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459B1 - 몹 자루의 걸레지지판과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몹 자루의 걸레지지판과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459B1
KR100523459B1 KR10-2003-0048189A KR20030048189A KR100523459B1 KR 100523459 B1 KR100523459 B1 KR 100523459B1 KR 20030048189 A KR20030048189 A KR 20030048189A KR 100523459 B1 KR100523459 B1 KR 100523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support plate
protrusion
bag
hin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8287A (ko
Inventor
유광선
Original Assignee
유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선 filed Critical 유광선
Priority to KR10-2003-004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459B1/ko
Publication of KR2005000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몹 자루의 걸레지지판과의 결합구조가 개시된다.
그 구성은 걸레가 취착되는 걸레지지판과 이 걸레지지판과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몹자루로 구성되는 공지의 몹걸레에 있어서, 상기 걸레지지판의 상부로는 몹자루의 단부와 연결된 힌지부재가 삽입 체결되는 축지지대가 양측으로 구비되되, 상기 힌지부재의 하단부에는 제 1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레지지판 상부로는 제 2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몹자루가 상기 축지지대에 대해 회동할 때, 상기 제 1돌부와 상기 제 2돌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몹 자루가 걸레지지판에 대해 제한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걸레지지판을 발 쪽으로 끌어 당길 시 걸레포가 뒤 짚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몹 자루의 걸레지지판과의 결합구조{Mop}
본 발명은 몹(Mop)걸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이나 바닥 등을 닦을 수 있도록 걸레지지판 상부로 자루가 달린 몹걸레에 있어서, 몹 자루와 걸레지지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루가 달린 걸레에 있어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5551호(자루가 달린 걸레), 등록실용신안 제7571호(몹용 자루), 등록실용신안 제191058호(몹) 및 등록실용신안 제206343호(청정실용 개량형 몹 시스템) 등이 있다.
상기의 몹 걸레는 어느 것이나 한 손 또는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몹 자루와 이 몹자루와 연결된 걸레지지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레지지판으로는 걸레포가 취착되며 상기 몹자루는 일자형의 것 또는 뽑이식의 것으로서 길이가 조절가능하도록 된 것(일명, 텔레스코픽 어드져스터블 핸들)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몹걸레를 도 1에 대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도시된 것처럼 몹 걸레는 몹자루(20)와 이 몹자루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걸레지지판(10)을 포함한다.
상기 몹자루(2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직경이 작은 제 1파이프(18)와 이 제 1파이프(18)보다는 큰 직경의 제 2파이프(19)로 구성되어 길이의 연장 및 단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걸레포(미도시)가 취착되는 걸레지지판(10)과는 상기 걸레지지판(10)의 상부 양측으로 형성된 축지지대(48)에 축설되어 상기 몹자루(20)가 상기 걸레지지판(1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몹자루(20)는 상기 축지지대(48)와 결합부재(27)와 이 결합부재와 힌지결합된 힌지부재(28)를 통해 상기 걸레지지판(10)과 결합되어, 상기 몹자루가 전후 좌후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동가능토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몹걸레는 몹자루(20)가 걸레지지판(10)에 대해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구석 등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는 편리함은 있지만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몹걸레는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젖은 걸레포를 이용하여 바닥 등을 닦도록 되어 있는 것인데, 앞으로 미는 동작에서는 바닥방향으로 힘을 주어 닦을 수 있지만, 반대방향, 즉 발 쪽으로 복귀시에는 바닥방향으로 힘을 주지 않고 당기는 힘만으로 걸레지지판(10)을 발쪽으로 잡아당기는 것이다.
그런데 이 때, 걸레포는 젖어 있는 상태이므로 바닥방향으로 힘을 주지 않을 경우에는 밀고 난 후 걸레지지판(10)을 발 쪽으로 끌어 당길 시 걸레포(걸레지지판(10))가 상방으로 뒤 짚어져서 허리를 숙이고 이를 바로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는 힌지부재(28)가 걸레지지판(10)에 대해 자유로이 회동가능한 것 때문인데, 그 개선이 요구되어져 왔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몹 자루가 걸레지지판에 대해 제한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여 걸레지지판을 발 쪽으로 끌어 당길 시 걸레포가 뒤 짚어져서 이를 바로 하기 위해 허리를 숙여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몹 자루와 걸레지지판이 직각으로 접촉하여 있을 때에는 몹 자루의 걸레지지판에 대한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고, 몹 자루가 걸레지지판의 전후로 움직일 경우에는 그 움직임에 제한을 두어 보다 개선된 몹 걸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은 걸레가 취착되는 걸레지지판과 이 걸레지지판과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몹자루로 구성되는 공지의 몹걸레에 있어서, 상기 걸레지지판의 상부로는 몹자루의 단부와 연결된 힌지부재가 삽입 체결되는 축지지대가 양측으로 구비되되, 상기 힌지부재의 하단부에는 제 1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레지지판 상부로는 제 2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몹자루가 상기 축지지대에 대해 회동할 때, 상기 제 1돌부와 상기 제 2돌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즉 몹 자루의 단부에 연결된 힌지부재(28)의 하단부에 돌부(25, 도2 참조)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재(28)의 하단부와 접촉하는 걸레지지판 상면으로도 돌부(돌출편, 46)를 형성하여 상기 몹 자루가 회동할 시, 상기 돌부끼리 서로 접촉하여 그 움직임을 자유롭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몹 자루와 걸레지지판과의 결합각은 자유로이 조절되면서 바닥 등의 청소작업 시 걸레지지판을 발 쪽으로 끌러당길 경우 발생하는 걸레지지판의 뒤 짚어지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돌부는 상기 힌지부재의 하단부 양측으로 형성된 것(25)이고, 상기 제 2돌부는 제 1돌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축지지대 사이의 양측으로 형성된 것(46)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돌부(25)는 중앙에 일정구간의 평탄부와 이 평탄부 전후로 요철부가 형성된 구성이고, 상기 제 2돌부(46)는 일정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된 돌출편인 구성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몹 자루가 걸레지지판과 직각인 상태로 있을 때는 상기 몹 자루의 움직임이 어느 각도 범위내(평탄부 구간)에서는 자유롭게 움직이고, 일정 각도 범위를 넘어서는(요철부 구간) 움직임에 대해서는 요철부끼리의 마찰작용으로 인해 그 움직임이 구속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위해 도면을 통한 설명이 추가되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이들의 상세한 설명이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 명백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된 특징부 내지 요소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것은 본 발명의 개시를 불필요하게 제한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청구항 3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는 힌지부재와 걸레지지판과의 조립도이고, 도 3a는 힌지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힌지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3c는 축지지대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몹 걸레는 몹 자루(20)와 이 몹 자루(2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걸레지지판(10)을 포함한다. 이 걸레지지판(10)에는 걸레포(미도시)가 취착된다.
상기 몹 자루(20)는 결합부재(27)와 이 결합부재(27)와 힌지결합되는 힌지부재(28)를 통해 걸레지지판(10)과 연결된다.
상기 결합부재(27)는 상기 힌지부재(28)과 힌지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28)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39)이 마련되어 축지지대(48)사이로 삽입될 경우 축지지대(48)에 마련된 결합편(45)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몹자루(20)가 상기 걸레지지판(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된다.
한편, 상기 힌지부재(28)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대략 반원형으로서 하단부 양측으로는 굴곡진 부분에 돌부(25)가 형성된다. 또한 이 돌부(25)의 하단부 중앙부에는 평탄부(22)가 형성되고, 이 평탄부(22)의 전후로 요철부(21)가 형성된다. 도 3b중 미설명부호 29는 체결홈이다.
한편, 상기 힌지부재(28)의 돌부(25)가 접촉되는 상기 걸레지지판(10)의 상면으로는 엮시 양측으로 돌출편(4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편(46)의 상면으로는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를 두고 걸림턱(4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c에서 미설명부호 45는 힌지부재(28)의 체결홈(39)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구조에 의하면, 몹 자루(20)가 걸레지지판(10)과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힌지부재(28)의 하단부 돌부(25) 하단에 형성된 평탄부(22)가 축지지대(48)의 안쪽에 형성된 돌출편(46) 상면에 형성된 걸림턱(41)의 사이에 걸치게 되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몹 자루(20)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된다.
그러나 상기의 일정 각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바닥을 닦을 때, 걸레지지판을 밀어 내는 경우 및 끌어 당기는 경우의 몹 자루와 걸레지지판과의 각도범위)에는 상기 힌지부재(28)의 하단부에 형성된 요철부(21)가 축지지대(48)의 안쪽에 형성된 돌출편(46) 상면에 형성된 걸림턱(41)에 걸치게 되어 움직임이 일정 정도 구속되게 되어, 걸레지지판(10)을 밀어낸 후 발 쪽으로 끌어 당기는 경우 걸레지지판(10)이 뒤 짚어 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그 예로 힌지부재(28)의 하단부 전체를 요철부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축지지대(48)의 사이 하단부 전체를 요철부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몹 자루가 걸레지지판에 대해 제한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걸레지지판을 발 쪽으로 끌어 당길 시 걸레포가 뒤 짚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형태의 몹 걸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힌지부재와 걸레지지판과의 조립도이고,
도 3a는 힌지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힌지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3c는 축지지대의 요부 사시도이다.

Claims (3)

  1. 걸레가 취착되는 걸레지지판과 이 걸레지지판과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몹자루로 구성되는 공지의 몹걸레에 있어서,
    상기 걸레지지판의 상부로는 몹자루의 단부와 연결된 힌지부재가 삽입 체결되는 축지지대가 양측으로 구비되되, 상기 힌지부재의 하단부에는 제 1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레지지판 상부로는 제 2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몹자루가 상기 축지지대에 대해 회동할 때, 상기 제 1돌부와 상기 제 2돌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자루와 걸레지지판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돌부는 상기 힌지부재의 하단부 양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돌부는 제 1돌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축지지대 사이의 양측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몹자루와 걸레지지판의 결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돌부는 중앙에 일정구간의 평탄부와 이 평탄부 전후로 요철부가 형성된 구성이고, 상기 제 2돌부는 일정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된 돌출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자루와 걸레지지판의 결합구조.
KR10-2003-0048189A 2003-07-15 2003-07-15 몹 자루의 걸레지지판과의 결합구조 KR100523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189A KR100523459B1 (ko) 2003-07-15 2003-07-15 몹 자루의 걸레지지판과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189A KR100523459B1 (ko) 2003-07-15 2003-07-15 몹 자루의 걸레지지판과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287A KR20050008287A (ko) 2005-01-21
KR100523459B1 true KR100523459B1 (ko) 2005-10-25

Family

ID=3722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189A KR100523459B1 (ko) 2003-07-15 2003-07-15 몹 자루의 걸레지지판과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0695A (zh) * 2014-09-30 2016-04-27 宜兴宏博洁具有限公司 一种环保型竹部件拖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287A (ko) 200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3287B2 (en) Rotary mop cleaner
KR200426096Y1 (ko) 청소용 걸레 밀대
JP3619307B2 (ja) 掃除具
US9044131B1 (en) Multipurpose grout cleaning apparatus
KR100523459B1 (ko) 몹 자루의 걸레지지판과의 결합구조
KR101258493B1 (ko) 스팀청소기용 힌지 어셈블리
JP3157899U (ja) 揺動可能な清掃素子を有するモップ
US20130315653A1 (en) Floor treatment appliance arrangement
JP2006238982A (ja) モップヘッドの継手構造
US20070169291A1 (en) Sponge mop and scrubber
JP4514652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0473432Y1 (ko) 대걸레용 밀대
TWM545558U (zh) 雙面拖把
JP2010022855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CN214259234U (zh) 一种喷水拖把的握持结构
AU2008200286B2 (en) Cleaning implement head and cleaning implement
JP4365231B2 (ja) 柄付き清掃具
TWM368418U (en) Mop with replaceable cleaning components
JP4006695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0428061Y1 (ko) 빗자루 겸용 물걸레 청소구
JPH02234733A (ja) アップライト形電気掃除機
KR20170071254A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KR102326654B1 (ko) 진공 청소기 노즐
KR200431933Y1 (ko) 회전대걸레의 회전지지구
JP2000152821A (ja) 首振りクリ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