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592B1 -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592B1
KR100523592B1 KR10-2003-0046436A KR20030046436A KR100523592B1 KR 100523592 B1 KR100523592 B1 KR 100523592B1 KR 20030046436 A KR20030046436 A KR 20030046436A KR 100523592 B1 KR100523592 B1 KR 10052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card information
card image
ima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6561A (ko
Inventor
김진일
Original Assignee
김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일 filed Critical 김진일
Priority to KR10-2003-004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592B1/ko
Priority to CNA2004100628695A priority patent/CN1578353A/zh
Publication of KR2005000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명함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아날로그 명함 이미지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A/D변환기와, 상기 A/D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디지탈 명함 이미지를 압축하는 코덱을 포함하는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과;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로 명함이미지 촬영을 요청하고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로부터 촬영되어 변환된 명함 이미지를 수신하는 명함이미지 촬영요청부와,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요청부에 의해 수신되는 명함 이미지 각각에 명함정보를 연동시켜 이를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는 명함관리부와, 상기 명함관리부에 의해 각 명함 이미지에 연동되는 명함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명함정보 입력요청부를 포함하는 명함 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최근 이동통신 사용자에 의해 각광을 받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카메라폰을 통해 오프라인 명함 이미지를 캡춰하여 저장하고, 캡춰된 명함 이미지 각각에 명함정보를 연동시켜 보다 효율적인 명함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Business card management system used a camera phone}
본 발명은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카메라폰을 통해 명함 이미지를 캡춰하여 저장하고, 캡춰된 명함 이미지 각각에 명함정보를 연동시켜 관리하도록 한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함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고,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이 이동통신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어 왔다.
이 보다 진보된 기술로는 명함정보를 PC를 통해 입력하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명함정보를 관리한다거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된 명함정보를 PC나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명함관리 할 수 있도록 한 명함관리 시스템도 있었다.
그러나, 오프라인상에서 통용되는 명함의 종류는 다양하며, 동명이인 등이 존재할 수 있어 상기한 종래의 명함관리 시스템의 경우 오프라인상에서 통용되는 명함정보를 그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명함정보로 입력할 수 없어 명함관리에 효율적이지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최근 이동통신 사용자에 의해 각광을 받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카메라폰을 통해 오프라인 명함 이미지를 캡춰하여 저장하고, 캡춰된 명함 이미지 각각에 명함정보를 연동시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명함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카메라폰을 이용해 오프라인 명함 이미지를 캡춰하여 저장하고, 캡춰된 명함 이미지 각각에 명함정보를 연동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LCD를 통해 출력되는 명함정보가 연동된 명함 이미지에 대한 화면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명함 이미지가 연동된 명함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타 통신망을 통해 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명함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아날로그 명함 이미지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A/D변환기와, 상기 A/D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디지탈 명함 이미지를 압축하는 코덱을 포함하는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과;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로 명함이미지 촬영을 요청하고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로부터 촬영되어 변환된 명함 이미지를 수신하는 명함이미지 촬영요청부와,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요청부에 의해 수신되는 명함 이미지 각각에 명함정보를 연동시켜 이를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는 명함관리부와, 상기 명함관리부에 의해 각 명함 이미지에 연동되는 명함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명함정보 입력요청부를 포함하는 명함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카메라폰을 이용해 오프라인 명함 이미지를 캡춰하여 저장하고, 캡춰된 명함 이미지 각각에 명함정보를 연동시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의 명함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조회 요청한 명함 이미지가 연동된 명함정보를 독출하여 LCD로 출력하는 명함정보 출력부와; 사용자로부터의 명함 이미지 확대 또는 축소 명령에 따라 상기 LCD를 통해 출력되는 명함정보에 연동된 명함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화면 갱신하는 명함 이미지 확대/축소부와; 사용자로부터의 화면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LCD를 통해 출력되는 명함정보에 연동된 명함 이미지를 좌우 또는 상하로 스크롤하여 화면 갱신하는 명함 이미지 스크롤부를 포함하는 명함정보 조회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LCD를 통해 출력되는 명함정보가 연동된 명함 이미지에 대한 화면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의 명함 관리모듈이 상기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명함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타 통신망을 통해 타 단말기로 전송하는 명함정보 전송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명함 이미지가 연동된 명함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타 통신망을 통해 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통상적인 카메라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메라폰은 제어모듈(100), 신호수신모듈(200), 신호송신모듈(300), 듀플렉서(400), 안테나(500), LCD(600), 키보드(700), 카메라(810), A/D변환기(820), 코덱(830) 및 메모리(9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이동통신 통신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현재 퀄컴사의 MSM(Mobile Switching Modem) 시리즈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로칩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 신호수신모듈(200)은 상기 제어모듈(100)의 제어하에 기지국(BS : Base Station)을 통해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신호수신모듈(200)은 주파수변환기(210)와, 대역통과필터(220)와, 증폭기(230)와, A/D변환기(240)를 포함한다.
상기 주파수변환기(210)는 안테나(500)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변환한다.
상기 대역통과필터(220)는 상기 주파수변환기(210)에 의해 변환된 신호에 대해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한다.
상기 증폭기(230)는 상기 대역통과필터(220)에 의해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A/D변환기(240)는 상기 증폭기(230)에 의해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모듈(100)로 출력한다.
따라서, 이 신호수신모듈(200)은 안테나(500)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주파수변환기(210)를 통해 하향변환하고, 상기 대역통과필터(220)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고, 이를 상기 증폭기(230)를 통해 증폭하고,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A/D변환기(240)를 통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모듈(100)로 출력함으로써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신호송신모듈(300)은 상기 제어모듈(100)의 제어하에 기지국(BS : Base Station)을 통해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으로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이 신호송신모듈(300)은 D/A변환기(310)와, 구동증폭기(320)와, 대역통과필터(330)와, 전력증폭기(340)를 포함한다.
상기 D/A변환기(310)는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구동증폭기(320)는 상기 D/A변환기(320)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대역통과필터(330)는 상기 구동증폭기(320)에 의해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한다.
상기 전력증폭기(340)는 상기 대역통과필터(330)에 의해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500)를 통해 송신한다.
따라서, 이 신호송신모듈(300)은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신호를 상기 D/A변환기(31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구동증폭기(320)를 통해 증폭하고,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대역통과필터(330)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고, 이를 상기 전력증폭기(340)를 통해 증폭하여 상기 안테나(500)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한다.
상기 듀플렉서(400)는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해 송수신 신호를 상호 간섭없이 동시에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안테나(50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방사한거나,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방사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LCD(600)는 상기 제어모듈(100)의 제어하에 각종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키보드(7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각종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상기 카메라(810)는 상기 제어모듈(100)의 제어하에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A/D변환기(820)는 상기 카메라(810)에 의해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탈로 변환한다.
상기 코덱(830)은 상기 A/D변환기(820)에 의해 디지탈로 변환된 영상을 압축한다.
상기 메모리(900)는 상기 제어모듈(100)의 제어하에 상기 코덱(830)에 의해 압축된 영상을 저장한다.
따라서, 카메라폰은 상기 제어모듈(100)의 제어하에 상기 카메라(810)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A/D변환기(820)를 통해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탈로 변환하고, 상기 코덱(830)을 통해 디지탈로 변환된 영상을 압축하여 상기 메모리(900)에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등의 동작을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카메라폰에 관련된 기술은 이 출원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10)과, 명함 관리모듈(20)을 포함한다.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10)은 오프라인 명함을 촬영하고, 이를 변환하는 동작을 하는 하드웨어(Hardware) 구성이며, 상기 명함관리모듈(20)은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10)에 의해 촬영되어 변환된 명함 이미지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Software) 구성이다.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10)은 카메라(810)와, A/D변환기(820)와, 코덱(830)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810)는 명함 이미지를 촬영한다.
A/D변환기(820)는 상기 카메라(810)에 의해 촬영된 아날로그 명함 이미지를 디지탈로 변환한다.
상기 코덱(830)은 상기 A/D변환기(820)에 의해 변환된 디지탈 명함 이미지를 압축한다.
따라서,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10)은 상기 카메라(810)를 통해 명함 이미지를 촬영하고, A/D변환기(820)를 통해 촬영된 아날로그 명함 이미지를 디지탈로 변환하고, 상기 코덱(830)을 통해 변환된 디지탈 명함 이미지를 압축하여 출력한다.
상기 명함관리모듈(20)은 명함이미지 촬영요청부(21)와, 명함관리부(22)와, 명함정보 입력요청부(23)를 포함한다.
상기 명함이미지 촬영요청부(21)는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10)로 명함이미지 촬영을 요청하고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10)로부터 촬영되어 변환된 명함 이미지를 수신한다.
상기 명함관리부(22)는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요청부(21)에 의해 수신되는 명함 이미지 각각에 명함정보를 연동시켜 이를 상기 메모리(900)내의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한다.
상기 명함정보 입력요청부(23)는 상기 명함관리부(22)에 의해 각 명함 이미지에 연동되는 명함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함정보를 수신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의 명함정보 관리동작을 알아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의 명함정보 관리시의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카메라폰의 키보드(700)를 조작하여 오프라인 명함 이미지에 대한 촬영 명령을 선택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단계 S110 에서 제어모듈(100)의 제어하에 상기 명함관리모듈(20)의 명함이미지 촬영요청부(21)가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10)로 명함이미지 촬영을 요청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단계 S120 에서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10)의 카메라를 통해 명함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 촬영된 아날로그 명함 이미지는 단계 S130 에서 상기 A/D변환기(820)를 통해 디지탈로 변환된다.
이 디지탈 변환된 명함 이미지는 단계 S140 에서 상기 코덱(830)을 통해 압축되어 버퍼(Buffer)에 임시저장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단계 S150 에서 상기 명함관리모듈(20)의 명함정보 입력요청부(23)를 통해 상기 촬영되어 변환된 명함 이미지에 연동되는 명함정보 입력을 요청한다.
사용자가 카메라폰의 키보드(700)를 조작하여 명함정보를 입력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단계 S160 에서 상기 명함정보 입력요청부(2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함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단계 S170 에서 상기 명함관리부(22)를 통해 명함 이미지가 연동된 명함정보를 상기 메모리(900)내의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카메라폰을 이용해 오프라인 명함 이미지를 캡춰하여 저장하고, 캡춰된 명함 이미지 각각에 명함정보를 연동시켜 관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명함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의 명함정보 관리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던 명함관리 시스템과는 달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명함 이미지가 더 포함되어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이 명함정보 조회모듈(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명함정보 조회모듈(30)은 상기 명함관리부(22)에 의해 제어되며, 명함정보 출력부(31)와, 명함 이미지 확대/축소부(32)와, 명함 이미지 스크롤부(33)를 포함한다.
상기 명함정보 출력부(31)는 사용자로부터의 명함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조회 요청한 명함 이미지가 연동된 명함정보를 독출하여 LCD(600)로 출력한다.
이 때, 상기 명함정보 출력부(3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명함 이미지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10)에 의해 명함의 앞면 및 뒷면이 각각 촬영되고, 상기 명함 관리모듈(20)에 의해 촬영된 명함 이미지의 앞면과 뒷면이 각각이 명함정보에 연동되어야 한다.
상기 명함 이미지 확대/축소부(32)는 사용자로부터의 명함 이미지 확대 또는 축소 명령에 따라 상기 LCD(600)를 통해 출력되는 명함정보에 연동된 명함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화면 갱신한다. 상기한 화면 출력되는 이미지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처리에 관련된 기술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상기 명함 이미지 스크롤부(33)는 사용자로부터의 화면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LCD(600)를 통해 출력되는 명함정보에 연동된 명함 이미지를 좌우 또는 상하로 스크롤하여 화면 갱신한다. 상기한 화면 출력되는 이미지를 상하 또는 좌우로 스크롤 하여 표시하는 화면 스크롤 처리에 관련된 기술 역시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카메라폰의 키보드(700)를 조작하여 명함조회 요청하면, 상기 명함정보 조회모듈(30)의 상기 명함정보 출력부(31)를 통해 사용자가 조회 요청한 명함정보를 상기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카메라폰의 LCD(600)로 출력하는데, 이 때 사용자가 키보드(700)를 조작하여 화면 출력되는 이미지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명함 이미지 확대/축소부(32)가 이 확대 또는 축소 명령에 따라 상기 LCD(600)를 통해 출력되는 명함정보에 연동된 명함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화면 출력하며, 사용자가 키보드(700)를 조작하여 화면 스크롤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명함 이미지 스크롤부(33)가 이 화면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LCD(600)를 통해 출력되는 명함정보에 연동된 명함 이미지를 좌우 또는 상하로 스크롤하여 화면 출력함으로써 LCD(600)를 통해 출력되는 명함정보가 연동된 명함 이미지에 대한 화면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의 명함 관리모듈(20)이 명함정보 전송처리부(24)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명함정보 전송처리부(24)는 상기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명함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타 통신망을 통해 타 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카메라폰 사용자의 키보드(700) 조작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의 명함 관리모듈(20)은 상기 명함정보 전송처리부(24)를 통해 상기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명함정보를 상기 신호송신모듈(300)을 경유해 외부의 PC 또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e-메일,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의 전송수단을 이용해 전송함으로써 명함정보의 외부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명함정보에 연동된 명함 이미지에 해당 명함의 실제 인물 사진을 더 연동시키도록 할 수 도 있다. 이는 상기 카메라폰을 이용해 명함 이미지를 캡춰하여 명함정보에 연동시키는 것과 동일하게 해당 명함의 실제 인물 사진을 카메라폰을 이용해 캡춰하여 명함정보에 연동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같이 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최근 이동통신 사용자에 의해 각광을 받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카메라폰을 통해 오프라인 명함 이미지를 캡춰하여 저장하고, 캡춰된 명함 이미지 각각에 명함정보를 연동시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명함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 은 통상적인 카메라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의 명함정보 관리시의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의 명함정보 관리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 20 : 명함 관리모듈
21 : 명함이미지 촬영요청부 22 : 명함관리부
23 : 명함정보 입력요청부 24 : 전송처리부
30 : 명함정보 조회모듈 31 : 명함정보 출력부
32 : 명함 이미지 확대/축소부 33 : 명함 이미지 스크롤부
100 : 제어모듈 200 : 신호수신모듈
300 : 신호송신모듈 400 : 듀플렉서
500 : 안테나 600 : LCD
700 : 키보드 810 : 카메라
820 : A/D변환기 830 : 코덱
900 : 메모리

Claims (3)

  1. 삭제
  2. 명함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아날로그 명함 이미지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A/D변환기와, 상기 A/D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디지탈 명함 이미지를 압축하는 코덱을 포함하는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과;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로 명함이미지 촬영을 요청하고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 모듈로부터 촬영되어 변환된 명함 이미지를 수신하는 명함이미지 촬영요청부와, 상기 명함 이미지 촬영요청부에 의해 수신되는 명함 이미지 각각에 명함정보를 연동시켜 이를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는 명함관리부와, 상기 명함관리부에 의해 각 명함 이미지에 연동되는 명함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명함정보 입력요청부를 포함하는 명함 관리모듈과;
    사용자로부터의 명함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조회 요청한 명함 이미지가 연동된 명함정보를 독출하여 LCD로 출력하는 명함정보 출력부와, 사용자로부터의 명함 이미지 확대 또는 축소 명령에 따라 상기 LCD를 통해 출력되는 명함정보에 연동된 명함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화면 갱신하는 명함 이미지 확대/축소부와, 사용자로부터의 화면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LCD를 통해 출력되는 명함정보에 연동된 명함 이미지를 좌우 또는 상하로 스크롤하여 화면 갱신하는 명함 이미지 스크롤부를 포함하는 명함정보 조회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관리 시스템의 명함 관리모듈이:
    상기 명함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명함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타 통신망을 통해 타 단말기로 전송하는 명함정보 전송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KR10-2003-0046436A 2003-07-09 2003-07-09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KR10052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436A KR100523592B1 (ko) 2003-07-09 2003-07-09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CNA2004100628695A CN1578353A (zh) 2003-07-09 2004-07-01 利用拍照手机的名片管理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436A KR100523592B1 (ko) 2003-07-09 2003-07-09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561A KR20050006561A (ko) 2005-01-17
KR100523592B1 true KR100523592B1 (ko) 2005-10-26

Family

ID=3458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436A KR100523592B1 (ko) 2003-07-09 2003-07-09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23592B1 (ko)
CN (1) CN15783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65B1 (ko) * 2010-07-23 2011-09-15 주식회사 디오텍 전자 명함첩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7995383A (zh) * 2017-11-27 2018-05-04 五华华创汇科技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名片扫描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8353A (zh) 2005-02-09
KR20050006561A (ko)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589B1 (ko) 분할 촬영 영상의 표시 및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EP22158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hotograph with variable image quality
US20020171737A1 (en) Wireless hand-held digital camera
US86191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images during a video call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711255B2 (en) Camera-equipped portable terminal and photograph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EP17421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20672A (ko) 통신기능과 촬상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 화상표시방법,화상표시프로그램
US20050101343A1 (en) Mobile phone device with video output
DE60129656T2 (de) Bildaufnahmegerät
KR20050074034A (ko)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편집 방법
KR101235483B1 (ko) 통신 장치 및 이미지 전송 방법
EP1048166B1 (en) Imag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
KR20100041108A (ko)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2008092337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画像データ送信方法、及び画像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
KR100629442B1 (ko) 카메라를 장착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와이드화상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0523592B1 (ko) 카메라폰을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US716485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KR1008151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선택영역을확대하기 위한 방법
CN114449134A (zh) 一种拍摄方法和终端设备
JPH11341454A (ja) 画像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並びに記録媒体
KR100663429B1 (ko) 줌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06079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확대/축소 방법
KR20070006335A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저장 및 표시방법
KR102166331B1 (ko) 촬영 후 빠른 재생을 구현하는 단말기 및 방법
KR100591812B1 (ko) 정지 영상 압축 및 변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