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436B1 - 세폭직물 커팅기 - Google Patents

세폭직물 커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436B1
KR100523436B1 KR10-2003-0088112A KR20030088112A KR100523436B1 KR 100523436 B1 KR100523436 B1 KR 100523436B1 KR 20030088112 A KR20030088112 A KR 20030088112A KR 100523436 B1 KR100523436 B1 KR 100523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narrow
narrow fabric
wheel
band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169A (ko
Inventor
정동영
Original Assignee
정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영 filed Critical 정동영
Priority to KR10-2003-008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4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5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5/00Smallware looms, i.e. looms for weaving ribbons or other narrow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6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fabric
    • D03J1/08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fabric for slitting fabr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4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ongitudi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중 직물로 제직된 세폭직물원단의 가운데를 일정한 규격으로 오차 없이 정확하게 절단하여 2장으로 분리시키고, 또한 이를 통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폭직물 커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중 직물 세폭직물원단(1)을 제직하는 세폭직기(2)의 후방에 설치되어 커팅다이(11)와 휠브래킷(12)(13)을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커팅다이(11)의 전방에 횡으로 배열되어 세폭직물원단(1)의 이송을 각각 안내하는 다수개의 원단안내부재(20); 상기 양측 휠브래킷(12)(13)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구동휠(30)과 종동휠(40); 상기 구동휠(30)을 구동시키는 모터(50); 상기 구동휠(30)과 종동휠(40)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세폭직물원단(1)의 가운데를 수평으로 절단하는 밴드커터(60); 상기 밴드커터(60)에 의해 2장으로 분리된 세폭직물(1a)(1b)을 각각 이송시키는 이송롤러(70)(71)와 다수개의 가압롤러(80)(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세폭직물 커팅기{cutting machine for textile in ribbon}
본 발명은 세폭직물 커팅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2중 직물로 제직된 세폭직물원단의 가운데를 일정한 규격으로 오차 없이 정확하게 절단하여 2장으로 분리시키는 세폭직물 커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폭직물은 세폭직기를 통해 제직되는 것으로, 이러한 세폭직물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직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세폭직물은 주로 벨트,밴드,신발끈,가방끈,묶음끈,혁띠,장식테이프 등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근래에는 세폭직기로 제직되는 세폭직물의 생산성을 크게 2배로 향상시키기 위해 2중 직물로 제직된 세폭직물원단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이 세폭직기를 통해 2중 직물로 제직된 세폭직물원단의 경우에는 가운데를 정확하게 잘라서 2장의 세폭직물로 각각 분리시켜야 하고, 이렇게 2중 직물로 제직된 세폭직물원단의 가운데를 자르면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세폭직물은 같은 구조의 세폭직물이 된다. 이때, 매우 중요한 것은 절단 시 2중 직물로 제직된 세폭직물원단의 가운데를 일정한 크기로 오차 없이 정확하게 절단해야 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 절단되지 못한 세폭직물은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전량 폐기 처분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수직커터를 이용하여 2중 직물로 제직된 세폭직물원단을 이송롤러로 이송시키면서 세폭직물원단의 가운데를 절단하였기 때문에, 절단 시 구조적으로 세폭직물원단의 유동이 발생하여 가운데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없어 제품불량이 다발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2중 직물로 제직된 세폭직물원단의 가운데를 일정한 규격으로 오차 없이 정확하게 절단하여 2장으로 분리시키고, 또한 이를 통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폭직물 커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2중 직물 세폭직물원단을 제직하는 세폭직기의 후방 인출부에 커팅다이와 휠브래킷이 구비된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커팅다이의 전방에 세폭직물원단의 이송을 각각 안내하는 다수개의 원단안내부재를 횡으로 배열하며, 상기 프레임의 양측 휠브래킷에 구동휠과 종동휠을 회동가능하게 각각 장착하고, 상기 일측 휠브래킷에 구동휠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설치하며, 상기 구동휠과 종동휠에 이송되는 각 세폭직물원단의 가운데를 동시에 수평으로 정확하게 절단하는 밴드커터를 연결하며, 상기 밴드커터의 후방 상,하부에는 2장으로 분리된 세폭직물을 각각 이송시키는 이송롤러와 다수개의 가압롤러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세폭직물 커팅기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중 직물 세폭직물원단(1)을 제직하는 세폭직기(2)에 있어서, 상기 세폭직기(2)의 후방에 설치되어 커팅다이(11)와 양측 휠브래킷(12)(13)을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커팅다이(11)의 전방에 횡으로 배열되어 2중 직물로 제직된 세폭직물원단(1)의 이송을 각각 안내하는 다수개의 원단안내부재(20); 상기 프레임(10)의 양측 휠브래킷(12)(13)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구동휠(30)과 종동휠(40); 상기 구동휠(30)을 구동시키는 모터(50); 상기 구동휠(30)과 종동휠(40)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세폭직물원단(1)의 가운데를 수평으로 절단하는 밴드커터(60); 상기 밴드커터(60)에 의해 2장으로 분리된 세폭직물(1a)(1b)을 각각 이송시키는 이송롤러(70)(71)와 다수개의 가압롤러(80)(8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폭직물원단(1)은 세폭직기(2)를 통해 2중 직물로 제직되는 것으로, 이러한 세폭직물원단(1)은 도 7에서와 같이 밴드커터(60)에 의해 그 가운데가 수평으로 정확하게 절단되어 2장의 세폭직물(1a)(1b)로 분리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세폭직물원단(1)을 제직하는 세폭직기(2)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롤러(70)(71)와 다수개의 가압롤러(80)(81)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에는 커팅다이(11)와 양측 휠브래킷(12)(13)이 구비된다.
상기 커팅다이(11)의 하부에는 도 4a,4b에서와 같이 밴드커터(60)의 날을 세우는 한조의 숫돌(90)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한조의 숫돌(90)이 밴드커터(60)의 날 상,하부를 각각 세워주기 때문에, 커팅 시 밴드커터(60)가 세폭직물원단(1)의 가운데를 한층 더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다이(11)의 상부에는 도 3과 도 7에서와 같이 밴드커터(60)의 구동을 안내하는 한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커터안내롤러(100)가 횡으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커터안내롤러(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롤러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커터안내롤러(100)는 커팅 시 구동하는 밴드커터(60)가 세폭직물원단(1)의 가운데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밴드커터(60)의 수평을 유지시킨다.
상기 원단안내부재(20)는 도 3과 도 7에서와 같이 커팅다이(11)의 전방에 횡으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세폭직물원단(1)의 이송을 각각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원단안내부재(20)는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단안내부재(20)의 상,하부판은 세폭직물원단(1)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원단안내부재(20)는 세폭직물원단(1)의 두께에 따라서 상부판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휠(30)과 종동휠(40)은 프레임(10)의 양측 휠브래킷(12)(13)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커팅 시 밴드커터(6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구동휠(30)과 종동휠(40)의 외주면으로는 도 3에서와 같이 밴드커터(60)가 탄력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휠브래킷(13)에는 수평으로 장공(13a)이 형성되고, 상기 종동휠(40)에는 장공(13a)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절축(41)이 구비되며, 상기 휠브래킷(13)의 외측으로는 조절나사(210)를 통해 조절축(41)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밴드커터(60)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놉(20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텐션조절놉(200)을 조절하여 밴드커터(60)의 텐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커팅 시 밴드커터(60)가 느슨하고 헐겁게 풀리거나 또는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모터(50)는 구동휠(30)을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50)와 구동휠(3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풀리(51)(3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풀리(51)(31)에는 벨트(52)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50)를 구동시키면 벨트(52)를 통해 구동휠(30)이 구동하고, 이와 연동하는 밴드커터(60)를 통해 종동휠(40)이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상기 밴드커터(60)는 양측 구동휠(30)과 종동휠(40)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세폭직물원단(1)의 가운데를 수평으로 정확하게 절단하는 것으로, 이러한 밴드커터(60)는 구동휠(30)과 종동휠(40)을 따라 회전하면서 세폭직물원단(1)의 가운데를 절단할 수 있도록 밴드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롤러(70)(71)와 다수개의 가압롤러(80)(81)는 도 7에서와 같이 밴드커터(60)에 의해 2장으로 분리된 세폭직물(1a)(1b)을 각각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송롤러(70)(71)는 밴드커터(60)의 후방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세폭직기(2)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하고, 상기 다수개의 가압롤러(80)는 이송롤러(70)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폭직물(1a)을 이송롤러(70)에 밀착시키며, 상기 가압롤러(81)는 이송롤러(71)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폭직물(1b)을 이송롤러(71)에 밀착시킨다.
상기 가압롤러(80)(81)는 프레임(10)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양측 레버(82)(83)의 중앙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양측 레버(82)(83)의 타단에는 인장스프링(84)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롤러(80)(81)는 인장스프링(84)에 의해 이송롤러(70)(7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탄력적으로 밀착되려고 하는 텐션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폭직기(2)에서 2중 직물로 제직되는 세폭직물원단(1)을 도 7에서와 같이 원단안내부재(20)와 이송롤러(70)(71),가압롤러(80)(81)에 연결한 후, 세폭직기(2)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모터(50)를 구동시키면 이송롤러(70)(71)와 가압롤러(80)(81)가 구동하면서 세폭직물원단(1)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세폭직물원단(1)은 원단안내부재(20)에 끼워진 상태로 이송되므로 이송 시 세폭직물원단(1)은 유동 없이 정확하게 후방으로 이송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도 7에서와 같이 원단안내부재(20)의 안내를 받으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는 세폭직물원단(1)은 구동휠(30)과 종동휠(40)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밴드커터(60)를 지나면서 그 가운데가 밴드커터(60)에 의해 정확하게 절단되면서 2장의 세폭직물(1a)(1b)로 분리되고, 밴드커터(60)에 의해 2장으로 각각 분리된 세폭직물(1a)(1b)은 도 7에서와 같이 구동하는 이송롤러(70)(71)와 가압롤러(80)(81)를 통해 후방으로 각각 이송되면서 외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세폭직물 커팅기에 따르면 세폭직물원단(1)이 원단안내부재(20)에 의해 유동 없이 정확하게 이송되기 때문에 밴드커터(60)로 세폭직물원단(1)의 가운데를 일정한 규격으로 오차 없이 정확하게 절단하여 2장의 세폭직물(1a)(1b)로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해 불량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폭직물 커팅기에 따르면 한조의 숫돌(90)이 밴드커터(60)의 날을 지속적으로 세워주기 때문에 한층 더 용이하게 세폭직물원단(1)의 가운데를 절단할 수 있으며, 또한 숫돌(90)을 이용하여 커팅 시 구동하는 밴드커터(60)의 날을 자동으로 세울 수 있기 때문에 밴드커터(60)의 수명이 영구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폭직물 커팅기에 따르면 종돌휠(40)에 설치된 텐션조절놉(200)을 조절하여 밴드커터(60)의 텐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커팅 시 밴드커터(60)가 느슨하고 헐겁게 풀리거나 또는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폭직물 커팅기는 2중 직물로 제직된 세폭직물원단의 가운데를 일정한 규격으로 오차 없이 정확하게 절단하여 2장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밴드커터의 텐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밴드커터의 날을 자동으로 세울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숫돌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휠과 모터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동휠의 텐션조절부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세폭직물원단 1a,1b : 세폭직물
2 : 세폭직기 10 : 프레임
11 : 커팅다이 12,13 : 휠브래킷
13a : 장공 20 : 원단안내부재
30 : 구동휠 40 : 종동휠
41 : 조절축 50 : 모터
60 : 밴드커터 70,71 : 이송롤러
80,81 : 가압롤러 82,83 : 레버
84 : 인장스프링 90 : 숫돌
100 : 커터안내롤러 200 : 텐션조절놉
210 : 조절나사

Claims (5)

  1. 2중 직물 세폭직물원단(1)을 제직하는 세폭직기(2)의 후방에 설치되어 커팅다이(11)와 휠브래킷(12)(13)을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커팅다이(11)의 전방에 횡으로 배열되어 세폭직물원단(1)의 이송을 각각 안내하는 다수개의 원단안내부재(20); 상기 양측 휠브래킷(12)(13)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구동휠(30)과 종동휠(40); 상기 구동휠(30)을 구동시키는 모터(50); 상기 구동휠(30)과 종동휠(40)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세폭직물원단(1)의 가운데를 수평으로 절단하는 밴드커터(60); 상기 밴드커터(60)에 의해 2장으로 분리된 세폭직물(1a)(1b)을 각각 이송시키는 이송롤러(70)(71)와 다수개의 가압롤러(80)(81)를 포함하는 세폭직물 커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다이(11)의 하부에는 밴드커터(60)의 날을 세우는 한조의 숫돌(90)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물 커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다이(11)의 상부에는 밴드커터(60)의 구동을 안내하는 한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커터안내롤러(100)가 횡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물 커팅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브래킷(13)에는 수평으로 장공(13a)이 형성되고, 상기 종동휠(40)에는 장공(13a)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절축(41)이 구비되며, 상기 휠브래킷(13)의 외측으로는 조절나사(210)를 통해 조절축(41)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밴드커터(60)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놉(2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물 커팅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80)(81)는 프레임(10)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양측 레버(82)(83)의 중앙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양측 레버(82)(83)의 타단에는 인장스프링(84)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물 커팅기.
KR10-2003-0088112A 2003-12-05 2003-12-05 세폭직물 커팅기 KR100523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112A KR100523436B1 (ko) 2003-12-05 2003-12-05 세폭직물 커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112A KR100523436B1 (ko) 2003-12-05 2003-12-05 세폭직물 커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169A KR20050055169A (ko) 2005-06-13
KR100523436B1 true KR100523436B1 (ko) 2005-10-25

Family

ID=3725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112A KR100523436B1 (ko) 2003-12-05 2003-12-05 세폭직물 커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870B1 (ko) * 2004-12-10 2006-09-19 도석기 3중 세폭직물 및 그 세폭직물 커팅장치
CN104088062B (zh) * 2014-08-04 2015-07-08 泉州众锦源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高速平式织带机
CN106676748A (zh) * 2015-11-05 2017-05-17 安徽华利达拉链有限公司 一种全自动数控织带机的纱架
CN110144692B (zh) * 2019-05-16 2021-07-23 绍兴皂树纺织品有限公司 一种剖绒机的带刀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169A (ko) 200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82997A (zh) 平面口罩面体制作设备
KR100523436B1 (ko) 세폭직물 커팅기
US20140216225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amless bias fabrics using tubular fabrics
CN110103270A (zh) 一种改进型自动笋子切片机
CN117286709A (zh) 一种安全带加工自动裁剪装置
KR100622870B1 (ko) 3중 세폭직물 및 그 세폭직물 커팅장치
CN113652855B (zh) 一种织布生产用布料切边装置
CN212714023U (zh) 一种编织袋缝边装置
KR102248670B1 (ko) 마스크의 테두리 접지부에 대한 정렬 구조를 갖는 노즈와이어 인서팅 장치
US1786542A (en) Machine for cutting articles from sheet material
CN209975029U (zh) 一种整经机张力调节器
CN111315551B (zh) 用于从石材块同时切割多个板坯的机器
KR200232014Y1 (ko) 모헤어 커팅기
CN112482010A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布料裁剪装置
CN208543504U (zh) 全自动切管机
CN219730017U (zh) 一种魔术条生产线用防偏移牵引装置
CN218490615U (zh) 一种皮带防跑偏装置
KR200483945Y1 (ko)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CN215279607U (zh) 一种自动穿翅片机构
CN210796837U (zh) 一种新型的送纬装置
CN218364984U (zh) 一种编织带细线冷切设备
CN114251047B (zh) 一种全自动一体式百叶柔纱帘成型机
CN115070859B (zh) 一种防成型纸断裂式打孔机
CN114467489B (zh) 一种采茶机的送料机构
CN216582319U (zh) 一种橡胶制备用晾片机限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