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528B1 -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528B1
KR100520528B1 KR10-2003-0039111A KR20030039111A KR100520528B1 KR 100520528 B1 KR100520528 B1 KR 100520528B1 KR 20030039111 A KR20030039111 A KR 20030039111A KR 100520528 B1 KR100520528 B1 KR 100520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menu
wave file
vehicl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208A (ko
Inventor
탁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528B1/ko
Publication of KR2004010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는, 차량에 장착되는 오디오/비디오, 네비게이션, 텔레매틱스 등의 기능들의 메뉴 조작을 위한 메뉴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하는 모든 메뉴를 소리로 나타내는 웨이브 파일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장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의 좌표에 해당하는 값을 상기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찾아서 가지고 오는 CPU장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해당되는 메뉴의 위치를 상기 CPU장치에 알려주는 좌표위치 전달장치와; 상기 웨이브 파일을 재생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 중에 시선을 운전방향에서 떼지 않음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고, 하드버튼과 같은 작동 효과를 터치 스크린에서 적용할 수 있으며, 많은 메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기능을 구현하기 쉽고, 하드버튼의 숫자 감소로 장착해야할 버튼의 숫자가 작아지므로 공정이 축소되는 등 원가 절감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TERMINAL HAVING TOUCH SCREEN FOR VEHICL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디오/네비게이션/텔레매틱스 등의 차량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사용시 음성합성(Text to Speech; 이하, TTS라 함)을 이용한 메뉴조작으로 안전운전에 기여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 내부의 모든 단말기(10)에서의 기능 조작은 하드버튼(hard button)(11)을 통해서 메뉴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 경우에는 운전시 시야를 운전방향에서 떼지 않고 단말기(10)의 조작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차량의 단말기(10) 예컨대, (AV)/네비게이션 (navigation)/텔레매틱스(telematics)가 적용될 경우 조작해야 할 메뉴가 많기 때문에 모든 메뉴를 현재 대부분 적용중인 하드버튼(hard button)(11)으로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향후 차량의 단말기에 단순히 오디오/비디오(또는 TV 포함)의 기능을 넘어서 길 안내와 같은 네비게이션과, 차량에 위치 측정 시스템(GPS)과, 지리 정보 시스템(GIS) 등을 장착하고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교통 정보, 응급 상황 대처, 원격 차량 진단, 인터넷 이용 등 각종 모빌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의 기능이 추가되면서 상기 하드버튼(11)만으로는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 빈도가 높고 꼭 필요한 메뉴는 하드버튼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나머지 메뉴들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기능을 이용해서 메뉴를 조작하는 방법으로 발전할 것이다.
향후 발전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점점 커져감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터치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TFT LCD 5.8인치 터치 스크린이 가능한 장치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에서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단말기를 이용할 경우 다른 장치 조작과는 달리 운전에 방해가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드버튼(11)의 경우 손의 촉각을 통해서 어떠한 기능의 버튼인지를 운전자가 운전을 하면서 시선을 운전방향에서 떼지 않고 알 수 있지만, 터치 스크린의 경우에는 손의 촉각을 이용하는 것이 힘들고 사람의 시각을 이용해야만 조작이 가능하므로 운전 중에 시야를 운전방향이 아닌 딴 곳(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단말기)으로 시선을 옮겨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고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메뉴조작은 제조물 책임법의 사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안전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는, 차량에 장착되는 오디오/비디오, 네비게이션, 텔레매틱스 등의 기능들의 메뉴 조작을 위한 것으로 일정 시간 이상 누를 경우 작동되게 구비된 메뉴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하는 모든 메뉴를 소리로 나타내는 웨이브 파일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장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의 좌표에 해당하는 값을 상기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찾아서 가지고 오는 CPU장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해당되는 메뉴의 위치를 상기 CPU장치에 알려주는 좌표위치 전달장치와; 상기 웨이브 파일을 재생하는 것으로, 상기 웨이브 파일 재생시 상기 CPU장치로부터의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스피커제어장치와, 상기 웨이브 파일을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된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CPU장치는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에 해당되는 메뉴의 웨이브 파일을 가지고 와서 상기 스피커 장치를 통해 소리로 웨이브 파일을 실행시키도록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는, 차량에 장착되는 오디오/비디오(또는 TV 포함), 네비게이션, 텔레매틱스 등의 기능들의 메뉴 조작을 위한 메뉴버튼(21)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스크린(20)과, 이 터치 스크린(20)에서 사용하는 모든 메뉴를 소리로 나타내는 웨이브 파일(wave file)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장치(30)와, 상기 터치 스크린(20)의 좌표에 해당하는 값을 메모리 장치(3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찾아서 가지고 오는 CPU장치(40)와, 상기 터치 스크린(20)에서 해당되는 메뉴의 위치를 CPU장치(40)에 알려주는 좌표위치 전달장치(50)와, 상기 웨이브 파일을 재생하는 스피커 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의 상기 터치 스크린(20)은 라디오가 작동중인 경우의 디스플레이 상황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 스피커 장치(60)에는 웨이브 파일 재생시 CPU장치(40)로부터의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스피커제어장치(61)와, 상기 웨이브 파일을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스크린(20) 위에 디스플레이된 메뉴버튼(21)은 일정 시간 이상 예컨대, 0.5초 이상 누를 경우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즉, 0.5초 이상 누른 경우에 메뉴버튼(21)에 해당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CPU장치(40)는 메모리 장치(30)로부터 터치 스크린(20)에 해당되는 메뉴의 웨이브 파일을 가지고 와서 상기 스피커 장치(60)를 통해 소리로 웨이브 파일을 실행되도록 구비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의 작동방법은, 우선, 차량이 운전중인지 판단한다.(단계 110)
상기 단계 110에서 차량이 운전중인 경우, 이 차량에 장착되고, 메뉴 조작을 위한 메뉴버튼(21)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스크린(20)이 채용된 오디오/비디오, 네비게이션, 또는 텔레매틱스 등의 단말기가 작동중인지 판단한다.(단계 120)
상기 단계 120에서 상기 단말기가 작동중인 경우, 이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20)에서 해당되는 메뉴버튼(21)의 위치를 좌표위치 전달장치(50)를 통해서 CPU장치(40)에 알려준다.(단계 130)
그리고 현재의 터치 스크린(20)의 메뉴버튼(21)의 좌표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의 웨이브 파일을 메모리 장치(3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 CPU장치(40)에 전달한다.(단계 140)
이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웨이브 파일을 이 웨이브 파일을 재생하는 재생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스피커 장치(60)로 알려준다.(단계 150)
또한 상기 CPU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20) 상의 메뉴버튼(21)의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눌러졌다는 것을 감지했을 경우 해당 메뉴버튼(21)의 기능이 실행된다.(단계 160)
한편, 상기 단계 110에서 차량이 운전중이 아닌 경우 즉, 정차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작동은 하드버튼이 구비된 단말기의 작동과 같이 하면 된다. 그 이유는 안전운전을 위해 시야를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20)에 두지 않고 단말기를 작동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운전중일 때 적용하면 그 최적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의 작동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차량 운전중이고, 단말기가 작동되고 있을 때, 라디오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에는 이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라디오의 메뉴버튼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의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손가락으로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20) 위를 접촉하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를 찾는다.(단계 210) 여기서는 라디오를 듣고 있는 중에 주파수를 핫키(hot key)를 통해서 변경하고자 할 때 주파수를 스피커(62)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이어서, 스피커(62)를 통해 메뉴버튼(21)의 소리 예컨대, 88.9MHz라는 소리가 출력된다.(단계 220)
상기 단계 220과 같이 상기 스피커(62)를 통해 찾고자 하는 메뉴버튼(21)의 위치를 알아낸 후, 그 메뉴버튼(21)이 디스플레이된 위치의 터치 스크린(20)을 0.5초 이상 누른다.(단계 230)
그러면 상기한 88.9MHz에 해당되는 방송이 실행된다.(단계 240)
즉, 88.9MHz를 듣고 싶을 경우에 88.9MHz라는 소리가 스피커(62)를 통해서 들리면 현재 손가락의 위치가 88.9MHz 위임으로 터치 스크린(20)을 한번 더 누르면 라디오가 88.9MHz를 들려준다.
이와 같이 라디오를 수신하는 실시예와 같이 단말기를 통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는 전화기의 메뉴버튼(21)이 터치 스크린(2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의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20)의 위를 접촉하면서 누르고자 하는 번호 예컨대, 7을 찾는다. 이어서, 해당되는 번호 7이 스피커(62)를 통해서 출력되어 7이라는 번호를 소리로 운전자가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 0.5초 이상 7이라는 번호를 눌러 실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화번호를 다 누르고 나면 통화버튼을 눌러 통화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문자를 스피커(62)를 통해서 소리로 전달하는 TTS를 본 발명에 적용하면 운전자가 시야를 운전방향에서 떼지 않고 손가락을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20)에 접촉하면 접촉된 부분의 메뉴를 스피커(62)를 통해서 알려준다. 즉, 손가락을 디스플레이장치인 터치 스크린(20) 위에서 움직이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버튼(21)을 스피커(62)를 통해 소리로써 찾게 되고 이때, 그 메뉴를 한번 더 터치하게 되면 해당되는 메뉴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단말기에서 꼭 필요한 메뉴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드버튼(22)으로 하고, 나머지 부분은 터치 스크린(20)의 소프트한 메뉴버튼(21)을 사용함으로 필요한 기능인 하드버튼(22)의 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운전자는 하드버튼(22)의 기능을 인식하기가 쉽다.
즉, 상기 하드버튼(22)이 너무 많으면 시각을 통해서 조작을 해야 하나 하드버튼(22)의 숫자가 적으면 시각을 이용하지 않고 손의 촉각을 통해서도 조작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드버튼(22)의 숫자 감소로 사용하고자 하는 부품의 숫자가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운전 중에 시선을 운전방향에서 떼지 않음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고, 하드버튼과 같은 작동 효과를 터치 스크린에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메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기능을 구현하기 쉽다.
또한 하드버튼의 숫자 감소로 장착해야할 버튼의 숫자가 작아지므로 공정이 축소되는 등 원가 절감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의 작동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순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의 작동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도 2의 단말기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터치 스크린
21. 메뉴버튼
30. 메모리 장치
40. CPU장치
50. 좌표위치 전달장치
60. 스피커 장치

Claims (5)

  1. 차량에 장착되는 오디오/비디오, 네비게이션, 텔레매틱스 등의 기능들의 메뉴 조작을 위한 것으로 일정 시간 이상 누를 경우 작동되게 구비된 메뉴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하는 모든 메뉴를 소리로 나타내는 웨이브 파일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장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의 좌표에 해당하는 값을 상기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찾아서 가지고 오는 CPU장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해당되는 메뉴의 위치를 상기 CPU장치에 알려주는 좌표위치 전달장치와;
    상기 웨이브 파일을 재생하는 것으로, 상기 웨이브 파일 재생시 상기 CPU장치로부터의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스피커제어장치와, 상기 웨이브 파일을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된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CPU장치는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에 해당되는 메뉴의 웨이브 파일을 가지고 와서 상기 스피커 장치를 통해 소리로 웨이브 파일을 실행시키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3-0039111A 2003-06-17 2003-06-17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 KR100520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111A KR100520528B1 (ko) 2003-06-17 2003-06-17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111A KR100520528B1 (ko) 2003-06-17 2003-06-17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208A KR20040108208A (ko) 2004-12-23
KR100520528B1 true KR100520528B1 (ko) 2005-10-11

Family

ID=3738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111A KR100520528B1 (ko) 2003-06-17 2003-06-17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942B1 (ko) * 2006-09-06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단말기
DE102007023290A1 (de) * 2007-05-16 2008-11-20 Volkswagen Ag Multifunktions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ultifunktions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mit verbesserter Auswahlbedienung
KR101459447B1 (ko) 2013-03-27 2014-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항목 선택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208A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9146B2 (en) Input device with plurality of touch pads for vehicles
KR100907974B1 (ko) 전자 장치에 캐릭터를 입력하는 방법
US20170185263A1 (en) Vehicular appl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nd terminal
US201002629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remote control inputs
KR10071036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US9313311B2 (en) Method for using a communication system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nd prioritizing the mobile devices, communication system, and use thereof
US20120322507A1 (en) Display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 system
JP4918179B2 (ja) 車載情報装置
CN107436680A (zh) 用于切换车载设备的应用模式的方法和设备
JPH0918566A (ja) 電話機
KR100520528B1 (ko)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
JP4119264B2 (ja) 車載機器
WO2014112095A1 (ja) 情報表示制御装置
JP6112554B2 (ja) 電子機器
KR100835962B1 (ko) 단말기의 입력신호 제어 방법
JP2012149998A (ja) 車載機器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車載機器及び携帯端末
KR200429347Y1 (ko) 진동으로 터치감을 구현한 개인용 단말기
CN110884556A (zh) 方向盘及汽车操作系统
KR100434460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문자 디스플레이 방법
US20020184540A1 (en) Power on/off strategy for in-vehicle multimedia devices using a single power switch
JP2004317548A (ja) 携帯端末
JP6509077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8004545A (ja) 車載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JP2002023907A (ja) 少なくとも1つのアプリケーションデバイスを有する電気/電子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KR20080109321A (ko) 모바일 단말기의 음성인식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