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219B1 -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 - Google Patents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219B1
KR100528219B1 KR10-2003-0066786A KR20030066786A KR100528219B1 KR 100528219 B1 KR100528219 B1 KR 100528219B1 KR 20030066786 A KR20030066786 A KR 20030066786A KR 100528219 B1 KR100528219 B1 KR 100528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eck
insulator
insulation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406A (ko
Inventor
박만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21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0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각종 파이프 및 호스를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배관의 도중에 사용되는 인슐레이터의 진동흡수방향이 3축으로 형성된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및 호스 등의 배관의 도중을 끼우기 위한 삽입공이 마련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측으로 고정체의 브라켓의 도중이 끼워지기 위한 네크가 마련된 목부로 형성된 절연 인슐레이터에 있어서,
상기한 삽입공의 내측에는 방사상의 방향으로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기 위한 다수의 내향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목부를 연결하는 몸체부의 중앙부는 길이방향으로 메인 절연공이 살빼기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와 목부의 양측이 지지대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Insulator}
본 발명은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각종 파이프 및 호스를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배관의 도중에 사용되는 인슐레이터의 진동흡수 방향이 3축 방향으로 형성된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연료공급장치, 오일공급장치, 냉각장치 및 전기장치 등을 이루는 파이프 및 호스들이 복잡하게 배관되어진다. 이렇게 복잡하게 배관되는 파이프 및 호스들은 엔진의 진동 및 차량의 떨림으로부터 보호되어야만 진동에 의한 마모 및 손실이 방지된다. 따라서 각종 배관을 엔진의 진동 및 차량의 떨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배관의 도중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고무재의 절연 인슐레이터가 사용된다.
상기한 절연 인슐레이터(20)는 충격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로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배관(10)의 도중을 끼우기 위한 삽입공(22)이 관통형성되는 몸체(21)의 일측으로 브라켓(12)이 끼워지기 위한 네크(23)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2)은 차체의 고정측에 볼트 등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2)의 도중에 상기 네크(23)가 끼워지므로서, 차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은 상기 절연 인슐레이터(20)를 통과하면서 어느정도 감쇄된 후, 상기 배관(10)에 전달되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인슐레이터의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작용에 따른 충격의 흡수방향이 1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므로서, 충분한 진동의 절연효과를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장착되는 각종 파이프 및 호스를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배관의 도중에 사용되는 인슐레이터의 진동흡수 방향이 3축방향으로 형성된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파이프 및 호스 등의 배관의 도중을 끼우기 위한 삽입공이 마련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측으로 고정체의 브라켓의 도중이 끼워지기 위한 네크가 마련된 목부로 형성된 절연 인슐레이터에 있어서,
상기한 삽입공의 내측에는 방사상의 방향으로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기 위한 다수의 내향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목부를 연결하는 몸체부의 중앙부는 길이방향으로 메인 절연공이 살빼기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와 목부의 양측이 지지대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절연 인슐레이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절연 인슐레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연 인슐레이터의 사용상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연 인슐레이터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절연 인슐레이터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절연 인슐레이터(30)는 배관(10)의 도중이 끼워지기 위한 삽입공(34)이 마련된 삽입부(31)와, 차체와 연결되는 브라켓(12)의 일측이 끼워지기 위한 네크(39)가 마련된 목부(33)와, 상기한 삽입부(31)와 목부(33)가 연결되는 몸체부(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삽입공(34)의 내측에는 방사상의 방향으로 중심을 향해서 소정의 각도간격으로 돌출형성된 내향돌기(3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몸체부(32)의 중앙부는 길이방향으로 살빼기형성되어 메인 절연공(36)이 형성된다. 상기한 내향돌기(35)의 형성은 상기한 삽입공(34)의 내주면과 배관(10)의 외주면이 면접촉되지 않고 선접촉되도록 하여 충격흡수의 효과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메인 절연공(36)의 형성은 상기 절연 인슐레이터(30)로 전달되는 법선방향의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메인 절연공(36)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기 몸체부(32)의 법선방향 양측에는 지지대(37)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대(37)로써 삽입부(31)와 목부(33)가 연결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지지대(3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절연공(36)의 중심방향을 향해 주름진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한 지지대()는 상기 양측의 지지대(36) 간의 거리가 축소되었다가 확대되어지는 대략 'S'자형상의 모양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절연 인슐레이터(30)로 전달되는 상하방향으로의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한 지지대(37)의 길이방향으로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서브 절연공(38)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절연 인슐레이터(30)로 전달되는 길이방향의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절연 인슐레이터(30)는 종래기술의 경우와 같이 충격흡수율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절연 인슐레이터의 사용상태를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한 절연 인슐레이터(30)는 주로 자동차의 조립과정에서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 엔진 및 차체의 조립라인에서 연료 파이프 등의 배관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충격흡수가 필요한 배관(10)의 도중이 상기 삽입공(34)에 끼워지게 된다.
배관(10)의 도중에 삽입공(34)이 끼워진 절연 인슐레이터(30)는 그 목부(33)의 도중에 마련된 네크(39)에 차체와의 고정을 위한 매개체가 되는 브라켓(12)이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12)은 볼트 등으로써 차체에 고정장착된다.
따라서 상기한 브라켓(12)으로 인하여 차체와 배관(10) 간에는 적정 간격이 떨어진 상태가 되고, 절연 인슐레이터(30)에 의해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장착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절연 인슐레이터(30)의 몸체부(32)는 그 상하방향, 길이방향, 법선방향의 각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메인 절연공(36)과 서브 절연공(38)이 관통형성되고, 삽입부(31)와 목부(33)를 연결하는 몸체부(32)의 지지대(37)가 대략 'S'자 형상으로 주름지게 형성되므로서, 종래기술에 의한 절연 인슐레이터보다 충격흡수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한 절연 인슐레이터(30)의 삽입공(34)의 내측면에는 톱니형상의 다수의 내향돌기(35)가 형성되므로서, 배관(10)의 외주면과 삽입공(34)의 내주면 간에 면접촉보다는 선접촉이 이루어지게 되어 절연성능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 및 엔진으로부터 연료 파이프 등의 배관에 전달되는 진동의 진행방향에 관계없이 절연 인슐레이터의 몸체부에서 충격의 흡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배관의 외주면과 삽입공의 내주면 사이가 면접촉보다는 선접촉에 가깝도록 접촉되는 면적이 줄게 되므로서 배관에 전달되는 진동의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절연 인슐레이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연 인슐레이터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연 인슐레이터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관 12 : 브라켓
30 : 절연 인슐레이터 31 : 삽입부
32 : 몸체부 33 : 목부
34 : 삽입공 35 : 내향돌기
36 : 메인 절연공 37 : 지지대
38 : 서브 절연공 39 : 네크

Claims (3)

  1. 파이프 및 호스 등의 배관의 도중을 끼우기 위한 삽입공이 마련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측으로 고정체의 브라켓의 도중이 끼워지기 위한 네크가 마련된 목부로 형성된 절연 인슐레이터에 있어서,
    상기한 삽입부(31)에 마련된 삽입공(34)의 내측에는 방사상의 방향으로 배관(10)의 외주면에 접촉되기 위한 다수의 내향돌기(3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1)와 목부(33)를 연결하는 몸체부(32)의 중앙부는 길이방향으로 메인 절연공(36)이 살빼기형성되므로서 상기 삽입부(31)와 목부(33)의 양측이 지지대(37)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대(37)의 길이방향 도중에는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흡수를 위한 서브 절연공(38)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대(37)는 상하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흡수를 위해, 상기 양측 지지대(37) 간의 거리가 축소되었다가 확대되는 식으로 주름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
KR10-2003-0066786A 2003-09-26 2003-09-26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 KR100528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786A KR100528219B1 (ko) 2003-09-26 2003-09-26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786A KR100528219B1 (ko) 2003-09-26 2003-09-26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406A KR20050030406A (ko) 2005-03-30
KR100528219B1 true KR100528219B1 (ko) 2005-11-15

Family

ID=3738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786A KR100528219B1 (ko) 2003-09-26 2003-09-26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029B1 (ko) * 2008-12-18 2010-12-09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배관용 방진 고무마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554B1 (ko) * 2018-11-02 2024-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029B1 (ko) * 2008-12-18 2010-12-09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배관용 방진 고무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406A (ko) 200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0923A1 (en) Piping fixing structure
KR100528219B1 (ko) 배관용 절연 인슐레이터
JP2001193451A (ja) 排気管継手
JP4622592B2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101926936B1 (ko) 쿨링모듈 사이드마운팅 구조
KR100405454B1 (ko) 라디에이터용 방진고무
KR101375080B1 (ko) 차량용 파이프 고정구조
KR102437470B1 (ko)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KR100508178B1 (ko) 대변위 진동 흡수가 가능한 플렉시블 튜브
JPS6220355Y2 (ko)
KR100513477B1 (ko) 라디에이터의 장착용 완충부재
CN212929105U (zh) 一种减震密封水嘴结构
KR200340037Y1 (ko)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댐퍼
KR100507082B1 (ko) 자동차의 변속기 서포트 브라켓
KR100372695B1 (ko) 자동차 엔진용 디커플러
KR200152047Y1 (ko) 자동차 배기관용 디커플러
KR102644554B1 (ko) 차량용 연료이송장치
CN221049464U (zh) 悬置结构及车辆
KR100836385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용 스토퍼
KR200394980Y1 (ko) 자동차 배기관용 진동감쇄 연결구
KR19990030122U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패킹부재
KR100452587B1 (ko) 차량의 스티어링휠
CN117818504A (zh) 管线安装结构以及车辆
KR100536310B1 (ko) 차량의 배기 파이프 고정용 벨로우즈
KR100361923B1 (ko) 자동차용 트랜스미션 마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