종료되면 키입력루틴으로 되돌아간다.
수정모드라고 판단되면 단계 S22에서 단계 S35로 이행하여 그 때의 스풀회전수(X)를 총회전수(c)로 세팅하고, 단계 S36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처리가 실행되어 장력의 작용 등에 의해 먼저 학습된 상관관계가 어긋나더라도 낚시줄 전체가 아닌 최종부분의 학습만으로 일차직선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다.
밑감기모드라고 판단되면 단계 S23에서 단계 S25로 이행한다. 단계 S25에서는 절편(Bπ)의 값을 B1π로 변경한다. 실패직경(B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O)의 플랜지부(1Oa)에 링형상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 실패직경(B1)까지 밑줄을 감으면 통상의 낚시줄보다 가는 굵기의 낚시줄을 지정길이로 감을 수 있다. 예를 들어 8호 낚시줄을 200m 실패몸체에 감으면 플랜지부(1Oa)의 가장자리까지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1O)에 있어서, 실패직경(B1)까지 밑줄을 감으면 6호 낚시줄을 플랜지부(10a)의 가장자리까지 200m 감을 수 있다. 절편을 B1π로 변경하면 단계 S31로 이행하여 감기 시작을 기다린다. 이 밑감기처리는, 지정된 실패직경까지 밑줄을 감은 뒤 절편을 변경하여 다른 굵기의 낚시줄을 학습할 때 사용된다.
단계 S7의 각 동작모드처리에서는, 도 11의 단계 S51에서 스풀(10)의 회전방향이 줄풀기방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센서(41)의 어느 리드스위치(41a),(41b)가 먼저 펄스를 발했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단한다. 스풀(10)의 회전방향이 줄풀기방향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S51에서 단계 S52로 이행한다. 단계 S52에서는 스풀회전수(X)를 1씩 감소시킨다. 이 단계는 도 9의 단계 S36과 동일하다. 단계 S53에서는 감소할 때마다 스풀회전수(X)로부터 기억부(43)에 기억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수심(LX)을 산출한다. 이 수심이 단계 S2의 표시처리로 표시된다. 단계 S54에서는, 얻어진 수심(LX)이 바닥위치에 일치했는지, 즉 낚시줄이 바닥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바닥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시줄이 바닥에 도달했을 때 바닥메모키(SM)를 누름으로써 기억부(43)에 세팅된다. 단계 S55에서는 다른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다른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각 동작모드처리를 끝내고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간다.
수심이 바닥위치에 일치하면 단계 S54에서 단계 S56으로 이행하여 낚시줄이 바닥에 도달한 것을 알리기 위해 버저(40)를 울린다. 다른 모드의 경우에는, 단계 S55에서 단계 S57로 이행하여 지정된 다른 모드를 실행한다.
스풀(10)의 회전이 줄감기방향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S51에서 단계 S58로 이행한다. 단계 S58에서는 스풀회전수를 1씩 증가시킨다. 단계 S59에서는, 증가할 때마다 스풀회전수(X)로부터 기억부(43)에 기억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수심(LX)을 산출한다. 이 수심이 단계 S2의 표시처리로 표시된다. 단계 S60에서는, 수심이 배 가장자리 정지위치에 일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 가장자리 정지위치까지 감지 않았을 경우에는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간다. 배 가장자리 정지위치에 도달하면 단계 S60에서 단계 S61로 이행한다. 단계 S61에서는, 낚시줄이 배 가장자리 정지위치에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버저(40)를 울린다. 단계 S62에서는 모터(12)를 오프한다. 이로써 고기가 걸렸을 때 낚아올리기 쉬운 위치에 고기가 배치된다. 이 배 가장자리 정지위치는, 예를 들어 수심 6m 이내에서 소정시간 이상 스풀(10)이 정지해 있으면 세팅된다.
여기서는 미지의 낚시줄의 스풀회전수와 줄길이의 관계를 보정하기 위한 학습을 낚시줄의 대략 마지막 실패부분의 짧은 줄길이에서만 실시하기 때문에 줄길이 검출기를 장착하지 않고도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게다가 낚시줄에 장력이 작용하여 표시와 실제 수심이 다르더라도 간단한 연산으로 표시된 수심을 옳은 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밑감기모드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100단위로 판매된 가는 낚시줄이라도 스풀의 소정위치까지 확실히 감을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밑감기모드에서는 미리 지정된 실패직경까지 밑줄을 감지 않으면 학습할 수 없다.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밑감기모드는 밑감기줄이나 이코노마이저를 사용했을 때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 굵기 및 길이를 알 수 없는 낚시줄을 감더라도 밑감기직경을 산출하여 학습할 수 있다.
다음에 제2실시형태에서의 줄길이 산출방법의 개략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풀 1회전당 줄길이(Y)와 스풀회전수(X)의 관계를 일차직선에 근사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이용하여 줄길이(L)를 산출한다. 또한 밑줄을 감거나 이코노마이저를 스풀에 장착한 경우에는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을 소정의 조작으로 산출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굵기와 전 길이를 알 수 없는 낚시줄을 실패직경 Bmm에서 스풀(10)로 층모양으로 감으면, 스풀회전수(X)와 스풀 1회전당 줄길이(Y)의 관계는 기울기(A), 절편(Bπ)의 하기 수학식 7의 일차직선으로 정의할 수 있다.
Y=AX+Bπ
그리고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B)에서 S1mm 낚시줄을 감았을 때 스풀(10)이 e회전했다고 하면, 그 때의 스풀 1회전당 줄길이를 Y(e)로 하면 하기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Y(e)=A·e+Bπ
이제 스풀회전수(X)와 스풀 1회전당 줄길이(Y)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를 도 12에 도시한다. 이 그래프에서 줄감기 길이(S1)는 줄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B)에서 스풀회전수(e)까지의 사다리꼴 면적과 동일하기 때문에 하기 수학식 9로 표시된다.
S1=e{Y(e)+Bπ}/2
수학식 9에 수학식 8을 대입하면
S1=e{A·e+Bπ+Bπ}/2
수학식 10을 Bπ에 대해 풀면 수학식 11이 된다.
Bπ=(2S1-A·e2)/2e
그리고 다시 낚시줄을 감아 스풀이 c회전했을 때의 스풀 1회전당 줄길이를 Y(c)로 하고, 거기에서 줄길이(S)를 풀어 스풀(10)이 d회전했을 때의 스풀 1회전당 줄길이를 Y(c-d)로 하면, 하기 수학식 12, 수학식 13과 같이 각 줄길이 Y(c), Y(c-d)가 도시된다.
Y(c)=A·c+Bπ
Y(c-d)=A·(c-d)+ Bπ
이 때의 풀기길이(S)는 스풀회전수(c-d)부터 c까지의 사다리꼴 면적과 동일하기 때문에 하기 수학식 14로 나타낸다.
S=d·{Y(c)+Y(c-d)}/2
수학식 14에 수학식 12, 수학식 13을 대입하면,
S=d·{A·c+Bπ+A·(c-d)+Bπ}/2
=d·{A·(2c-d)+2Bπ}/2
이것을 기울기(A)에 대해 풀면 하기 수학식 16이 된다.
A=2(S-d·Bπ)/d(2c-d)
따라서 수학식 16에 수학식 11을 대입하면 하기 수학식 17이 도출된다.
A=2{S-d(2S1-A·e2)/2e}/d(2c-d)
이것을 정리하면,
A·d·e(2c-d-e)=2(e·S-d·S1)
이제 2c-d-e가 0이 아니라고 가정하고 수학식 18을 A에 대해 풀면,
A=2(e·S-d·S1)/d·e(2c-d-e)
이에 따라 일차직선의 기울기(A)가 구해짐과 동시에 수학식 19를 수학식 11에 대입함으로써 절편(Bπ)이 하기 수학식 20에서 구해진다.
Bπ=S1/e-(e·S-d·S1)/d(2c-d-e)
따라서 특정 조작을 함으로써 5개의 데이터 S,S1,c,d,e를 얻어 그 5개의 데이터에 의해 기울기(A)와 절편(Bπ)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을 알 수 없는 경우라도 근사 일차직선의 절편(Bπ)을 구할 수 있다.
또한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B)을 이미 알고 있을 때, 예를 들어 실패몸통직경을 알고 있는 스풀에 낚시줄을 감을 때에는 수학식 16에 의해 기울기(A)가 산출되고 절편은 Bπ가 된다. 이 절편(Bπ)은 기억부(43)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기울기(A), 절편(Bπ)과 근사한 일차직선을 결정할 수 있으면, 산출된 기울기(A)와 절편(Bπ), 총회전수(c), 현재회전수에서의 줄길이와 0세트의 회전수(처음에는 총회전수와 동일함)를 기억부(4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실제로 낚시할 때 스풀(10)이 회전하면 소정의 타이밍(예를 들면 스풀 20회전마다)으로 기억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일차직선을 적분처리(면적산출처리)함으로써 그 때의 줄길이(LN)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구한 줄길이(LN)에 기초하여 낚시줄의 수심(낚시줄 선단의 수심)을 수심표시부(5)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감기 시작했을 때의 직경(스풀(10)의 실패몸통직경)을 이미 알고 있어서 스풀(10)에 감기 시작해서 1OOO회전(c)으로 다 감고, 거기에서 1Om(S) 풀었을 때 스풀이 40회전(d)한 경우, 스풀(10)의 실패몸통직경(감기 시작시의 실패직경)이 60mm(B)였다고 하면, 수학식 16에서 일차직선의 기울기(A)는 다음와 같이 된다.
A=2(10000-40×188.4)/40(2×1000-40)
=0.0629
또 밑감기했기 때문에 감기 시작했을 때의 직경, 두께 및 길이를 알 수 없는 낚시줄을 감았을 때, 감기 시작해서 1Om(S1) 감았을 때의 스풀회전수가 50회전(e)이며 거기에서 더 감아 500회전(c)으로 다 감았다고 가정한다. 거기에서 1Om(S) 더 풀었을 때 스풀이 40회전(d)한 경우, 수학식 19 및 수학식 20에서 일차직선의 기울기(A)와 절편(Bπ)은 다음과 같다.
A=2(50×10000-40×10000)/40·50(1000-40-50)
=O.110
Bπ=10000/50-(50·10000-40·10000)/40(1000-40-50)
=197.3
다음에 릴제어부(30)에 의해 실행되는 구체적인 실패 및 밑감기제어처리를 도 13 및 도 14의 제어흐름도를 따라 설명한다. 또 메인루틴/키입력처리 및 각 동작모드처리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단계 S16의 실패모드처리에서는, 도 13의 단계 S71에서 학습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72에서는 수정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73에서는 밑감기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73에서의 판단이「NO」인 경우에는 단계 S74로 이행하여 지정모드나 입력모드 등 다른 실패모드를 실행한다.
학습모드라고 판단되면, 단계 S71에서 단계 S81로 이행하여 줄감기 시작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센서(41)에 의해 스풀(10)이 회전을 시작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판단한다. 단계 S82에서는 줄감기 종료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소정의 키조작(예를 들면 바닥메모키(SM)의 소정시간 이상의 조작)여부에 따라 판단한다. 줄감기가 종료된 후, 소정길이(S)(예를 들면 1Om)의 낚시줄을 풀어 스풀회전수와 스풀 1회전당 줄길이의 관계를 학습하는데, 단계 S83에서는 그 1Om의 줄풀기의 종료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도 소정의 키조작여부에 따라 판단한다. 또 낚시줄에, 예를 들면 1Om마다 다르게 착색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풀기조작을 실행할 수 있지만, 낚시줄에 따라 착색이 안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1Om의 낚시줄을 선단에 묶고 다시 1Om의 낚시줄을 감아 학습처리해도 좋다. 다 풀리지 않은 경우에는 키입력루틴으로 되돌아간다.
줄감기가 시작되면 단계 S81에서 단계 S84로 이행한다. 단계 S84에서는 스풀회전수(X)를 스풀카운터(42)의 값에 따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스풀센서(41)가 스풀 1회전당 10펄스 출력하고 스풀카운터(42)가 스풀 1회전당 10씩 증가할 때에는, 스풀카운터(42)가 10증가하면 스풀회전수(X)는 1증가한다.
줄감기가 종료되어 스풀(10)의 회전이 멈추고 소정의 키조작이 실행되면 단계 S82에서 단계 S85로 이행한다. 단계 S85에서는 그 후에 낚시줄 풀기가 시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센서(41)에 의해 스풀(10)이 줄풀기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판단한다. 아직 풀리지 않았을 때에는, 단계 S87로 이행하여 감기완료했을 때의 스풀회전수(X)를 총회전수(c)로 세팅한다. 낚시줄을 풀기 시작하면 단계 S86으로 이행하여 낚시줄 풀기에 따라 스풀회전수(X)를 줄인다. 이 감산도 단계 S84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스풀카운터(42)가 10씩 줄어들면 스풀회전수(X)를 1감소시킨다.
소정 키조작에 의해 줄풀기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83에서 단계 S88로 이행한다. 단계 S88에서는, 스풀 총회전수(c)에서 풀기에 의해 감소된 스풀회전수(X)를 감산하고 감산치를 풀기회전수(d)로 세팅한다. 이 풀기회전수(d)가, 감기 종료된 후에 10m의 낚시줄을 풀었을 때의 스풀(10)의 회전수이다. 단계 S89에서는 기억부(43)로부터 실패직경(Bπ) 및 풀기길이(S)를 독출한다. 이 2개의 데이터는 미리 기억부(43)에 기입되어 있다.
단계 S90에서는 얻어진 4개의 데이터 c,d,Bπ,S에 의해, 상기 수학식 16에 의해 근사 일차직선의 기울기(A)를 구하여 근사 일차직선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줄굵기 및 길이를 알 수 없는 낚시줄의 전 길이에 걸친 스풀 1회전길이(Y)와 스풀회전수(X)의 상관관계가 결정된다.
단계 S91에서는, 얻어진 일차직선을 총회전수(c)의 시점에서 적분처리하여 감기 시작해서부터 다 감을 때까지의 줄길이(LN)를 산출한다. 그리고 줄길이(LN)를 수심 0으로 세팅한다. 단계 S92에서는 총회전수(c), 절편(Bπ), 얻어진 기울기(A) 및 줄길이(LN)를 기억부(43)에 기억시킨다. 이들 처리가 종료되면 키입력루틴으로 되돌아간다. 이 학습모드에서는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을 이미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기억부(43)에 기억된 값에 의해 근사 일차직선을 산출한다.
수정모드라고 판단되면 단계 S72에서 단계 S87로 이행하여 그 때의 스풀회전수(X)를 총회전수(c)로 세팅하고, 단계 S87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처리가 실행되어 장력의 작용 등에 의해 먼저 학습된 상관관계가 어긋나더라도 낚시줄 전체가 아닌 최종부분의 학습만으로 일차직선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다.
밑감기모드라고 판단되면 단계 S73에서 단계 S75로 이행한다. 단계 S75에서는 밑감기처리, 즉 미지의 절편을 산출하여 근사 일차직선을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 밑감기처리를 할 경우에는, 밑감기된 낚시줄 또는 장착된 이코노마이저에 줄길이 산출을 위한 낚시줄을 묶은 다음 소정길이(S1)(예를 들어 1Om)의 낚시줄을 감아 그 때의 스풀회전수(e)를 구한다. 그리고 다시 낚시줄을 마지막까지 감아 다 감았을 때의 스풀회전수(c)를 구하고, 마지막에 소정거리(S)(예를 들어 1Om) 낚시줄을 풀어 스풀회전수(d)를 구한다. 그리고 얻어진 5개의 데이터 S,S1,c,d,e를 상기 (23),(24)식에 대입하여 기울기(A)와 절편(Bπ)을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드키(MD)에 의해 밑감기모드가 세팅되면 도 14의 단계 S101에서 줄감기를 시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센서(41)에 의해 스풀(10)이 줄감기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판단한다. 단계 S102에서는, 소정길이(S1)(예를 들면 10m)의 감기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소정의 키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에 따라 판단한다. 단계 S103에서는, 낚시줄이 마지막까지 스풀(10)에 더 감길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도 소정의 키조작여부에 의해 판단한다. 낚시줄을 스풀(1O)에 감은 뒤, 예를 들어 1Om 낚시줄을 풀어 스풀회전수와 스풀 1회전당 줄길이의 관계를 학습하는데, 단계 S104에서는 소정길이(S)의 낚시줄 풀기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도 소정의 키조작여부에 의해 판단한다.
감기 시작했다고 판단되면 단계 S105로 이행한다. 단계 S105에서는, 스풀의 소정길이(S1)만큼 감는 동안 스풀회전수(X)를 스풀카운터(42)의 값에 따라 1씩 증가시킨다
소정길이(S1)의 감기가 끝났다고 판단되면, 단계 S102에서 단계 S106으로 이행한다. 단계 S106에서는, 감기 종료후 다시 낚시줄의 감기가 시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도 스풀센서(41)의 상태에 의해 판단한다. 감기가 다시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07로 이행하여 그 때의 스풀회전수(X), 즉 감기 시작해서부터 1Om 감았을 때의 회전수를 밑감기직경산출용 권취회전수(e)로 세팅한다. 다시 감기가 시작되면, 스풀회전수(X)를 스풀카운터(42)의 값에 따라 1씩 증가시킨다.
낚시줄의 모든 감기가 종료되면 단계 S103에서 단계 S109로 이행한다. 단계 S109에서는, 감기종료후 낚시줄의 풀림이 시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센서(41)에 의해 스풀(10)이 줄풀기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판단한다. 낚시줄이 풀리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1로 이행하여 그 때의 스풀회전수(X)를 총회전수(c)로 세팅한다. 풀기 시작하면 단계 S110으로 이행하여 스풀회전수(X)를 스풀카운터(42)의 값에 따라 1씩 감소시킨다. 이 감산도 단계 S86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스풀카운터(42)가 10씩 감소되면 스풀회전수(X)를 1감소시킨다.
소정길이(S)의 풀기가 종료되면 단계 S104에서 단계 S112로 이행한다. 단계 S112에서는, 스풀총회전수(c)에서 풀어냄으로써 감소된 스풀회전수(X)를 감산하고 감산치를 풀어 회전수(d)로 세팅한다. 이 풀기회전수(d)가, 감기종료후에 1Om 낚시줄을 풀었을 때의 스풀(10)의 회전수이다. 단계 S113에서는, 기억부(43)에서 감은 소정길이(S1) 및 풀어낸 소정길이(S)를 독출한다. 이 2개의 데이터는 미리 기억부(43)에 기입되어 있다.
단계 S114에서는, 얻어진 5개의 데이터 d,e,S,S1에 의해 상기 수학식 19, 수학식 20에 의해 근사 일차직선의 기울기(A) 및 절편(Bπ)을 구하여 근사 일차직선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 낚시줄의 굵기 및 길이를 알 수 없는 낚시줄의 전 길이에 걸쳐 스풀 1회전길이(Y)와 스풀회전수(X)의 상관관계가 결정된다.
단계 S115에서는, 얻어진 일차직선을 총회전수(c)의 시점에서 적분처리하여 감기 시작해서부터 다 감았을 때까지의 줄길이(LN)를 산출한다. 그리고 줄길이(LN)를 수심 0으로 세팅한다. 단계 S116에서는, 총회전수(c), 절편(Bπ), 얻어진 기울기(A) 및 줄길이(LN)를 기억부(43)에 기억시킨다. 이들의 처리가 종료되면 키입력루틴으로 되돌아간다.
여기서는, 미지의 낚시줄의 스풀회전수와 줄길이의 관계를 보정하기 위한 학습을 낚시줄을 감기 시작한 부분과 대략 마지막 실패부분의 짧은 줄길이에서만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줄길이 검출기를 장착하지 않고도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더구나 낚시줄에 장력이 작용하여 표시와 실제 수심이 다르더라도 간단한 연산으로 표시된 수심을 옳은 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밑감기모드를 사용하면, 줄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을 알 수 없는 경우라도, 줄직경 및 줄길이를 알 수 없는 낚시줄을 스풀의 소정위치까지 확실히 계측하여 감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전동릴 대신에 수심표시기구를 갖춘 수동감기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양베어링릴 대신에 일베어링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학습된 상관관계에 의한 일차직선의 데이터가 기억부(43)에 기억되어 있지만, 미리 설정된 일차직선의 기울기 및 절편의 데이터를 기억부(43)에 기억시켜도 좋다. 그리고 상관관계가 어긋났을 때나 밑감기할 때에만 학습하여 상관관계를 변경시켜도 좋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감기종료후에 낚시줄을 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감기종료후에 소정거리 더 감아 학습하도록 해도 좋다.
(e) 스풀의 단위회전수당 줄길이와 스풀회전수의 관계를 근사하게 하는 함수는, 일차함수 뿐 아니라 이차함수나 다른 함수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절편으로부터의 기울기를 변경하는 연산처리만으로 보정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회전위치데이터의 상관관계가 변화하더라도 보정을 위한 연산처리가 간단해져 저렴하고 간소한 구성의 연산장치로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절편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밑감기하더라도 일차직선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밑감기줄 등을 사용하여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이 변동되더라도 줄길이 검출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줄길이와 스풀회전수의 관계를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는, 절편을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감기 시작했을 때의 실패직경이 변화하더라도 함수를 새롭게 결정할 수 있으며, 밑감기줄이나 이코노마이저 등을 사용하더라도 낚시줄을 감기 시작했을 때의 직경에 상관없이 줄길이 검출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줄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전동릴의 평면도이고,
도 2는, 그 단면도이고,
도 3은 그 카운터케이스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수심표시부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6은, 스풀회전수와 스풀 1회전당 줄길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메인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키입력서브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9와 도 10은, 실패모드 서브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각 동작모드 서브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2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풀회전수와 스풀 1회전당 줄길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3은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실패모드 서브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4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밑감기처리 서브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스풀
30 릴제어부
41 스풀센서

Claims (16)

  1. 낚시용 릴의 스풀에서 풀리거나 상기 스풀에 감기는 낚시줄의 길이를 계측하기 위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로서,
    상기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를 검출하는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과,
    상기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상기 회전위치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소정의 실패직경에 있어서 낚시줄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절편으로 하는 일차함수로 기억하는 관계기억수단과,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회전위치데이터와 상기 관계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일차함수에 근거하여 상기 낚시줄의 길이를 구하는 줄길이 산출수단과,
    상기 관계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일차함수의 상기 절편으로부터의 기울기를 변경하기 위한 기울기 변경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에 낚시줄을 감을 때 대략 마지막 감김부분에서의 낚시줄의 소정길이와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와의 측정관계를 학습하는 관계학습수단과,
    상기 측정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상기 회전위치데이터와의 상기 상관관계를 구하는 관계산출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기억수단에는 상기 관계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상관관계가 기억되는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학습수단은, 다 감은 후 소정길이만큼 상기 낚시줄을 풀었을 때 또는 더 감았을 때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스풀의 제1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1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관계산출수단은 상기 스풀로 낚시줄을 감기 시작한 때부터 다 감을 때까지의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스풀의 제2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2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과,
    상기 감기 시작했을 때의 상기 스풀의 실패직경을 접수하는 실패직경 접수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회전위치데이터와 상기 소정길이와, 상기 실패직경에 의해 상기 상관관계를 일차함수에 근사하게 하는 직선근사수단을 갖는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변경수단은,
    기울기변경을 접수하기 위한 기울기변경 접수수단과, 상기 기울기변경이 접수되었을 때의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회전위치데이터에 상기 제2 회전위치데이터를 변경하는 제2 회전위치데이터 변경수단을 가지며,
    상기 기울기변경이 접수된 후 상기 관계학습수단으로 얻어진 제1 회전위치데이터와, 변경된 상기 제2 회전위치데이터와, 상기 소정길이와, 상기 실패직경을 이용하여 상기 직선근사수단으로 근사해진 일차함수에 의해 상기 절편으로부터의 기울기를 변경하는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는 미리 상기 상관관계가 기억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6. 낚시용 릴의 스풀에서 풀리거나 상기 스풀에 감기는 낚시줄의 길이를 계측하기 위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로서,
    상기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를 검출하는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과,
    상기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상기 회전위치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소정의 실패직경에 있어서 낚시줄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절편으로 하는 일차함수로 기억하는 관계기억수단과,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회전위치데이터와 상기 관계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일차함수에 근거하여 상기 낚시줄의 길이를 구하는 줄길이 산출수단과,
    상기 관계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일차함수의 절편을 입력하기 위한 절편입력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에 낚시줄을 감을 때 대략 마지막 감김부분에서의 낚시줄의 소정길이와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와의 측정관계를 학습하는 관계학습수단과,
    상기 측정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상기 회전위치데이터와의 상기 관계를 구하는 관계산출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기억수단에는 상기 관계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상관관계가 기억되는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학습수단은, 다 감은 후 소정길이만큼 상기 낚시줄을 풀었을 때 또는 더 감았을 때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스풀의 제1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1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관계산출수단은 상기 스풀로 낚시줄을 감기 시작한 때부터 다 감을 때까지의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스풀의 제2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2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과,
    상기 감기 시작했을 때의 상기 스풀의 실패직경을 접수하는 실패직경 접수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회전위치데이터와 상기 소정길이, 상기 실패직경에 의해 상기 관계를 일차함수에 근사하게 하는 직선근사수단을 갖는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편입력수단은,
    절편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절편입력 접수수단과, 상기 절편입력이 접수되면 상기 실패직경을 미리 설정된 실패직경으로 변경하는 실패직경 변경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직선근사수단은, 상기 절편입력이 접수된 후 상기 관계학습수단으로 얻어진 제1 회전위치데이터, 상기 제2 회전위치데이터, 상기 소정길이와 변경된 상기 실패직경을 이용하여 상기 함수를 일차함수에 근사하게 하는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기억수단에는 미리 상기 상관관계가 기억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11. 낚시용 릴의 스풀에서 풀리거나 상기 스풀에 감기는 낚시줄의 길이를 계측하기 위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로서,
    상기 스풀의 회전위치데이터를 검출하는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과,
    상기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상기 회전위치데이터의 관계를 감기 시작한 때의 낚시줄의 단위회전당 줄길이를 절편으로 하는 함수로 계산하는 함수산출수단과,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회전위치데이터와 상기 함수산출수단으로 산출된 상기 함수에 근거하여 상기 낚시줄의 길이를 구하는 줄길이 산출수단과,
    상기 함수산출수단으로 사용되는 상기 함수의 절편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절편산출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일차함수인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산출수단은, 스풀에 낚시줄을 감을 때 대략 마지막 감김부분에서의 낚시줄의 제1 소정길이와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와의 측정관계를 학습하는 관계학습수단과, 상기 측정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스풀의 단위회전당 줄길이와 상기 회전위치데이터와의 상기 관계를 상기 함수로 구하는 관계산출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학습수단은, 다 감은 후 상기 제1 소정길이만큼 상기 낚시줄을 풀었을 때 또는 더 감았을 때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스풀의 제1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1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관계산출수단은 상기 스풀로 낚시줄을 감기 시작한 때부터 다 감을 때까지의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스풀의 제2 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2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과,
    상기 절편산출수단으로 산출된 절편을 접수하는 절편접수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회전위치데이터와 상기 소정길이, 상기 절편에 의해 상기 관계를 일차함수에 근사하게 하는 함수근사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절편산출수단은,
    절편산출을 접수하기 위한 절편산출 접수수단과,
    상기 절편산출이 접수되면 그 후 제2 소정길이만큼 상기 낚시줄을 감았을 때 상기 회전위치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스풀의 제3회전위치데이터를 접수하는 제3 회전위치데이터 접수수단과,
    상기 제1 회전위치데이터, 상기 제2 회전위치데이터, 상기 제3 회전위치데이터, 상기 제1 소정길이와, 상기 제2 소정길이에 의해 상기 절편산출이 접수되었을 때의 실패직경을 산출하는 실패직경 산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함수근사수단은, 상기 절편산출이 접수된 후 상기 관계학습수단으로 얻어진 제1 회전위치데이터, 상기 제2 회전위치데이터, 상기 제1 소정길이와 상기 실패직경 산출수단으로 산출된 실패직경에 기초한 절편을 이용하여 상기 함수를 상기 일차함수에 근사하게 하는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16. 제 1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산출수단으로 산출된 상기 관계를 기억하기 위한 관계기억수단을 더 구비한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KR10-1999-0018241A 1998-05-20 1999-05-20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KR100529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889098A JP3361453B2 (ja) 1998-05-20 1998-05-20 釣り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JP10-138890 1998-05-20
JP10-138889 1998-05-20
JP13888998A JP3470870B2 (ja) 1998-05-20 1998-05-20 釣り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JP11-011529 1999-01-20
JP01152999A JP3797815B2 (ja) 1999-01-20 1999-01-20 釣り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446A KR19990088446A (ko) 1999-12-27
KR100529974B1 true KR100529974B1 (ko) 2005-11-22

Family

ID=2727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241A KR100529974B1 (ko) 1998-05-20 1999-05-20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29974B1 (ko)
TW (1) TW3877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878A (ja) * 2000-07-13 2002-01-2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表示装置
JP2002153184A (ja) * 2000-11-17 2002-05-28 Shimano Inc 電動リール
JP5382701B2 (ja) * 2009-04-09 2014-01-08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7788B (en) 2000-04-21
KR19990088446A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7814B (zh) 钓鱼用渔线轮的渔线长度显示装置
CN101856013B (zh) 电动渔线轮的电机控制装置
JP5764014B2 (ja) 両軸受リールの張力表示装置
KR101898460B1 (ko) 전동 릴의 제어 장치
JP2013048594A5 (ko)
JP2011097831A5 (ko)
US4620371A (en) Water-depth measuring apparatus for a double bearing type fishing reel
KR100529974B1 (ko) 낚시용 릴의 줄길이 계측장치
JP2016129501A (ja) 釣り用リール
JP4141186B2 (ja) 電動リール
JP3797815B2 (ja) 釣り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JP3470870B2 (ja) 釣り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JP3361453B2 (ja) 釣り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JP3375276B2 (ja) 釣り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JP4824061B2 (ja) 魚釣用リール
JP3682949B2 (ja) 釣り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JP2006042607A (ja) 魚釣用リール
JP2000014286A (ja) 釣り用リールの糸巻補助具及び釣り用リール
JP3502280B2 (ja) 魚釣用リール
JP3361428B2 (ja) 釣り用リールの水深表示装置
JPH09205951A (ja) 魚釣用両軸受けリール
JP5560048B2 (ja) 釣り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JPH09236428A (ja) 釣り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JP3195928B2 (ja) 釣糸の繰出し量表示装置
JP2007319143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