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328B1 -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328B1
KR100520328B1 KR10-2003-0025095A KR20030025095A KR100520328B1 KR 100520328 B1 KR100520328 B1 KR 100520328B1 KR 20030025095 A KR20030025095 A KR 20030025095A KR 100520328 B1 KR100520328 B1 KR 100520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ail
post office
audio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1298A (ko
Inventor
김상덕
Original Assignee
김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덕 filed Critical 김상덕
Priority to KR10-2003-0025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3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1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편 수신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 또는 전용선으로 이루어진 통신 수단을 이용한 우편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가 주소지에 부재중 일 경우 송달되지 못한 우편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과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수단을 갖추고 있고, 인터넷 또는 전용선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우체국 시스템과 ; 상기 우체국 시스템의 통신 시스템과 연계되는 통신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각 우체국 시스템에 관련된 정보를 갖는 우체국 데이터 베이스와, 서비스 이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갖고 있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우체국에서 보관하고 있는 송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우편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우편물 데이터 베이스와, 우체국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보관된 우편물에 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전송하고 이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재 전송된 우편물의 처리에 관한 정보를 우체국에 전송하고 이를 관리하는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 운영자 시스템 및 ; 상기 운영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우편물의 접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 이용자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용자가 운영자시스템에 접속하여 우편 수신 관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하고 서비스 이용 비용을 결재하며, 주소지에 부재중임을 통지하는 단계와 ; 운영자 시스템에서는 이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이용자 부재 신호를 우체국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 운영자 시스템에서 전송된 이용자 부재 신호를 우체국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해당 이용자에게 송달되는 우편물의 접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 해당 이용자에게 우편물의 접수되면 이를 운영자시스템에 알리고 운영자 시스템에서는 이용자에게 접수된 우편물을 현 거주지로의 송달받을 것인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 이용자가 현 거주지로 송달받기를 원하면 송달받을 현거주지 주소를 확인하여 우체국시스템에 전송하여 우편물을 송달하는 단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post receiving}
본 발명은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자 즉, 우편물 수취인(이하, '이용자'라 칭함)은 소정 시간 동안 우편물 주소지에 거주하고 있지 않을 때 이를 유,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우체국에 통보하여 부재중임을 알리고, 우체국에서는 신고된 이용자의 우편물을 송달하지 않고 보관함과 동시에 우편물의 수신 상황을 해당 이용자에게 유, 무선으로 알리고 이용자가 수취할 수 있는 주소지로 우편물을 송달함으로서 우체국은 불필요한 우편물의 송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이용자는 보다 빠른 시간 안에 우편물을 원하는 주소지에서 송달 받을 수 있게 한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 환경이 다 변화됨에 따라 주소지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으나 출장 등의 이유로 거주하는 지역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통신 수단의 발달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소식을 주고받는 수단 및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수단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러한 통신 수단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 기존의 오프라인(off-line)을 통한 물리적인 우편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송달되는 것이 어떠한 정보가 아닌 물품일 경우 반드시 오프라인을 통해 전달될 수밖에 없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수취인이 어떠한 목적 또는 이유로 부재중일 경우에는 우편물을 수취할 수 없어 이용자에게 반송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우체국에서는 수 차례 다시 방문하여 수취인의 부재를 확인하여야 함으로 인적 시간적인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이용자가 주소지에 부재중일 때에는 이를 우체국에 통보하여 부재중임을 알리고 우체국에서는 부재중인 이용자에게 전달할 우편물을 접수하였을 때 이를 소정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확인시키고 이용자가 현재 거주하고 있는 거주지로 우편물을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서 우체국은 불필요한 우편물의 송달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이용자는 보다 빠른 시간 안에 우편물을 원하는 주소지에서 송달 받을 수 있게 한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또는 전용선으로 이루어진 통신 수단을 이용한 우편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가 주소지에 부재중 일 경우 송달되지 못한 우편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과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수단을 갖추고 있고, 인터넷 또는 전용선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우체국 시스템과 ;
상기 우체국 시스템의 통신 시스템과 연계되는 통신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각 우체국 시스템에 관련된 정보를 갖는 우체국 데이터 베이스와, 서비스 이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갖고 있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우체국에서 보관하고 있는 송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우편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우편물 데이터 베이스와, 우체국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보관된 우편물에 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전송하고 이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재 전송된 우편물의 처리에 관한 정보를 우체국에 전송하고 이를 관리하는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 운영자 시스템 및 ;
상기 운영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우편물의 접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 이용자 시스템을 포함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또는 전용선으로 이루어진 통신 수단을 이용한 우편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가 운영자시스템에 접속하여 우편 수신 관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하고 서비스 이용 비용을 결재하며, 주소지에 부재중임을 통지하는 단계와 ;
운영자 시스템에서는 이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이용자 부재 신호를 우체국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
운영자 시스템에서 전송된 이용자 부재 신호를 우체국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해당 이용자에게 송달되는 우편물의 접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
해당 이용자에게 우편물의 접수되면 이를 운영자시스템에 알리고 운영자 시스템에서는 이용자에게 접수된 우편물을 현 거주지로의 송달받을 것인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
이용자가 현 거주지로 송달받기를 원하면 송달받을 현 거주지의 주소를 확인하여 우체국시스템에 전송하여 우편물을 송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수취인단말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시스템에 구성된 우체국DB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시스템에 구성된 이용자DB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서 운영자시스템에 구성된 우편물DB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지털 셋탑 박스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은 운영자시스템(100), 이용자시스템(200) 및 우체국시스템(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시스템은 인터넷 또는 전용선 등의 통신 수단으로 연계되어 있다.
상기 운영자 시스템(100)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용자시스템(200) 및 우체국시스템(300)과 온라인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우체국시스템(300)과 같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운영자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베이스를 갖고 있으며, 소정의 통신 시스템(150)에 의해 이용자시스템(200)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운영자 시스템(100)에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에는 우체국 데이터 베이스(110)와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120), 우편물 데이터 베이스(130) 및 관리 데이터 베이스(14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우체국 데이터 베이스(110)는 각 우체국을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체국의 명칭, 우체국의 주소, 구체국 이메일, 우체국 관할 지역 등과 관련된 정보를 갖고 있다.
상기 운영자 시스템(100)의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120)는 운영자 시스템에 유, 무선으로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하고 이를 허락 받은 개인 또는 단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의 성명 또는 명칭,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법인번호(사업자 번호), 이용자의 우편물 폐기 인증 코드, 카드 번호, 카드 적립내역, 전화 번호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된 우편물 폐기 인증 코드는 이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때 이용자에게 송달되는 우편물들 중 이용자가 송달받지 않기를 원하는 우편물(예를 들면, 무작위로 전달되는 광고 전단 등)의 송달을 원하지 않고 우체국에서 폐기하기를 원할 경우 이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후 운영자 시스템의 인증 요청에 의해 이용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여야 하며, 이 입력된 인증 코드와 비교되어 인증 사실을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우편물 데이터 베이스(130)는 각 우체국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되는 이용자의 우편물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로서 해당 우편물의 수취인 즉, 우편물을 수령할 이용자와, 우편물을 발송한 발송인의 성명 또는 명칭, 우편물의 종류, 기재된 수취인의 주소, 우편물의 처리 결과 등의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상기 우체국 데이터 베이스(110)와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120) 및 우편물 데이터 베이스(130)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리 데이터 베이스(1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관리 데이터 베이스(140)는 운영자 시스템에서 이용자 또는 우체국에 제공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120)로부터 호출되는 우편물 폐기 인증 코드의 사용 등을 관리한다.
상기 운영자시스템(100)은 우체국 시스템(300)과 인터넷이나 전용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나, 상기에서 기술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체국 시스템(300)의 일부로 일체화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운영자 시스템(100)을 우체국 시스템(300)과 일체로 구성할 경우에는 운영자 시스템(100)이 구성된 우체국 시스템(300)은 중앙 우체국으로서의 역할을 하게되고, 우체국시스템(300)과의 접속은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용자시스템(200)은 운영자 시스템(100)의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우편물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우편물의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용자시스템(200)에 구비된 통신 수단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모뎀이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210),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VDSL에 접속된 디지털셋탑박스(230)를 구비한 텔레비전(220)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수단 중 통신용 컴퓨터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우편물 수신정보를 확인하고 처리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문자 정송 또는 이메일 전송 방법과 동일 유사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용자에게 송달된 폐기물을 폐기 처리할 것을 운영자 시스템(100)에 요청할 경우에는 이용자가 우편물 폐기 인증 코드를 입력하여 확인 절차를 걸쳐야 한다.
상기 이용자시스템(200)에 구비된 통신 수단 중 VDSL에 접속된 디지털셋탑박스(230)를 구비한 텔레비전(220)을 이용하여 우편물 수신 관리 정보를 확인할 경우 전송되는 데이터를 텔레비전(220)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 방법의 다양화를 위해 텔레비전(220)은 주 표시창과 부 표시창를 갖는다.
상기 부 표시창은 주 표시창에 겹쳐지게 주 표시창의 일부에 자막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전체 화면에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도 10a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시스템에 구성된 텔레비전 화면의 구성의 서로 다른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텔레비젼에 표시되는 우편물 수신 관리와 관련된 정보의 일측에는 이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였음을 운영자 시스템에 알릴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이 수단으로는 수신 확인을 알리는 숫자나 문자를 선정하고 이용자가 그 숫자나 문자를 리모콘이나 텔레비젼의 버튼을 클릭함으로서 확인 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텔레비전(220)에 설치된 디지털 셋탑 박스(230)는 운영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정보 예를 들면 영상, 음향 또는 내용증명 우편물의 송달 결과에 대한 정보 등을 텔레비전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서 카드 리더 기능을 갖거나 신용카드의 기능을 내장할 수 있으며, 고유의 번호를 보유하고 있어 하나의 결재 수단이 될 수 있으며, 텔레비전(220)을 온/오프시키고 채널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텔레비전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셋탑 박스(230)에는 신용카드의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이용자시스템(200)에 구비된 디지털 셋탑 박스(Digital set-top box)(230)는 이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영상)를 VDSL을 이용하여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텔레비전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양방향 송수신 장치로서 VDSL(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통해 운영자 시스템(100)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지털 셋탑 박스(23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상기 디지탈 셋탑 박스(230)는 여러 종류의 음성/영상 입력 수단(예컨대, 텔레비전 튜너, 무비 카메라, VTR, 케이블 방송, 위성방송, CCD카메라, 마이크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다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와 ; 그 다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수 채널의 음성/영상 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채널의 음성/영상신호를 저장 신호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하고, 그 다수 채널의 음성/영상 신호 및 엠펙(MPEG) 디코딩되어 입력된 음성/영상신호를 음성/영상 신호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영상 절환부와 ; 그 음성/영상 절환부의 저장 신호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엠펙(MPEG) 엔코딩하는 엠펙 엔코더와 ; 그 엠펙 엔코더에 의해 엠펙 엔코딩된 음성/영상신호가 저장되고, VDSL 라인 또는 LAN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엠펙 컨텐츠가 저장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형태의 저장부와 ; 그 엠펙 엔코더로부터의 출력 데이터 및 상기 VDSL 라인 또는 LAN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엠펙 컨텐츠를 그 저장부에게로 저장시키고, 그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부 제어부와 ; 그 저장부로의 데이터 저장 및 출력에 필요한 제어 명령을 상기 부 제어부에게로 제공하고, 리모콘 수신부에 수신된 리모콘으로부터의 원격신호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주 제어부와 ; 그 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엠펙 디코딩하여 그 음성/영상 절환부에게로 전송하는 엠펙 디코더와 ; 그 음성/영상 절환부로부터의 다수 채널의 영상 신호 중에서 어느 한 채널의 영상 신호를 메인 화면으로 하고 다른 채널들의 영상 신호를 부화면으로 하는 화면 생성부와 ; RGB 8:8:8의 24비트 오버레이(overay) 메모리의 내용을 특정 컬러 키값(color key value)(즉, 출력될 화면들에 필요한 OSD문자(또는 그림)에 상응하는 컬러 키값)과 비교하여 상기 화면 생성부로부터의 화면위에 적절한 그래픽 OSD를 구현하는 OSD합성부와 ; 그 OSD합성부로부터의 영상화면을 텔레비전 모니터(도시 생략)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영상 출력부와 ; 그 음성/영상 절환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메인 화면으로 액티브된 채널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변환시키는 음성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 그 음성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의 음성을 텔레비전의 스피커(도시 생략)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 디지털 셋탑 박스에 필요한 운영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램(RAM) ; 및 디지털 셋탑 박스의 구동 및 제어 등에 관련된 모든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롬(ROM)을 구비한다.
여기서, 그 음성/영상 절환부와 부 제어부 및 OSD합성부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논리칩(logic-chip)의 한 형태인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이다.
그리고, 그 주 제어부와 부 제어부는 로컬 버스를 통해 상호간의 통신을 행한다. 그 롬에는 해당 디지털 셋탑 박스를 사용하는 자의 개인정보(예컨대,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이메일 주소 등)가 추가로 저장된다.
또한, 도 8에서 그 화면 생성부, OSD합성부, 영상 출력부, 음성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칭하여, 상기 음성/영상 절환부에서 출력되는 다수 채널의 음성 및 영상을 상기 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조건에 따라 출력하는 음성/영상 출력수단이라 한다.
그리고, 그 엠펙 엔코더는 선입선출(FIFO)방식의 버퍼(도시 생략)를 내장하고 있고, 그 부 제어부에서 그 엠펙 엔코더의 버퍼를 직접 엑세스하며, 주 제어부는 제어 명령만을 처리한다. 그 주 제어부는 그 저장부에 대한 제어 명령 및 주소 인덱스만을 처리하고, 나머지 대용량의 버스트 전송에 관한 부담은 부 제어부가 담당한다.
또한, 도 8에서 VDSL 라인은 전화선으로서 그 VDSL라인을 통하여 VOD를 실현하고, 랜(LAN) 라인은 인터넷 라인으로서 2개의 인터넷 라인으로 구성된다. 그 VDSL 라인 및 2개의 랜 라인과 로컬 버스 사이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가 설치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디지털 셋탑 박스와 네트워크가 상시 접속되도록 해 준다. 그 2개의 인터넷 라인과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기능이 부여되어 가정용 게이트웨이 기기로 사용된다. 즉,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VDSL환경이 아닐 경우에는 인터넷 라인(즉, 랜 라인)에 바로 접속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도 8의 롬에는 디지털 셋탑 박스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VOIP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그 VOIP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로컬 버스에 슬릭(SLIC -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S)의 일 출력단이 연결되고, 그 SLIC의 다른 출력단은 음성/영상 절환부에 연결된다.
그 SLIC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서, 그 SLIC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는 음성/영상 절환부에게로 입력됨과 더불어 로컬 버스를 통해 주 제어부에게로도 입력된다.
그 주 제어부에서는 디지털 셋탑 박스의 전원이 온되면 그 롬에 저장되어 있는 VOIP 소프트웨어를 램에 저장시킨 후에 그 VOIP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VOIP 기능을 제어한다. 따라서, 도 8의 디지털 셋탑 박스는 VOIP폰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즉, 도 8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는 IP를 이용하여 음성과 영상을 전송하는 VOIP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음성/영상 입력소오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영상신호(즉,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RCA입력과 슈퍼 비디오(S-video)로 이루어지고, 그 네개의 입력 소오스중에서 하나의 입력 소오스의 음성/영상신호만이 주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엠펙 엔코더 및 부 제어부를 거쳐 저장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그 네 개의 입력 소오스는 실시간으로 화면 생성부에게로 전송되어 있으므로,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에 최대 3개의 채널 조합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셋탑 박스(110)는 최대 초당 25메가, 쌍방향으로는 초당 12메가의 초고속 통신이 가능한 VDSL 전화환경 또는 랜 환경에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서버(도시 생략)를 통해 최신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또한, 멀티 테스킹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그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시간적인 버퍼링을 위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인 저장부에 저장된 후에 그 저장부에서 독출되어 엠펙 디코더 및 음성/영상 절환부를 통해 화면 생성부에게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셋탑 박스(110)는 통상의 PVR기능뿐만 아니라 VDSL라인 또는 랜 라인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희망하는 대로 제공받을 수 있고, 출력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이용자가 운영자시스템에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 신청을 하고 운영자시스템에서 이를 인정함에 의해 개시된다.
이용자는 이용자시스템(200)에 구비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운영자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이용신청을 하고 운영자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이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이용에 따른 비용을 결재하여 이용 신청을 하고 운영자시스템(100)은 이를 수락함에 의해 서비스가 시작된다.
상기에서 비용을 결재하는 수단은 통상의 온라인 송금이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디지털 셋탑 박스를 구비한 경우에는 디지털 셋탑 박스에 부여된 고유 번호에 해당하는 계좌로 청구 및 결재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용자가 주소지에 부재중임을 운영자시스템에 알리면 운영자시스템은 정보를 각 우체국 시스템에 전송한다.
우체국 시스템은 해당 이용자가 주소지에 부재중임을 부재자 리스트에 올리고 해당 이용자에게 전달되는 우편물이 있는 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우편물이 접수되었을 때에는 이를 운영자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우편물이 접수되었음을 확인한 운영자시스템은 이를 이용자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알린다.
상기의 과정에서 접수된 우편물에 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알리는 과정에서 이용자에게 전송되는 우편물 관련 정보에는 우편물의 종류, 발송인 등과 관련된 정보를 같이 송부하여 해당 우편물이 이용자에 필요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우편물이 접수되었음을 확인한 이용자는 운영자시스템의 요청 또는 자의(自意)로 우편물의 처리 방법을 운영자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상기 우편물 처리 방법으로는 우체국 내에 보관하는 방법과 이용자가 현재 거주하고 있는 거주지로 발송하는 방법 및 우체국에서 폐기 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용자가 우편물을 현 거주지로 송달하기를 원하고 현 거주지의 주소를 운영자시스템에 알리면 운영자시스템은 이를 우체국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우편물이 이용자의 현 거주지로 송달되게 한다.
이용자가 보관을 원할 경우는 우체국 시스템에 구비된 보관시설에 우편물을 보관하고, 이용자가 우편물의 폐기를 요청할 경우에는 운영자시스템에서는 이용자에게 우편물 폐기 인증 코드의 입력을 요청하여 기 저장된 우편물 폐기 인증 트드와 비교하고 일치할 경우 해당 우편물의 폐기를 우체국시스템에 통보하여 폐기 시키게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가 주소지에 부재중일 때에는 이를 우체국에 통보하여 부재중임을 알리고 우체국에서는 부재중인 이용자에게 전달할 우편물을 접수하였을 때 이를 소정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확인시키고 이용자가 현재 거주하고 있는 거주지로 우편물을 전달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불필요한 우편물을 폐기시키게 함으로서 우체국은 불필요한 우편물의 송달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이용자는 보다 빠른 시간 안에 우편물을 원하는 주소지에서 송달 받을 수 있게 함으로서 우편물의 송, 수신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수취인단말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시스템에 구성된 우체국DB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시스템에 구성된 이용자DB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서 운영자시스템에 구성된 우편물DB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지털 셋탑 박스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0a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시스템에 구성된 텔레비전 화면의 구성의 서로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운영자시스템 110.. 우체국DB 120.. 이용자DB
130.. 우편물DB 140.. 관리DB 150.. 데이터송수신시스템
200.. 이용자단말 210.. 통신컴퓨터 220.. 텔레비젼
230.. 디지털셋탑박스 240.. 이동통신수단 300.. 우체국시스템
400.. 인터넷

Claims (13)

  1. 인터넷 또는 전용선으로 이루어진 통신 수단을 이용한 우편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가 주소지에 부재중 일 경우 송달되지 못한 우편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과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수단을 갖추고 있고, 인터넷 또는 전용선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우체국 시스템과 ;
    상기 우체국 시스템의 통신 시스템과 연계되는 통신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각 우체국 시스템에 관련된 정보를 갖는 우체국 데이터 베이스와, 서비스 이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갖고 있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우체국에서 보관하고 있는 송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우편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우편물 데이터 베이스와, 우체국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보관된 우편물에 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전송하고 이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재 전송된 우편물의 처리에 관한 정보를 우체국에 전송하고 이를 관리하는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 운영자 시스템 및 ;
    상기 운영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우편물의 접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 이용자 시스템을 포함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시스템에 구비된 통신 수단은 이동통신단말기, 통신모뎀을 구비한 컴퓨터 또는 VDSL에 접속된 디지털셋탑박스를 구비한 텔레비전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셋탑 박스는 다수의 음성/영상 입력소오스로부터의 음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변환시키는 다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과 ;
    상기 다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수 채널의 음성/영상신호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채널의 음성/영상신호를 저장신호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다수 채널의 음성/영상신호 및 엠펙 디코딩되어 입력된 음성/영상신호를 음성/영상신호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영상 절환수단과 ;
    상기 음성/영상 절환수단의 저장신호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엠펙 엔코딩하는 엠펙 엔코더와 ;
    상기 엠펙 엔코더에 의해 엠펙 엔코딩된 음성/영상신호가 저장되고, VDSL 라인 또는 LAN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엠펙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수단과 ;
    상기 엠펙 엔코더로부터의 출력 데이터 및 상기 VDSL 라인 또는 LAN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엠펙 컨텐츠를 상기 저장수단에게로 저장시키고,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부 제어수단과 ;
    상기 저장수단으로의 데이터 저장 및 출력에 필요한 제어 명령을 상기 부 제어수단에게로 제공하고, 리모콘으로부터의 원격신호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주 제어수단과 ;
    상기 부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엠펙 디코딩하여 상기 음성/영상 절환수단에게로 전송하는 엠펙 디코더 ; 및
    상기 음성/영상 절환수단에서 출력되는 다수 채널의 음성 및 영상을 상기 주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조건에 따라 출력하는 음성/영상 출력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은 주 표시창과 부 표시창를 갖으며, 부 표시창은 주 표시창의 일측에 자막의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셋탑 박스는 카드 단말 기능을 갖으며, 신용카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시스템은 우체국 시스템 내에 우체국 시스템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운영자 시스템을 구비한 우체국 시스템은 중앙 우체국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시스템에 구비된 우체국 데이터 베이스는 각 우체국의 명칭, 우체국 주소, 우체국의 이메일, 우체국 관할 지역에 관한 정보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시스템에 구비된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는 이용자의 성명 또는 명칭, 이용자의 고유번호,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이용자의 주소, 이용자의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시스템에 구비된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는 우체국 시스템에 보관된 우편물 중 이용자가 불필요한 우편물에 대해 폐기를 인정하는 이용자 우편물 폐기 인증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시스템에 구비된 관리 데이터 베이스는 이용자의 성명 또는 명칭, 발송인의성명 또는 명칭, 해당 우편물의 종류, 발송일자, 기재된 수취인의 주소 등의 정보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11. 인터넷 또는 전용선으로 이루어진 통신 수단을 이용한 우편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가 운영자시스템에 접속하여 우편 수신 관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하고 서비스 이용 비용을 결재하며, 주소지에 부재중임을 통지하는 단계와 ;
    운영자 시스템에서는 이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이용자 부재 신호를 우체국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
    운영자 시스템에서 전송된 이용자 부재 신호를 우체국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해당 이용자에게 송달되는 우편물의 접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
    해당 이용자에게 우편물의 접수되면 이를 운영자시스템에 알리고 운영자 시스템에서는 이용자에게 접수된 우편물을 다른 주소로의 송달받을 것인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
    이용자가 현 거주지로 송달받기를 원하면 송달받을 현 거주지의 주소를 확인하여 우체국시스템에 전송하여 우편물을 송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게 우편물을 다른 주소로 전송받기를 원하는 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이용자가 다른 주소로 송달을 원하지 않으면 우편물의 폐기 또는 보관을 여부를 확인하여 이용자가 우편물의 보관을 원하면 우체국 시스템에 이를 통보하여 우체국이 보관함에 보관하고, 폐기를 원하면 이용자에게 폐기 인증 코드를 요구하여 폐기 인증 코드가 운영자 시스템의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폐기 인증 코드와 일치하면 우편물을 폐기하도록 우체국시스템에 통보하여 우편물을 폐기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폐기 정보는 운영자시스템을 통하여 이용자 시스템의 통신 단말기에 다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수신 관리 방법.
KR10-2003-0025095A 2003-04-21 2003-04-21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520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095A KR100520328B1 (ko) 2003-04-21 2003-04-21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095A KR100520328B1 (ko) 2003-04-21 2003-04-21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298A KR20040091298A (ko) 2004-10-28
KR100520328B1 true KR100520328B1 (ko) 2005-10-13

Family

ID=3737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095A KR100520328B1 (ko) 2003-04-21 2003-04-21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3269A1 (en) * 2007-06-12 2008-12-18 Seung Chan Jun A letter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298A (ko)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23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multi-media messages
US63144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rtified electronic mail messages
US20170214973A1 (en) Interactive display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0200367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 plurality of devices to a computer network
US11202120B2 (en) Controlled environment media and communication system
FR2709905A1 (fr) Système de commande interactive pour installation multiservice disposant d'un serveur de distribution de programmes télévisuels et d'un central téléphonique.
CN1372742B (zh) 与电子邮件一起使用的方法和设备
KR101163526B1 (ko) 아이 피 티브이를 이용한 외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및 그 방법
WO2004040444A1 (ja) サービスソフトウエア取得方法、ならびに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電子通信機器
US20060277584A1 (en) Data distribution, analysis and methods using integrated entertainment appliances
KR100520328B1 (ko) 우편물 수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0418157C (zh) 影音视讯系统
JP4779328B2 (ja) 画像配信システム
US20070133505A1 (en) Distribution of short messages using a video control device
KR100485136B1 (ko) 디지털 셋탑 박스와 연계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전자 투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29241B1 (ko)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화상통화 서비스방법
KR100726807B1 (ko) 방송 수신기와 이동단말간의 메시지 연동장치, 방송 수신기 및 방송 수신기와 이동단말간의 메시지 연동 방법
KR100631391B1 (ko)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우편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GB2377336A (en) Transmitting messages between set top box users via telephone and broadcast networks
JPH11196122A (ja) 電子メール転送システム、方法、メール取出装置および情報機器
KR20040081999A (ko) 디지털 셋탑 박스와 인터넷을 연계한 내용증명 시스템 및방법
JP6830198B2 (ja) インターホン親機、情報端末、配信通知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100529222B1 (ko)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감시 방법
KR20040083692A (ko) 디지털 셋탑박스 식별자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KR20010092805A (ko) 데이타회선을 이용한 개인정보 자동 전송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