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522B1 - 무선호출수신기의 자체 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호출수신기의 자체 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522B1
KR100526522B1 KR1019970054848A KR19970054848A KR100526522B1 KR 100526522 B1 KR100526522 B1 KR 100526522B1 KR 1019970054848 A KR1019970054848 A KR 1019970054848A KR 19970054848 A KR19970054848 A KR 19970054848A KR 100526522 B1 KR100526522 B1 KR 100526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tic
call message
decoder
data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484A (ko
Inventor
김한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54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522B1/ko
Publication of KR1999003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무선호출수신기가 자체적으로 소정의 형태를 가지는 진단용 데이터(호출메시지)를 발생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경보를 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경보의 발생 여부에 따라 무선호출수신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이를 다시 읽어 표시부에서 표시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그 표시된 내용이 원래의 진단용 데이터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무선호출수신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호출수신기의 자체 진단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무선호출수신기에 있어서 자체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호출수신기의 이상(예: 부품간의 개방, 단락 등) 유무를 알기 위해서는 적어도 엔코더(encoder)와 신호발생부를 갖춘 소정의 진단(test)장비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코더에 상기 신호발생부를 연결하여 진단할 무선호출수신기에 무선으로 문자를 송신한 다음, 해당 무선호출수신기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가 상기 송신한 문자와 동일한 경우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진단장비는 가격이 비싸고, 일정한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진단을 해볼 수 없어서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장비 없이도 무선호출수신기가 자체적으로 자신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호출수신기가 자체적으로 소정의 형태를 가지는 진단용 데이터(호출메시지)를 발생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경보를 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경보의 발생 여부에 따라 무선호출수신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이를 다시 읽어 표시부에서 표시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그 표시된 내용이 원래의 진단용 데이터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무선호출수신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구성도이다.
RF부 11은 무선 호출 정보를 수신하여, 주파수변환, 복조 및 파형정형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무선호출 정보를 출력한다. 디코더 12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무선호출수신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즉, 아이들모드(idle mode)에서는 프리앰블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일정주기로 동작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며, 배치모드(batch mode)에서는 워드싱크데이터 및 설정된 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프레임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경보부 17은 특수 음(tone), 진동(vibration), 발광(light flickering) 등의 형태로써 경보를 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어부 13은 상기 디코더 12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호출에 따른 경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경보부 17을 제어한다. 주파수합성부(frequency synthesizer) 14는 상기 제어부 13에서 출력되는 채널 데이터에 따라 상기 RF부 11의 채널을 지정한다. 메모리 15는 무선호출수신기에 할당된 고유 어드레스 정보, 프레임 정보 및 다중 경보 순차 실행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이이피롬(EEPROM), 무선호출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한 초기데이터를 저장하는 롬과 상기 제어프로그램의 수행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을 포함한다. 키입력부 10은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으로서, 각종 동작 명령 및 그 명령의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가진다. 표시부 16은 상기 제어부 13으로부터 출력되는 표시제어신호에 의해 호출 측의 메세지 및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수신기의 자체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a단계에서 제어부 13은 키입력부 10을 통해 소정의 진단 명령키가 입력되면 이를 감지하고, b단계로 진행하여 진단모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3은 c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형식(예를 들면, POCSAG코드에서의 자기 프레임 데이터)에 따라 진단용 호출메시지를 발생하여 디코더 12로 전달한다. 이후 d단계에서 제어부 13은 상기 디코더 12로부터 상기 진단용 호출메시지에 대한 디코딩 데이터를 전달받아 분석(어드레스코드워드의 일치 여부)하고 메모리 15에 저장(예: 메시지코드워드)한 다음, e단계로 진행하여 경보부 17을 구동한다. 이어서 f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3은 상기 메모리 15로부터 상기 저장해두었던 디코딩 데이터를 읽어 표시부 16로 전달하여 상기 표시부 16으로 하여금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호출수신기가 자체적으로 자신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장의 발견 및 그 수리가 용이하고, 진단을 위한 외부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진단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수신기의 자체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4)

  1. 경보부와, 수신된 호출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구비한 무선호출수신기에 있어서,
    소정의 진단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진단 명령에 응답하여 진단모드를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형식에 따라 진단용 호출메시지를 발생하여 상기 디코더로 전달하고, 상기 디코더로부터 상기 진단용 호출메시지에 대한 디코딩 데이터를 전달받으면 상기 경보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이를 다시 읽어 표시부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진단 장치.
  3. 경보부와, 수신된 호출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구비한 무선호출수신기의 자체 진단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진단 명령을 감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진단 명령에 응답하여 진단모드를 설정하는 제2과정과,
    진단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형식에 따라 진단용 호출메시지를 발생하여 상기 디코더로 전달하는 제3과정과,
    상기 디코더로부터 상기 진단용 호출메시지에 대한 디코딩 데이터를 전달받으면 상기 경보부를 구동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로부터 상기 진단용 호출메시지에 대한 디코딩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저장된 디코딩 데이터를 읽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54848A 1997-10-24 1997-10-24 무선호출수신기의 자체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052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848A KR100526522B1 (ko) 1997-10-24 1997-10-24 무선호출수신기의 자체 진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848A KR100526522B1 (ko) 1997-10-24 1997-10-24 무선호출수신기의 자체 진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484A KR19990033484A (ko) 1999-05-15
KR100526522B1 true KR100526522B1 (ko) 2005-12-29

Family

ID=3730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848A KR100526522B1 (ko) 1997-10-24 1997-10-24 무선호출수신기의 자체 진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5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044A (en) * 1989-03-21 1990-08-21 Motorola, Inc. Paging terminal apparatus with user selectable page forwarding capability and methodology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044A (en) * 1989-03-21 1990-08-21 Motorola, Inc. Paging terminal apparatus with user selectable page forwarding capability and methodology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484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493B1 (ko) 마이크로 컴퓨터 제어된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KR960006679A (ko) 원격 제어 명령 응답 확인 장치 및 방법
KR860001438B1 (ko) 페이저 수신기
KR100526522B1 (ko) 무선호출수신기의 자체 진단 장치 및 방법
US6448885B1 (en) Message receiv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receiving a message
JP2606613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のデータ書込方式
KR930002752B1 (ko) 페이저수신기의 메세지 표시방법
KR0181123B1 (ko) 무선호출기에서 동작모드를 시간별로 설정하여 자동으로 모드전환하는 방법
KR100229879B1 (ko) 무선 호출 수신기의 경보 발생 방법 및 장치
GB2280770A (en) Selective calling radio receiver having non-read message alarm function
KR100493087B1 (ko) 무선호출수신기의 다종 경보 순차 발생 제어장치및 방법
KR19990033486A (ko) 무선호출수신기의 수신전계강도 표시장치 및 방법
KR970072754A (ko) 문자 데이타 송수신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73116B1 (ko) 페이저의정보입력방법
KR0164364B1 (ko) 쌍방향 무선호출기의 송신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JPH0423852B2 (ko)
KR100251739B1 (ko) 무선호출수신기의 수신메시지 화면표시 기간 조정장치 및방법
JPH06171189A (ja) 印字装置
KR100331690B1 (ko) 키입력오류표시기능을갖는이동통신단말기및그의동작방법
KR100272703B1 (ko) 통신 운용국 시스템의 알람 경고 장치
KR100217731B1 (ko) 페이져의 자동 램프 온 방법
KR940011501B1 (ko) Pc이용 원격제어 방법
JP2954185B1 (ja) 選択呼出受信機
KR0144330B1 (ko) 시간음성출력 원격제어장치
JPH04453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