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237B1 -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237B1
KR100526237B1 KR10-2003-0027668A KR20030027668A KR100526237B1 KR 100526237 B1 KR100526237 B1 KR 100526237B1 KR 20030027668 A KR20030027668 A KR 20030027668A KR 100526237 B1 KR100526237 B1 KR 10052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ot
height adjustment
vertical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830A (ko
Inventor
이수억
Original Assignee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3-002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237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롯이 각각 천공된 수직판 및 수평판으로 형성되는 높이조절판과, 상기 수직판의 슬롯을 통해 벽면에 묻히고 너트와 체결되어 상기 높이조절판을 벽면에 정착시키는 앵커볼트와,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판의 슬롯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판과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로 체결되는 간격조절판과, 상기 간격조절판의 핀홀에 삽입되어 석재의 결합홈에 끝이 끼워지는 결합핀으로 구성되는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은 수직판의 각 귀퉁이에 끝이 후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벽면에 정착 시 벽면과 수직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앵커볼트 및 너트로 체결 시 수직판이 휘어져 자체탄성으로 반발하게 되며, 이 반발력으로 높이조절판의 정착력이 강화되므로 석재의 자체하중으로 높이조절판이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A plate assembly for fixing the building stone}
본 발명은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석재의 자체하중으로 인해 뜻하지 않게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는 건축물의 외관을 고려하여 그 벽면에 대리석 등의 석재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벽에 정착되어 석재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그 하중을 벽으로 전달하고, 고정된 석재가 고정된 타 석재와 외부에서 보았을 시 평면을 이루도록 도모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가 도 1,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2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은 슬롯(11a)(12a)이 각각 천공되는 수직판(11) 및 수평판(12)에 의해 ㄴ자로 형성되는 높이조절판(10)과, 상기 수직판(11)의 슬롯(11a)을 통해 벽면(W)에 묻히고 너트(22)와 결합되어 높이조절판(10)을 벽면(W)에 정착시키는 앵커볼트(21)와, 슬롯(41a)이 천공되어 수평판(12)의 슬롯(12a)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판(10)과 체결볼트(31) 및 체결너트(32)로 체결되는 간격조절판(41)과, 상기 간격조절판(41)의 선단 측에 형성되는 핀홀(41b)에 삽입되어 석재(S)의 결합홈(S1)으로 양끝이 각각 끼워지는 결합핀(51)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판(11)의 슬롯(11a)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2) 및 간격조절판(41)의 슬롯(12a)(41a)은 수직판(11)의 슬롯(11a)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앵커볼트(21)를 벽면(W)에 묻은 후 이를 수직판(11)의 슬롯(11a)에 관통되도록 한 다음 너트(22)와 체결, 벽면(W)에 높이조절판(10)을 정착시키고, 결합핀(51)의 양끝이 석재(S)의 결합홈(S1)에 각각 끼워지도록 하면 결합핀(51)과 결합된 상하의 석재(S)는 벽면(W)에 고정된다.
이 때 너트(22)를 약간 풀어 앵커볼트(21)와의 체결을 느슨하도록 한 다음 수직판(11)의 슬롯(11a)을 따라 높이조절판(10)을 이동시키면 높이조절판(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체결너트(32)를 약간 풀어 체결볼트(31)와의 체결을 느슨하도록 한 다음 간격조절판(41)을 그 슬롯(41a)을 따라 이동시키면 벽면(W)과 석재(S)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단순히 앵커볼트(21) 및 이와 체결되는 너트(22)의 체결력으로 높이조절판(10)의 정착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석재(S)의 자체하중에 의한 높이조절판(10)의 정착력 약화로 높이조절판(10)이 그 수직판(11)의 슬롯(11a)을 따라서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슬립(slip)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벽면에 정착되었을 시 벽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앵커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면 체결력으로 휘어져 반발력을 지니도록 함으로써 석재의 자체하중으로 인한 높이조절판의 정착력 약화로 높이조절판이 뜻하지 않게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롯이 각각 천공된 수직판 및 수평판으로 형성되는 높이조절판과, 상기 수직판의 슬롯을 통해 벽면에 묻히고 너트와 체결되어 상기 높이조절판을 벽면에 정착시키는 앵커볼트와,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판의 슬롯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판과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로 체결되는 간격조절판과, 상기 간격조절판의 핀홀에 삽입되어 석재의 결합홈에 끝이 끼워지는 결합핀으로 구성되는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은 수직판의 각 귀퉁이에 끝이 후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되 종래기술과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로 기다란 슬롯(11a)이 천공되는 사각의 수직판(11)과, 이 수직판(11)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이 연장방향을 따라 기다란 슬롯(12a)이 천공되는 사각의 수평판(12)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높이조절판(1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높이조절판(10)은 그 수직판(11)의 슬롯(11a)을 통해 벽면(W)에 묻혀 너트(22)와 체결되는 앵커볼트(21)에 의해 벽면(W)에 견고히 정착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22)를 약간 풀어 앵커볼트(21)와의 체결을 느슨하도록 한 후 상기 수직판(11)의 기다란 슬롯(11a)을 따라 높이조절판(1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수직판(11)의 슬롯(11a) 길이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높이조절판(1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높이조절판(10)은 그 수평판(12)의 상측면에 사각의 간격조절판(41)이 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간격조절판(41)은 구체적으로 수직판(12)의 슬롯(11a)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기다란 슬롯(41a)이 천공되어 수평판(12)의 슬롯(12a)을 통해 수평판(12)과 체결볼트(31) 및 체결너트(32)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간격조절판(41)은 선단 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핀홀(41b)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41b)에는 석재(S)의 결합홈(S1)에 양끝이 각각 끼워지는 결합핀(51)이 삽입된다.
물론 상기 체결너트(32)를 약간 풀어 체결볼트(31)와의 체결을 느슨하도록 한 후 간격조절판(41)을 그 기다란 슬롯(41a) 및 수평판(12)의 기다란 슬롯(12a)을 따라 이동시키면 간격조절판(41) 및 수평판(12)의 슬롯(41a)(12a) 길이에 상응하여 벽면(W)과 석재(S) 사이의 거리만큼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10)은 그 수직판(11)의 각 귀퉁이에 후방, 벽면(W)에 정착하였을 시 벽면(W)으로 끝이 향하도록 약 45도 구부러진 절곡부(101)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판(11)이 사각으로 형성되므로 한 귀퉁이에 한 개씩 4개의 절곡부(101)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판(10)을 벽면(W)에 정착하게 되면 벽면(W)과 수직판(11)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절곡부(101) 중 하측의 것은 수직판(11)과 수평판(12)의 연접부위를 절개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01)의 길이는 벽면(W)과 수직판(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이 약 5mm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판(10)은 그 수직판(11)의 전면, 즉 배면과 대향하는 면의 슬롯(11a) 양측으로 앵커볼트(21)와 체결되는 너트(22)의 둘레가 걸림 될 수 있도록 올록볼록하여 턱을 갖는 엠보싱부(102)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엠보싱부(102)는 다수의 반원을 상하로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3, 4에서와 같이 반원을 상하 연속하여 배치할 수도 있고, 서로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앵커볼트(21)를 벽면(W)에 묻은 후 이 앵커볼트(21)가 수직판(11)의 슬롯(11a)에 관통되도록 높이조절판(10)을 위치시킨 다음 앵커볼트(21)와 너트(22)를 체결하면 수직판(11)의 각 절곡부(101)는 벽면(W)과 맞닿게 되고, 이에 벽면과 수직판(1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너트(22)를 더욱 조여 앵커볼트(21)와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면 양자의 체결력으로 수직판(11)은 도 6에서와 같이 벽면(W)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휘어지게 된다.
이 때 수직판(11)은 자체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려는 반발력을 갖게 되어 수직판(11)을 벽면(W)으로부터 밀어내게 되고, 이 힘으로 높이조절판(10)은 정착력이 강화되어 외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져도 하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아울러 앵커볼트(21)와 체결된 너트(22)는 그 둘레가 엠보싱부(102)의 턱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높이조절판(10)에 외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면 엠보싱부(102)가 너트(22)에 걸리게 되므로 절곡부(101)와 함께 하는 작용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더욱 강력하게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높이조절판을 형성하는 수직판의 각 귀퉁이에 후방으로 구부러진 절곡부가 형성되어 벽면에 정착 시 벽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높이조절판을 앵커볼트 및 너트로 정착시키면 앵커볼트 및 너트의 체결력으로 수직판이 휘어져 탄성에 의한 반발력이 형성되므로 이에 정착력이 강화되어 석재의 하중에 의한 높이조절판의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직판의 전면에 너트의 둘레가 걸림 될 수 있도록 올록볼록하여 턱을 갖는 엠보싱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슬립현상을 더욱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높이조절판이 도시된 배면사시도,
도 6은 도 3의 사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높이조절판 11 : 수직판 11a : 슬롯
12 : 수평판 12a : 슬롯 21 : 앵커볼트
22 : 너트 31 : 체결볼트 32 : 체결너트
41 : 간격조절판 41a : 슬롯 41b : 핀홀
51 : 결합핀 101 : 절곡부 102 : 엠보싱부

Claims (2)

  1. 슬롯(11a)(12a)이 각각 천공된 수직판(11) 및 수평판(12)으로 형성되는 높이조절판(10)과, 상기 수직판(11)의 슬롯(11a)을 통해 벽면(W)에 묻히고 너트(22)와 체결되어 상기 높이조절판(10)을 벽면(W)에 정착시키는 앵커볼트(21)와, 슬롯(41a)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판(12)의 슬롯(12a)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판(10)과 체결볼트(31) 및 체결너트(32)로 체결되는 간격조절판(41)과, 상기 간격조절판(41)의 핀홀(41b)에 삽입되어 석재(S)의 결합홈(S1)에 끝이 끼워지는 결합핀(51)으로 구성되는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10)은 수직판(11)의 각 귀퉁이에 끝이 후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절곡부(101)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10)은 상기 수직판(11)의 전면에서 슬롯(11a)의 양측으로 엠보싱부(10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KR10-2003-0027668A 2003-04-30 2003-04-30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KR10052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668A KR100526237B1 (ko) 2003-04-30 2003-04-30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668A KR100526237B1 (ko) 2003-04-30 2003-04-30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531U Division KR200320869Y1 (ko) 2003-04-30 2003-04-30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830A KR20040093830A (ko) 2004-11-09
KR100526237B1 true KR100526237B1 (ko) 2005-11-21

Family

ID=3737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668A KR100526237B1 (ko) 2003-04-30 2003-04-30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92A (ko) 2017-08-11 2019-02-20 신은경 건축용 석재패널 장착용 앵글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7812A (zh) * 2017-06-07 2017-09-29 宜兴市雅鑫图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可调节装饰板连接构件及其安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92A (ko) 2017-08-11 2019-02-20 신은경 건축용 석재패널 장착용 앵글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830A (ko) 2004-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9974B1 (en) Adjustable deck tension tie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JP5439003B2 (ja) 固定クリップ
KR100526237B1 (ko)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KR200320869Y1 (ko)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JP2018204191A (ja) 受圧板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斜面保護方法
KR200320868Y1 (ko)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AU7914787A (en) A method for fastening an attachment or suspension device
JP2694250B2 (ja) 落石防護柵
KR200300960Y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
KR200279194Y1 (ko) 인방앵글 설치구
KR200293493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200223951Y1 (ko) 경사면 붕괴방지장치
KR200313751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커버 체결장치
KR200343583Y1 (ko) 천정구조물의 클립
KR200224301Y1 (ko) 건물용 판재 앵커
CN218538889U (zh) 一种施工升降机附着装置
KR200160183Y1 (ko) 건축물 외장용 대리석재의 앵커플레이트
JP4239062B2 (ja) ボルト支持具
KR200267353Y1 (ko) 교좌장치의 앵커볼트
CN218829705U (zh) 光伏板保持件和光伏板安装组件
KR100697591B1 (ko) 철재문틀 조립용 체결구
JP3250124B2 (ja) 家具固定具
KR102423153B1 (ko) 천장패널조립체
JP3110719U (ja) 仮囲い板用取り付け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