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542B1 - 무선 전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542B1
KR100523542B1 KR10-2002-0081337A KR20020081337A KR100523542B1 KR 100523542 B1 KR100523542 B1 KR 100523542B1 KR 20020081337 A KR20020081337 A KR 20020081337A KR 100523542 B1 KR100523542 B1 KR 10052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que number
power supply
wireless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4314A (ko
Inventor
김광열
조동술
Original Assignee
씨앤디아이(주)
조동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디아이(주), 조동술 filed Critical 씨앤디아이(주)
Priority to KR10-2002-0081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54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장치로의 전원공급을 무선으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무선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원제어장치는 전기장치로의 전원을 공급/차단하기 위한 전원제어수단과, 이 전원제어수단의 전원공급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무선송출하는 무선송출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제어수단과 무선송출수단은 각각 고유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고유번호설정부와 고유번호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고유번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고유번호정보저장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무선송출수단으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고유번호와 동일한 고유번호가 저장된 전원제어수단은 해당 전기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전원제어장치{Remote powe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전기장치로의 전원공급을 무선으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무선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건물내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와 전등 및 전등제어 스위치등의 전기장치가 벽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이는 건물의 설계시 이용자의 생활편리를 고려하여 그 위치가 설정된다. 그런데, 건물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전기장치의 경우 건물의 내부 미관을 고려하여 그 배선을 벽면 내부을 통해 연결하게 된다.
예컨대, 전등의 경우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등을 방의 천정에 설치하고, 이 전등을 점멸하기 위한 스위치는 출입문 가까운 위치의 벽면에 설치한다. 그리고, 전등과 스위치는 벽면 내부에서 케이블(C)을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전등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전원케이블(PC)와 결합되게 된다.
그런데, 건물의 내부구조를 변경하고자 하여 스위치가 설치된 벽면을 헐어야하는 경우 스위치와 전등간의 연결 케이블(C)을 다른 벽면 내부를 통해 결합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배선공사로 인해 실제 공사가 더 복잡하고 커지게 된다.
즉, 한 번 설계한 전기장치의 위치 변경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전등을 온/오프 하기 위한 스위치나 콘센트등은 벽면의 특정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이용자의 경우 이러한 전기장치의 제어가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전기장치에 전원공급/차단을 설정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설치하고, 이 전원공급수단의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와 무선으로 결합되어 전기장치의 건물 내부 배선공사가 용이하도록 함과 더불어 무선송출수단을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용자가 어느 위치에서든지 목적하는 전기장치에 대한 전원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된 무선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전원공급수단과 무선송출수단이 쌍이 되도록 이용자가 임의로 그 번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된 무선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원제어장치는 전기장치로의 전원을 공급/차단하기 위한 전원제어수단과, 이 전원제어수단의 전원 공급/차단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무선송출하는 무선송출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송출수단은 온/오프상태로 전환되는 스위치와, 고유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제1 고유번호설정부와 제1 고유번호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고유번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 고유번호정보저장부, 고유번호를 무선송출하기 위한 제1 무선처리부 및, 상기 스위치가 온상태로 되는 경우 상기 고유번호저장부에 저장된 고유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제1 무선처리부를 통해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제어수단은 전기장치로의 전원공급라인상에 결합되어 전기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 설정하는 릴레이와, 고유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제2 고유번호설정부와 제2 고유번호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고유번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 고유번호저장부, 상기 무선송출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고유번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무선처리부 및, 상기 제2 무선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유번호와 상기 제2 고유번호저장부에 저장된 고유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를 통해 전기장치로의 전원공급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전기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수단과 이 전원제어수단의 전원공급 유무를 설정하기 위한 무선송출수단의 고유번호를 이용자가 임의로 동일하게 설정하여 전기장치의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건물에 설치되는 전기장치에 대한 배선공사가 용이하게 되며, 무선송출수단을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용자가 편리한 장소에서 목적하는 전기장치의 전원공급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원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원제어장치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온/오프되는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송출수단(10)과, 전기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무선송출수단(10)으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를 근거로 해당 전기장치로의 전원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수단(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무선송출수단(10)과 전원제어수단(20)은 동일한 고유번호를 갖는쌍으로 결합되며, 고유번호는 이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무선송출수단(1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즉 무선송출수단(10)은 이용자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11)와, 고유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고유번호설정부(12), 고유번호설정부(12)에 의해 설정되는 고유번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고유번호저장부(13), 고유번호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처리부(14) 및, 상기 고유번호설정부(12)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를 근거로 고유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고유번호저장부(13)에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11)의 온상태 전환시 고유번호저장부(13)에 저장된 고유번호정보를 상기 무선처리부(14)를 통해 무선신호로 변환한 후 전원제어수단(20)으로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무선송출수단(10)의 각 장치로 소정 동작전원(Vcc)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1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유번호설정부(1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오프전환에 따른 상태정보 예컨대 "1" 또는 "0" 정보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딥스위치(121)와, 각 딥스위치(121)로부터 인가되는 상태정보를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예컨대 8비트 데이터 형태로 제1 제어부(15)로 제공하는 데이터변환부(1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부(15)는 제1 고유번호설정부(12)로 인가되는 8비트데이터를 근거로 고유번호를 생성한다. 즉, 제어부(15)는 제1 고유번호설정부(12)로부터 "0001011"데이터가 인가되면, 이를 10진수로 변환하여 고유번호 "11"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도2에서 상기 무선처리부(14)는 고유번호정보를 적외선 신호나 초음파신호 또는 RF신호등의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다양한 무선 송출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4는 도1에 도시된 전원제어장치(2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제어장치(20)는 고유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제2 고유번호설정부(21)와, 제2 고유번호설정부(21)에 의해 설정된 고유번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 고유번호저장부(22), 일단이 전원공급부와 결합되고 그 타단이 전기장치과 결합되어 소정 제어신호를 근거로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전기장치로 공급/차단하도록 전원공급로를 스위칭하는 릴레이(23), 릴레이(23)와 전원공급부간 릴레이(23)와 전기장치간의 전원공급로에 각각 설치되어 전원공급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제1 및 제2 퓨즈(24,25), 상기 무선송출장치(10)로부터 인가되는 무선신호를 수신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무선처리부(26) 및, 상기 제2 고유번호설정부(21)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고유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고유번호저장부(22)에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제2 무선처리부(26)로부터 인가되는 고유번호정보가 제2 고유번호정보저장부(22)에 저장된 고유번호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23)를 통해 전기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원제어장치(20)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예컨대 220V의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원제공장치(20)를 구성하는 각 소자로 소정 동작전원(Vcc)을 제공하는 AC/DC변환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유번호설정부(21)는 도2에 도시된 제1 고유번호설정부(12)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무선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제어수단(20)은 전등이나 콘센트등과 같은 전기장치의 전원공급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용자는 전원제어수단(20)의 제2 고유번호설정부(21)의 딥스위치를 온/오프 조작하여 고유번호를 설정한다. 이때, 딥스위치의 온/오프상태에 따른 정보는 예컨대 8비트 데이터형태로 제2 제어부(27)로 인가되고, 제2 제어부(27)는 제2 고유번호설정부(21)로부터 인가되는 딥스위치상태정보, 예컨대 "0001011"데이터를 10진수로 변환하여 "11"이라는 고유번호를 생성한 후 제2 고유번호저장부(22)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이용자는 전원제어수단(20)이 결합된 전기장치의 전원공급/차단을 설정하기 위한 무선송출수단(10)의 제1 고유번호설정부(12)의 딥스위치를 온/오프 조작하여 고유번호를 설정한다. 이때, 이용자는 전원제어수단(20)과 쌍을 이루도록 전원제어수단(20)에 설정한 딥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동일하게 설정한다. 즉, 전원제어수단(20)과 쌍을 이루는 무선송출수단(10)의 제1 고유번호저장부(13)에는 전원제어수단(20)의 제2 고유번호저장부(22)에 저장된 고유번호("11")와 동일한 정보("11")가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전원제어수단(20)과 무선송출수단(10)이 동일한 고유번호를 갖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전원제어수단(20)이 설치된 전기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무선송출수단(10)의 스위치(11)를 온상태로 설정하게 되면, 제1 제어부(15)를 이를 근거로 제1 고유번호저장부(13)에 저장된 고유번호정보 즉, "11"정보를 독출하여 제1 무선처리부(14)를 통해 무선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무선송출수단(10)은 제어하고자는 전원제어수단(20)과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여야 한다.
한편, 무선송출수단(10)으로부터 무선 송출된 고유번호정보는 전원제어수단(20)의 제2 무선처리부(26)를 통해 제2 제어부(27)로 인가된다. 제2 제어부(27)는 제2 무선처리부(26)로부터 인가되는 고유번호정보와 제2 고유번호저장부(22)에 저장된 고유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고유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릴레이(23)를 통해 전원공급부로부터 예컨대 220V AC전원이 해당 전기장치에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원제어장치의 실시형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전원제어수단(20)이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전등내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무선송출수단(10)은 전등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벽면에 착탈가능한 형태로 이용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용자가 임의적으로 무선송출수단(10)과 전등의 전원제어수단(20)의 고유번호를 동일하게 설정한 후 이용자가 무선송출수단(10)을 이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두고 전등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취침시 무선송출수단(10)을 침대옆에 두고 전등을 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등이 전원공급케이블(PC)과 결합되면서 전등과 스위치가 벽면(W)내부의 케이블(C)을 통해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등과 스위치간이 무선으로 결합되므로 벽면(W)을 통한 배선공사가 필요 없어 건물의 배선공사가 훨씬 수월해 짐은 물론, 전등의 점멸을 위한 스위치의 배선을 위해 문 옆을 반드시 배선공사를 행할 수 있는 벽면로 건축해야하는 설계상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문 옆을 유리벽으로 구성하여 건물의 미적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원제어장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제어수단(20)을 벽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콘센트(CT)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이용자가 콘센트에 결합된 전원제어수단(20)과 동일한 고유번호를 갖는 무선송출장치(10)를 지니고 다니면서 콘센트(CT)에 결합된 전기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무선송출수단(10)과 전원제어수단(20)이 단방향 통신을 행하도록 실시하였으나, 무선송출수단(10)과 전원제어수단(20)이 양방향 통신을 행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및 제2 무선처리부(14,26)를 제1 및 제2 제어부(15,27)와 양방향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전원제어수단(20)에서 무선신호를 정확히 수신하지 못한 경우 재송신요구메시지를 무선송출수단(10)로 송출하고, 이에 대해 무선송출수단(10)는 자신의 고유번호정보를 다시 재송출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전원제어수단(20)으로부터 송출되는 재송신요구메시지는 전원제어수단(20)에 설정된 고유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가 임의적으로 전원제어장치와 무선송출수단의 고유번호를 설정하고, 착탈 가능한 무선송출수단의 스위치조작을 통해 무선으로 전원제어장치를 통한 전기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물에 설치되는 전기장치에 대한 배선공사가 용이하게 되며, 무선송출수단을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용자가 편리한 장소에서 목적의 전기장치의 전원공급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는 무선송출수단을 상용화하여 무선송출수단이 고장나는 경우 이용자가 무선송출수단을 구입하여 전원제어장치와의 쌍번호를 임의적으로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전원제어수단에 대해 하나의 무선송출수단이 쌍을 이루도록 실시하였으나, 하나의 전원제어수단에 대해 다수의 무선송출수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무선송출수단에 다수의 고유번호설정수단과 이에 대응되는 수의 스위치를 구성하여 하나의 무선송출수단을 통해 다수의 고유번호를 송출함으로써, 다수의 전원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수단과 이 전원제어수단의 전원공급 유무를 설정하기 위한 무선송출수단의 고유번호를 이용자가 임의로 동일하게 설정하여 전기장치의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건물에 설치되는 전기장치에 대한 배선공사가 용이하게 되며, 무선송출수단을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용자가 편리한 장소에서 목적의 전기장치의 전원공급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원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무선 송출수단(1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제1 고유번호설정부(12)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된 전원제어수단(2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원제어장치의 실시형태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무선송출수단, 20 : 전원제어수단,
11: 스위치, 12,21 : 고유번호설정부,
13,22 : 고유번호저장부, 14,26 : 무선처리부,
15,27 : 제어부, 16 : 전원부,
23 : 릴레이, 24,25 : 퓨즈,
28 : AC/DC변환부.

Claims (3)

  1. 전기장치와 일체로 결합됨과 더불어 전기장치로의 전원을 공급/차단하기 위한 전원제어수단과, 이 전원제어수단의 전원 공급/차단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무선송출하는 무선송출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송출수단은 온/오프상태로 전환되는 스위치와, 고유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제1 고유번호설정부와 제1 고유번호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고유번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 고유번호정보저장부, 고유번호를 무선송출하기 위한 제1 무선처리부 및, 상기 스위치가 온상태로 되는 경우 상기 고유번호저장부에 저장된 고유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제1 무선처리부를 통해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제어수단은 전기장치로의 전원공급라인상에 결합되어 전기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 설정하는 릴레이와, 고유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제2 고유번호설정부와 제2 고유번호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고유번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 고유번호저장부, 상기 무선송출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고유번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무선처리부 및, 상기 제2 무선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유번호와 상기 제2 고유번호저장부에 저장된 고유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를 통해 전기장치로의 전원공급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유번호설정부는 다수의 딥스위치로 구성되고, 고유번호는 다수 딥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순차 정렬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수단은 전등에 결합되고, 상기 무선송출수단은 휴대 가능한 형태의 스위치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원제어장치.
KR10-2002-0081337A 2002-12-18 2002-12-18 무선 전원제어장치 KR100523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337A KR100523542B1 (ko) 2002-12-18 2002-12-18 무선 전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337A KR100523542B1 (ko) 2002-12-18 2002-12-18 무선 전원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755U Division KR200336522Y1 (ko) 2003-07-14 2003-07-14 무선 전원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314A KR20040054314A (ko) 2004-06-25
KR100523542B1 true KR100523542B1 (ko) 2005-10-26

Family

ID=3734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337A KR100523542B1 (ko) 2002-12-18 2002-12-18 무선 전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5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314A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9809B2 (en) Wireless scene arrangement
US6759966B1 (en) Wireless remote control bulb device
US20060097890A1 (en) AC powered wireless control 3-way light switch transmitter
US11330690B2 (en) Switching device with auxiliary power unit and wireless receiver function, and lamp system using the same
CN103310516B (zh) 一种门禁监控系统
EP2975855A1 (en) Operation terminal control system
KR100523542B1 (ko) 무선 전원제어장치
KR200336522Y1 (ko) 무선 전원제어장치
KR101677131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JP2003243188A (ja) 照明システム
KR100887452B1 (ko) 무선제어 스위치장치, 무선제어 조명장치, 무선 전원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원제어 방법
KR101635393B1 (ko) 지체장애인용 환경제어장치
JPH04112632A (ja) 外部機器の電源制御装置
GB23652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lighting circuits
KR200410393Y1 (ko) 무선 전원 제어 장치
KR200430353Y1 (ko)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조명스위치를 이용한홈네트워크 시스템
TWI447546B (zh) 多協定之電力開關控制網路
KR100604988B1 (ko) 원격제어 스위칭 장치
KR20100039877A (ko) 무선 제어 장치
JP2002044761A (ja) 電気機器の動作制御装置
JPH08149580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4266923A (ja) 遮断器を備えたテーブルタップ及び家庭電気製品の制御方法
CN116234129A (zh) 一种高集成度、智能化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9175600A (ja) 照明制御ユニット、照明制御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TWM564306U (zh) 遙控開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