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637B1 -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637B1
KR100527637B1 KR1019980016249A KR19980016249A KR100527637B1 KR 100527637 B1 KR100527637 B1 KR 100527637B1 KR 1019980016249 A KR1019980016249 A KR 1019980016249A KR 19980016249 A KR19980016249 A KR 19980016249A KR 100527637 B1 KR100527637 B1 KR 100527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isplay
movable
display surfac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810A (ko
Inventor
히사시 아마후지
류우타로우 나스
야스히코 한다
게이죠우 구마이
야스히로 나카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597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282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24460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6551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1998008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시스템은 화상 표시면을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가동형 표시기(4,104,204)의 해당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검지하고, 검지된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시켜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가동형 표시기(4,104,204)에 출력한다. 변경 신호의 출력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 변화에 대응하여, 가동형 표시기(4,104,204)에 출력중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Description

표시 시스템
본 발명은 예컨대 컴퓨터에 의해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할 때에, 각 태스크에 대응하는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데 적합한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멀티 태스크가 가능한 컴퓨터에 의해 복수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각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복수의 작업용 화상을 마치 책상 위에 서류를 펼치는 것처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예컨대, 워드 프로세서용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한 내용과 그림 그리기용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한 내용을 합성하는 경우, 양쪽의 작업용 화상을 동시에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경우 표시기의 화면이 작으면 시인성(視認性)이 나쁘기 때문에, 큰 화면의 표시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큰 화면의 표시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또, 표시기의 화면이 작은 노트북 컴퓨터 등의 휴대형 컴퓨터에 의해, 동시의 복수 작업용 화상을 표시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좁은 공간이나 옥외에서는 동시의 복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요하는 작업이 제한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 시스템은 화상 표시면을 임의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가동형 표시기와, 화상 표시면의 방향과 화상 데이터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수단과,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검지하는 수단과, 검지된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되어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가동형 표시기에 출력하는 수단과, 변경 신호의 출력 수단과, 화상 데이터와 변경 신호의 출력시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 변화에 대응하여, 출력중인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한 방향을 향하는 화상 표시면에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 변경 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가동형 표시기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변화시키면, 그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도 동일하게 변화한다. 이 경우, 화상의 표시 위치는 가동형 표시기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 변화에 대응하여 변위한다. 변경 신호의 출력을 해제한 경우,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은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으로 변화한다. 변경 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과 가동형 표시기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시인(視認)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임의의 방향을 향하는 화상 표시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변경 신호의 출력 상태에서는 화상 표시면이 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동일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 상태에서는 화상 표시면이 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기준 표시기와 상기 가동형 표시기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미리 정한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가동형 표시기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내일 때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는 상기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중인 상기 기준 표시기에 출력되고, 상기 변경 신호의 출력중인 상기 가동형 표시기에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준 표시기에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 가동형 표시기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내가 되도록 위치를 결정하고, 변경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기준 표시기에 의해 표시되고 있던 화상은 가동형 표시기에 의해 표시된다.
변경 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가동형 표시기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내에서부터 일정 각도를 넘도록 변화시킴으로써, 가동형 표시기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도 동일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은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시에 있어서의 가동형 표시기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된다. 이것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기준 표시기에 의한 화상의 표시는 해제되기 때문에, 다른 화상을 기준 표시기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가동형 표시기에 결합기(combiner)가 장치되고, 결합기는 기준 표시기의 화상 표시광을 투과시킴으로써 관찰자의 눈에 안내할 수 있고, 가동형 표시기의 화상 표시광을 광로 변경함으로써 관찰자의 눈에 안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기를 투과하는 기준 표시기의 화상 표시광을 관찰자의 눈에 안내함으로써, 가동형 표시기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내가 되도록 용이하게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가동형 표시기를 관찰자의 머리에 장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는 머리를 움직이는 것만으로 화상의 표시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입력부와 음성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는 음성을 발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큰 화면 표시기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에 의해 많은 태스크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데 공헌할 수 있고,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화상 표시 시스템(1)은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컴퓨터(2), 기준 표시기(3) 및 가동형 표시기(4)를 구비한다.
컴퓨터(2)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내장함과 동시에,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5)에 접속된다. 컴퓨터(2)는 입력 장치(5)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복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고, 그 실행에 의해 각 프로그램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기준 표시기(3)는 예컨대 브라운관식 디스플레이나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일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가동형 표시기(4)는 관찰자(6)에 의해 한 손으로 휴대할 수 있고, 관찰자(6)의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서 화상 표시면을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가동형 표시기(4)는 화상 표시광을 출사하는 표시 유닛(10), 기판(11), 표시 유닛(10)과 기판(11)을 덮는 케이스(12), 결합기(13) 및 케이스(12)와 결합기(13)를 연결하는 아암(14)을 구비한다.
표시 유닛(10)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 라이트(10a)와 액정 패널(10b)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 유닛(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CRT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결합기(13)는 하프 미러나 홀로그램 소자 등에 의해 구성된다. 결합기(13)는 가동형 표시기(4)의 액정 패널(10b)의 화상 표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화상 표시광을 반사 또는 회절에 의해 광로를 변경함으로써 관찰자(6)의 눈에 안내함과 동시에 전방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한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6)는 그 가동형 표시기(4)를 머리의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광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과 결합기(13)의 전방 영역의 쌍방을 시인할 수 있다.
표시기용 기판(11)에 액정 패널(10b)의 드라이버(11a),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검지하는 방위 센서(11b), 변경 스위치(11c) 및 ON-OFF 스위치(11d)가 장치되어 있다. 드라이버(11a), 방위 센서(11b) 및 각 스위치(11c,11d)는 배선(20), 커넥터(21), 플러그(22)를 통해 접속용 기판(23)상에 장치된 신호 처리 회로(23a)에 접속된다. 그 신호 처리 회로(23a)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접속용 기판(23)에 신호 처리 회로(23a)에 접속되는 메모리(23b)와 인터페이스(23c)가 장치되어 있다. 신호 처리 회로(23a)는 인터페이스(23c)와 커넥터(24)를 통해 상기 컴퓨터(2)의 버스 라인에 접속된다. 컴퓨터(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는 인터페이스(23c)와 신호 처리 회로(23a)를 통해 메모리(23b)에 기억된다. 화상 데이터는 상기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되어 기억되고, 당초는 후술의 기준 방향에 대응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중심 법선 방향과 기준 표시기(3)의 화면 중심의 법선 방향이 일치할 때에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 된다. 방위 센서(11b)는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하는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검지 신호는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중심 법선 방향이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에 대응한다. 방위 센서(11b)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진동 자이로컴퍼스 장치, 지자기(地磁氣) 센서, 가속도 센서로 방위 센서(11b)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동형 표시기(4)에 부착되는 코일과 코일 주위의 자장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코일의 방향이 발생 자장내에서 변화하는 것에 의한 전류 변화로부터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검출하는 방위 센서(11b)를 이용할 수 있다.
방위 센서(11b)로부터 출력되는 검지 신호는 상기 신호 처리 회로(23a), 인터페이스(23c)를 통해 컴퓨터(2)에 입력된다. 컴퓨터(2)는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 각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일정 각도는 컴퓨터(2)에 기억된다. 예컨대, 상기 결합기(13)를 통해 기준 표시기(3)의 화면을 시인할 수 있을 때,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는 일정 각도 이내가 된다.
상기 변경 스위치(11c)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상 개방의 누름 보턴 스위치이다. 상기 ON-OFF 스위치(11d)의 접점을 닫은 상태에서, 변경 스위치(11c)의 접점을 닫음으로써, 상기 신호 처리 회로(23a)는 변경 신호를 출력한다. 변경 신호는 인터페이스(23c)를 통해 컴퓨터(2)에 입력된다. ON-OFF 스위치(11d)의 접점을 연 상태에서는 변경 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방위 센서(11b)에 의해 검지된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내일 때, 컴퓨터(2)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를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중인 기준 표시기(3)에 출력하고, 변경 신호의 출력중인 가동형 표시기(4)에 출력한다. 즉, 컴퓨터(2)는 변경 신호의 출력중인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내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의 기준 표시기(3)로의 출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화상 데이터의 가동형 표시기(4)로의 출력 명령을 상기 신호 처리 회로(23a)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 회로(23a)는 화상 데이터의 출력 명령에 의해 상기 메모리(23b)에 기억된 해당 화상 데이터를 가동형 표시기(4)의 드라이버(11a)에 출력한다.
방위 센서(11b)에 의해 검지된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를 넘고, ON-OFF 스위치(11d)의 접점이 닫혀져 있을 때, 컴퓨터(2)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를 가동형 표시기(4)에 출력한다. ON-OFF 스위치(11d)의 접점을 연 상태에서는 화상 데이터는 가동형 표시기(4)에 출력되지 않는다.
기준 표시기(3)는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결합기(13)가 기준 표시기(3)의 화상 표시광을 투과시켜 관찰자(6)의 눈에 안내함으로써, 기준 표시기(3)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은 관찰자(6)에 시인된다.
가동형 표시기(4)는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액정 패널(10b)에 의해 표시한다. 상기 결합기(13)가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광을 광로 변경하여 관찰자(6)의 눈에 안내함으로써, 가동형 표시기(4)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은 관찰자(6)에 시인된다.
변경 신호의 출력시에 있어서, 컴퓨터(2)는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 변화에 대응하여, 가동형 표시기(4)에 출력중인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메모리(23b)에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즉, 변경 신호를 출력시킨 상태에서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변화시킨 후에 변경 신호의 출력을 해제한 경우,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은 출력 해제시에 있어서의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된다.
우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 표시기(3)에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 가동형 표시기(4)의 결합기(13)를 관찰자(6)의 눈 앞쪽에 배치하고,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내가 되도록 위치 결정하고, ON-OFF 스위치(11d)의 접점을 닫으며, 변경 스위치(11c)를 누름으로써 변경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기준 표시기(3)에 의해 표시되어 있던 화상은 가동형 표시기(4)에 의해 표시되고, 기준 표시기(3)에 의한 화상의 표시는 해제된다. 결합기(13)를 투과하는 기준 표시기(3)의 화상 표시광을 관찰자(6)의 눈에 안내하는 것만으로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내가 되도록 용이하게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변경 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내로부터 일정 각도를 넘도록 변화시킨다. 예컨대, 결합기(13)의 방향을 도 1에 있어서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가동형 표시기(4)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도 마찬가지로 변화한다. 그러면, 화상의 표시 위치는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 변화에 대응하도록 변위한다. 예컨대, 결합기(13)의 방향을 도 1에 있어서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변화시키면, 화상의 표시 위치는 도 1에 있어서 점선(30)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6)는 공간에 붙여진 것 같은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변경 신호의 출력을 해제하면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은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시에 있어서의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된다. 이것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기준 표시기(3)에 의한 화상의 표시는 해제되기 때문에 기준 표시기(3)에 다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를 넘고, 변경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변화시키면, 화상 표시면에 표시된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도 마찬가지로 변화한다. 즉, 화상의 표시 위치는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 변화에 대응하도록 변위한다. 예컨대 도 1에 있어서 점선(30)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점선(31)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변화한다. 그 변경 신호의 출력을 해제한 경우,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은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시에 있어서의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된다. 변경 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과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임의의 방향을 향하는 화상 표시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변경 신호의 출력 상태에서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이 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동일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 상태에서 화상 표시면이 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형 표시기(4)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관찰자(6)는 공간에 붙여진 것 같은 복수의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예컨대, 화상 표시면이 한 방향을 향할 때는 워드 프로세서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화상을 시인하고, 다른 방향을 향할 때는 그림 그리기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화상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관찰자(6)는 원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상을 시인하면서 작업을 행할 수 있고, 각 화상의 내용은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에 맞추어 변화시킬 수 있다.
변경 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를 넘는 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이내의 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가동형 표시기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도 마찬가지로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화상의 표시 위치는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한다. 예컨대 도 1에 있어서 점선(32)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기준 표시기(3)의 화상 표시면과 겹치는 위치로 변화한다. 그 변경 신호의 출력을 해제한 경우, 그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은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시에 있어서의 가동형 표시기(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된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준 표시기(3)에 표시하고, 가동형 표시기(4)에 의한 화상의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 표시기(3)와 가동형 표시기(4)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마치 책상 위에 서류를 펼치는 것과 동시에 책상 주위의 벽 등에 서류를 핀 등으로 붙인 것 같은 작업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화상 표시 시스템(101)은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컴퓨터(102)와, 가동형 표시기(104)를 구비한다.
컴퓨터(102)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내장함과 동시에,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105)에 접속된다. 컴퓨터(102)는 입력 장치(105)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복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고, 그 실행에 의해 각 프로그램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형 표시기(104)는 관찰자(6)의 머리에 유지체(103)를 개재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관찰자(6)의 머리의 움직임에 의해,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을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유지체(103)는 밴드형으로 되어 있다. 유지체는 가동형 표시기(104)를 관찰자(6)의 머리에 장착할 수 있다면 밴드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헬멧형이어도 좋다.
가동형 표시기(104)는 화상 표시광을 출사하는 표시 유닛(110), 기판(111), 표시 유닛(110) 및 기판(111)을 덮는 케이스(112)를 구비한다.
표시 유닛(110)은 관찰자(6)의 양쪽 눈에 대향하는 한 쌍의 백 라이트(110a), 한 쌍의 액정 패널(110b) 및 한 쌍의 렌즈계(110c)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 유닛은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백 라이트(110a)와 액정 패널(110b) 대신에 CRT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도 좋다. 각 액정 패널(110b)로부터 출사되는 화상 표시광은 각 렌즈계(110c)를 통해 관찰자(6)의 양쪽 눈에 도달한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6)의 전방에 각 액정 패널(110b)의 화상 표시면에 표시되는 화상이 형성된다. 이 구성 대신에, 표시 유닛을 관찰자(6)의 머리 옆쪽에 배치하고, 관찰자(6)의 전방에 결합기를 배치하여, 표시 유닛으로부터 출사되는 화상 표시광을 광학계에 의해 결합기로 인도하며, 그 결합기에 의해 화상 표시광을 광로 변경하여 관찰자(6)의 눈에 안내하는 구성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관찰자(6)는 가동형 표시기의 화상 표시광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과, 전방 영역의 양쪽 방향을 시인할 수 있다. 또는 관찰자(6)의 한쪽 눈에만 화상 표시광을 인도하는 표시 유닛을 사용하여도 좋다.
표시기용 기판(111)에 각 액정 패널(110b)을 구동하는 한 쌍의 드라이버(111a),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검지하는 방위 센서(111b), 변경 스위치(111c) 및 ON-OFF 스위치(111d)가 장치되어 있다. 드라이버(111a), 방위 센서(111b) 및 각 스위치(111c,111d)는 배선(120), 커넥터(121), 플러그(122)를 개재하여 접속용 기판(123)상에 장치된 신호 처리 회로(123a)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 처리 회로(123a)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접속용 기판(123)에 신호 처리 회로(123a)에 접속되는 메모리(123b)와 인터페이스(123c)가 장치되어 있다. 신호 처리 회로(123a)는 인터페이스(123c), 커넥터(124)를 개재하여 상기 컴퓨터(102)의 버스 라인에 접속된다. 컴퓨터(10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는 인터페이스(123c), 신호 처리 회로(123a)를 개재하여 메모리(123b)에 기억된다. 화상 데이터는 상기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되어 기억된다. 메모리(123b)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는 당초는 후술의 기준 방향에 대응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상기 ON-OFF 스위치(111d)의 접점이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가 된 시점에 있어서의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 된다. 방위 센서(111b)는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하는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검지 신호는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에 대응한다. 방위 센서(111b)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방위 센서(111b)로부터 출력되는 검지 신호는 상기 신호 처리 회로(123a), 인터페이스(123c)를 통해 컴퓨터(102)에 입력된다. 컴퓨터(102)는 상기 ON-OFF 스위치(111d)의 접점이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서 인터페이스(123c), 신호 처리 회로(123a)를 통해 메모리(123b)에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방위 센서(111b)로부터 입력되는 검지 신호에 대응하는 기준 방향에 대응시켜 기억시킨다.
상기 변경 스위치(111c)는 본 실시 형태에서 정상 개방의 누름 보턴 스위치로 되어 있다. 상기 ON-OFF 스위치(111d)의 접점을 닫은 상태에서 이 변경 스위치(111c)의 접점이 닫히면, 상기 신호 처리 회로(123a)는 변경 신호를 출력한다. 변경 신호는 인터페이스(123c)를 통해 컴퓨터(102)에 입력된다. ON-OFF 스위치(111d)의 접점을 연 상태에서 변경 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ON-OFF 스위치(111d)의 접점이 닫혀져 있을 때, 컴퓨터(102)는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를 가동형 표시기(104)에 출력한다. ON-OFF 스위치(111d)의 접점을 연 상태에서 화상 데이터는 가동형 표시기(104)에 출력되지 않는다. 가동형 표시기(104)는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액정 패널(110b)에 의해 표시한다. 이 액정 패널(110b)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은 상기 렌즈계(110c)를 통해 관찰자(6)에 시인된다.
변경 신호의 출력시에 있어서, 컴퓨터(102)는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 변화에 대응하여, 가동형 표시기(104)에 출력중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메모리(123b)에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변경 신호를 출력시킨 상태에서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변화시킨 후에 변경 신호의 출력을 해제한 경우,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은 출력 해제시에 있어서의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을 임의의 한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ON-OFF 스위치(111d)의 접점이 닫혀짐으로써, 컴퓨터(10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가동형 표시기(104)에 의해 표시되고, 화상 표시면의 방향과 화상 데이터가 대응되어 메모리(123b)에 기억된다.
변경 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관찰자(6)가 머리를 움직여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가동형 표시기(104)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도 마찬가지로 변화한다. 이 경우, 화상의 표시 위치는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한다. 예컨대, 도 3에 있어서 실선(130)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점선(131)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변위한다.
변경 신호의 출력을 해제한 경우,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은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시에 있어서의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된다.
변경 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과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만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머리를 움직여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변화시키면, 화상은 관찰자(6)의 시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임의의 방향을 향하는 화상 표시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변경 신호의 출력 상태에서 가동형 표시기(104)의 화상 표시면이 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동일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 상태에서 화상 표시면이 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6)는 공간에 붙여진 것과 같은 복수의 화상을 머리를 움직이는 것만으로 시인할 수 있다. 예컨대, 한 방향을 향할 때는 워드 프로세서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화상을 시인하고, 다른 방향을 향할 때는 그림 그리기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화상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관찰자(6)는 원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화상을 시인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고, 각 화상의 내용은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에 맞추어 변화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와의 차이는 관찰자(6)의 한쪽 눈에만 화상 표시광을 인도하는 표시 유닛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음성 입력부와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와의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표시 시스템(201)은 관찰자(6)의 머리에 장착 가능한 유지부(203), 유지부(203)에 유지되는 가동형 표시기(204), 관찰자(6)의 허리에 벨트(211)를 개재하여 장착 가능한 제어부(207) 및 음성 입력부(208)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가동형 표시기(204)는 관찰자(6)의 한쪽 눈에만 화상을 시인시키지만 양쪽 눈에 시인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유지부(203)는 관찰자(6)의 머리를 탄력에 의해 끼우는 밴드형의 본체부(203a)와 가동형 표시기(204)의 머리에 대한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머리에 압착되는 패드(203b)를 구비한다. 유지부(203)는 관찰자(6)의 머리에 장착할 수 있으며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패드(203b)는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헬멧형의 유지부를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머리란 안면을 포함하는 목에서부터 그 윗부분을 말한다.
가동형 표시기(204)는 화상 표시광을 출사하는 표시 유닛(204a), 화상 표시광의 광로를 변경하여 관찰자(6)의 시야 범위로 인도하는 광학계(204b) 및 표시 유닛(204a)과 광학계(204b)를 연결하는 아암(204c)을 구비한다. 표시 유닛(204a)은 케이블(209)을 개재하여 상기 제어부(207)에 접속된다.
표시 유닛(204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이 부착된 할로겐 램프에 의해 구성되는 백 라이트(232), 백 라이트(232)의 전압 조정기(233), 백 라이트(232)의 열을 흡수하는 열 흡수 필터(234), 액정 패널(235), 백 라이트(232)의 광의 불균일을 균일하게 하여 액정 패널(235)에 인도하는 산란판(236), 액정 패널(235)에 접속되는 액정 드라이버(238) 및 액정 드라이버(238)에 접속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39)를 구비한다. 액정 패널(235)의 전면에서부터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광이 출사된다. 백 라이트(232)가 부착된 액정 패널(235) 대신에, 예컨대 CRT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도 좋다. 백 라이트로서 냉음극관, 열음극관이나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 유닛(204a)에 가동형 표시기(2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검지하는 방위 센서(204d)가 장치되고, 케이블(209)을 개재하여 후술의 신호 처리 회로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43)를 통해 제어부(207)에 접속된다. 방위 센서(204d)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광학계(204b)는 하프 미러나 홀로그램 소자 등의 결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결합기는 화상 표시광을 반사 또는 회절에 의해 광로를 변경함으로써 화상을 관찰자(6)의 전방에 형성함과 동시에, 전방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한다. 광학계(204b)는 화상 표시광을 전반사함으로써 광로를 변경하는 미러등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광학계는 집광용 렌즈계를 포함하여도 좋다.
음성 입력부(208)는 마이크(208a)와 이 마이크(208a)와 유지부(203)를 연결하는 아암(208b)을 구비한다. 마이크(208a)는 관찰자(6)의 입 주위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7)는 하우징(250)에 내장되는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 회로는 시스템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인 메모리(244),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245),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메모리(246), 문자 폰트를 기억하는 메모리(248), CPU(245)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화상 메모리(246)에 대하여 데이터의 판독 기록을 행하는 화상 제어기(247), 이 시스템의 조작 스위치(241,242)에 접속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3), 메모리 카드(270)에 접속되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55) 및 음성 신호 처리부(251)를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207)는 가동형 표시기(204)에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가동형 표시기(2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메모리(249)를 구비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251)는 음성 입력부(208)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208a)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 필터(251a), 대역 필터(251a)를 통과한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51b), 증폭기(251b)에 접속되는 음성 인식 프로세서(251c) 및 음성 인식 프로세서(251c)에 접속되는 제1, 제2 메모리(251d,251e)를 구비한다. 음성 인식 프로세서(251c)는 증폭된 음성 신호를 계수화하는 AD 변환기를 구비하고, 계수화된 데이터를 제1 메모리(251d)에 격납한다. 제2 메모리(251e)에는 미리 정한 단어의 음성 신호를 계수화한 데이터가 격납된다. 음성 인식 프로세서(251c)는 제1 메모리(251d)에 격납된 디지털 데이터와 제2 메모리(251e)에 격납된 디지털 데이터를 비교하고, 제1 메모리(251d)에 격납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제2 메모리(251e)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 음성에 대응하는 단어로서 CPU(245)에 전송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ON-OFF 스위치(11d,111d)와 변경 스위치(11c,111c)로부터의 입력 기능을 음성 입력부(208)로부터의 음성 입력 기능에 의해 대용한다. 예컨대, 관찰자(6)가 「스위치 온」이라고 발성하여 음성 입력을 행함으로써, ON-OFF 스위치(11d,111d)의 접점이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가 되고, 「스위치 오프」라고 발성하여 음성 입력을 행함으로써, ON-OFF 스위치(11d,111d)의 접점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관찰자(6)가 「변경 신호 출력」이라고 발성하여 음성 입력을 행함으로써 변경 신호가 출력되고, 「변경 신호 출력 해제」라고 발성하여 음성 입력을 행함으로써 변경 신호의 출력이 해제된다.
이 시스템은 후술과 같이 수동 사용 모드와 음성 사용 모드로 전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음성 사용 모드에 있어서 CPU(245)는 음성 입력에 의해 단어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면, 단어의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서 화상 제어기(247)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메모리(246,248)로부터 화상 데이터와 문자 폰트를 독출하고, 문자 폰트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가동형 표시기(2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시켜 메모리(249)에 기억하며, 메모리(249)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239)를 통해 상기 액정 드라이버(238)에 출력한다. 액정 드라이버(238)가 액정 패널(235)을 구동함으로써, 음성이 입력된 단어에 대응함과 동시에, 가동형 표시기(2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시켜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변경 신호의 출력시에 있어서 가동형 표시기(2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 변화에 대응하여 가동형 표시기(204)에 출력중인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메모리(249)에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시의 가동형 표시기(2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CPU(245)는 기록 지시를 위한 단어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55)를 통해 메모리 카드(270)에 기록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270)에 기록된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91)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290)에 취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270)에 기록된 데이터는 호스트 컴퓨터(290)에 의해 처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7)의 하우징(250)에 시스템 전체의 구동용 배터리(260)가 교환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50)에는 전원 스위치(252), 상기 조작 스위치인 확정 보턴 스위치(241)와 4방향 보턴 스위치(242), 상기 메모리 카드(270)를 제어부(207)에 분리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소켓(250a)이 형성되어 있다. 확정 보턴 스위치(241)와 4방향 보턴 스위치(242)는 시스템을 수동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위해 장치되어 있다. 수동 사용 모드와 음성 사용 모드의 전환 신호는 스위치(241,242)의 조작에 의해 입출력 인터페이스(243)를 통해 CPU(245)에 입력된다. 수동 사용 모드에서 CPU(245)는 음성 신호 처리부(251)의 기능을 정지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3)를 통해 스위치(241,242)의 조작에 따라서 전송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4방향 보턴 스위치(242)는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한 4개의 스위치 조각으로 구성되고, 표시 화상내에 있어서 입력 내용을 특정화하거나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이용된다. 확정 보턴 스위치(241)는 4방향 보턴 스위치(242)에 의해 특정화된 입력 내용을 확정하는데 이용된다. 예컨대, 표시 화상내에서 스위치 온, 스위치 오프, 변경 신호 출력, 변경 신호 출력 해제 등의 입력 내용을 표시하고, 입력 내용을 4방향 보턴 스위치(242)의 조작에 의한 커서의 이동에 의해 정하고, 확정 보턴 스위치(241)의 조작에 의해 입력 내용을 확정한다. 스위치(241,242)를 누르면 울리는 부저를 조작 확인을 위해 가동형 표시기(204)나 제어부(207)에 장치하여도 좋다. 하우징(250)에 무선 모뎀 등을 입출력 인터페이스(243)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271,272)가 설치되고, 무선 모뎀 등을 통해 시스템을 외부 컴퓨터 등과 접속할 수 있다. 다른 구성, 작용, 효과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와의 차이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55)와 메모리 카드(270)대신에 입출력 인터페이스(243)에 안테나가 부착된 무선 모뎀(292)이 접속되고, 호스트 컴퓨터(290)에 안테나가 부착된 무선 모뎀(293)이 접속되며, 모뎀(292,293)을 통해 제어부(207)와 호스트 컴퓨터(290)가 접속된다. 이 경우, CPU(245)는 송신 지시를 위한 단어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243), 무선 모뎀(292,293)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290)에 송신한다.
상기 제3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55)나 입출력 인터페이스(243)를 통해 메모리 카드(270)나 호스트 컴퓨터(290)등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 전송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송시에 울리는 부저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8은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표시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200)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시스템을 레스토랑의 주문 기입 시스템에 응용한 예로 나타낸다. 즉, 관찰자(6)인 웨이트레스나 웨이터가 우선 「스위치 온」이라고 발성한 후에 주문을 하는 손님의 좌석 번호를 음성 입력한다. 음성으로 입력된 번호는 가동형 표시기(204)에 의해 표시된다. 다음에, 손님으로부터 들은 주문을 복창함으로써 마이크(208a)로 음성 입력을 행한다. 음성으로 입력된 메뉴는 메뉴 정보로서 표시된다. 표시 내용이 정확한 경우, 관찰자(6)는 「송신」이라고 발성함으로써 음성 입력을 행한다. 그러면, CPU(245)는 무선 모뎀(292,293)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290)에 메뉴 정보를 송신한다. 이 때, 송신과 동시에 다음 입력 화면으로 갱신된다. 호스트 컴퓨터(290)는 그 메뉴 정보에 기초하여, 예컨대 LAN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조리장등에 작업 지시 정보를 제공한다. 표시된 메뉴 정보가 정확하지 않는 경우, 「수정」이라고 발성함으로써 음성 입력을 행한다. 그러면, 입력 내용이 삭제되고 재차 입력 가능한 상태가 된다. 완성된 요리를 손님에게 가지고 갈 때, 좌석 번호를 음성 입력한 후에 「확인」이라고 발성함으로써 음성 입력을 행한다. 그러면, 좌석 번호의 주문 내용이 표시되기 때문에, 정확한 요리를 나르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변경 신호 출력」이라고 발성하여 음성 입력을 행함으로써 변경 신호가 출력되고, 가동형 표시기(204)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표시 위치는 가동형 표시기(2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 변화에 대응하도록 변위한다. 또한, 「변경 신호 출력 해제」라고 발성하여 음성 입력을 행함으로써 변경 신호의 출력이 해제되고,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과 가동형 표시기(2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웨이트레스나 웨이터는 치워야할 식기를 들고 있기 때문에 양손을 쓸 수 없을 때라도 주문을 받거나, 주문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빈 자석 정보의 표시나 손님으로부터의 지명의 표시를 행함으로써 보다 순조롭게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변형예에 있어서, 예컨대 일반적인 마이크(208a)대신에 유지부(203)에 귀골(耳骨) 진동 픽업 방식의 음성 입력 마이크를 귀골 주위의 머리 옆쪽에 밀착시키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음성 입력 마이크를 광학계(204b)나 아암(204c)에 장착하여도 좋다. 또한, 음성 입력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음성 송수신기로 외부 컴퓨터에 송신하고, 외부 컴퓨터로 음성의 인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성 신호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에 프린터를 접속하여 음성 입력 결과를 종이로 출력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메모리(23b,123b)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는 컴퓨터(2,102)로부터 출력되는 모든 화상 데이터일 필요는 없다. 즉, 기준 방향 이외로 향하는 가동형 표시기(4,104)에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만 메모리(23b,123b)에 기억하고, 기준 방향을 향하는 가동형 표시기(4,104)에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컴퓨터(2,102)의 내장 메모리에 기억하여도 좋다. 또한, 그와 같은 메모리(23b,123b)를 장치하지 않고, 컴퓨터(2,102)의 내장 메모리로 대용하여도 좋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동형 표시기로서, 제2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관찰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가동형 표시기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제1 실시 형태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음성 입력부와 음성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신호 처리부를 마련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를 출력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해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관찰자가 양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고, 휴대형의 작업 지원용 정보 표시 툴로서 여러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머리에 장착할 수 있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시스템의 사용 방법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시스템의 사용 방법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시스템의 구성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표시 시스템의 구성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표시 시스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기준 표시기
4: 가동형 표시기
12: 케이스
13: 결합기
20: 배선

Claims (5)

  1. 화상 표시면을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가동형 표시기(4,104,204)와,
    상기 화상 표시면의 방향과 화상 데이터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수단(23b,123b,249)과,
    상기 가동형 표시기(4,104,2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검지하는 수단(11b,111b,204d)과,
    상기 검지된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되어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그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가동형 표시기(4,104,204)에 출력하는 수단(2,102,207)과,
    변경 신호의 출력 수단(11c,111c,208)과,
    상기 화상 데이터와 변경 신호의 출력시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표시기(4,104,2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 변화에 대응하여, 출력중인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표시면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수단(2,102,207)과,
    기준 표시기(3)와.
    상기 가동평 표시기(4,104,2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미리 정한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2)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형 표시기(4,104,204)의 화상 표시면의 방향이 기준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내일 때 화상 표시면의 방향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는 상기 변경 신호의 출력 해제중인 상기 기준 표시기(3)에 출력되고, 상기 변경 신호의 출력중인 상기 가동형 표시기(4,104,204)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표시기(4,104,204)에 결합기(13,204b)가 장치되고,
    상기 결합기(13,204b)는 상기 기준 표시기(3)의 화상 표시광을 투과시킴으로써 관찰자의 눈에 안내가능하고, 상기 가동형 표시기(4,104,204)의 화상 표시광을 광로 변경함으로써 관찰자의 눈에 안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표시기(4,104,204)를 관찰자의 머리에 장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음성 입력부(208)와,
    상기 음성 입력부(208)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신호 처리 수단(251)을 구비하고,
    상기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음성 입력부(208)와,
    상기 음성 입력부(208)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신호 처리 수단(251)을 구비하고,
    상기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KR1019980016249A 1997-05-08 1998-05-07 표시 시스템 KR100527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597797A JP3928211B2 (ja) 1997-05-08 1997-05-08 表示システム
JP97-135977 1997-05-08
JP9244601A JPH1165510A (ja) 1997-08-25 1997-08-25 頭部装着型表示システム
JP97-244601 1997-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810A KR19980086810A (ko) 1998-12-05
KR100527637B1 true KR100527637B1 (ko) 2006-02-13

Family

ID=2646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249A KR100527637B1 (ko) 1997-05-08 1998-05-07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92158B1 (ko)
EP (1) EP0877353B1 (ko)
KR (1) KR100527637B1 (ko)
DE (1) DE69833710T2 (ko)
TW (1) TW3622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4847B1 (en) 1998-09-22 2001-02-06 Vega Vista, Inc. Intuitive control of portable data displays
FR2770717B1 (fr) * 1997-11-05 2000-02-11 Elva Sa Procede pour emettre des signaux acoustiques a partir d'une carte a memoire ou a puce, et cart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ATE254294T1 (de) 1999-06-21 2003-11-15 Microoptical Corp Anzeigevorrichtung mit okular, display und beleuchtungsvorrichtung auf optomechanischem träger
US6724354B1 (en) 1999-06-21 2004-04-20 The Microoptical Corporation Illumination systems for eyeglass and facemask display systems
US7158096B1 (en) * 1999-06-21 2007-01-02 The Microoptical Corporation Compact, head-mountable display device with suspended eyepiece assembly
US6731253B1 (en) * 1999-08-05 2004-05-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mbient adaptable optical combiner
DE10147045B4 (de) * 2001-09-25 2005-03-17 Dräger Safety AG & Co. KGaA Datenkommumikationssystem für Masken- oder Helmträger
WO2004061519A1 (ja) * 2002-12-24 2004-07-22 Nikon Corporation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05250584A (ja) * 2004-03-01 2005-09-15 Sharp Corp 入力装置
US8547401B2 (en) * 2004-08-19 2013-10-0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Portable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method
US20100007581A1 (en) * 2006-08-17 2010-01-14 Nikon Corporation Head mount display device
WO2008140630A2 (en) 2007-01-12 2008-11-20 Kopin Corporation Monocular head-mounted display device being convertible from right to left eye display
US9217868B2 (en) 2007-01-12 2015-12-22 Kopin Corporation Monocular display device
US8036901B2 (en) * 2007-10-05 2011-10-11 Sensory,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performing speech recognition using sensory inputs of human position
WO2009045861A1 (en) * 2007-10-05 2009-04-09 Sensory,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performing speech recognition using gestures
EP2215513B1 (en) * 2007-10-18 2015-05-20 BAE Systems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d mounted display systems
US8180396B2 (en) 2007-10-18 2012-05-15 Yahoo! Inc. User augmented reality for camera-enabled mobile devices
US8711176B2 (en) 2008-05-22 2014-04-29 Yahoo! Inc. Virtual billboards
US20090289955A1 (en) * 2008-05-22 2009-11-26 Yahoo! Inc. Reality overlay device
US9081177B2 (en) 2011-10-07 2015-07-14 Google Inc. Wearable computer with nearby object response
US9547406B1 (en) 2011-10-31 2017-01-17 Google Inc. Velocity-based triggering
US8947322B1 (en) 2012-03-19 2015-02-03 Google Inc. Context detection and context-based user-interface population
JP6123365B2 (ja) 2013-03-11 2017-05-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6160154B2 (ja) 2013-03-22 2017-07-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を利用した情報表示システム、頭部装着型表示装置を利用した情報表示方法、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10001645B2 (en) * 2014-01-17 2018-06-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Using a second screen as a private tracking heads-up display
CN106199963B (zh) * 2014-09-01 2019-09-2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计算机程序
US10296359B2 (en) * 2015-02-25 2019-05-21 Bae Systems Plc Interactive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20180316868A1 (en) * 2017-04-27 2018-11-01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Rear view display object referents system and method
JP6968689B2 (ja) * 2017-12-27 2021-11-17 Dynabook株式会社 電子機器、ウェアラブル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CN109345817A (zh) * 2018-10-09 2019-02-15 中天智领(北京)科技有限公司 大屏幕系统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TWI750818B (zh) * 2020-09-24 2021-12-2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動態調整使用者界面方法、電子裝置及電腦可讀儲存媒體
US11175791B1 (en) * 2020-09-29 2021-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ontrol boundary modif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4043A1 (en) * 1993-08-12 1996-05-29 Seiko Epson Corporation Head mount 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or equipped with th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5813A (en) * 1992-10-05 1996-12-17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All aspect head aiming display
US5579026A (en) * 1993-05-14 1996-11-26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of head mounted type
JP4001643B2 (ja) * 1993-10-05 2007-10-31 スナップ−オン・テクノロジイズ・インク 両手解放型自動車整備装置
JPH0821975A (ja) * 1994-07-06 1996-01-23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映像表示システム
WO1996007947A1 (en) 1994-08-31 1996-03-14 Virtual I/O, Inc. Personal display system
JPH0888815A (ja) * 1994-09-19 1996-04-02 Olympus Optical Co Ltd 映像表示システム
TW275590B (en) * 1994-12-09 1996-05-11 Sega Enterprises Kk Head mounted display and system for use therefor
JP3796776B2 (ja) * 1995-09-28 2006-07-12 ソニー株式会社 映像音声再生装置
TW395121B (en) * 1996-02-26 2000-06-21 Seiko Epson Corp Personal wear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method using such device
US6046712A (en) * 1996-07-23 2000-04-04 Telxon Corporation Head mounted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visual communications with a remot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4043A1 (en) * 1993-08-12 1996-05-29 Seiko Epson Corporation Head mount 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or equipped with th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810A (ko) 1998-12-05
US6292158B1 (en) 2001-09-18
DE69833710D1 (de) 2006-05-04
TW362207B (en) 1999-06-21
EP0877353A2 (en) 1998-11-11
EP0877353A3 (en) 1999-06-02
DE69833710T2 (de) 2006-11-16
EP0877353B1 (en) 200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637B1 (ko) 표시 시스템
EP1324100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utilizing a holographic screen
KR100237990B1 (ko) 개인 통신 장치
US4851654A (en) IC card
US7173765B2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20050069149A1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always executing proper noise canceling regardless of display screen state, and voice input method for the apparatus
US66970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folder typ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514806A (ja) 多機能な携帯電話
JP2006323823A (ja) 音ベースの仮想キーボード、装置、及び方法
WO2001037558A1 (fr) Systeme casque-ecran
JP2018206080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60116559A (ko) 이동 단말기
EP4206901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receiving information from external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H1165510A (ja) 頭部装着型表示システム
JPH08317318A (ja) 情報伝達装置
JP3928211B2 (ja) 表示システム
JP2001215920A (ja) 表示システム
US20060222216A1 (en)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n apparatus and a user
TW312075B (en) Personal communicator
JP2002277244A (ja) 音声を使用した測量機
JPH10221790A (ja) 画像読取装置
JPH09330041A (ja) 表示システム
DE59509503D1 (de) Tragbare Identifikationseinrichtung
JPH10308905A (ja) 頭部装着型表示システム
JPH09244774A (ja) 光通信手段を有する電子機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