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459B1 -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융설을 위한 내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및 융설방법 - Google Patents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융설을 위한 내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및 융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459B1
KR100519459B1 KR10-2003-0038976A KR20030038976A KR100519459B1 KR 100519459 B1 KR100519459 B1 KR 100519459B1 KR 20030038976 A KR20030038976 A KR 20030038976A KR 100519459 B1 KR100519459 B1 KR 100519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arbon fiber
interior material
bridge
glas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406A (ko
Inventor
김원기
한상훈
김기호
서중원
김지후
Original Assignee
김원기
김기호
한상훈
서중원
김지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기, 김기호, 한상훈, 서중원, 김지후 filed Critical 김원기
Priority to KR10-2003-003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459B1/ko
Publication of KR20040108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의 최상층 포장면에 아스팔트 에멀젼(asphalt emulsion)을 끓여 도포하고, 이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의 최상층 포장면에 탄소섬유와 유리섬유 그리고 부직포로 구성된 내장재를 덮고 나서, 상기 내장재의 부직포에 아스팔트 에멀젼이 침투해서 방수막이 형성된 내장재 위에 아스팔트를 포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의 최상층을 이루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고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균열로 인해 수분이나 염화물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와 이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 철근이 부식되지 않아 교량의 변형을 막고 교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소섬유에 전기를 통하게 하는 온도 조절 전기장치를 연결함으로써 탄소섬유의 발열작용으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포장면의 수분제거와 제설, 제빙을 통해 겨울철 도로 포장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방법{Surface reinforcement material and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에 적용된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의 최상층을 이루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고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균열로 인해 수분이나 염화물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와 이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 철근이 부식되지 않아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의 포장면의 변형을 막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포장도로는 콘크리트만을 포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승차감을 높이고 방수를 위해 콘크리트 위에 아스팔트를 2중으로 포장하기도 한다. 특히, 철근과 콘크리트로 가설된 교량 등에서는 교량 상판의 노면이 도로 면과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고 콘크리트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아스팔트를 2중으로 포장하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교량을 이루는 콘크리트나 이 콘크리트 내부에 내설된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침투 방수, 시트 방수 및 도막 방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공법으로 수분의 유입을 억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량의 상판이나 교각 내부로 수분이 침투해서 교량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있다.
교량의 거동이나 교량의 상판에 가해지는 교통하중 등으로 인해 교량의 부식(균열)이 가속화되고, 이에 더해 부식된 교량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수분이 결빙되었다가 해빙되는 과정을 반복하거나 혹은 교량 상판을 해빙시키기 위해 살포된 염화물 등의 침입으로 인해 교량의 상판(포장면)에 수직 또는 수평 변형 및 균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에는 수분을 제거하거나 제설과 제빙을 위해 내부에 니크롬선을 내장시켜 시공하기도 하였으나,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니크롬선과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해 단선이 용이하여 수명이 짧다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의 최상층을 이루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고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균열로 인해 수분이나 염화물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와 이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 철근이 부식되지 않아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의 포장면의 변형을 막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명은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을 포장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팽창과 수축에 관계없이 수분을 제거하고, 제설과 제빙으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결빙과 해빙을 막아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의 균열을 방지하고 겨울철 차량이나 사람의 미끄럼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는, 탄소섬유와 유리섬유가 교차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격자망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로 구성된 격자망의 일면에 부직포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와 유리섬유가 종횡으로 서로 교번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탄소섬유가 차량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에 있어서, 상기 격자망이 탄소섬유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차량의 진행방향이 특정방향으로 한정되지 않을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 부직포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중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방수막 형성을 위한 용도로 적절하고, 유리섬유 부직포는 제빙이나 융설용으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장재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방법은,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의 최상층 포장면에 아스팔트 에멀젼(asphalt emulsion)을 끓여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아스팔트 에멀젼이 도포된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의 최상층 포장면에 청구항1의 내장재를 덮는 단계 및 상기 내장재의 부직포에 아스팔트 에멀젼이 침투해서 방수막이 형성된 내장재 위에 아스팔트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장재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방법은, 상기 내장재의 격자망은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의 포장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는 탄소섬유가 배치되도록 하고, 진행방향으로 유리섬유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장재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방법은, 상기 탄소섬유의 양단부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탄소섬유의 양단부에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탄소섬유에 공급되는 전원은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의 온도에 따라 조절 공급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이 진동이나 기타 충격으로 인해 균열이 방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공되는 본 발명에 의한 내장재(5)(즉,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도로를 건설하는 중에 내부에 매설되는 것을 말한다.)는, 탄소섬유(1)와 유리섬유(2)가 교차되면서 일정간격(7 내지 15cm)을 두고 격자망(3)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탄소섬유(1)와 유리섬유(2)로 구성된 격자망(3)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나 유리섬유 등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부직포(4)가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격자망(3)은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교차지게 배치하거나, 한쪽 방향으로는 유리섬유를 그리고 다른 방향으로는 유리섬유와 탄소섬유를 교번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각 방향으로 교차지게 배치되는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서로 교번으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탄소섬유는 차량이나 기타 운송수단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물론, 유리섬유는 사용하지 않고, 탄소섬유만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차량이나 운송수단의 진행방향이 일정하지 않을 때 적합하다.
여기서, 격자망(3)은 탄소섬유의 높은 탄성계수와 유리섬유의 극히 높은 장력강도에 의해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과 같은 포장의 오랜 시간동안 균열을 방지하고, 차량의 하중이나 기타 외부 충격으로 인한 전단변형을 방지하며, 표면에 전달되는 하중의 확대로 인한 포장두께가 감소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2를 참조하여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에 내장재(5)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신설되거나 기존의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의 최상층 포장면(6)에 아스팔트 에멀젼(9)을 160℃ 정도로 끓여 도포하고 나서, 도1에서 설명된 다양한 형태의 내장재(5)를 덮는다.
이때, 포장면(6)에 도포되었던 아스팔트 에멀젼(9)이 내장재(5)의 부직포(4)에 흡수되어 경화되면서 포장면(6)과 콘크리트 내에 매설된 철근(8)으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수막 역할을 한다.
여기서, 내장재(5)의 격자망(3)은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의 포장면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는 탄소섬유가 배치되도록 하고, 길이(차량 진행)방향으로 유리섬유가 배치되도록 하는데, 이는 폭방향으로 배치된 탄소섬유가 도로나 교량에서 주로 길이(차량 진행)방향으로 발생하는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소성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유리섬유보다 고강도인 탄소섬유에 의해 크랙발생 등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내장재(5)를 씌운 후 최종적으로 아스팔트(7)를 덧씌워 마감한다.
또한, 아스팔트를 포장하기 이전에 내장재(5)의 격자망(3)을 이루는 탄소섬유의 양단부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이 탄소섬유의 양단부를 전원에 연결함으로써 탄소섬유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의 포장면에 수분을 제거하거나 혹은 제빙, 제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탄소섬유에 공급되는 전원은 온도센서를 구비한 콘트롤러에 의해 자동 제어할 수 있는데,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의 포장면이나 주변온도가 영하 5℃ 이하로 떨어졌을 때 탄소섬유가 발열을 시작하였다가 4℃까지 올라갔을 때 발열을 정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의 최상층을 이루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고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균열로 인해 수분이나 염화물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와 이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 철근이 부식되지 않아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의 포장면의 변형을 막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명은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을 포장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팽창과 수축에 관계없이 수분을 제거하고, 제설과 제빙으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결빙과 해빙을 막아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 등의 균열을 방지하고 겨울철 차량이나 사람의 미끄럼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1은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에 적용된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교량의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해 교량의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사이에 본 발명에 의한 내장재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탄소섬유 2 : 유리섬유
3 : 격자망 4 : 부직포
5 : 내장재 6 : 포장면(콘크리트)
7 : 아스팔트 8 : 철근
9 : 아스팔트 에멀젼

Claims (7)

  1. 탄소섬유와 유리섬유가 교차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격자망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로 구성된 격자망의 일면에 부직포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와 유리섬유가 종횡으로 서로 교번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망이 탄소섬유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 부직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을 위한 내장재.
  5.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의 최상층 포장면에 아스팔트 에멀젼(asphalt emulsion)을 끓여 도포하는 단계;
    상기 아스팔트 에멀젼이 도포된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의 최상층 포장면에 청구항1의 내장재를 덮는 단계; 및
    상기 내장재의 부직포에 아스팔트 에멀젼이 침투해서 방수막이 형성된 내장재 위에 아스팔트를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의 격자망은,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의 포장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는 탄소섬유가 배치되도록 하고, 진행방향으로 유리섬유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내장재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의 양단부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탄소섬유의 양단부에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탄소섬유에 공급되는 전원은 도로나 교량, 지하 주차장, 건물 또는 터널 출입구, 응달진 경사면 도로, 산악도로의 온도에 따라 조절 공급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내장재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 융설방법.
KR10-2003-0038976A 2003-06-17 2003-06-17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융설을 위한 내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및 융설방법 KR10051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976A KR100519459B1 (ko) 2003-06-17 2003-06-17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융설을 위한 내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및 융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976A KR100519459B1 (ko) 2003-06-17 2003-06-17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융설을 위한 내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및 융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406A KR20040108406A (ko) 2004-12-24
KR100519459B1 true KR100519459B1 (ko) 2005-10-06

Family

ID=3738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976A KR100519459B1 (ko) 2003-06-17 2003-06-17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융설을 위한 내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및 융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4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629B1 (ko) 2007-01-04 2007-04-24 김형대 알피에스 보차도 시공방법
KR100819924B1 (ko) 2007-11-01 2008-04-08 주식회사 코디에스 노면 결빙 방지용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212519B1 (ko) * 2012-02-10 2012-12-18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교면 방수구조 및 교면 방수공법
KR101582830B1 (ko) * 2015-10-07 2016-01-08 대실테크 주식회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라이닝 시공 방법
KR102474962B1 (ko) 2021-08-13 2022-12-0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방제빙용 복합재 구조물과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191B1 (ko) 2005-11-23 2006-03-06 유한회사 로드씰 건축물 및 교면용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의 시공방법
KR101336333B1 (ko) * 2013-08-16 2013-12-03 (주)에스엔건설 격자형 유리섬유에 부직포를 부착한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특이구간 (연약지반, 교면포장,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조기파손 방지를 위한 포장 보강 공법
KR102191104B1 (ko) * 2020-04-17 2020-12-15 (주)씨엔티솔루션 블랙 아이스 방지를 위한 발열체 시공방법
KR102614874B1 (ko) * 2022-10-04 2024-01-08 한폴 주식회사 도로포장용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629B1 (ko) 2007-01-04 2007-04-24 김형대 알피에스 보차도 시공방법
KR100819924B1 (ko) 2007-11-01 2008-04-08 주식회사 코디에스 노면 결빙 방지용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212519B1 (ko) * 2012-02-10 2012-12-18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교면 방수구조 및 교면 방수공법
KR101582830B1 (ko) * 2015-10-07 2016-01-08 대실테크 주식회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라이닝 시공 방법
WO2017061808A1 (ko) * 2015-10-07 2017-04-13 대실테크 주식회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라이닝 시공 방법
KR102474962B1 (ko) 2021-08-13 2022-12-0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방제빙용 복합재 구조물과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406A (ko) 200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599B1 (ko) 교면포장의 공용성능 향상을 위한 침투수 배수공법 및 그교면포장체
KR100519459B1 (ko)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 및융설을 위한 내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면의 보강, 방수및 융설방법
KR102106058B1 (ko) 도로 결빙방지시스템과 이의 시공방법
US3213768A (en) Road construction
PT2126243E (pt) Sistema de cobertura inclinada e painel isolante para sistemas de cobertura inclinada
JP4508923B2 (ja) 融雪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融雪路盤
KR20060031029A (ko) 도로 포장면 융설 및 보강자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도로 포장면의 융설 및 보강방법
CN206245171U (zh) 一种抗裂排水型沥青路面
KR102276812B1 (ko) 도로용 면상 발열체
CN204491357U (zh) 道路桥梁双向热管除雪降温系统
US7524136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enhancing the insulating properties of a trafficked surface
CN111441217A (zh) 高速公路防路面结冰结构、融冰装置及其方法
CN216663672U (zh) 一种可减少反射裂缝病害的道路结构
CA2390653A1 (en) Sub-grade thermo-structural bridge
CN110130174A (zh) 抗车辙的沥青路面的铺设方法
CN216338831U (zh) 一种室内滑雪场雪道断冷桥的坡道面层防滑移构造
KR20110113793A (ko) 포장도로의 융설장치 및 그 설치구간의 도로포장방법.
KR200411543Y1 (ko) 도로 교량의 보행자 미끄럼방지구조
RU84857U1 (ru) Автомобильная дорога
KR200371485Y1 (ko) 도로 포장면 융설 및 보강자재
RU2759781C1 (ru) Зимняя дорож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2000064217A (ja) 面状ヒータを埋設したアスファルト舗装構造
CN214143297U (zh) 一种钢桥面铺装结构
Vanelstraete et al. Crack prevention and use of overlay systems
CN114875738B (zh) 一种高地温公路隧道隔热路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