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963B1 -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 Google Patents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963B1
KR100523963B1 KR10-2005-0014171A KR20050014171A KR100523963B1 KR 100523963 B1 KR100523963 B1 KR 100523963B1 KR 20050014171 A KR20050014171 A KR 20050014171A KR 100523963 B1 KR100523963 B1 KR 10052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ing room
window frame
balcony
extend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504A (ko
Inventor
김길평
성수복
Original Assignee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1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9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주자가 공간활용 증대를 위해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 또는 주상복합주택에서 발코니를 거실로 전용하는데 있어 계절에 따라 가변적으로 거실 창틀을 발코니와 거실로 누구나 쉽게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발코니가 시작되는 부위로 부터 발코니 창틀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까지의 천장과 바닥 모서리부에는 설치 고정 되어 있는 상,하부 레일과;
상기, 상,하부 레일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연결 고정되어 있되, 상부틀의 후방은 상부로 연장 확대되어 있되, 이 연장 확대된 양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 레일에 거치할 수 있는 롤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 확대된 전방에는 탄성 스프링의 설치 고정을 이룰 수 있는 설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로 연장확되 되지 않은 상부틀의 양상면에는 상기 탄성 스프링에 의해 항상 상부틀 상면 전방에 위치될 수 있는 이동 판넬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의 연결 설치를 이룰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틀의 전면에는 상기 돌출된 천장 슬라브에 초기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틀의 양측에는 하부 레일에 거치할 수 있는 롤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 하부에는 러버재로 이루어진 마감재가 설치 고정되어 있는 거실 창틀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Expanded Balcony living room Sash of construction inside}
본 발명은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주자가 공간활용 증대를 위해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 또는 주상복합주택에서 발코니를 거실로 전용하는데 있어 계절에 따라 가변적으로 거실 창틀을 발코니와 거실로 누구나 쉽게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발코니를 거실로 전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거실 창틀은 폐기하고 별도의 발코니 창틀을 먼저 설치되어 있던 발코니 창틀에 연접되게 설치하여 이중창화 하여야만 했다.
이는 기존의 거실 창틀을 그대로 이용할 경우 난방에 악영향을 초래하여 여름이나 겨울에 심각한 실내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과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여 실내의 공간미를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동주택의 발코니를 거실로 전용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와 더불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거실에 접하게 위치하는 거실 창틀을 기존의 발코니 창틀과 연결 이용할 수 있도록 외관 및 구조를 개선한 기술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장형 발코니 창틀(한국 실용신안출원번호 20 - 2000 - 0029459)이 대표적인 예라 볼 수 있다.
이는 발코니 창틀(11)과 조립되는 발코니 하부창틀(13a)이 설치되는 종래의 발코니 턱(14')을 확장하여 확장된 발코니 턱(14)을 만들고, 이 확장된 발코니 턱(14) 위에 발코니 창틀(11)과 조립되는 발코니 하부창틀(13a) 및 거실 창틀(21)이 조립되는 발코니 하부창틀(13b)을 설치하고 천장(30)에도 발코니 창틀(11)과 조립되는 발코니 상부창틀(12a) 및 거실 창틀(21)이 조립되는 발코니 상부창틀(12b)을 설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증대되고 거실 창틀(21)이 재활용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경제적인 부담을 실사용자에게 부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의 거실 창틀을 이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는 반면 이를 재활용하기 위해선 시공 전문가에 의뢰하지 않으면 사실상 시공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둘째, 공기가 상당히 긴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나 별도의 조립물을 사용하여 발코니 턱의 폭(w)을 넓히지 않으면 시공이 불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공기간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설치상태가 비견고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시공은 상술한바와 같이 발코니 턱의 폭을 넓힌 후 이 위에 기존의 거실 창틀을 옮겨와 이 거실 창틀과 벽체간에 형성하고 있는 이격공간에 실리콘을 주입 접착하는 방식으로 시공을 마무리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실상 외측에서 다소 강한 충격이 전달되어 올 경우 전도되어 대형 참사를 불러일으킬 위험의 소지가 많았다.
넷째, 거실 천장과 발코니 천장의 전고가 다를 경우 이러한 거실에 설치되었던 거실 창틀을 기존에 설치된 발코니 창틀에 연계하여 이용하기란 사실상 불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거주자가 공간활용 증대를 위해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 또는 주상복합주택에서 발코니를 거실로 전용하는데 있어 계절에 따라 가변적으로 거실 창틀을 발코니와 거실로 쉽게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발코니가 시작되는 부위로 부터 발코니 창틀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까지의 천장과 바닥 모서리부에는 설치 고정 되어 있는 상,하부 레일과;
상기, 상,하부 레일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연결 고정되어 있되, 상부틀의 후방은 상부로 연장 확대되어 있되, 이 연장 확대된 양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 레일에 거치할 수 있는 롤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 확대된 전방에는 탄성 스프링의 설치 고정을 이룰 수 있는 설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로 연장확되 되지 않은 상부틀의 양상면에는 상기 탄성 스프링에 의해 항상 상부틀 상면 전방에 위치될 수 있는 이동 판넬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의 연결 설치를 이룰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틀의 전면에는 상기 돌출된 천장 슬라브에 초기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틀의 양측에는 하부 레일에 거치할 수 있는 롤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 하부에는 러버재로 이루어진 마감재가 설치 고정되어 있는 거실 창틀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이 발코니 창틀의 설치 상태를 개략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이 발코니 창틀의 요부 상태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의 요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가 시작되는 부위로 부터 발코니 창틀(1)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까지의 천장과 바닥 모서리부(2)에는 상,하부 레일(10a),(10b)이 설치 고정 되어 있다.
그리고, 발코니와 거실을 구획하는 부위에는 상기, 상,하부 레일(10a),(10b)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연결 고정되어 있되, 상부틀(21)의 후방은 상부로 연장 확대되어 있되, 이 연장 확대된 양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 레일(10a)에 거치할 수 있는 롤러(2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 확대된 전방에는 탄성 스프링(23)의 설치 고정을 이룰 수 있는 설치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로 연장확되 되지 않은 상부틀(21)의 양상면에는 상기 탄성 스프링(23)에 의해 항상 상부틀(21) 상면 전방에 위치될 수 있는 이동 판넬(26)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22b)의 연결 설치를 이룰 수 있는 가이드홈(28)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틀(21)의 전면에는 상기 돌출된 천장 슬라브(6)에 초기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틀(30)의 양측에는 하부 레일(10a)에 거치할 수 있는 롤러(22c)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 하부에는 러버재로 이루어진 마감재(32)가 설치 고정되어 있는 거실 창틀(20)이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 시공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공은 발코니가 시작되는 부위로 부터 발코니 창틀(1)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까지의 천장과 바닥 모서리부(2)에 상,하부 레일(10a),(10b)을 설치 고정하고, 뒤이어 상술한 구조의 거실 창틀(20)을 발코니와 거실을 구획하는 돌출된 천장 슬라브(4) 하부에 위치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거실 창틀(34)의 상,하부틀(21),(30) 양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22a),(22c)를 상기 천장과 바닥 모서리부(4)에 설치 고정되어 있는 상,하부 레일(10a),(10b)에 연결 시키고, 뒤이어 상부틀(21)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30)를 상부로 강재 이동시켜 상기 하향 돌출된 천장 슬라브(4)에 거실 창틀(20)의 초기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시켜 주면 설치가 조립 시공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 시공된 본 발명은 실사용시 평상시에는 거실 창틀(20)을 상술한 바와 같이 하향 돌출된 천장 슬라브(4)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로 유지시켜 사용하다가 여름철과 같이 난방이 불필요한 계절에는 상기 거실 창틀(20)을 발코니 창틀(1)과 접하도록 이동위치시켜 발코니 공간을 거실로 전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부틀(21)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30)를 하부로 강재 이동시켜 상기 하향 돌출된 천장 슬라브(4)에 거실 창틀(20)의 초기 설치상태를 해제시킨 후 이동 위치시키면 된고, 이렇게 이동 동작이 취해짐과 동시에 상기 이동 판넬(26)은 탄성 스프링(23)의 탄지력에 의해 상부틀(2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28)를 따라 전방으로 위치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주자가 공간활용 증대를 위해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 또는 주상복합주택에서 발코니를 거실로 전용하는데 있어 계절에 따라 가변적으로 거실 창틀을 신속 용이하게 이동 가변 시킬 수 있으므로 불법적이고도 비경제적인 거실 확장 공사를 근절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하고도 실용적인 주거 공간 시설물을 요구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이 발코니 창틀의 설치 상태를 개략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이 발코니 창틀의 요부 상태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의 요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의 초기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의 이동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확장형 거실 창틀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코니 창틀 2 : 모서리부
10a,10b : 상,하부 레일
20 : 거실 창틀 21 : 상부틀
22a,22b,22c : 롤러 23 : 탄성 스프링
24 : 설치공 26 : 이동 판넬
28 : 가이드홈 30 : 하부틀
32 : 마감재

Claims (1)

  1. 발코니를 거실로 전용하여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하려 할 때 발코니 창틀에 인접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거실 창틀에 있어서,
    발코니가 시작되는 부위로 부터 발코니 창틀(1)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까지의 천장과 바닥 모서리부(2)에는 설치 고정 되어 있는 상,하부 레일(10a),(10b)과;
    상기, 상,하부 레일(10a),(10b)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연결 고정되어 있되, 상부틀(21)의 후방은 상부로 연장 확대되어 있되, 이 연장 확대된 양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 레일(10a)에 거치할 수 있는 롤러(2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 확대된 전방에는 탄성 스프링(23)의 설치 고정을 이룰 수 있는 설치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로 연장확되 되지 않은 상부틀(21)의 양상면에는 상기 탄성 스프링(23)에 의해 항상 상부틀(21) 상면 전방에 위치될 수 있는 이동 판넬(26)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22b)의 연결 설치를 이룰 수 있는 가이드홈(28)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틀(21)의 전면에는 상기 돌출된 천장 슬라브(6)에 초기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틀(30)의 양측에는 하부 레일(10a)에 거치할 수 있는 롤러(22c)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 하부에는 러버재로 이루어진 마감재(32)가 설치 고정되어 있는 거실 창틀(20)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KR10-2005-0014171A 2005-02-21 2005-02-21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KR10052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171A KR100523963B1 (ko) 2005-02-21 2005-02-21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171A KR100523963B1 (ko) 2005-02-21 2005-02-21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504A KR20050024504A (ko) 2005-03-10
KR100523963B1 true KR100523963B1 (ko) 2005-10-25

Family

ID=3723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171A KR100523963B1 (ko) 2005-02-21 2005-02-21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072B1 (ko) * 2005-11-02 2006-06-20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이동식 발코니 창
KR101090972B1 (ko) 2009-05-11 2011-12-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창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171B1 (ko) * 2007-02-26 2008-02-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072B1 (ko) * 2005-11-02 2006-06-20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이동식 발코니 창
KR101090972B1 (ko) 2009-05-11 2011-12-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창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504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292B1 (ko) 창호의 복합 단열 창틀
KR100523963B1 (ko)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KR100795711B1 (ko) 배수 및 단열패널 결합이 용이한 복합창호 시스템
CN202969629U (zh) 室内隔墙与幕墙立柱的连接系统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KR200430542Y1 (ko)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
Lstiburek Why green can be wash
KR101486064B1 (ko) 창호의 단열 벤트 어셈블리
CN210563576U (zh) 一种便于移动的景观房
KR100496426B1 (ko) 건축물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CN103547761B (zh) 气密窗
KR100758378B1 (ko) 고층용 창호
KR20090106204A (ko) 결로 방지 및 단열형 도어
KR100690659B1 (ko) 건축용 가변형 거실 창틀
KR100572570B1 (ko) 건축용 확장형 거실 창틀
KR20140128127A (ko) 창틀 보조용 덧창
KR101179549B1 (ko)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
CN205329965U (zh) 装饰板
KR100952641B1 (ko) 창호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창호
CN208669156U (zh) 一种窗框组件
KR200221618Y1 (ko) 확장형 발코니 창틀
CN208564390U (zh) 一种高效隔音窗
CN100577961C (zh) 一种外墙挂板
KR20210127408A (ko) 발코니 확정형 거실 창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