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565B1 -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 - Google Patents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565B1
KR100529565B1 KR10-2005-0013863A KR20050013863A KR100529565B1 KR 100529565 B1 KR100529565 B1 KR 100529565B1 KR 20050013863 A KR20050013863 A KR 20050013863A KR 100529565 B1 KR100529565 B1 KR 100529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incineration
incinerator
power
microwave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458A (ko
Inventor
조중무
Original Assignee
조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중무 filed Critical 조중무
Priority to KR10-2005-0013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5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waste heat from other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micro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02F11/13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using electromagnetic or ultrason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0Energy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러지 소각장치에 있어서, 슬러지를 농축하는 농축조(21); 농축조(21)로부터 이송된 농축 슬러지를 탈수하여 슬러지의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키는 탈수기(23); 탈수기(23)로부터 이송된 탈수 슬러지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는 마이크로파 건조기(25); 마이크로파 건조기(25)로부터 이송된 건조 슬러지를 소각하는 소각로(27); 및 소각로(27)에서 건조 슬러지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로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29)를 구비하고, 발전기(29)에 의해 발생된 전력을 마이크로파 건조기(25)의 소요전력으로 충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EQUIPMENT AND METHOD FOR BURNNING UP SLUDGE USING ELECTRICITY THAT IS GENERATE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 절약형의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슬러지란 정수 및 하수처리 과정에서 부유물질이 침전되어 생기는 고형물로서, 고형물의 양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의 수분을 포함한다. 슬러지에는 유기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부패하기가 쉽고, 병원균에 의한 위생적 위험성도 잠재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슬러지는 악취, 용존산소의 고갈, 미관 저해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이를 적절히 처리하여 최종 처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슬러지의 제반 특성을 고려하여 특성에 따른 적절한 처리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슬러지를 최종 처분하는 방법으로는 육상매립법, 해양투기법, 소각처분법 등이 있다. 이 중 육상매립법은 함수율이 70~80% 인 탈수 슬러지를 직매립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매립지 확보 곤란 및 2차 오염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적당하지 않다. 그리고, 해양투기법 또한 해양을 오염시키므로 지양되어야 하며, 최근 국제협약에서는 슬러지의 해양투기를 금지하고 있어 이 역시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슬러지를 소각처분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이하, 종래의 슬러지를 소각하는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슬러지 소각장치에 대한 주요 블럭구성도이다.
종래의 슬러지 소각장치는 크게 농축조(11), 탈수기(13), 건조기(15) 및 소각로(17)로 이루어진다.
농축조(11)에 공급된 슬러지는 농축됨으로써 부피나 중량이 감소된다. 농축된 슬러지는 탈수기(13)로 이송되어 수분이 제거되는데, 이렇게 탈수된 슬러지의 함수율은 70~80% 정도이다.
탈수기(13)에서 탈수된 슬러지는 건조기(15)로 이송되어 건조되는데, 이때 증기 또는 열풍에 의해 슬러지 내의 수분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증기 또는 열풍에 의해 슬러지를 건조하면 슬러지의 함수율은 40~60% 로 감소된다.
건조기(15)에서 건조된 슬러지는 이후 소각로(17)로 이송되어 소각되는데, 이때 건조 슬러지를 소각하기 위해서는 도시가스(LNG)와 같은 연료를 추가로 공급해 주어야 한다. 슬러지의 함수율이 20% 이하이면 소각시 2,500㎉/㎏ 정도의 열량을 발생시키므로 자체 연소가 가능하지만, 함수율이 40~60% 인 슬러지를 소각하려면 외부에서 별도의 보조 연료를 공급해주어야 한다.
한편, 소각로(17)에서 건조 슬러지를 소각하면 증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증기는 건조기(15)에 공급되어 탈수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증기 또는 열풍에 의해 탈수 슬러지를 건조할 경우, 슬러지의 함수율을 40~60% 정도까지 밖에 감소시킬 수 없으므로 소각로에서 슬러지를 소각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별도의 보조 연료를 공급해주어야 하므로 연료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증기열을 재활용하여 건조기의 열원으로 사용하더라도, 슬러지의 함수율을 최대 30% 까지 밖에 감소시킬 수 없으므로 소각시 소각로에 별도의 보조 연료를 공급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소각로에 별도의 연료를 공급하여 슬러지를 소각할 경우, 연료비가 지속적으로 소요되어 슬러지 1톤당 소각비용이 6만원선에 달하게 되어 슬러지 처분 비용이 매우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함수율이 40~60% 인 슬러지를 소각로에서 소각시키면, 소각시 많은 양의 유해한 가스가 배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소각재의 양도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므로 소각재의 최종 처분시 운반비용이 증가하고 매립지를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탈수 슬러지를 건조시킴으로써 건조기에서 슬러지의 함수율을 20% 이하까지 건조시킬 수 있는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체 연소가 가능한 함수율 20% 이하인 슬러지를 소각로에 이송하여 소각함으로써 소각시 보조 연료가 필요없는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각로에서 함수율이 20% 이하인 슬러지를 소각함으로써 소각시 발생하는 배출 가스의 양과 소각재의 양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발전기의 터빈을 회전시켜 발생하는 전력을 마이크로파 건조기의 소요전력으로 충당함으로써 마이크로파 건조기를 작동하기 위한 외부 전력의 공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러지 소각장치에 있어서, 슬러지를 농축하는 농축조; 농축조로부터 이송된 농축 슬러지를 탈수하여 슬러지의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키는 탈수기; 탈수기로부터 이송된 탈수 슬러지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는 마이크로파 건조기; 마이크로파 건조기로부터 이송된 건조 슬러지를 소각하는 소각로; 및 소각로에서 건조 슬러지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로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구비하고,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력을 마이크로파 건조기의 소요전력으로 충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농축 슬러지를 탈수기에서 탈수하기 전에, 농축 슬러지를 생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소화시키는 소화조가 농축조와 탈수기 사이에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화조에서 농축 슬러지가 소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를 소각로로 이송하여 소각로의 연료로 사용하며, 소화조는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증기 중의 소정량에 의해 가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 방법은 슬러지를 소각하는 방법에 있어서, 농축조에서 슬러지를 농축하는 단계; 농축조에서 농축된 농축 슬러지를 탈수기로 이송하여 탈수하는 단계; 탈수기에서 탈수된 탈수 슬러지를 마이크로파 건조기로 이송한 후,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마이크로파 건조기에서 건조된 건조 슬러지를 소각로로 이송하여 소각하는 단계; 및 소각로에서 건조 슬러지를 소각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증기로 발전기에서 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력을 마이크로파 건조기의 소요전력으로 충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농축 슬러지를 탈수하기 전에 농축 슬러지를 소화조에서 생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소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소화조에서 농축 슬러지가 소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를 소각로로 이송하여 소각로의 연료로 사용하며, 소화조는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증기 중의 소정량에 의해 가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에 의하면, 마이크로파 건조기에서 슬러지의 함수율을 20% 이하까지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소각로에서 별도의 연료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슬러지를 소각시킬 수 있다. 또한,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증기로 발전기를 가동시켜 생산된 전력을 마이크로파 건조기의 소요전력으로 충당함으로써 슬러지 소각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주요 블럭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는 크게 농축조(21), 탈수기(23), 건조기(25), 소각로(27) 및 발전기(29)를 구비한다.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는 함수율이 높아 그 부피가 크다. 따라서 슬러지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슬러지를 탈수하기 전에 농축조(21)에서 슬러지를 농축시킨다. 슬러지의 농축이란 슬러지에 존재하는 분리 가능한 수분을 제거하여 슬러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후속처리의 시설비와 운전 및 유지비를 절감시키기 위해 필요한 단계이다.
농축조(11)에서 농축된 농축 슬러지는 탈수기(23)로 이송되어 수분이 재제거된다. 이와 같이, 슬러지를 탈수함으로써 슬러지의 부피와 중량을 더욱 줄일 수 있으므로, 운반 및 후속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탈수방법으로는 주로 기계적인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탈수기에는 원심탈수기, 벨트프레스탈수기, 가압탈수기, 진공탈수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탈수기(23)를 거친 탈수 슬러지는 함수율이 대략 70~80% 정도로서, 탈수 슬러지는 마이크로파 건조기(25)로 이송되어 건조된다.
마이크로파 건조기(25)는 탈수기(23)에서 이송되어 온 탈수 슬러지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는 장치로서, 마이크로파 건조기(25)에는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구비된다.
마이크로파 건조기(25)에서 슬러지는 함수율이 20% 이하로 건조되는데, 이와 같이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의해 슬러지가 건조되는 원리를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마이크로파는 파장이 10㎝~1m, 주파수가 30㎒ ~ 300㎓ 인 매우 짧은 파장의 전자파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의한 건조는 유전가열에 의한 열에너지를 이용한 것이다.
마이크로파를 슬러지에 조사하면, 슬러지 내에 존재하는 물분자는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분자간 마찰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마찰열에 의해슬러지를 건조 및 살균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파 건조기(25)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면, 슬러지의 건조 및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의 함수율을 20%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파 건조기(25)에서 건조된 슬러지는 이후 소각로(27)로 이송되어 소각된다. 소각로(27)에서 건조 슬러지는 연속 투입식으로 연소되는데, 이때 소각로(27)에 공급되는 슬러지는 함수율이 20% 이하므로 자체 연소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슬러지의 함수율이 20% 이하가 되면 발열량이 약 2,500 ㎉/㎏ 내외가 되어 자체 연소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시가스(LNG)와 같은 별도의 연료를 소각로(27)에 공급하지 않고도 건조 슬러지를 소각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연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를 소각시키는 경우에 비해 배출가스도 적게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
소각로(27)에서 소각된 소각재는 매립에 의해 최종 처분된다.
한편, 건조 슬러지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증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증기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발전기(29)를 구비한다. 즉, 건조 슬러지의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발전기(29)의 터빈을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도록 한다.
함수율 80%의 슬러지 20㎥/일을 함수율 20%의 슬러지 5㎥/일로 건조하여 소각하는 장치의 경우, 소각로(27)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발전기(29)를 가동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전력은 대략 200㎾ 정도로서, 발전기(29)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마이크로파 건조기(25)의 소요전력으로 사용한다.
마이크로파 건조기(25)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건조할 경우, 80%의 슬러지 20㎥/일을 함수율 20%의 슬러지 5㎥/일로 건조하는데 필요한 전력은 약 550㎾ 이다. 따라서 발전기(29)에서 생산된 전력을 마이크로파 건조기(25)의 소요전력으로 충당할 경우, 350㎾ 정도의 전력만 외부에서 공급해주면 슬러지의 함수율이 20% 가 되도록 슬러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서 공급해 주어야 하는 마이크로파 건조기(25)의 전력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소화조(digester)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마이크로파 건조기(25)로 공급해주어야 하는 전력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소화조를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한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의 주요 블럭구성도이다. 도 3에서, 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여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축조(21)에서 농축된 슬러지는 탈수기(23)에 이송되기 전에 소화조(31)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소화조(31)로 이송된 농축 슬러지는 생화학적으로 처리되어 소화된다. 이와 같이 농축 슬러지를 소화시킴으로써 슬러지를 안정화시키고 썩기 쉬운 유기물의 함량을 줄여 2차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의 중량을 감량할 수 있다.
소화조(31)에서 농축 슬러지가 소화되는 과정에서 메탄발효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 등의 소화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슬러지 내의 유기물이 감량된다. 메탄발효에 의해 발생하는 소화가스는 발전기, 보일러 등의 자가 연료로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소화가스를 소각로(27)에 공급하여 연료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소화가스를 자가 연료로 사용하면 소각로(27)에서 보다 많은 양의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어, 발전기(29)에서도 더욱 많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 건조기를 사용하여 80%의 슬러지 20㎥/일을 함수율 20%의 슬러지 5㎥/일로 건조하는데 필요한 전력은 약 550㎾ 정도인데, 소화조(31)를 설치하여 소각로(27)에서 더욱 많은 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전력량을 최대화하여 마이크로파 건조기(25)의 소요전력으로 충당하면, 외부에서 별도의 전력을 소각로에 공급해주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별도의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발전기(29)에서 생산된 전력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체 발전력만으로 마이크로파 건조기(25)에서 슬러지를 함수율 20% 이하까지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소화조(31)가 구비되지 않은 슬러지 소각장치에 비해 에너지를 훨씬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소화조(31)에서 농축 슬러지를 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소화조(31)를 가온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소화조(31)를 가온시키기 위한 열은 소각로(27)에서 발생한 증기가 발전기(29)를 구동시킨 후 남은 증기열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남은 증기열을 사용하여 소화조(31)를 가온시킴으로써, 소화조(31)를 가온시키기 위한 에너지 또한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의 슬러지 소각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농축조(21)에서 농축한다. 이때, 슬러지는 중력식 농축, 용존공기 부상 농축, 원심분리 농축 등의 방법으로 농축될수 있다.
농축된 슬러지는 소화조(31)로 이송되어 소화된다. 소화조(31)에 이송된 농축 슬러지는 생화학적으로 처리되어 소화되는데, 이러한 소화과정에서 메탄발효가 일어나 메탄가스나 이산화탄소 등의 소화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소화된 슬러지는 탈수기(23)로 이송되고, 발생한 소화가스는 소각로(27)로 이송된다.
탈수기(23)에 이송된 소화 슬러지 또는 농축 슬러지는 탈수기(23)에서 탈수됨으로써 부피 및 중량이 감소되고, 슬러지의 함수율은 약 70~80% 가 된다.
탈수기(23)에서 탈수된 슬러지는 마이크로파 건조기(25)로 이송되어 건조된다. 탈수 슬러지가 마이크로파 건조기(25)로 이송되면,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가 탈수 슬러지에 조사되어 슬러지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게 되는데,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의해 슬러지의 함수율은 20% 이하로 건조된다.
건조된 슬러지는 소각로(27)로 이송되어 소각되는데, 건조 슬러지의 함수율은 20% 이하로서 자체 연소가 가능하므로 외부에서 별도의 연료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건조 슬러지를 소각할 수 있다.
소각로(27)에서 소각된 소각재는 매립하여 최종 처리한다.
소각로(27)에서 건조 슬러지를 소각하면 증기가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증기는 발전기(29)로 공급된다. 발전기(29)로 공급된 증기는 터빈을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게 되며, 생산된 전력은 마이크로파 건조기(25)의 소요전력으로 충당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파 건조기(25)는 소요 전력량 중 발전기(29)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외한 전력량만 외부에서 별도로 공급해주면 된다.
한편, 농축 슬러지를 소화하는 과정에서 메탄 발효가 일어나 메탄가스 등의 소화가스가 발생하는데, 이를 소각로(27)에 공급하여 자가 연료로 사용한다. 소각로(27)에 공급된 자가 연료에 의해 소각로에서 슬러지를 소각하면 보다 많은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소각로(27)에서 발생하는 증기량이 증가할수록 발전기(29)에서 얻을 수 있는 전력량도 증가하게 되므로, 소화조(31)가 없는 경우에 비해 훨씬 큰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이때, 발전기(29)의 터빈을 회전시키고 남은 증기는 소화조(31)로 공급되어 소화조(31)를 가온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파 건조기에서 슬러지를 자체 연소가 가능한 정도로 건조할 수 있으므로 소각로에 별도의 연료를 공급하지 않고도 슬러지를 소각할 수 있다. 또한,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증기로 발전기를 가동시켜 생산되는 전력을 마이크로파 건조기의 소요전력으로 충당하므로 외부에서 마이크로파 건조기로 공급하여야 하는 전력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탈수기에서 이송된 탈수 슬러지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함수율 20% 이하까지 건조시키게 되므로, 건조단계에서 슬러지를 자체 연소가 가능한 정도까지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파 건조기에서 함수율을 20% 이하까지 건조시킨 건조 슬러지는 소각로에서의 소각시 자체 소각이 가능하므로, 건조 슬러지를 소각시키기 위한 보조 연료를 별도로 공급해줄 필요가 없어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슬러지의 함수율을 20% 이하로 건조하여 소각하므로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소각재의 양 또한 감소하므로 소각재의 최종 처분시 운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매립지 확보 곤란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증기로 발전기의 터빈을 회전시켜 발생하는 전력을 마이크로파 건조기의 소요전력으로 충당함으로써 외부에서 마이크로파 건조기에 공급해 주어야 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러지 소각장치에 대한 주요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주요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조를 구비한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의 주요 블럭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농축조 23: 탈수기
25: 마이크로파 건조기 27: 소각로
29: 발전기 31: 소화조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슬러지를 소각하는 방법에 있어서,
    농축조에서 상기 슬러지를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조에서 농축된 농축 슬러지를 탈수기로 이송하여 탈수하는 단계;
    상기 탈수기에서 탈수된 탈수 슬러지를 마이크로파 건조기로 이송한 후,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탈수 슬러지의 함수율이 30% 미만이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파 건조기에서 건조된 건조 슬러지를 소각로로 이송하여 소각하는 단계; 및
    상기 소각로에서 상기 건조 슬러지를 소각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증기로 발전기에서 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력을 상기 마이크로파 건조기의 소요전력으로 충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 슬러지를 탈수하기 전에 상기 농축 슬러지를 소화조에서 생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소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조에서 상기 농축 슬러지가 소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를 상기 소각로로 이송하여 상기 소각로의 연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조는 상기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증기 중의 소정량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 방법.
KR10-2005-0013863A 2005-02-19 2005-02-19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 KR100529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863A KR100529565B1 (ko) 2005-02-19 2005-02-19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863A KR100529565B1 (ko) 2005-02-19 2005-02-19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482U Division KR200388749Y1 (ko) 2005-02-19 2005-02-19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458A KR20050026458A (ko) 2005-03-15
KR100529565B1 true KR100529565B1 (ko) 2005-11-22

Family

ID=3738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863A KR100529565B1 (ko) 2005-02-19 2005-02-19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5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490B1 (ko) * 2011-02-23 2013-07-01 주식회사 세록 슬러지 건조장치 및 방법
KR102607367B1 (ko) 2022-08-22 2023-11-30 주식회사 아이엠쿡 굴뚝 없는 쓰레기 순산소 플라즈마 소각 발전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490B1 (ko) * 2011-02-23 2013-07-01 주식회사 세록 슬러지 건조장치 및 방법
KR102607367B1 (ko) 2022-08-22 2023-11-30 주식회사 아이엠쿡 굴뚝 없는 쓰레기 순산소 플라즈마 소각 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458A (ko) 200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159B1 (ko) 마이크로파와 가열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장치 및 방법
JP3861093B2 (ja) 汚泥の燃料化方法及び装置
JP2009045612A (ja) 廃棄物のリサイクル処理方法及びリサイクル処理施設
KR100734092B1 (ko) 자체 에너지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JP2008212860A (ja) 廃棄物処理設備
CN202621544U (zh) 一种以热调理为辅、热解为主的固体废弃物处理装置
KR102452517B1 (ko) 소화액 처리수와 유기물 건조물질의 혼합액을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시스템
JP2006348302A (ja) 汚泥の燃料化方法及び装置
JP2006205027A (ja) 含水有機汚泥等の減容・減量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529565B1 (ko)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 및 슬러지 소각 방법
JP2015224795A (ja) 有機物の燃料ガス化発生装置とその熱利用
JP2005249262A (ja) 低質ごみ焼却炉及び発電設備を備えた低質ごみの焼却システム
KR20110054096A (ko) 열기류순환 감압건조 방법 및 장치
KR200388749Y1 (ko) 자체 발전력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장치
KR100268592B1 (ko) 하수 슬러지 처리방법
KR0141359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010025597A (ko) 오폐수 슬러지의 연료화 소각처리 방법
JP2011020060A (ja) 生ごみの処理システム
KR100989388B1 (ko) 음식물류폐기물 처리 장치
WO2014086278A1 (zh) 一种回收富水生物质中能量的热回收方法和系统
JP6270206B2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および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CN111943475A (zh) 一种污泥处理方法及处理系统
KR20000008972A (ko) 도시쓰레기 소각로에서의 하수 슬러지 소각 장치 및 소각 방법
KR100561484B1 (ko) 폐열 및 폐가스를 이용한 오폐수 및 상하수도 슬러지케이크 건조장치
KR20120027623A (ko) 하수슬러지의 탄화연료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