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942B1 - 멀티미디어 단말기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942B1
KR100811942B1 KR1020060085608A KR20060085608A KR100811942B1 KR 100811942 B1 KR100811942 B1 KR 100811942B1 KR 1020060085608 A KR1020060085608 A KR 1020060085608A KR 20060085608 A KR20060085608 A KR 20060085608A KR 100811942 B1 KR100811942 B1 KR 100811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election button
multimedia terminal
driv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기능의 선택 및 동작의 입력을 위한 다수개의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상기 선택 버튼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캠과, 상기 캠을 회동시키기 위한 전동기와, 자동차의 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자동차 주행 시 상기 캠을 회동시켜 캠의 일단이 상기 선택 버튼의 후면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선택 버튼의 눌림을 방지함으로써 사용불가에 대한 경고 문구 팝업창에 의해 자동차의 운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텔레매틱스, 눌림 방지, 경고 문구, 팝업창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단말기{Multimedia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사용불가에 대한 경고 문구 팝업창이 표시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선택 버튼 눌림 방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택 버튼과 캠의 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선택 버튼 눌림 방지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멀티미디어 단말기 110 : 디스플레이 패널
120 : 선택 버튼 130 : 캠
140 : 전동기 150 : 전동수단
160 : 제어수단 170 : 피니언기어
180 : 속도센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주행 중 일부 선택 버튼의 사용을 자동으로 제한하는 구조가 마련된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통신(Telecommunication)과 정보과학(Informatics)의 합성어로, 차량, 항공기 및 선박 등 교통수단 내에서 무선인터넷을 통해 각종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이다.
이러한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기능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자동 항법 기술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시스템이다. 또한,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기능 중에는 운행 중인 자동차의 고장을 서비스 센터에서 원격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진단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긴급 구난 지원 기능 및 교통정보와 생활정보 등의 각종 콘텐츠 검색 기능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카세트테이프, CD, DVD 및 MP3 등의 다양한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라디오 및 TV등의 공중파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시키는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단말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 선택 및 동작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인 다수개의 선택 버튼(12, 14, 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10)의 중앙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8)이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텔레매틱스 정보 센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인공위성 위치표시 시스템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표시 모듈 및 오디오/비디오 장비의 구동을 위한 오디오/비디오 모듈 등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선택 버튼(12, 14, 16) 중 DVD, TV, Phone, Internet, Info 버튼은 사용자 규제조건에 의해 자동차 주행 중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정차된 상태에서만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만약, 자동차 주행 중 상기 선택 버튼(DVD, TV, Phone, Internet, Info 버튼)을 조작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불가에 대한 경고 문구 팝업창(20)이 약 5초 정도 표시된 후 이전 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사용불가에 대한 경고 문구 팝업창(20)은 사용하던 기능의 창 위에 표시되는 바, 그로 인하여 사용하던 기능의 창이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 운행 중 내비게이션을 기능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8)에 지도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DVD, TV, Phone, Internet, Info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8)에 표시된 지도 위에 사용불가에 대한 경고 문구 팝업창(20)이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팝업창 때문에 지도가 가려져 자동차 운행에 방해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 주행 중 일부 선택 버튼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사용불가에 대한 경고 문구 팝업창에 의해 자동차의 운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주행 여부에 따라 선택 버튼의 동작이 자동으로 제한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기능의 선택 및 동작의 입력을 위한 다수개의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상기 선택 버튼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캠과, 상기 캠을 회동시키기 위한 전동기와, 자동차의 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자동차 주행 시 상기 캠을 회동시켜 캠의 일단이 상기 선택 버튼의 후면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선택 버튼의 눌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전동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캠으로 전달하는 전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중 공지된 구성 및 그 구성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단말기(100)는 종래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도 1의 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전면 중앙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외측에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의 선택 및 동작의 입력을 위한 다수개의 선택 버튼(120a ~ 120h), 즉 Navigation(Navi, 120a), Phone(120b), Mozen(120c), Internet(120d), Information(Info, 120e), FM/AM 라디오(FM/AM, 120f), DVD(120g), TV 버튼(120h)이 배치된다. 또한, 그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텔레매틱스 정보 센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인공위성 위치표시 시스템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표시 모듈 및 오디오/비디오 장비의 구동을 위한 오디오/비디오 모듈 등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선택 버튼(120a ~ 120h) 중 일부 선택 버튼, 즉 Phone(120b), Internet(120d), Information(Info, 120e), FM/AM 라디오(FM/AM, 120f), DVD(120g), TV 버튼(120h)은 자동차의 안전운행을 위한 사용자 규제조건에 의하여 자동차 주행 중에는 사용이 제한되며 정차된 상태에서만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규제조건에 부합되도록 선택 버튼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선택 버튼 눌림 방지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선택 버튼 눌림 방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택 버튼과 캠의 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도면부호 중 120L은 자동차 주행 중 사용이 제한된 선택 버튼이고, 120S 사용이 제한되지 아니한 선택 버튼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선택 버튼 눌림 방지 구조는, 자동차 주행 중 사용이 제한되는 선택 버튼(120L)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캠(130)과, 상기 캠(130)을 회동시키기 위한 전동기(電動機, 140)와, 상기 전동기(140)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캠(130)으로 전달하는 전동(傳動)수단(150)과, 자동차의 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기(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상기 선택 버튼(120L), 즉 자동차 주행 중 사용이 제한되는 선택 버튼(120L)은 그 하부에 선택 버튼(120L)의 하면과 후면으로 개방된 소정의 공간(122)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122)에 캠(130)이 위치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공간(122)을 마련하여 그 내부에 캠(130)을 위치시킨 이유는 자동차가 주행하지 아니할 경우 상기 선택 버튼(120L)의 작동이 캠(130)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도 3의 10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방지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상기 캠(130)은 자동차 주행 시 회동하여 자동차 주행 중 사용이 제한되는 상기 선택 버튼(120L)의 눌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 형상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한 쌍의 원호와 이에 접하는 직선을 포함하는 접선 캠(Tangent Cam)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회전 중심은 직경이 큰 원호의 중심과 동일한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캠(130)의 큰 원호 측 하면에는 캠(130)과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는 종동기어(132)가 마련되는데, 상기 캠(13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동기(160) 구동 시 캠(13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종동기어(132)가 상기 캠(130)의 하면에 형성되도록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필요에 따라 캠(13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동기(140)는 전원 인가 시 구동되는 일반적인 전동기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전동기(14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42)가 결합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160)과 연결되어 제어수단(160)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42)의 구동 및 회전 방향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동수단(150)은 상기 캠(130)과 전동기(140) 사이에 마련되어 전동기(140) 구동 시 상기 복수의 캠(130)을 동시에 회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전동수단(1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면에 복수의 기어(152)가 일렬로 마련된 랙(Lack)기어로, 그 일단은 상기 전동기(140)에 결합된 구동기어(142)와 치합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캠(130)에 마련된 종동기어(132)와 치합된다.
여기서 상기 전동기(140)에 결합된 구동기어(142)와 전동수단(150) 사이에는 상기 구동기어(142)보다 큰 직경의 피니언(Pinion)기어(170)가 치합되는데, 상기 피니언기어(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기어(14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전동기(140)의 회전수를 낮춰 전동수단(150)이 천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1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기(1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주행 여부는 속도센서(180)를 이용하여 감지하게 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속도센서(180)는 자동차 주행 시에만 소정의 시그널 펄스를 송출하는 바, 상기 제어수단(160)은 이 시그널 펄스의 송출 유무를 감지하여 자동차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단말기(100)의 선택 버튼 눌림 방지 과정을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자동차가 정차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캠(130)이 전동수단(15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회동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캠(130)은 선택 버튼(120L)의 이동을 간섭하지 아니하므로 선택 버튼이 눌리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 자동차가 주행하게 되면 상기 속도센서(180)는 시그널 펄스를 송출하고, 상기 제어수단(160)은 이 시그널 펄스를 감지하여 상기 전동기에 역회전 전압을 인가한다. 역회전 전압이 인가된 상기 전동기(160)는 그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14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상기 구동기어(142)와 치합된 피니언기어(17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동수단(150)을 도면 상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캠(130)에 마련된 종동기어(1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캠(130)은 상기 전동수단(150)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된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132)에 의해 회전된 캠(130)은 작은 원호의 외주면이 상기 선택 버튼의 공간(도 5의 122) 전방 벽면(도 5의 124)에 접촉되어 선택 버튼(120L)을 눌러도 해당 기능이 수행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구성 및 선택 버튼 눌림 방지 과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상술한 제어수단 및 그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기와 캠에 의해 선택 버튼의 사용을 제한하는 바, 자동차 주행 중 선택 버튼에 외력이 인가되어도 눌림이 방지되어 사용불가에 대한 경고 문구 팝업창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자동차의 안전 운행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택 버튼의 눌림 방지 구조는 자동차의 속도센서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자동차의 주행 여부에 따라 선택 버튼의 눌림 방지 기능이 자동으로 작동되는 바, 운전자가 운행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Claims (7)

  1. 여러 가지 기능의 선택 및 동작의 입력을 위한 다수개의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선택 버튼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캠;
    상기 캠을 회동시키기 위한 전동기;
    자동차의 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자동차 주행 시 상기 캠을 회동시켜 캠의 일단이 상기 선택 버튼의 후면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선택 버튼의 눌림을 방지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캠으로 전달하는 전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은 랙(Lack)기어이고, 상기 전동기 및 캠에는 상기 랙기어에 치합 가능한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캠은 다수개의 선택 버튼마다 마련 가능하되, 모두 상기 랙기어에 의해 회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의 구동기어와 상기 랙기어 사이에는 구동기어보다 직경이 큰 피니언(Pinion)기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버튼의 하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상기 캠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여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
KR1020060085608A 2006-09-06 2006-09-06 멀티미디어 단말기 KR10081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608A KR100811942B1 (ko) 2006-09-06 2006-09-06 멀티미디어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608A KR100811942B1 (ko) 2006-09-06 2006-09-06 멀티미디어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942B1 true KR100811942B1 (ko) 2008-03-10

Family

ID=3939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608A KR100811942B1 (ko) 2006-09-06 2006-09-06 멀티미디어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9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208A (ko) * 2003-06-17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 및 그 작동방법
KR20050076513A (ko) * 2004-01-20 2005-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텔레매틱스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208A (ko) * 2003-06-17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 및 그 작동방법
KR20050076513A (ko) * 2004-01-20 2005-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텔레매틱스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4330B1 (en) Apparatus for vehicle
US9303755B2 (en) Pop-up type electronic auto shift lever
US2007000818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110263293A1 (en) Mobile device interface for use in a vehicle
KR20160039649A (ko) 자동 조정장치가 활성화되는 동안에 차량 내의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US10416665B2 (en) Vehicle remote control method, and vehic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9573469B2 (en) Mechanically reconfigurable instrument cluster
CN106184058A (zh) 终端、具有该终端的车辆和控制该车辆的方法
JP2011131833A (ja) 自動車における車載機器の操作装置
EP1245449A2 (en) In-vehicle display apparatus
JP4725259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US8989937B2 (en) Emergency stee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N106799990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KR100811942B1 (ko) 멀티미디어 단말기
JP2007076381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JP2005115822A (ja) 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
JP2015132905A (ja) 電子システム、検出範囲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34671A (ko)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092391A1 (en)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8528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ES2918449T3 (es) Visualizaciones situacionales
EP1742020A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11241964B2 (en) Input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11865919B2 (en) Vehicle display device
KR100523571B1 (ko) 텔레매틱스의 메뉴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