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775B1 -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775B1
KR100522775B1 KR10-2003-0098252A KR20030098252A KR100522775B1 KR 100522775 B1 KR100522775 B1 KR 100522775B1 KR 20030098252 A KR20030098252 A KR 20030098252A KR 100522775 B1 KR100522775 B1 KR 100522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housing
media
mediu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773A (ko
Inventor
최운용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3-0098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775B1/ko
Publication of KR2005006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램프하우징(130)과,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 양단에 클램프하우징(130) 쪽으로 매체를 전달하는 스태킹휠(120)의 방향으로 입출가능하고, 선단에 클램핑플레이트(133)를 구비하는 적어도 2개의 클램프아암(131)과,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에 상기 클램핑플레이트(13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탄성부재(135)에 의해 지지되어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탄성플레이트(1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아암(131)의 구동을 위해,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아암구동모터(136)가 구비되고, 상기 아암구동모터(136)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축(138')의 양단에는 각각 피니언기어(139)가 구비되어 클램프아암(131)에 형성된 래크기어부(132)와 치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이 요구한 매수의 매체를 한꺼번에 전달함에 있어 보다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A clamp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딜리버리모듈에서 전달된 매체를 한꺼번에 클램핑하여 이송시키는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2장의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사이에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각종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일단에 해당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전면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202)는 일측 가이드플레이트(200)에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게 설치된다. 도면부호 204는 도어(202)의 닫힘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잠금구이다.
한편, 상기 도어(20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 사이의 공간에는 불량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함(206)이 장착된다. 상기 도어(20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기 공간중 상기 회수함(206)이 장착된 하방에는 매체함(208)가 장착된다. 상기 매체함(208)은 내부에 매체자동지급기에서 지급되는 매체가 넣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회수함(206)과 매체함(208)은 상기 도어(202)를 개방한 상태에서 착탈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에는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각종 구성이 구비된다. 먼저, 매체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10)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매체함(208)의 내부에 있는 매체를 한장 씩 분리하여 내도록 픽업롤러(212)가 상기 매체함(208)의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사이에는 상기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경로(214)가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경로(214)는 다수개의 롤러(216)와 벨트(218)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경로(214) 상에는 불량매체를 상기 회수함(206)으로 회수하기 위한 다이버터(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경로(214)의 끝부분인 매체자동지급기의 정면 상단에는 방출부(2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매체자동지급기는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다수장의 매체가 지급되는 경우 고객이 수취하는 위치로 매체들이 자유낙하되어 집적된다. 따라서 다수장의 매체가 서로 밀착되지 않고 적층되어 상대적으로 부피가 커져 고객이 손으로 잡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은 경우에 매체를 회수하는 회수함의 설치위치가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는 위치에 인접하여 위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일단 고객쪽으로 전달된 매체를 한꺼번에 다시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장의 매체를 한꺼번에 이송할 수 있는 매체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의 회수를 위한 구성을 보다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체가 고객에게 전달되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매체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장의 매체를 고객에게 전달할 때 최소의 부피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장의 매체를 한꺼번에 이송하는 동작신뢰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클램프하우징과, 상기 클램프하우징의 전면 양단에 클램프하우징 쪽으로 매체를 전달하는 스태킹휠의 방향으로 입출가능하고, 선단에 클램핑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적어도 2개의 클램프아암과, 상기 클램프하우징의 전면에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클램프하우징의 전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탄성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아암의 구동을 위해, 상기 클램프하우징의 내부에는 아암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아암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축의 양단에는 각각 피니언기어가 구비되어 클램프아암에 형성된 래크기어부와 치합된다.
상기 래크기어부는 상기 클램프아암의 상단과 하단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래크기어부와 치합되는 피니언은 상기 아암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축의 양단에 각각 복수개가 서로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클램프하우징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의 사이에 하우징구동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클램프하우징의 구동을 위한 구성은, 일방향 회전되는 하우징모터와, 상기 하우징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하우징구동축에 체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제2연결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제2연결링크에 양단이 각각 핀으로 연결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한 제1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하우징 전면의 탄성플레이트 사이에는 댐퍼플레이트가 그 일단부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선단이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태커에 세워지는 매체를 스태킹휠 쪽으로 밀어준다.
상기 댐퍼플레이트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클램프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는 위치와 상기 스태킹휠의 접선날개와 평행하게 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전체 매체자동지급기의 방출부의 도시되어 있는데, 딜리버리모듈(1), 스태킹모듈(3) 및 스태킹이송모듈(5)이 구비된다. 상기 딜리버리모듈(1)은 다수장의 매체가 저장되어 있는 매체함(도시되지 않음)에서 한장씩 분리되어 전달 매체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매체의 이송중에 매체의 두께를 검지하여 회수할 것과 방출할 것을 분리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스태킹모듈(3)은 딜리버리모듈(1)을 통해 전달된 매체를 다수장 모아서 상기 스태킹이송모듈(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태킹이송모듈(5)은 상기 스태킹모듈(3)로부터 전달받은 매체를 고객이 가져갈 수 있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딜리버리모듈(1)의 상세구성을 설명한다. 도 3d에 따르면,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는 일단부 측이 일부 잘라내어진 직사각형 판상이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상단에는 각각 외측으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게 상단플랜지(12,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중 잘라내어진 부분에는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와 일부가 겹쳐지게 형성되어 나사(20s)로 체결된다. 물론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와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가 서로 겹쳐지지 않는 부분은 별도의 연결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상단플랜지(12,12')에는 트레이프레임(30)이 장착된다.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은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어셈블리(150) 및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에는 구동모터(4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40)는 매체의 이송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모터(40)의 회전축(41)에는 구동풀리(42)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풀리(42)에는 타이밍벨트인 구동벨트(43)가 걸어감아진다.
상기 구동벨트(43)의 타단은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회전축(4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종동풀리(47)에 걸어감아진다. 상기 종동풀리(47)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이 상기 구동벨트(43)를 통해 상기 종동풀리(47)로 전달된다. 상기 회전축(45)에는 상기 종동풀리(47)와 동축으로 연결풀리(4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풀리(48)는 상기 회전축(45)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타이밍벨트인 연결벨트(49)가 걸어감아진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의 하단에는 종동풀리(50)가 설치된다. 상기 종동풀리(50)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에 양단이 지지되는 회전축(51)과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종동풀리(50)가 설치된 회전축(51)에는 구동기어(52)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52)는 상기 회전축(51)에 의해 종동풀리(50)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51)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롤러(53)가 설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에는 상기 연결벨트(49)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풀리(54)가 텐션브라켓(54')에 장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텐션풀리(54)는 상기 텐션브라켓(54')의 장착위치에 따라 연결벨트(49)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에 양단이 지지되게 회전축(55)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55)은 상기 회전축(51)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55)에는 상기 구동기어(52)와 서로 치합되게 종동기어(56)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52)와 종동기어(56)는 각각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의 외측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구동기어(52)와 종동기어(56)가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의 외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상기 회전축(51)에서 회전축(55)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55)에는 다수개의 롤러(58)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58)중 일부에는 이송벨트(60)가 걸어감아진다. 상기 롤러(58)와 이송벨트(60)는 매체에 직접 접촉되어 매체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벨트(60)가 감기지 않은 롤러(58)는 상기 롤러(53)와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이송벨트(6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이송벨트(60)는 각각 롤러축(62',63',64',65')에 설치된 롤러(62,63,64,65)에 걸어감아진다. 도면부호 67은 상기 이송벨트(60)의 일측이 걸어감아지는 가이드축이다. 상기 롤러(62,63,64,65)들은 각각 이송벨트(60)의 갯수에 맞춰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롤러(62,63,64,65)가 설치된 롤러축(62',63',64',65')에는 별도로 매체에 직접 접촉되는 롤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벨트(60)에 의해 매체가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각각 다수개의 매체가이드(68,69)가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매체가이드(68,69)는 각각 거의 동일한 형상의 것이 적어도 2개 이상이 나란히 배치된다. 이들 매체가이드(68,69)의 구성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매체가이드(69,69)에는 상기 롤러(63,64,65)들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형상들이 구비된다.
이중 제1매체가이드(68)는 상기 회전축(55)을 중심으로 상단측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 외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5)에는 상기 롤러(58)와 상기 제1매체가이드(68)가 교대로 설치된다. 상기 롤러축(62',63')과 가이드축(67)은 그 양단이 상기 제1매체가이드(68)에 지지된다.
상기 제1매체가이드(68)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2매체가이드(69)가 설치된다. 상기 제2매체가이드(69)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의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매체가이드(68)와 제2매체가이드(69)는 서로 대응되는 갯수만큼 구비된다.
상기 다수개의 제1매체가이드(68)와 이에 설치된 롤러축(62',63')등은 상기 회전축(55)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전체가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된다. 그리고 매체의 이송중 잼이 발생했을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매체가이드(68)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제2매체가이드(69)에서 이격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즉, 상기 회전축(55)을 중심으로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1매체가이드(68)를 포함하는 어셈블리가 회전된다.
하지만 사용중에 상기 제1매체가이드(68)와 제2매체가이드(69)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록커(70)로 상기 어셈블리를 체결한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록커축(70')에 록커(70)가 설치된다. 상기 록커(70)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의 외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록커(70)에는 걸이슬롯(72)이 구비되고, 선단에는 안내면(73)이 형성된다. 상기 제1매체가이드(68)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에는 상기 록커(70)가 걸어지는 록커핀(75)이 구비된다. 상기 록커(70)는 스프링(76)에 의해 상기 록커핀(75)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상기 회전축(45)에도 다수개의 롤러(77)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77)는 상기 회전축(4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매체를 이송하게 된다. 상기 롤러(77)에는 직접 매체에 접촉되는 것과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벨트(106)가 걸어감아지는 것이 있다.
상기 회전축(45)에 설치된 롤러(77)와 대응되게 다수개의 롤러(78)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78)는 상기 양단부가 아래에서 설명될 제4매체가이드(87)에 지지되는 회전축(78')에 설치된다. 상기 롤러(78)는 상기 롤러(77)중 회수벨트(106)가 걸어 감아지지 않은 것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롤러(78)는 상기 회전축(45)에 설치된 롤러(77)와 밀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롤러(77)와 롤러(78) 사이를 통과한 매체가 이동되는 경로의 일측에는 다이버터(80)가 구비된다. 상기 다이버터(80)는 상기 매체를 정상적으로 배출되게 하거나 회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다이버터(80)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의 외면 구비된 솔레노이드(81)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상기 다이버터(80)와 솔레노이드(81)에 관계된 구성이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81)의 플런저(81')에는 구동링크(82)가 연결되고, 상기 구동링크(82)는 연결축(83)을 통해 연결링크(84)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84)는 다이버터축(80')과 연결되어 다이버터축(80')을 회전시킨다. 상기 다이버터축(80')에는 다이버터(80)가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다이버터축(80')의 양단부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의 양단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81)의 구동력으로 상기 다이버터(80)가 동작되면서 매체의 이송경로를 방출과 회수로 결정한다.
상기 다이버터(80)를 지나서 매체가 방출되는 경로는 각각 다수개의 제3매체가이드(85)와 제4매체가이드(87)가 형성한다. 상기 제3 및 제4 매체가이드(85,87)의 사이에는 매체가 통과할 수 있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3 및 제4 매체가이드(85,87)는 각각 거의 동일한 형상의 것이 적어도 2개 이상이 나란히 배열된다.
상기 제3매체가이드(85)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의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4매체가이드(87)는 회전축(104')을 중심으로 상기 롤러(78)측이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는 상기 제1매체가이드(68)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와 유사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제3매체가이드(85)와 제4매체가이드(87)의 사이에 발생되는 잼을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매체가이드(85)를 포함하는 어셈블리가 회전되고 상기 제4매체가이드(87)를 포함하는 어셈블리가 소정 각도 회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4매체가이드(87)가 상기 제3매체가이드(85)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매체가이드(68)의 록커(70)와 같은 구성이 구비된다. 이 구성은 상기 록커(7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매체가이드(68)와 제2매체가이드(69)사이를 통과하는 매체의 두께를 검지하여 2장이 한꺼번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매체가이드(68)와 제2매체가이드(69)의 사이에 형성되는 매체의 경로중 일측에 두께검지를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먼저, 상기 제1매체가이드(68)에 검지프레임(90)이 구비된다. 상기 검지프레임(90)은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의 사이에서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태이다. 상기 검지프레임(90)에는 소정의 부품쳄버(91)가 2개 구비된다. 상기 부품쳄버(91)의 일측에는 상기 제2매체가이드(68) 방향으로 베어링창(91b)이 구비된다.
상기 부품쳄버(91)의 내부에는 베어링홀더(93)가 회전중심(9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홀더(93)에는 검지베어링(95)이 구비된다. 상기 검지베어링(95)은 상기 베어링홀더(93)의 선단에 자유롭게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창(91b)을 통해 약간 돌출된다. 상기 베어링홀더(93)는 상기 부품쳄버(91)의 내부에 토션스프링(96)에 의해 상기 회전중심(93')을 중심으로 일방으로 회전되게 지지된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96)에 의해 상기 검지베어링(95)이 상기 베어링창(91b)의 외부로 돌출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상기 베어링홀더(93)의 일측은 길게 연장되어 선단에 차폐판(97)이 구비된다. 상기 차폐판(97)은 상기 베어링홀더(93)의 회전에 따라 그 위치가 이동되면서 광센서(발광부(90s)와 수광부(90s')에 의한 매체의 두께검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부품쳄버(91)의 일측에는 발광창(91w')과 수광창(91w)이 구비된다. 상기 양측의 수광창(91w)은 2개가 한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홀더(9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차폐판(97)에 의해 각각 가려지는 정도가 달리되어 광이 통과하는 양을 제어하여 매체의 두께검지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부품쳄버(91)는 상기 검지프레임(9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곳에 형성되고, 상기 부품쳄버(91)에는 각각 상기 검지베어링(95)이 구비되는 베어링홀더(9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하나의 매체의 두께를 2개의 검지베어링(95)을 사용하여 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검지프레임(90)의 일측에는 연결아암(98)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아암(98)은 상기 베어링창(91b)이 개구되어 있는 방향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결아암(98)은 상기 검지프레임(90)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는데, 이에는 검지롤러축(99')이 고정된다. 상기 검지롤러축(99')에는 롤러(99)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99)는 상기 이송벨트(60)와 접촉되는 부분(99c)과 상기 검지베어링(95)과 접촉되는 부분(99s)으로 구성된다.
다시 도 3 및 도 4로 돌아가서, 상기 회전축(45)의 제2가이드플레이트(20')측에는 상기 회전축(45)에서 시작해서 회전축(102')까지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열(100)이 구비된다. 상기 기어열(100)을 통해 상기 회전축(45)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102')으로 전달된다. 상기 회전축(102')에는 다수개의 롤러(102)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02')은 그 양단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롤러(102)와 대응되게 롤러(104)가 구비되는데, 상기 롤러(104)는 회전축(10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04')은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전축(104')은 상기 제4매체가이드(87)의 회전중심이기도 하다. 상기 롤러(102)는 상기 회전축(102')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롤러(104)는 상기 롤러(102)와 함께 회전되면서 매체를 이송한다. 참고로 상기 롤러(102)(104)를 통과한 이송경로 상에도 설계조건에 따라 매체의 이송을 위한 롤러들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이버터(80)에 의해 이송방향이 바뀌어 회수되어야 하는 매체의 안내를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회전축(45)에 설치된 롤러(77)중 2개에는 회수벨트(106)가 걸어감아진다. 상기 회수벨트(106)는 회수되는 매체의 이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회수벨트(106)는 롤러축(108')에 설치된 롤러(108)에 타단부가 걸어감아진다.
그리고, 상기 회수벨트(106)는 상기 제3매체가이드(85)나 제2가이드플레이트(20,20')에 양단이 지지되는 롤러축(109',110')에 설치된 롤러(109,110)에 접촉되어 가이드된다. 상기 회수벨트(106)의 일측은 가이드축(112)에 의해 일측이 지지된다.
상기 회수벨트(106)에 의해 안내되는 매체는 상기 제3매체가이드(85)와 제5매체가이드(114)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틈새를 통해 이송된다. 상기 제5매체가이드(114)는 상기 회전축(45)을 중심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5매체가이드(114)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는, 상기 제1매체가이드(68)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와 같이, 상기 회전축(45)을 중심으로 상기 롤러(108)가 구비된 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5매체가이드(114)에는 상기 롤러축(108')의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축(112)도 그 양단이 상기 제5매체가이드(114)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5매체가이드(114)도 하나의 어셈블리와 같이 상기 회전축(45)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어 매체가 걸린 것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의 내면 일측에는 구동모터(115)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15)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16)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116)와 치합되게 종동기어(117)가 설치된다. 상기 종동기어(117)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118)에 동심으로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116)와 종동기어(117)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의 외면에 구비된다. 도면부호 119와 119'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스태킹휠(120)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와 엔코더로서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의 외면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3d,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18)에는 스태킹휠(120)이 설치된다. 상기 스태킹휠(120)은 상기 회전축(118)에 의해 회전하면서 매체를 이송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스태킹플레이트(126)상에 매체를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태킹휠(120)은 그 외주면을 따라 접속방향으로 연장되게 다수개의 접선날개(121)가 구비된다. 상기 접선날개(121)의 사이사이에는 매체가 한장씩 삽입되어 스태킹휠(120)의 회전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될 스태킹플레이트(126)로 전달된다.
상기 스태킹휠(120)은, 도 3d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 2개가 한쌍으로 두쌍이 상기 회전축(118)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스태킹휠(120) 쌍 사이의 간격은 매체의 길이에 따라 달리 설계된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의 외면에는 솔레노이드(123)가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23)의 플런저에는 연결링크(124)가, 상기 연결링크(124)에는 구동링크(124')가 연결된다. 상기 구동링크(124')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스태커축(125')을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스태커축(125')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스태커축(125')에는 스태커(125)가 설치된다. 상기 스태커(125)의 일측에는 초기상태에서 수평으로 위치되는 스태킹플레이트(126)가 구비된다. 상기 스태킹플레이트(126)는 상기 스태킹휠(120)의 접선날개(121)에 끼워진 매체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된다. 하지만, 상기 스태킹휠(120)과 스태킹플레이트(126)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도 3d에 설치된 바와 같이, 교대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태킹휠(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던 매체가 상기 스태킹플레이트(126)상에 자연스럽게 세워져 안착된다. 즉, 상기 스태커(125)는 상기 솔레노이드(123)에 의해 회동되면서 스태킹플레이트(126)에 매체를 적층할 수 있는 위치와 매체를 회수할 수 있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태킹플레이트(126)에 세워진 매체를 파지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어셈블리(150)로 전달하는 클램프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사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램프하우징(130)이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은 상기 스태킹휠(120)을 향하는 면이 매체의 면적과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은 아래에서 설명될 하우징구동축(145)에 연결되어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사이에 90°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후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 양단에는 클램프아암(131)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아암(131)은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내외부로 입출가능한 것으로,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아암(131)에는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래크기어부(132)가 구비된다. 상기 래크기어부(132)는 클램프아암(131)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아암(131)의 선단에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클램핑플레이트(133)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핑플레이트(133)는 상기 클램프아암(131)의 선단에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과 평행하게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클램핑플레이트(133)에 대응되는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에는 탄성플레이트(134)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플레이트(134)는 대략 상기 클램핑플레이트(133)와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탄성플레이트(134)는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내부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135)는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상기 탄성플레이트(134)를 지지하여, 상기 탄성플레이트(134)를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플레이트(134)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리브(13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34')는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내부에 전후 방향, 즉 상기 탄성플레이트(134)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플레이트(134)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보스(134b)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34')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보스(134b)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135)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리브(134')의 끝부분에는 상기 탄성부재(135)의 타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차폐판(135')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플레이트(134)의 조립은 상기 차폐판(135')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리브(134')의 끝부분을 통해 그 상하단의 가이드보스(134b)를 조립하고, 상기 탄성부재(135)를 상기 가이드리브(134')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차폐판(135')을 장착하면 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34')와 가이드보스(134b)는 상기 탄성플레이트(134)의 상단과 하단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탄성플레이트(134)의 안정적 이동을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아암구동모터(136)가 구비된다. 상기 아암구동모터(136)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36')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136')와 치합되게 종동기어(137)가 설치된다. 상기 종동기어(137)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어축(138')과 동심으로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양측으로 길게 기어축(138,138')이 구비된다. 상기 기어축(138,138')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클램프아암(131)에 형성된 래크기어부(132)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139)가 설치된다. 상기 기어축(138,138')에 대응되는 단부에 설치된 피니언기어(139)는 서로 치합됨과 동시에 각각 상기 래크기어부(132)에 치합된다. 따라서, 상기 아암구동모터(136)의 구동력은 상기 종동기어(137)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축(138')을 통해 피니언기어(139)로 각각 전달되어 상기 클래프아암(131)의 이동을 만들어 낸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을 90°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의 내측에는, 도 3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모터(14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모터(140)의 모터축(141)에는 구동링크(142)의 일단부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링크(142)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의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링크(142)는 상기 모터축(141)의 회전에 의해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링크(142)의 타단부는 제1연결링크(143)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링크(142)와 제1연결링크(143)는 핀(142p)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링크(143)의 타단부는 제2연결링크(144)와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링크(144)와 제1연결링크(143) 역시 핀(143p)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하지만 상기 제2연결링크(144)의 타단부는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을 관통하여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는 하우징구동축(145)과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은 상기 클램프아암(131)이 상기 스태킹휠(120)을 향하는 방향과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을 향하는 방향 사이에 선택적으로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중 상기 탄성플레이트(134)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댐퍼플레이트(146)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플레이트(146)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각각 양단부가 상기 스태킹휠(120)에 인접하게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댐퍼플레이트(146)는 그 회전중심(146')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게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선단에 설치된다.
상기 댐퍼플레이트(146)는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내부에 설치된 댐퍼솔레노이드(147)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댐퍼솔레노이드(147)와 댐퍼플레이트(14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크(148)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댐퍼솔레노이드(147)의 구동에 의해 상기 댐퍼플레이트(146)는 상기 회전중심(146')을 기준으로 선단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플레이트(146)는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에 밀착되는 위치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킹휠(120)의 접선방향으로 되는 위치에 각각 있게 된다.
다음으로 스태킹이송모듈(5)의 구성을 도 12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은 양단 하부의 장착플랜지(32)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플랜지(12)에 장착된다.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의 양측면에는 간섭회피슬롯(33)이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의 양단에 구비된 장착플랜지(32)에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상단플랜지(12)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35) 및 체결장공(36)이 천공된다. 상기 체결공(35)은 정원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장공(36)은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5)은 상기 장착플랜지(32)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다수개의 체결장공(3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중앙에 체결공(35)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 체결장공(36)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의 장착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트레이프레임(30)에는 홀더어셈블리(15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홀더어셈블리(150)는 상기 스태킹모듈(3)의 클램핑하우징(130)으로부터 다수장의 매체를 한꺼번에 넘겨 받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홀더어셈블리(150)에는 홀더트레이(152)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트레이(152)는, 도 13에서 볼 때,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홀더트레이(152) 상에는 홀더모터(153)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모터(153)의 모터축(153')에는 부싱캠(154)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캠(154)의 일측에는 그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캠부(155)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트레이(152)의 일측에는 한쌍의 상부브라켓(156)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홀더트레이(152)의 상면에 수직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브라켓(156)에는 상부홀더(157)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홀더(157)의 후단부에는 상기 상부브라켓(156)에 각각 대응되게 연결편(158)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편(158)은 상기 상부브라켓(156)과 힌지핀(158')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상부홀더(157)의 선단에는 마찰부재(159)가 구비되는데,상기 마찰부재(159)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상부홀더(157)의 양단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마찰부재축(159')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부홀더(157)는 다수장으로 적층된 매체의 중앙 부분을 잡는 것으로, 그 폭이 그 길이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매체의 폭보다도 작게 형성된다.
상기 홀더트레이(152)에는 상기 상부브라켓(156)과 반대방향으로 하부브라켓(160)이 한쌍 형성된다. 상기 하부브라켓(160)에는 하부홀더(161)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홀더(161)의 후단부에는 연결편(162)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편(162)이 상기 하부브라켓(160)과 각각 힌지핀(16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하부홀더(161)의 선단에는 마찰부재(163)가 구비된다. 상기 마찰부재(163)는 상기 상부홀더(157)의 마찰부재(159)와 함께 각각 매체에 접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홀더(161)의 연결편(162)중 상기 하부브라켓(160)과 연결되는 힌지핀(162')의 반대쪽 부분에는 핀(165p)으로 연결링크(165)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165)의 타단부는 상기 상부홀더(157)의 연결편(158)과 핀(165p)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링크(165)는 상기 상부홀더(157)의 연결편(158)과 하부홀더(161)의 연결편(162)을 연결함에 의해 상부홀더(157)의 선단과 하부홀더(161)의 선단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분리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동작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브라켓(156)의 후단부는 힌지핀(158')에 설치된 탄성부재(166)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상기 상부브라켓(156)은 항상 그 선단이 상기 하부브라켓(161)의 선단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따라서, 상부홀더(157)의 선단이 하부홀더(161)의 선단에서 분리된 상태로 되려면, 상기 부싱캠(154)의 캠부(155)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66)의 탄성력을 극복하여야 한다. 상기 탄성부재(166)는 그 일단부가 상기 상부홀더(157)의 후단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홀더트레이(152)의 일측에 지지된다.
상기 홀더트레이(152)에는 상기 상부홀더(157)에 돌출되어 형성된 감지편(158t)을 감지하여 상기 홀더(157,161)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센서(168)가 센서브라켓(167)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홀더어셈블리(15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의 내면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모터(170)가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모터(17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72)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172)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의 외면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172)와 치합되게 종동기어(173)가 설치된다. 상기 종동기어(173)는 풀리축(174')과 동축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풀리축(174')에는 구동풀리(17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풀리(174)에는 타이밍벨트(175)가 걸어감아진다. 상기 타이밍벨트(175)는 또한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의 일측면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단부풀리(176)에 걸어감아진다. 상기 타이밍벨트(175)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트레이모터(170) 반대쪽에 있는 타이밍벨트(175)로는 일측 단부풀리(176)가 설치되는 단부풀리축(176')을 통해 반대쪽 타이밍벨트(175)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벨트(175)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풀리(178)가 구비된다. 상기 텐션풀리(178)는 상기 구동풀리(174)의 양단에 구비되어 구동풀리(174)에 걸어감아진 양단의 타이밍벨트(175)부분과 접촉된다.
상기 텐션풀리(178)는 별도의 풀리브라켓(179)에 설치되고, 상기 풀리브라켓(179)이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에 장착된다. 상기 풀리브라켓(179)에는 조절장공(179')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풀리브라켓(179)을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에 장착하는 체결나사(179c)가 상기 조절장공(179')의 어느 위치를 관통하는 가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10) 상에서의 위치가 조절되어 타이밍벨트(175)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의 양단 내측에는 사이드레일(180)이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레일(180)은 상기 간섭회피슬롯(33)을 따라 간섭회피슬롯(33)의 상단에 길게 구비되는 가이드채널(3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레일(180)의 상하단에는 각각 볼베어링(181)이 그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홀더트레이(152)의 양단에는 상기 사이드레일(18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브라켓(185)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185)에는 상기 사이드레일(180)내에 안착되어 이동가능한 가이더(187)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트레이(152)에는 상기 간섭회피슬롯(33)을 관통하여 트레이프레임(3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벨트브라켓(188)이 형성된다. 상기 벨트브라켓(188)은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벨트홀더(190)가 체결된다. 상기 벨트브라켓(188)과 상기 벨트홀더(190)의 사이에는 상기 타이밍벨트(175)가 위치되고, 상기 벨트홀더(190)와 벨트브라켓(188)은 체결나사(192)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벨트홀더(190)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감지편(193)이 형성된다. 상기 감지편(193)은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의 측면을 따라 구비되는 다수개의 센서(195)에 의해 그 위치가 감지된다. 상기 센서(195)는 총 4개가 구비되는데, 상기 홀더트레이(152)의 초기위치, 매체의 홀딩위치, 방출구에 근접한 위치 및 방출구에 홀더트레이(152)가 도착한 위치 등을 감지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197은 매체지지가이드로 상기 상부홀더(167)와 하부홀더(161)가 매체를 홀딩한 상태로 이동될 때, 매체의 양단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매체지지가이드(197)는 상기 홀더어셈블리(150)가 이동되는 경로의 양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상면 양단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하우징 구동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매체자동지급기에 장착된 매체카세트에서 한장 씩 분리된 매체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 상기 딜리버리모듈(1)로 이송된다. 상기 매체는 딜리버리모듈(1)에서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은 상기 구동풀리(42), 구동벨트(43), 회전축(45), 종동풀리(47), 연결풀리(48), 연결벨트(49), 종동풀리(50), 회전축(51), 구동기어(53), 종동기어(56) 및 회전축(55), 롤러(58)를 통해 이송벨트(6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매체는 상기 이송벨트(6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매체가이드(68,69)의 사이를 통해 이송된다. 특히, 상기 이송벨트(60)와 롤러(53,58,63,64,65)의 사이를 통하여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매체가이드(68)와 제2매체가이드(69)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검지베어링(95)과 검지롤러(99)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매체의 두께가 검지된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96)에 의해 상기 검지롤러(99)에 밀착되어 있는 검지베어링(95)이 매체의 통과에 의해 상기 검지롤러(99)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홀더(93)가 상기 토션스프링(9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회전중심(93')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차폐판(97)이 상기 베어링홀더(93)와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양측의 수광창(91w)을 가리는 면적이 달라진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90s)에서 발광된 광이 상기 수광부(90s')로 상기 수광창(91w)을 통해 전달되는 양이 달라진다. 이와 같이 수광부(90s')에서 수광되는 광량의 차이를 검지하여 매체의 두께를 검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기 매체의 양단에 대응되게 2곳에 구비된다. 따라서, 좌우측의 두께가 다른 매체의 경우에도 보다 정확하게 이송되는 매체의 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매체에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검지베어링(95)과 검지롤러(99)에 의해 2장이 한꺼번에 이송되는 매체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63,64)사이를 통과한 매체는 상기 회전축(45)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77)와 롤러(78)사이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77)와 롤러(78) 사이를 통과한 직후에는 상기 다이버터(80)에 의해 이송경로가 정해진다. 즉, 상기 검지베어링(95)과 검지롤러(99)에서 검지된 데이터를 기초로 매체 2장이 한꺼번에 이송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솔레노이드(81)가 작동되어 상기 다이버터(80)가, 도 19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세워진다.
상기와 같이 되면, 매체는 상기 다이버터(80)의 선단하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제 3매체가이드(85)와 제5매체가이드(114)의 사이에 형성된 경로를 통해 회수된다. 즉, 상기 회수벨트(106)와 롤러(109,110)에 의해 이송되어, 도 17의 화살표 A방향으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정상적으로 한장의 매체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버터(80)의 상면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롤러(104)와 롤러(102)의 사이를 통과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딜리버리모듈(1)에서 매체가 이송될 때, 상기 제1 및 제2매체가이드(68,69)의 사이에서 잼이 발생하면, 상기 록커(70)와 록커핀(75)사이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제1매체가이드(68)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상기 회전축(5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4기준)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와 같은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매체가이드(68)와 제2매체가이드(69) 사이의 간격이 커져 걸린 매체를 쉽게 꺼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4매체가이드(87)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회전축(78')을 중심으로, 제5매체가이드(114)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회전축(45)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시키면 각각 제3 및 제4 매체가이드(85,87)사이 및 제3 및 제5매체가이드(85,114)사이에 걸린 매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매체가이드(85,87)사이를 통과한 매체는 상기 스태킹휠(120)의 접선날개(121)사이에 끼워져, 상기 접선날개(12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스태킹휠(120)은 상기 구동모터(115)의 구동에 의해 구동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115)의 구동력이 구동기어(116), 종동기어(117)을 통해 회전축(118)로 전달되고, 상기 회전축(118)에 설치된 스태킹휠(120)이 회전된다.
상기 스태킹휠(120)의 접선날개(121)사이에 끼워져 전달되던 매체는 상기 스태킹휠(120)의 회전과 간섭되지 않게 설치된 스태커(125)의 스태킹플레이트(126)에 걸려 세워진다.
이때, 상기 댐퍼플레이트(146)는 다수장의 매체가 서로 밀착되어 있을 수 있도록 된다. 즉,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킹플레이트(126)에 세워진 매체는 상기 댐퍼플레이트(146)와 스태킹휠(120)의 사이에 경사지게 위치되어 차례로 세워진다.
참고로, 상기 스태킹플레이트(126)에 매체가 안착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클램프아암(131)이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에서 최대로 돌출되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133)가 상기 스태킹플레이트(126)의 선단보다 더 돌출된 상태이다.
상기 스태킹플레이트(126)에 요청된 매수만큼의 매체가 안착되면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은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태킹플레이트(126)에 안착된 매체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133)가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에 구비된 탄성플레이트(134)에 밀착시킨다. 물론, 이때, 상기 댐퍼플레이트(146)는 상기 댐퍼솔레노이드(147)의 구동에 의해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에 밀착된다.
상기 클램핑플레이트(133)의 구동은 상기 아암구동모터(136)의 동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아암구동모터(136)가 구동되면, 구동기어(136'), 종동기어(137), 기어축(138'), 기어축(138')의 피니언기어(139)를 거쳐 상기 기어축(138)의 피니언기어(139)로 전달된다. 상기 피니언기어(139)는 상기 클램프아암(131)의 래크기어부(132)에 치합되어 있어,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내부로 상기 클램프아암(131)을 이동시킨다.
상기 클램프아암(131)이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상기 클램핑플레이트(133)는 매체를 상기 탄성플레이트(134)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플레이트(134)는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 선단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받고 있어, 상기 탄성플레이트(134)가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되면 매체가 탄성플레이트(134)와 클램핑플레이트(133)의 사이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탄성플레이트(134)가 매체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133) 방향으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여, 상기 탄성플레이트(134)와 클램핑플레이트(133)의 사이에 매체가 확실하게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매체를 탄성플레이트(134)와 클램핑플레이트(133)의 사이에 클램핑한 후에는 상기 클램핑하우징(130)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모터(140)는 도 20을 기준으로 항상 반시계방향 회전만을 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모터(140)와 클램핑하우징(130)은 다수개의 링크(142,143,144)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링크(142)는 상기 모터축(141)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링크(144) 또한 상기 하우징구동축(145)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1연결링크(143)가 상기 구동링크(142) 및 제2연결링크(144)와 각각 회동되면서 상기 클램핑하우징(130)의 회전을 만들어낸다. 상기 클램핑하우징(130)은 도 20b의 상태에서 도 20c의 상태 사이에서 정역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매체를 클램핑한 클램핑하우징(130)이 도 20c에 도시된 상태로 되면, 상기 매체는 상기 홀더어셈블리(150)가 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참고로 도 21에는 상기 하우징모터(14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클램프하우징(130)이 정역회전되는 것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1a에서 도 21c까지는 하우징모터(1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1e에서 도 21h까지는 상기 하우징모터(140)는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클램프하우징(130)도 반시계방향 회전을 한다.
한편, 상기 홀더어셈블리(150)는 도 22의 최우측에 위치된 상태가 초기상태이다. 상기 초기상태는 상기 감지편(193)이 상기 센서(193)에 감지됨에 의해 설정된다. 이때에는 상기 상부홀더(157)와 하부홀더(161)의 선단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된 상태이다. 즉, 상기 모터축(153')에 설치된 부싱캠(154)의 캠부(155)가 상기 홀더트레이(152)의 상면을 향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상부홀더(157)와 하부홀더(161)는 탄성부재(166)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이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된다.
하지만, 상기 매체가 상기 클램핑하우징(130)에 의해 상기 홀더어셈블리(150)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면, 상기 홀더어셈블리(150)가 이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된다. 상기 홀더어셈블리(150)의 이송은 상기 트레이모터(170)의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트레이모터(170)의 구동력은 구동기어(172), 종동기어(173), 구동풀리(174)를 통해 타이밍벨트(175)로 전달되고, 상기 타이밍벨트(175)와 벨트홀더(190)를 통해 연결된 상기 홀더트레이(152)가 이동하여 홀더어셈블리(150)의 이동을 만들어 낸다.
일단, 상기 홀더어셈블리(150)는, 도 22에서 우측에서 두번째에 있는 센서(195)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때, 상기 홀더어셈블리(150)의 상부홀더(157)와 하부홀더(161)의 선단은 서로 벌어진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홀더모터(153)의 구동에 의해 상기 부싱캠(154)의 캠부(155)가 상기 상부홀더(157)의 일측을 밀어줌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홀더(157)가 상기 부싱캠(154)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6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힌지핀(158')을 중심으로 선단이 회전하면, 상기 연결편(158)의 일측에 상기 핀(165p)을 통해 연결된 연결링크(165)가 연동되면서 상기 하부홀더(161)가 상기 힌지핀(162')을 중심으로 선단이 회전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상부홀더(157)와 하부홀더(161)의 선단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홀더(157)와 하부홀더(161)의 선단이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홀더어셈블리(150)가 상기 매체의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상부홀더(157)와 하부홀더(161)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모터(153)가 다시 구동되어 상기 부싱캠(154)이 회전되어, 더 이상 상기 캠부(155)가 상기 상부홀더(157)를 밀어주지 않게 되면, 상기 상부홀더(157)와 하부홀더(161)의 선단이 서로 접촉되면서, 매체를 파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찰부재(159)(163)의 사이에 매체가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트레이모터(170)가 다시 구동하여 상기 홀더어셈블리(150)를 이동시키면, 홀더어셈블리(150)는, 도 22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홀더어셈블리(150)의 이동중에 우측에서 3번째의 센서(195)가 상기 감지편(193)을 감지하면,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매체자동지급기의 캐비넷에 구비되어 고객에게 매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가 개방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어셈블리(150)가 계속하여 이동하여 트레이프레임(30)의 최좌측에 있는 센서(195)에 감지되면 상기 트레이모터(170)가 구동을 정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홀더어셈블리(150)의 상부홀더(157)와 하부홀더(161)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매체를 고객이 수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매체는 상기 상부홀더(157)와 하부홀더(161)가 접촉되게 하는 탄성부재(166)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된 상태이어서, 그 부피가 상대적으로 최소로 된다.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면, 상기 홀더어셈블리(150)는 초기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물론, 상기 클램프하우징(130)도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 상태가 되어 다음의 매체를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고객이 상기 홀더어셈블리(150)가 파지한 매체를 수취하지 않게 되면 이를 회수하게 된다. 즉, 상기 홀더어셈블리(150)의 상부홀더(156)와 하부홀더(161)가 파지한 매체를 고객이 가져가지 않게 되면, 상기 홀더어셈블리(150)가 상기 트레이프레임(30)의 초기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이 도 20c의 상태와 같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에서 상기 클램프아암(131)이 돌출되게 하여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과 클램핑플레이트(133)의 사이로 홀더어셈블리(150)의 상부홀더(156)와 하부홀더(161)에 파지된 매체가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클램핑플레이트(133)가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면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클램핑플레이트(133)와 클램프하우징(130)의 탄성플레이트(134)의 사이에 매체가 클램핑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홀더(156)와 하부홀더(161)가 벌어지게 하고 홀더어셈블리(15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은 도 24의 상태로 회전된다. 도 24는 도 20b와 클램프하우징(130)의 상태가 동일하다. 하지만, 도 24에서는 상기 스태커(12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클램핑플레이트(133)와 탄성플레이트(134)의 사이에 밀착되어 있던 매체는 상기 클램핑플레이트(133)가 클램프아암(131)이 상기 클램프하우징(130)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화살표(도 24)방향으로 떨어져 회수함(도시되지 않음)에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플레이트(146)는 댐퍼솔레노이드(147)에 의해 회전중심(14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되어 다음의 매체가 적층되는 것을 대기한다. 물론, 상기 스태커(125)도 초기의 상태로 되어 매체가 집적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클램프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한 하우징모터와 클램프하우징의 하우징회전축이 다수개의 연결링크로 연결되어 하우징모터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클램프하우징이 정역회전하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클램프하우징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하우징에는 클램프아암에 의해 동작되는 클램핑플레이트가 구비되어, 고객이 요청한 매수의 매체를 전달받아 한꺼번에 파지하여 이송시킨다. 따라서, 매체의 취급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특히 매체를 원하는 위치로 보다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특성상 회수함의 위치를 보다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게 되고, 딜리버리모듈에서 불량의 검지되어 회수되는 매체와 고객이 수취하지 않아 회수되는 매체를 한꺼번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하우징에는 클램핑플레이트와 대응되게 탄성플레이트가 구비되어 매체의 양에 상관없이 항상 매체를 확실하게 밀착시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매체를 한꺼번에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동작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램프하우징이 소정 각도 회전하여 스태킹이송모듈로 매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태킹이송모듈의 배치를 보다 자유롭게 하여 매체 이송경로를 보다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방출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일측 제1 및 제2 가이드플레이트의 외면을 보인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요부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타측 제1 및 제2가이드플레이트의 외면을 보인 정면도.
도 3d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e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딜리버리모듈의 요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딜리버리모듈에 구비되는 매체가이드들의 구성과 배치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다이버터의 구동을 위한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매체두께검지기구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 분해사시도.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매체두께검지기구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매체두께검지기구의 요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태킹모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태킹모듈의 스태킹휠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태킹모듈의 클램프하우징과 관련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태킹이송모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태킹이송모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홀더어셈블리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홀더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홀더어셈블리의 이송을 위한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의 딜리버리모듈에서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체의 두께가 검지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다이버터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예의 스태커모듈이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클램프하우징이 하우징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스태킹이송모듈의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홀더어셈블리의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체의 회수를 위한 요부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딜리버리모듈 3: 스태킹모듈
5: 스태킹이송모듈 10,10': 제1가이드플레이트
12: 상단플랜지 20,20': 제2가이드플레이트
30: 트레이프레임 32: 장착플랜지
40: 구동모터 42: 구동풀리
45: 회전축 47: 종동풀리
49: 연결벨트 50: 종동풀리
51: 회전축 53: 롤러
55: 회전축 56: 종동기어
60: 이송벨트 62: 롤러
62': 롤러축 67: 가이드축
70: 록커 72: 걸이공
73: 안내면 77: 롤러
80: 다이버터 81: 솔레노이드
82: 구동링크 84: 연결링크
90: 검지프레임 91: 부품쳄버
93: 베어링홀더 95: 검지베어링
96: 토션스프링 97: 차폐판
99: 검지롤러 99': 검지롤러축
100: 기어열 102: 롤러
102': 회전축 104: 롤러
104': 롤러축 114: 제5매체가이드
120: 스태킹휠 121: 접선날개
123: 솔레노이드 124: 연결링크
125: 스태커 126: 스태킹플레이트
130: 클램프하우징 131: 클램프아암
132: 래크기어부 133: 클램핑플레이트
134: 탄성플레이트 140: 하우징모터
141: 모터축 142: 구동링크
143: 제1연결링크 144: 제2연결링크
145: 하우징구동축 150: 홀더어셈블리
152: 홀더트레이 153: 홀더모터
154: 부싱캠 155: 캠부
157: 상부홀더 161: 하부홀더
165: 연결링크 168: 센서
170: 트레이모터 172: 구동기어
173: 구동기어 175: 타이밍벨트
178: 텐션풀리 180: 사이드레일
181: 레일베어링 190: 벨트홀더
193: 감지편 195: 센서
197: 매체지지가이드

Claims (6)

  1. 클램프하우징과,
    상기 클램프하우징의 전면 양단에 클램프하우징 쪽으로 매체를 전달하는 스태킹휠의 방향으로 입출가능하고, 선단에 클램핑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적어도 2개의 클램프아암과,
    상기 클램프하우징의 전면에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클램프하우징의 전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탄성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아암의 구동을 위해, 상기 클램프하우징의 내부에는 아암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아암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축의 양단에는 각각 피니언기어가 구비되어 클램프아암에 형성된 래크기어부와 치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기어부는 상기 클램프아암의 상단과 하단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래크기어부와 치합되는 피니언은 상기 아암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축의 양단에 각각 복수개가 서로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하우징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의 사이에 하우징구동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클램프하우징의 구동을 위한 구성은,
    일방향 회전되는 하우징모터와,
    상기 하우징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하우징구동축에 체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제2연결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제2연결링크에 양단이 각각 핀으로 연결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한 제1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하우징 전면의 탄성플레이트 사이에는 댐퍼플레이트가 그 일단부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선단이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태커에 세워지는 매체를 스태킹휠 쪽으로 밀어줌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플레이트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클램프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는 위치와 상기 스태킹휠의 접선날개와 평행하게 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KR10-2003-0098252A 2003-12-27 2003-12-27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KR100522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252A KR100522775B1 (ko) 2003-12-27 2003-12-27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252A KR100522775B1 (ko) 2003-12-27 2003-12-27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773A KR20050066773A (ko) 2005-06-30
KR100522775B1 true KR100522775B1 (ko) 2005-10-19

Family

ID=3725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252A KR100522775B1 (ko) 2003-12-27 2003-12-27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7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26B1 (ko) 2009-07-17 2011-03-15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 클램핑장치
KR20200072648A (ko) * 2018-12-12 2020-06-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록킹 구조를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00076833A (ko) * 2018-12-19 2020-06-30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00083809A (ko) * 2018-12-28 2020-07-09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318B1 (ko) * 2005-09-30 2011-09-20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 클램핑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26B1 (ko) 2009-07-17 2011-03-15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 클램핑장치
KR20200072648A (ko) * 2018-12-12 2020-06-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록킹 구조를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157686B1 (ko) 2018-12-12 2020-09-21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록킹 구조를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00076833A (ko) * 2018-12-19 2020-06-30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157699B1 (ko) 2018-12-19 2020-09-21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00083809A (ko) * 2018-12-28 2020-07-09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157697B1 (ko) 2018-12-28 2020-09-21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773A (ko)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864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방출부
KR880700370A (ko) 적재장치
EP1616825B1 (en) Media dispenser
EP1616823B1 (en) Stacking module of media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510531C1 (ru) Банковский автомат
KR100522775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장치
EP1616824B1 (en) Delivery clamp module of media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2277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스태킹이송모듈용 홀더어셈블리
KR10057287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두께검지장치
KR100522774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클램프하우징 구동장치
KR10052277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스태킹이송모듈
KR100572883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스태킹이송모듈
JP3197810B2 (ja) 紙幣処理機
KR100548833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방출제어방법 및 장치
KR101126082B1 (ko)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반송로 오픈유지장치
KR100608090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및 그 제어방법
JPH0671497B2 (ja) 遊技設備
JP2568833Y2 (ja) 紙幣取扱装置
JP4099750B2 (ja) 紙幣一時保留装置
JP3545242B2 (ja) 集積紙幣搬送装置
JP3445182B2 (ja) 紙幣処理機
JPH0734054Y2 (ja) 紙幣搬送回収装置
JPH07200920A (ja) 薄板状物体収納装置
JPH0555414B2 (ko)
JP2006273468A (ja) 紙幣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