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515B1 -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515B1
KR100527515B1 KR10-2002-0076318A KR20020076318A KR100527515B1 KR 100527515 B1 KR100527515 B1 KR 100527515B1 KR 20020076318 A KR20020076318 A KR 20020076318A KR 100527515 B1 KR100527515 B1 KR 10052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passage
engine
intake
passage opening
inter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096A (ko
Inventor
배호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6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5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16Control of the pumps by bypassing charging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 차저 엔진을 장착한 차량의 발진시 초기 가속 불량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와; 상기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개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해당되는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엔진 제어부와; 에어 클리너로부터 인터쿨러측으로 연결되어 에어 클리너를 통과한 흡기가 인터쿨러 내부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1 흡기 통로에서 인터쿨러 입구측에 장착되며, 상기 엔진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는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와; 상기 에어 클리너로부터 스로틀 보디측으로 연결되어 에어 클리너를 통과한 흡기가 스로틀 보디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 흡기 통로에서 상기 인터쿨러의 출구측과 제2 흡기 통로와 스로틀 보디가 접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엔진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는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및 방법{TURBO LAG CONTROL DEVICE OF TURBOCHARGER INTERCOOLER ENGI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최근 전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어 인터쿨러를 구비한 터보 차저(Turbocharger) 엔진이 디젤 엔진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터보 차저와 인터쿨러를 장착한 디젤 엔진의 경우 공기량을 증가시켜 연료량 조절에 의해 성능을 개발한다.
터보 과급은 배기 에너지를 배기 터빈으로 회수하고, 같은 축의 컴프레서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밀도를 높임에 따라 실린더 내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나, 공기 온도가 100℃ 정도가 되어 공기 밀도가 낮으므로, 인터쿨러를 장착하여 공기온도를 50℃ 정도로 낮추어 공기 밀도를 증가시켜 공기량을 증대시킨다.
터보 차저 방식의 디젤 엔진 특성은 저중속 성능 매칭을 하며, 고속에서 터보 차저 회전수 조절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스트 게이트(110)(Waste Gate)가 장착된 터보를 사용하여 고속에서 터보 차저 과회전을 방지한다.
터보 차저 웨스트 게이트(110)는 흡배기 압력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가스를 바이패스하여 터빈(112)의 일량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터보 차저와 인터쿨러(100)를 장착한 디젤 엔진의 정상적인 가속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번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엔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컴프레서(114)(Compressure)에서 공기가 압축되기 시작하며, 압축된 공기가 엔진으로 들어가면서 터보(Turbo)의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감속 후에는 엔진의 공회전(IDLE)을 유지하기 위해서 더 이상 흡기 시스템(Intake System) 내에 압축 공기가 필요 없으므로 ②번 화살표를 따라 압축되었던 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해야 한다.
그 다음 재가속을 하고자 할 때에는 다시 에어 바이패스 밸브(120)(A/BYPASS VALVE)를 닫고 ①번 화살표를 따라 흡입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과 같이 터보 차저와 인터쿨러(100)를 장착한 디젤 엔진의 발진시 정상적인 출력이 나오려면, 흡기 시스템 내에 압축 공기가 충진된 후에 실린더로 들어가는 공기량이 증가하면서 가능해지는데, 컴프레서(114)가 작동한 후에 흡기 시스템의 체적을 모두 채우는데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발진 지연감이 발생한다.
특히, 터보 차저와 인터쿨러(100)를 장착한 디젤 엔진의 흡기 시스템은 자연 흡기 방식 엔진에 대비하여 매우 복잡하므로 흡기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고, 압축비 또한 낮게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발진 초기(흡기 충진 전)에는 가속에 불리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보 차저 엔진을 장착한 차량의 발진시 초기 가속 불량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와; 상기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개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해당되는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엔진 제어부와; 에어 클리너로부터 인터쿨러측으로 연결되어 에어 클리너를 통과한 흡기가 인터쿨러 내부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1 흡기 통로에서 인터쿨러 입구측에 장착되며, 상기 엔진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는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와; 상기 에어 클리너로부터 스로틀 보디측으로 연결되어 에어 클리너를 통과한 흡기가 스로틀 보디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 흡기 통로에서 상기 인터쿨러의 출구측과 제2 흡기 통로와 스로틀 보디가 접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엔진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는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를 통해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개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해당되는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에 있어서,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210), 엔진 제어부(220)(ECU),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30),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210)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다수개의 센서들로 구성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시동상태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부와; 제1 흡기 통로(232)와 제2 흡기 통로(242) 내에 각각 장착되어 제1 흡기 통로(232)와 제2 흡기 통로(242)를 흐르는 흡기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와;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발진 및 가속 상태를 검출하는 가속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엔진 제어부(220)는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개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해당되는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엔진 제어부(220)는 시동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시동상태이면, 제1,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30, 240)로 각각 제1, 제2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제1 흡기 통로(232)와 제2 흡기 통로(242)를 통해 연소실로 흡기가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엔진 제어부(220)는 압력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제1 흡기 통로(232) 내의 흡기 압력(P1)이 제2 흡기 통로(242) 내의 흡기 압력(P2) 보다 크면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40)로 공급되는 제2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차단하고, 흡기의 흐름을 제1 흡기 통로(232)만 이용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엔진 제어부(220)는 가속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이 감속 상태이면,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30)로 공급되는 제1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차단하고, 흡기의 흐름을 제2 흡기 통로(242)만 이용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엔진 제어부(220)는 가속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이 재가속 또는 발진 상태이면,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30)로 제1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흡기의 흐름을 제1 흡기 통로(232)만 이용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200)로부터 인터쿨러(202)측으로 연결되어 에어 클리너(200)를 통과한 흡기가 인터쿨러(202) 내부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1 흡기 통로(232)에서 인터쿨러(202) 입구측에 장착되며, 엔진 제어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제1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제1 흡기 통로(232)를 개방하는 제어밸브로 구성한다.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200)로부터 스로틀 보디(204)측으로 연결되어 에어 클리너(200)를 통과한 흡기가 스로틀 보디(204)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 흡기 통로(242)에서 인터쿨러(202)의 출구측과 제2 흡기 통로(242)와 스로틀 보디(204)가 접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엔진 제어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제2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제2 흡기 통로(242)를 개방하는 제어밸브로 구성한다.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흡기 통로(242)는 에어 클리너(200)로부터 스로틀 보디(204)측으로 연결되어 에어 클리너(200)를 통과한 흡기가 스로틀 보디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통로이다.도 3을 참조하면 제2 흡기 통로(242)의 일측이 에어 클리너(2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스로틀 밸브를 기준으로 스로틀 밸브 전방측에 위치되는 스로틀 보디(204)에 연결된다.여기서, 제2 흡기 통로(242)와 스로틀 보디(204)가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제2 흡기 통로(242)에는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40)를 장착한 것이다.그런데, 제2 흡기 통로(242)의 타측은 스로틀 밸브를 기준으로 스로틀 밸브 후방측에 위치되는 스로틀 보디(204)에도 직접 연결될 수 있다.일반적으로, 상기한 연결은 공전 속도를 고려한 것이지만, 에어 클리너(200)로부터 스로틀 밸브 후방측에 위치되는 스로틀 보디(204)에 흡기 통로를 연결하는 경우 공전 속도 조절을 위한 액츄에이터(ISCA ; Idle Speed Control Actuator)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4의 (S410)에서 엔진 제어부(220)는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210)를 구성하는 시동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시동상태를 검출한다.
만약,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시동상태이면, 엔진 제어부(220)는 (S412)으로 진행하여 제1,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30, 240)로 각각 제1, 제2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제1 흡기 통로(232)와 제2 흡기 통로(242)를 통해 연소실로 흡기가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즉,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시동에 따른 초기 발진시에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흡입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며, 에어 클리너(200)로부터 인터쿨러(202)측으로 연결되는 제1 흡기 통로(232)와 에어 클리너(200)로부터 스로틀 보디(204)측으로 연결되는 제2 흡기 통로(242) 모두를 이용하여 엔진의 흡기 통로를 통해 연소실로 흡기가 공급된다.
이는 제1 흡기 통로(232) 내에 압축 공기가 충진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흡기 효율을 상승시켜, 시동 후 발진시에 출력을 좋게 한다.
그리고, 엔진 제어부(220)는 (S414)으로 진행하여 압력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고, (S416)으로 진행하여 제1 흡기 통로(232) 내의 흡기 압력(P1)과 제2 흡기 통로(242) 내의 흡기 압력(P2)의 크기를 비교한다.
만약, 제1 흡기 통로(232) 내의 흡기 압력(P1)이 제2 흡기 통로(242) 내의 흡기 압력(P2) 보다 크면 엔진 제어부(220)는 (S418)으로 진행하여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40)로 공급되는 제2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차단하므로써 제2 흡기 통로(242)로 흐름이 역행하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흡기의 흐름을 제1 흡기 통로(232)만 이용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이어서, 엔진 제어부(220)는 (S420)으로 진행하여 가속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이 감속 상태이면, (S422)으로 진행하여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30)로 공급되는 제1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차단하고, 흡기의 흐름을 제2 흡기 통로(242)만 이용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이 감속 상태에서는 제1 흡기 통로(232)의 흐름을 막고 제2 흡기 통로(242)를 열어 줌으로서 엔진의 공회전(IDLE)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압축 공기를 제1 흡기 통로(232) 내에 충진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엔진 제어부(220)는 (S424)으로 진행하여 가속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한다.
만약,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이 재가속 또는 발진 상태이면, 엔진 제어부(220)는 (S426)으로 진행하여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230)로 제1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흡기의 흐름을 제1 흡기 통로(232)만 이용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공회전 상태에서 가속시 흡기 시스템에 압축 공기를 충진하는 시간이 필요 없이 빠른 응답으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및 방법은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을 장착한 차량의 초기 발진시 흡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TURBO LAG)을 개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흡기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11)

  1.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와;
    상기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개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해당되는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엔진 제어부와;
    에어 클리너로부터 인터쿨러측으로 연결되어 에어 클리너를 통과한 흡기가 인터쿨러 내부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1 흡기 통로에서 인터쿨러 입구측에 장착되며, 상기 엔진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는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와;
    상기 에어 클리너로부터 스로틀 보디측으로 연결되어 에어 클리너를 통과한 흡기가 스로틀 보디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 흡기 통로에서 상기 인터쿨러의 출구측과 제2 흡기 통로와 스로틀 보디가 접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엔진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는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는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시동상태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부와;
    상기 제1 흡기 통로와 제2 흡기 통로 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흡기 통로와 제2 흡기 통로를 흐르는 흡기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와;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발진 및 가속 상태를 검출하는 가속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상기 시동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시동상태이면, 상기 제1,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로 각각 제1, 제2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제1 흡기 통로와 제2 흡기 통로를 통해 연소실로 흡기가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상기 압력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제1 흡기 통로 내의 흡기 압력(P1)이 제2 흡기 통로 내의 흡기 압력(P2) 보다 크면 상기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로 공급되는 제2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차단하고, 흡기의 흐름을 제1 흡기 통로만 이용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상기 가속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이 감속 상태이면, 상기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로 공급되는 제1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차단하고, 흡기의 흐름을 제2 흡기 통로만 이용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상기 가속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이 재가속 또는 발진 상태이면, 상기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로 제1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흡기의 흐름을 제1 흡기 통로만 이용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7. 삭제
  8. 제2항에 기재된 구성을 갖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를 통해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시동상태이면, 상기 제1,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로 각각 제1, 제2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제1 흡기 통로와 제2 흡기 통로를 통해 연소실로 흡기가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기 통로 내의 흡기 압력(P1)이 제2 흡기 통로 내의 흡기 압력(P2) 보다 크면 상기 제2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로 공급되는 제2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차단하고, 흡기의 흐름을 제1 흡기 통로만 이용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이 감속 상태이면, 상기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로 공급되는 제1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차단하고, 흡기의 흐름을 제2 흡기 통로만 이용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이 재가속 또는 발진 상태이면, 상기 제1 흡기 통로 개폐 구동부로 제1 흡기 통로 개방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흡기의 흐름을 제1 흡기 통로만 이용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방법.
KR10-2002-0076318A 2002-12-03 2002-12-03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27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318A KR100527515B1 (ko) 2002-12-03 2002-12-03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318A KR100527515B1 (ko) 2002-12-03 2002-12-03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096A KR20040049096A (ko) 2004-06-11
KR100527515B1 true KR100527515B1 (ko) 2005-11-09

Family

ID=3734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318A KR100527515B1 (ko) 2002-12-03 2002-12-03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18A (ko) 2015-07-10 2017-01-18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스테이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1623A (ja) * 1991-04-10 1992-11-04 Toyota Motor Corp 過給機付内燃機関
KR19990018329U (ko) * 1997-11-10 1999-06-05 정몽규 디이젤 엔진의 터보출력증대장치
JP2000064845A (ja) * 1998-08-21 2000-02-29 Daihatsu Motor Co Ltd エンジンにおける過給空気の騒音防止装置
KR20000051099A (ko) * 1999-01-19 2000-08-16 정몽규 터보랙 현상 방지 장치
KR20030001001A (ko) * 2001-06-28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공기 흡입구조
KR20030047305A (ko) * 2001-12-10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 차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1623A (ja) * 1991-04-10 1992-11-04 Toyota Motor Corp 過給機付内燃機関
KR19990018329U (ko) * 1997-11-10 1999-06-05 정몽규 디이젤 엔진의 터보출력증대장치
JP2000064845A (ja) * 1998-08-21 2000-02-29 Daihatsu Motor Co Ltd エンジンにおける過給空気の騒音防止装置
KR20000051099A (ko) * 1999-01-19 2000-08-16 정몽규 터보랙 현상 방지 장치
KR20030001001A (ko) * 2001-06-28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공기 흡입구조
KR20030047305A (ko) * 2001-12-10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 차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096A (ko) 200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31382B (zh) 发动机控制装置
US7610757B2 (en) Intake controll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883324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440581B1 (ko) 엔진 시스템
JP4375369B2 (ja) 過給機付き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103446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gine control
JPH07293262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シーケンシャル過給装置
JP5649343B2 (ja) 内燃機関の吸気絞り弁制御方法
KR101007630B1 (ko) 연료 혼용 엔진의 과급압 제어방법
JP201002487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8159271A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及び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0527515B1 (ko)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터보 지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633858B1 (ko) 엔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3221488A (ja) 過給機付き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756531B2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100527473B1 (ko) 디젤 엔진에서 터보 차저의 서지 제어방법
KR200151137Y1 (ko) 터보차저 엔진용 흡기장치
CN110573710B (zh) 内燃机的控制方法以及内燃机的控制装置
JPH11210477A (ja) 過給機付き筒内噴射エンジンの吸気温度制御装置
KR100773697B1 (ko) 터보-차져 엔진의 과급 압력 조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75799B1 (ko) 디젤엔진의 흡입공기 과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46036A (ko) 터보챠저 디젤엔진의 흡기 유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21687A (ko) 공압에 의한 흡기압력 증대장치
KR20020054376A (ko) 디젤엔진용 흡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9990062248A (ko) 자동차용 터버차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