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568B1 -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568B1
KR100523568B1 KR10-2002-0048853A KR20020048853A KR100523568B1 KR 100523568 B1 KR100523568 B1 KR 100523568B1 KR 20020048853 A KR20020048853 A KR 20020048853A KR 100523568 B1 KR100523568 B1 KR 100523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gital
value
section
digit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604A (ko
Inventor
백승운
Original Assignee
(주)세영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영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세영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2-004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568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67Audio streaming, i.e. formatting and decoding of an encoded audio signal representation into a data stream for transmission or storage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여기에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이 제공된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소정의 디지털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으로서 송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단계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송신 주기에서 최초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디지털 변환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에서의 디지털 데이터의 최대값을 구하는 단계; 디지털 데이터가 갖는 최대값의 범위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에서의 최대값에 따라 해당 구간의 스탭값을 설정하는 단계; 각 구간에서의 스탭값에 따라 결정되는 나누기값으로 해당 구간의 디지털 데이터를 나누어 데이터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압축 단계에 따라 압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원하는 단계는 수신된 기준값을 복원시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각 구간별 스탭값에 대응하는 곱하기값으로 해당 구간의 압축 데이터에 곱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DATA COMPRESS AND DE-COMPRESS METHOD FO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들의 효과적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화 통화 보조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핸즈 프리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초기의 핸즈 프리 장치는 전화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제공됨으로서 사용자에게 전화 통화의 유연함을 제공하기는 하였으나 유선으로 연됨으로 인한 불편함이 있어왔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무선 핸즈 프리 장치가 최근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무선 핸즈 프리 장치는 전화 단말기에 장착되는 베이스 셋과 이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이어셋(ear set)(또는 해드셋(haed set))으로 구성된다. 이어셋은 마이크로폰과 스피커가 일체화되어 있으며 무선 송수신을 위한 장치들을 탑재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 셋은 이어셋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화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고, 이어셋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전화 단말기로 입력한다.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는 무선 핸즈 프리 장치의 경우 아날로그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디지털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을 하고 있다. 아날로그 방식의 경우 통화 품질을 담보하기 어려우며 혼신과 잡음에 취약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디지털 통신 방식의 핸즈 프리 장치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해소하고 있으나 채널 용량이 포화되는 경우 혼신 발생, 시스템다운 등의 여러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되고 있으며 회로 구성 및 그 테스트의 복잡성으로 인해 양산성도 저하되는 부정적 요인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제공되고 있는 핸즈 프리 장치들은 혼선에 의한 통화 품질 저하, 통화 내용 노출, 오동작의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MAC 방식의 경우에도 회로 구성의 복잡성으로 인한 양산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2001년 12월 10일자로 국내 특허 출원된 출원번호 2001-77694호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 기술은 베이스 셋과 이어 셋 간에 고정된 단일 캐리어를 사용한 반 이중 양방향 통신 방식과 디지털 변복조 방식으로 FSK 방식을 사용함으로 혼신 및 잡음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 특히, 각기 부여된 고유의 아이디(어드레스)를 사용하여 통신이 이루어짐으로서 핸즈 프리 장치들 간에 혼선이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럼으로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고 혼선에 의한 통화 내용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간략화된 회로 구성에 의해 제품 양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효과적인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될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은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디지털 무선 통신 방식을 채용하는 어떠한 통신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 이중 양방향 통신 방식의 디지털 무선 통신에 있어서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은,전화통화 단말기와 접속되어 전화통화 단말기로부터의 출력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송출하거나, 무선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화통화 단말기로 출력하는 베이스셋과, 상기 베이스셋과 무선 접속되며, 베이스셋으로부터의 무선 송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베이스셋측으로 무선 송출하는 이어셋을 구비하는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소정의 디지털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의 베이스셋측으로부터 이어셋측으로 혹은 이어셋측으로부터 베이스셋측으로의 디지털 무선 송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과정은, 상기 전화통화 단말기 혹은 이어셋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송신 주기에서 상기 디지털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에서 최초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변환된 데이터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에서의 디지털 데이터값들 중에서 최대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갖는 최대값의 범위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에서의 최대값을 해당 구간의 스탭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각 구간에서의 스탭값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나누기값으로 해당 구간의 디지털 데이터를 나누어 데이터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압축 과정에 따라 압축된 데이터를 상기 베이스셋 혹은 이어셋으로부터 수신하여 복원하는 과정은, 수신된 압축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값을 복원시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압축 데이터의 각 구간별 스탭값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곱하기값으로 해당 구간의 압축 데이터에 곱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 및상기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이 적용된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이 적용된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는 크게 베이스 셋(10)과 이어 셋(2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셋(10)은 전화 통화 단말기(5)의 음성 신호 입출력을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잭(7)과 커넥터(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어 셋(20)은 베이스 셋(10)과 디지털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접속된다. 베이스 셋(10)과 이어 셋(20)은 고정된 단일 캐리어(single carrier)를 사용한 반 이중(half duplex) 양방향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이 이루어진다.
베이스 셋(10)은 증폭기(19a, 19b), 디지털 변환기(12),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5),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3), 휘발성 메모리(16)와 불휘발성 메모리(17), 송수신부(14) 및 안테나(18)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전화 통화 단말기(5)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증폭기(19a)를 통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2)로 입력되고, 그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2)에 의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3)으로 입력된다. 그러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3)은 그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송수신부(14)를 거쳐 안테나(18)를 통해 송출한다. 한편,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3)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5)로 입력되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고, 증폭기(19b)를 통해 증폭되어 커넥터(11)에 연결된 전화 통화 단말기(5)로도 입력된다. 휘발성 메모리(16)에는 송수신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며, 불휘발성 메모리(17)에는 베이스 셋(10)을 동작시키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과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음성 압축/복원 루틴이 저장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3)은 송신 모드에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압축하고, 압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에 동기 및 어드레스 데이터와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기준값(Reference_Value) 및 스탭값(Step_Value) 데이터를 부가하여 구성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부(14)를 통해 무선 송출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3)의 수신 모드에서, 이어 셋(20)으로부터 송출된 데이터 패킷의 어드레스 데이터가 일치되는 경우 압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스탭값 및 기준값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원하고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5)로 출력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재생한다.
송수신부(14)는 데이터 패킷을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시켜 각기 안테나(18)를 통해 송출하며, 고정된 단일 캐리어를 사용하며 반 이중 양방향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송수신을 하며 주파수는 300 ~ 500MHz의 ISM 밴드를 이용함으로서 사용하여 혼신 및 잡음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
이어 셋(20)은 안테나(21), 송수신부(22),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3),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4),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7), 휘발성 메모리(25)와 불휘발성 메모리(26) 및, 마이크로폰(28)과 스피커(29)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이어 셋(20)의 각 회로 구성들은 베이스 셋(10)의 회로 구성 및 그 동작이 상호 대응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의 무선 송수신 프로세스와 이에 적용된 본 발명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을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처리 수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으로서 도 2 및 도 3의 오디오 압축 및 복원 처리 수순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그리고 도 6은 데이터 송신 패킷의 구성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핸즈 프리 장치의 송신 프로세스는 단계 S10의 대기 상태와 단계 S12의 음성 입력 판단 단계를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음성 입력이 발생되면, 단계 S14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함과 아울러 오디오 압축을 수행한다. 오디오 압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단계 S16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음성 데이터(Compress data 0_0~8_2)에 동기 데이터(SYNC Data), 스탭 값(Step_Value), 기준 값(Refrence_Value), 어드레스(Address00, Address01, Address02) 데이터를 각각 부가하여 데이터 패킷을 구성한다. 그리고 단계 S18에서는 구성된 데이터 패킷을 FSK 변조시키고 단계 S20에서 RF 증폭시켜 단계 S22에서 무선 송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수신 프로세스는 단계 S30의 대기 상태와 단계 S32의 RF 주파수 일치 판단 단계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한다. 수신된 RF 주파수가 해당 주파수로서 일치되면, 단계 S34로 진행하여 FSK 복조를 수행한다. 단계 S36에서는 동기 신호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고, 일치되면 단계 S38로 진행하여 어드레스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 어드레스가 일치하면 단계 S40으로 진행하여 압축된 오디오를 복원하고, 단계 S42에서는 복원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한다.
이상과 같은 송수신 과정은 소정 시간을 주기로 반복되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9ms를 주기로 반복되며 4.5ms 동안 오디오 압축과 전송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4.5ms 동안 수신 및 복원 재생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오디오 압축 및 복원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오디오 압축 프로세스는 단계 S50에서 버퍼를 초기화하고, 단계 S51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단계 S52에서 기준값(Reference_Value)을 설정한다. 기준값이란 디지털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서 최초 변환된 음성 데이터 값으로서, 최초의 데이터가 양의 전위 또는 음의 전위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압축/복원시 기준 부호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에서는 음성의 재생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한 주기 동안 샘플링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샘플링 시간을 기준으로 소정 구간 분할하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단계 S53에서 구간별 최대값을 구한다. 예를 들어, 9ms 주기를 3ms로 각각 3등분하고 각 구간에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최대 값을 구한다. 즉, 8KHz, 125us, 8비트 샘플링 조건에서 9ms 동안 샘플링된 8비트 음성 데이터(AD_Data0~AD_Data71)는 72byte이다. 그러므로, 각 구간에서의 음성 데이터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에서 AD_Data는 디지털 변환된 음성 데이터이다.
9ms
0~3ms 3ms~6ms 6ms~9ms
AD_Data0 ~ AD_Data23 AD_Data24 ~ AD_Data47 AD_Data48 ~ AD_Data71
각 구간에서 구해지는 최대값을 이용하여 단계 S54에서 해당 구간에서의 스탭값을 결정한다. 스탭값은 각 구간에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최대값을 정의하는 값으로 데이터의 정밀도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2비트로 구성하여 8비트로 표현되는 값 -127~127(0~255)을 하기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4등분하여 구분한다.
Step_Value 최대값 영역
00 -31 <= Max_Data <= 31
01 -63 <= Max_Data <= 63
10 -95 <= Max_Data <= 95
11 -127 <= Max_Data <= 127
이 실시예에서는 스탭값을 2비트로 하였으나, 정밀한 압축과 복원을 위해서 비트수를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비트로 정의하는 경우에는 8등분하여 최대값 영역을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55에서 앞에서 구해진 스탭값에 기초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음성 데이터를 압축한다. 압축방법은 하기 표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탭값에 대응하는 나누기 값을 이용하여 해당 구간의 음성 데이터를 나누어 그 몫을 압축 데이터로 한다.
Step_Value 나누기 값
00 4
01 6
10 12
11 16
예를 들어, 스탭값(Step_Value)이 '00'인 경우에 음성 데이터(AD_Data)를 4로 나눈다. 이때 그 몫은 3비트로 표현된다. 즉, 8비트 음성 데이터가 3비트 음성 데이터로 압축되는 것으로 압축률은 8:3의 비율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음성 데이터를 압축할 경우, 9ms 한 주기 동안 샘플링된 72바이트의 음성 데이터는 8:3의 비율로 압축되어 27바이트로 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음성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을 위한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되어 송신된다.
이와 같이, 송신된 압축된 음성 데이터는 수신측에서 복원되는데 그 과정이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오디오 복원 프로세스는 단계 S60에서 버퍼를 초기화하고 단계 S61에서 수신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기준값을 설정한다. 단계 S62에서는 구간별 스탭값(Step_Value)에 기초하여 압축데이터를 복원한다. 이때, 기준값은 복원시 최초 기준값으로 사용된다.
Step_Value 곱하기 값
00 4
01 6
10 12
11 16
압축 데이터의 복원은 상술한 음성 데이터의 압축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표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탭값에 대응하여 정의된 곱하기 값을 각 해당 구간의 스탭값에 기초하여 압축된 음성 데이터에 곱하여 그 결과 값을 8비트 음성 데이터로 복원한다. 그리고 단계 S63에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재생한다.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은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 이외에도 디지털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다양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기술자들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에서 효과적인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던 고가의 압축 복원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무선 통신 장치의 적용이 용이함과 아울러 생산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이 적용된 디지털 무선 프리 장치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처리 수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으로서 도 2 및 도 3의 오디오 압축 및 복원 처리 수순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도 6은 데이터 송신 패킷의 구성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전화 통화 단말기 7: 이어/마이크로폰 잭
10: 베이스 셋 11: 커넥터
12, 24: ADC 15, 27: DAC
13, 23: MPU 16, 25: RAM
17, 26: ROM 18, 21: 안테나
19a, 19b, 30a, 30b: AMP 20: 이어 셋
28: 마이크 29: 스피커

Claims (1)

  1. 전화통화 단말기와 접속되어 전화통화 단말기로부터의 출력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송출하거나, 무선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화통화 단말기로 출력하는 베이스셋과, 상기 베이스셋과 무선 접속되며, 베이스셋으로부터의 무선 송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베이스셋측으로 무선 송출하는 이어셋을 구비하는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소정의 디지털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의 베이스셋측으로부터 이어셋측으로 혹은 이어셋측으로부터 베이스셋측으로의 디지털 무선 송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과정은,
    상기 전화통화 단말기 혹은 이어셋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송신 주기에서 상기 디지털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에서 최초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변환된 데이터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에서의 디지털 데이터값들 중에서 최대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갖는 최대값의 범위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에서의 최대값을 해당 구간의 스탭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구간에서의 스탭값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나누기값으로 해당 구간의 디지털 데이터를 나누어 데이터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압축 과정에 따라 압축된 데이터를 상기 베이스셋 혹은 이어셋으로부터 수신하여 복원하는 과정은,
    수신된 압축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값을 복원시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압축 데이터의 각 구간별 스탭값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곱하기값으로 해당 구간의 압축 데이터에 곱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
KR10-2002-0048853A 2002-08-19 2002-08-19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 KR10052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853A KR100523568B1 (ko) 2002-08-19 2002-08-19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853A KR100523568B1 (ko) 2002-08-19 2002-08-19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604A KR20040016604A (ko) 2004-02-25
KR100523568B1 true KR100523568B1 (ko) 2005-10-24

Family

ID=3732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853A KR100523568B1 (ko) 2002-08-19 2002-08-19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9640A (ko) 2013-05-23 2014-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385A (ko) * 1993-08-09 1995-04-28 다까노 야스아끼 음성 신호의 시간축 압축/신장 방법
KR19990056201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무선통신시스템의 압축기법을 통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10008154A (ko) * 2000-11-13 2001-02-05 양경준 위성방송을 이용한 교통방송 시스템
KR20010011068A (ko) * 1999-07-24 2001-02-15 조정남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실시간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20011497A (ko) * 2000-08-02 2002-02-09 박석근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385A (ko) * 1993-08-09 1995-04-28 다까노 야스아끼 음성 신호의 시간축 압축/신장 방법
KR19990056201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무선통신시스템의 압축기법을 통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10011068A (ko) * 1999-07-24 2001-02-15 조정남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실시간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20011497A (ko) * 2000-08-02 2002-02-09 박석근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KR20010008154A (ko) * 2000-11-13 2001-02-05 양경준 위성방송을 이용한 교통방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604A (ko)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8160B2 (ja) ボコーダにより制御されるagcを有するオーディオコーデック
US7813698B2 (en) Modular wireless multimedia device
US9832575B2 (en) Wireless sound transmission and method
US20020077072A1 (en)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JP4519068B2 (ja) Wlan通信システム
JP3225918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70121688A (ko) 고품질 저전력 무선 오디오 시스템, 오디오 소스, 오디오싱크 및 양방향 무선 오디오 시스템
US6556965B1 (en) Wired and cordless telephone systems with extended frequency range
CA2395110A1 (en) A dedicated digital-to-analog network audio bridging method and system
KR100523568B1 (ko) 디지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
US20030118196A1 (en) Wireless digital audio system
US2016033776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packets from a transmitter to a receiver arranged in a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ransmitter and hearing aid for implementing the method
US20020163439A1 (en) Method of transmitting a command from a remote controller to an audio device, and corresponding remote controller and audio device
KR10058414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전원공급장치
JP3902996B2 (ja) 電子ボリューム装置
KR20020075198A (ko) 디지털 무선 핸즈 프리 장치
KR100732990B1 (ko) 블루투스 오디오 장치 음압 조절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N216982086U (zh) 一种真无线耳机电路、真无线耳机及真无线耳机装置
US20080293425A1 (e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063858Y (zh) 无线环绕系统
KR100639330B1 (ko) 사운드전환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제어방법
KR200343401Y1 (ko) 대역확산 통신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무선 핸즈프리 및무선스피커 시스템
KR200306337Y1 (ko) 무선 송수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오디오 장치
JPH0787556A (ja) 無線電話装置親機
JP2584148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