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749B1 - 빈 가요성 컨테이너 충전 방법 및 컨테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빈 가요성 컨테이너 충전 방법 및 컨테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749B1
KR100517749B1 KR10-1999-7005336A KR19997005336A KR100517749B1 KR 100517749 B1 KR100517749 B1 KR 100517749B1 KR 19997005336 A KR19997005336 A KR 19997005336A KR 100517749 B1 KR100517749 B1 KR 100517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ling
filling step
pressur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7577A (ko
Inventor
에드그렌한스
Original Assignee
아게아 악티에볼라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게아 악티에볼라크 filed Critical 아게아 악티에볼라크
Publication of KR20000057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08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detecting forces or pressure in bags or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0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detecting bag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컨테이너 장치는 강력한 감속을 받게 될 때 가스를 차량 내에 설치된 빈 가요성 컨테이너(1), 예컨대 에어백에 충전시키도록 제공된다. 그에 따라, 가스 충전된 컨테이너는 상해를 방지하는 힘 흡수 쿠션으로서 작용한다. 컨테이너(1)는 제1 충전 단계 중에 컨테이너를 부분 충전시키는 제1 충전 수단(3, 4)과, 이 컨테이너(1)의 크기를 반영하는 파라미터가 감지 수단(11, 12)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파라미터가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면 제2 충전 단계 중에 컨테이너의 충전을 속행하는 제2 충전 수단(10)에 의해 충전된다.

Description

빈 가요성 컨테이너 충전 방법 및 컨테이너 장치{A METHOD OF FILLING AN EMPTY, FLEXIBLE CONTAINER, AND A CONTAINER DEVICE}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빈 가요성 컨테이너가 강력한 감속을 받게 되는 경우에, 그 컨테이너에 가스를 충전시켜, 가스가 충전된 컨테이너가 상해를 방지하는 힘(충격) 흡수 쿠션으로서 작용하게 하는 컨테이너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강력한 감속을 받게 되는 경우에 가스가 충전되어, 상해를 방지하는 힘 흡수 쿠션으로서 작용하는 가요성 컨테이너를 구비한 차량용 컨테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탑승자실에 합체된 에어백 등의 빈 가요성 컨테이너를 팽창시키는 장치를 안전 벨트의 대체물 또는 바람직하게는 안전 벨트의 보완물로서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충돌시, 차량과 상기 장치에 급격한 감속 또는 감속력이 가해지므로, 에어백은 신속하게 또는 극히 빠르게 운전자 또는 탑승자 정면에서 팽창하여 운전자나 탑승자를 상해로부터 보호하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에 이들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나 계기판에 내팽겨쳐진다.
하지만, 에어백의 팽창 전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에어백에 너무 인접하게 위치한 경우에는, 에어백도 역시 상해를 가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 경우에, 에어백이 팽창 중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타격하는 힘은 매우 강력하므로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중상을 입히거나 심지어 이들을 사망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아동용 시트가 그러한 팽창 전의 에어백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에어백이 팽창 중에 이 시트를 타격하는 힘은 시트에 앉은 아동에 중상을 입힐 만큼 충분히 강할 수 있다.
DE-A-2 501 602호에서는 그러한 종래의 공지된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는 감속시 팽창되어 에어백을 충전시킬 압축 가스가 충전된 제1 용기(receptacle)와, 에어백의 충전 중에 팽창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연소되는 매체(medium)가 담긴 점화 챔버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소 중에, 일산화탄소가 형성된다. 전술한 가스는 아르곤, 헬륨 또는 네온 등의 불활성 가스와 소량의 산소를 포함하므로 전술한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킬 수 있다.
US-A-5 348 344호에서는 두 개의 가스 용기와 하나의 연소 챔버를 구비한 종래의 공지된 다른 에어백 장치를 개시하는데, 이 연소 챔버는 팽창 가능한 가요성 컨테이너의 상류에 마련되며, 연소 챔버 내에서 용기로부터의 가스의 연소를 개시하는 점화 수단을 포함한다. 통상 연소 챔버는 이 연소 챔버 내의 압력이 사전 설정된 레벨에 도달할 때 파열하는 파열 디스크 형태의 단부벽에 의해 가요성 컨테이너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DE-A-2 344 517호에서는 종래의 공지된 또 다른 차량용 에어백을 개시하는데, 이 에어백은 비교적 저속에서의 충돌시에는 덜 신속하게 팽창되고 비교적 고속에서의 충돌시에는 더 신속하게 팽창되도록 제공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공지된 에어백은 각각의 팽창 상황에 적합한 2종의 상이한 압축 불활성 가스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의 제1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장치의 제2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의 제1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컨테이너 장치의 제2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 및 탑승자용 컨테이너, 예컨대 에어백의 충돌시 안전성을 향상시켜, 컨테이너 충전 과정으로 인한 사람의 상해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서두에 개시되어 있으며 다음의 작동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들 작동 단계는 제1 충전 단계시에 컨테이너를 부분 충전하는 단계와, 컨테이너의 크기를 반영하는 파라미터의 값을 감지하는 단계와, 파라미터 값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면 제2 충전 단계시에 컨테이너의 충전을 속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방법에 의해, 컨테이너의 팽창 방향에 물체나 사람이 위치하는가를 감지하고, 그러한 것을 감지한 경우에는 컨테이너의 충전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컨테이너가 충전 과정 중에 그러한 물체 또는 사람을 타격하는 상황에 따른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파라미터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값을 충족시키지 않으면 전술한 제2 충전 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 다른 방법으로서, 전술한 제2 충전 단계는, 파라미터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으면 컨테이너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일방향을 따른 컨테이너의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단계는 컨테이너 길이가 제1 충전 단계 후에 사전 설정 레벨(값)을 초과하면 수행된다. 따라서, 물체나 사람이 컨테이너의 완전한 팽창을 방해하지 않아 컨테이너가 전술한 방향으로 자유 팽창할 수 있는 상황하에서 컨테이너를 완전히 팽창시킬 수 있다. 이 일방향은 전술한 차량의 주행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컨테이너의 내부 압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충전 단계는 상기 압력이 제1 충전 단계 후에 사전 설정된 압력 레벨보다 낮으면 수행된다. 컨테이너의 팽창이 물체 또는 사람에 의해 방해받는 경우에, 제1 충전 단계 중에 컨테이너가 그 최대 크기인 풀 사이즈(full size)로 팽창되는 경우보다 더 높은 컨테이너의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단계는 1종 이상의 가스의 공급에 의해 컨테이너를 부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충전 단계는 예컨대 컨테이너를 추가의 가스로 충전을 속행하는 단계, 압축 불활성 가스의 점화 단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단계는 2종 이상의 가스의 공급에 의해 컨테이너를 부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충전 단계는 2종의 가스를 점화시켜 컨테이너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2종의 가스는 제1 충전 단계 중에 컨테이너 내부에서 함께 혼합될 수 있다. 또, 상기 2종의 가스는 적어도 산소와 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산소와 수소 혼합물의 점화로 인해 제2 충전 단계 중에 컨테이너가 즉각적으로 강력하게 팽창한다. 또, 전술한 2종의 가스는 아르곤, 헬륨 및 질소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불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은 제1 충전 단계 중에 컨테이너를 부분 충전하는 제1 충전 수단과, 컨테이너의 크기를 반영하는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수단과, 상기 파라미터가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면 제2 충전 단계 중에 컨테이너의 충전을 속행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두에 개시한 컨테이너 장치에 의해서도 역시 달성된다. 그와 같은 장치에 의해 컨테이너의 완전한 팽창을 방해하는 물체 또는 사람을 보호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장치에 의해, 컨테이너를 부분 충전시켜 전술한 물체 또는 사람이 큰 힘으로 타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컨테이너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는 종속항 10 내지 17에 개시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개시된 여러 실시예에 관해 더 상세히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컨테이너 장치는 가요성 컨테이너(1), 예컨대 에어백을 구비한다. 컨테이너(1)는 기부(2)에 장착되어 있는데, 이 기부(2)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전면 계기판 또는 앞좌석의 후면에 부착 가능하다. 기부(2)는 비활성 상태의 컨테이너(1)를 수납하는 박스 형태이다. 컨테이너(1)에는 기부(2)에 밀봉식으로 결합된 개방부가 있다. 기부(2)와 그에 따른 컨테이너(1)의 내부는 각기 도관(5, 6)을 통해 제1 용기(3) 및 제2 용기(4)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용기(3)에는 아르곤, 헬륨 및 질소 중 1종 이상과 산소의 고압 혼합 가스가 담겨있다. 용기(3) 내에 존재하는 산소의 양은 두 용기(3, 4) 내의 전체 가스 용적의 2.5 내지 20 용적%에 상응한다. 제2 용기(4)에는 아르곤, 헬륨 및 질소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불활성 가스와 수소의 혼합 가스가 담겨 있다. 제2 용기(4) 내에 존재하는 수소의 양은 두 용기(3, 4) 내의 전체 가스 용적의 3 내지 15 용적%에 상응한다. 용기(3, 4)에 동일한 불활성 가스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헬륨이 가장 양호한 불활성 가스이다.
또, 컨테이너 장치는 제어 장치(7)와 감속 계측기(8)를 구비하는데, 이 감속 계측기(8)는 제어 장치(7)에 연결되어 차량의 감속을 감지하도록 배치된다. 제어 장치(7)는 도관(5, 6)에 각각 마련된 파열판(burst plate; 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컨테이너(1) 내부의 기부(2)의 바닥에는 제어 장치(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점화 장치(10)가 장착되어 있다. 점화 장치(10)는 예컨대 전기 스파크 플러그, 기구적으로 활성화될 장입물(charge) 등의 소정의 공지된 형태일 수 있음에 주목한다.
또, 컨테이너 장치는 컨테이너(1), 예컨대 에어백의 크기를 반영하는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구비한다. 제1 실시예에서, 감지 수단은 두 개의 가요성 와이어(11)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와이어는 그 일단부에서 컨테이너(1)의 내벽에 고정되며 타단부에서 해당 액추에이터(12)에 부착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2)는 기부(2)에 장착되어 제어 장치(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액추에이터(12)는 와이어(11)가 신장되어 액추에이터(12)에서 뽑힐 때 작동되어 전기 신호 또는 임펄스를 생성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아동용 시트 등의 물체 또는 탑승자일 수 있는 방해물(hinder; 13)이 도시되어 있는 데, 이 방해물은 스티어링 휠, 계기판 또는 앞좌석에 비교적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다.
감속 계측기(8)가 차량 충돌을 지시하는 충분한 감속 또는 감속력을 감지한 경우에, 신호가 발생하여, 감속 계측기(8)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제어 장치(7)를 거쳐 파괴 또는 파열되도록 작동되는 파열판(9)에 전달된다. 그에 따라, 도관(5, 6)은 개방되고, 용기(3, 4)의 혼합 가스는 신속히 컨테이너(1)의 내부에 공급된다. 그 결과, 컨테이너(1)는 가스로 충전되어 팽창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1)의 팽창은 물체(13)에 의해 방해받는다. 이것은 와이어(11)가 완전한 길이로 신장되지 않음으로써, 액추에이터(12)가 작동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어떠한 신호나 임펄스도 점화 장치(10)에 보내지지 않으므로, 컨테이너(1)의 어떠한 추가의 팽창도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이 상태에서는 어떠한 물체나 사람도 컨테이너(1)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고 있다. 이는 와이어(11)가 신장되어 액추에이터(12)에서 뽑힐 것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각의 액추에이터(12)로부터 제어 장치(7)에 신호 또는 임펄스가 보내지는데, 이러한 신호 또는 임펄스는 점화 장치(10)를 작동시켜 컨테이너(1) 내부의 혼합 가스를 점화시키게 한다. 따라서, 점화 장치(10)의 작동으로 수소와 산소 간의 신속한 연소가 야기되어 컨테이너(1) 내 혼합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그 결과 컨테이너(1)를 최종 크기로 완전히 팽창시키기에 충분한 팽창을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와이어(11)와 하나의 액추에이터(12)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와이어(11) 및 액추에이터(12)가 각각 둘인 경우, 와이어(11) 모두가 신장되어 해당 액추에이터(12)에서 뽑혔을 때에만 제어 장치(7)가 점화 신호를 생성하도록 액추에이터(12)를 배치할 수 있다. 물론, 둘 이상의 와이어(11)와 액추에이터(12)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개시한다. 개시된 모든 실시예에서, 상응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음을 주목한다. 제2 실시예는 가요성 와이어(11)와 액추에이터(12)가 거리 측정 장치(14')로 대체된 것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거리 측정 장치(14')는 공지된 유형으로, 예컨대 레이저 방사 장치, IR 센서 등이다. 거리 측정 장치(14')는 점선(15)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2)로부터 컨테이너(1)의 대향 내벽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도관(5, 6)은 상호 결합되어 컨테이너(1)의 내부로 연결된 공통 도관 입구 채널(16)을 형성한다.
매우 강력한 감속을 검출하면, 신호 또는 임펄스가 파열판(9)에 보내져, 용기(3, 4)의 혼합 가스를 컨테이너(1)의 내부에 공급함으로써 제1 충전 단계가 개시되게 한다. 컨테이너(1)의 팽창이 물체 또는 사람(13)에 의해 방해받으면, 거리 측정 장치(14')에 의해 감지된 거리(15)는 점화 장치(10)를 작동시키기에 충분치 않으므로 컨테이너(1)는 완전히 충전되지 않을 것이다. 어떠한 물체 또는 사람도 컨테이너(1)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으면, 거리(15)는 사전 설정된 레벨을 초과할 것이고 거리 측정 장치(14')는 신호 또는 임펄스를 점화 장치(10)에 보내게 되며, 그 결과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컨테이너(1) 내부의 혼합 가스가 점화될 것이다.
제3 실시예에서, 와이어(11), 액추에이터(12), 그리고 거리 측정 장치(14')는 컨테이너(1) 내부에 마련된 압력 센서로 대체되어 있다. 제3 실시예도 역시 도 3 및 도 4에 의해 예시될 수 있는데, 참조 번호 14는 압력 센서를 나타낸다. 물체 또는 사람(13)이 컨테이너(1), 예컨대 에어백의 팽창을 방해하면, 컨테이너(1)의 내부 압력은 컨테이너(1)가 제1 충전 단계 중에 풀 사이즈로 팽창될 수 있는 경우보다 더 높을 것이다. 따라서, 압력 센서(14)에 의해 감지된 압력 레벨이 사전 설정된 레벨보다 높으면 어떠한 신호도 점화 장치(10) 쪽으로 생성되지 않을 것이고, 압력 센서(14)에 의해 감지된 압력 레벨이 이 사전 설정된 레벨보다 낮으면 신호가 점화 장치로 보내어져 이 점화 장치가 컨테이너(1) 내부의 혼합 가스를 점화시킬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도 역시 설명할 수 있다. 기부(2)는 제어 장치(7)에 연결된 배출 밸브(17)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배출 밸브(17)는 제1 충전 단계 중에 방해물(13)이 검출되면 제2 충전 단계에서 개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17)를 개방하여 컨테이너(1)의 완전한 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변경 및 수정될 수 있다.
예컨대, 거리 측정 장치(14')를 컨테이너(1) 외측에 마련할 수 있으며, 이 거리 측정 장치는 컨테이너(1), 예컨대 에어백의 최외측 부분의 위치 결정을 위한 광방사 장치 및 광전지 형태일 수 있다.
컨테이너(1)는 전술한 것들 이외의 다른 수단에 의해서도 역시 충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충전 단계는 제1 가스 또는 혼합 가스의 공급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제2 충전 단계는 제2 가스 또는 혼합 가스의 공급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어떠한 점화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 충전 단계 중 하나 또는 모두는 화약 수단, 즉 제1 및 제2 압축 불활성 가스의 점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들 기술을 조합하여 컨테이너(1)를 충전하는 것, 다시 말하면 제1 충전 단계 중에 컨테이너(1)를 가스 또는 혼합 가스로 충전하고, 제2 충전 단계 중에 압축 불활성 가스를 점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충전 단계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의 제1 및 제2 충전 단계는 하나 이상의 충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9)

  1. 차량에 설치된 빈 가요성 컨테이너가 강력한 감속을 받게 되는 경우, 그 컨테이너에 가스를 충전시켜, 가스가 충전된 컨테이너가 상해를 방지하는 힘(충격) 흡수 쿠션으로서 작용하게 하는 컨테이너 충전 방법으로서,
    제1 충전 단계시에 컨테이너를 부분 충전하는 단계와;
    컨테이너의 팽창 구역에 물체나 사람이 위치하는 결과로서 컨테이너의 크기를 반영하는 파라미터 값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파라미터 값이 컨테이너의 팽창 구역 내에 어떠한 물체나 사람도 위치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면 제2 충전 단계시에 컨테이너의 충전을 속행하고, 상기 파라미터 값이 컨테이너의 팽창 구역 내에 물체나 사람이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2 충전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충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일방향을 따른 컨테이너의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충전 단계는 상기 길이가 제1 충전 단계 후에 사전 설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충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은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충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컨테이너의 내부 압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충전 단계는 상기 압력이 제1 충전 단계 후에 사전 설정된 압력 레벨보다 낮으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충전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단계는 1종 이상의 가스를 공급하여 컨테이너를 부분 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충전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단계는 2종 이상의 가스를 공급하여 컨테이너를 부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충전 단계는 2종의 가스를 점화시켜 컨테이너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충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종의 가스는 적어도 산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충전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종의 가스는 아르곤, 헬륨 및 질소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불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충전 방법.
  9. 강력한 감속을 받게 되는 경우에 가스가 충전되어, 상해를 방지하는 힘 흡수 쿠션으로서 작용할 가요성 컨테이너를 구비한 차량용 컨테이너 장치로서,
    제1 충전 단계 중에 상기 컨테이너를 부분 충전시키는 제1 충전 수단(3, 4)과;
    컨테이너의 팽창 구역 내에 물체나 사람이 위치하는 결과로서 컨테이너(1)의 크기를 반영하는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수단(11, 12, 14, 14')과;
    상기 파라미터가 컨테이너(1)의 팽창 구역 내에 어떠한 물체나 사람도 위치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면 제2 충전 단계 중에 컨테이너(1)의 충전을 속행하는 제2 충전 수단(10)의 작동을 개시하고, 상기 파라미터가 컨테이너(1)의 팽창 구역 내에 물체나 사람이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면 제2 충전 단계를 개시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11, 12, 14, 14')은 일방향을 따른 상기 컨테이너(1)의 길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검출된 길이가 제1 충전 단계 후에 사전 설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충전 단계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컨테이너(1)의 실질적인 최외측 위치를 검출하도록 제공된 거리 측정 장치(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컨테이너(1) 내에 장착되고 상기 사전 설정된 길이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와이어(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컨테이너(1)는 기부(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부(2)에 장착된 작동 장치(12)를 구비하며, 상기 가요성 와이어(11)는 컨테이너(1)의 내벽과 작동 장치(12)에 부착되고, 상기 작동 장치(12)는 가요성 와이어(11)가 제1 충전 단계 중에 최대 길이로 신장되면 상기 제2 충전 단계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컨테이너(1)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14)와 제어 수단(7, 10)을 구비하며, 이 제어 수단(7, 10)은 상기 압력 센서(14)에 의해 감지된 압력이 제1 충전 단계 후에 사전 설정된 압력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제2 충전 단계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장치.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수단은 고압하의 제1 혼합 가스로 충전된 제1 압력 용기(3)와, 고압하의 제2 혼합 가스로 충전된 제2 압력 용기(4)와, 상기 제1 용기 및 제2 용기(3, 4)를 가요성 컨테이너의 내부로 연결하는 도관(5, 6, 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 수단은 상기 가요성 컨테이너(1) 내부의 상기 제1 혼합 가스와 상기 제2 혼합 가스의 혼합물을 점화시키도록 가요성 컨테이너(1) 내에 마련된 점화 장치(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장치.
  18. 삭제
  19. 삭제
KR10-1999-7005336A 1996-12-17 1997-12-09 빈 가요성 컨테이너 충전 방법 및 컨테이너 장치 KR100517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604637-0 1996-12-17
SE9604637A SE510534C2 (sv) 1996-12-17 1996-12-17 Förfarande för att fylla en tom, flexibel behållare samt en behållaranord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577A KR20000057577A (ko) 2000-09-25
KR100517749B1 true KR100517749B1 (ko) 2005-09-30

Family

ID=2040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336A KR100517749B1 (ko) 1996-12-17 1997-12-09 빈 가요성 컨테이너 충전 방법 및 컨테이너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186540B1 (ko)
EP (1) EP0944500B1 (ko)
JP (1) JP2001510417A (ko)
KR (1) KR100517749B1 (ko)
CN (1) CN1095765C (ko)
AR (1) AR010788A1 (ko)
AU (1) AU726887B2 (ko)
BR (1) BR9714141A (ko)
DE (1) DE69720032T2 (ko)
ES (1) ES2195187T3 (ko)
RU (1) RU2185972C2 (ko)
SE (1) SE510534C2 (ko)
WO (1) WO1998026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6075A1 (de) 1998-04-09 1999-10-14 Volkswagen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Mehrkammer-Airbag
DE19955551A1 (de) * 1998-11-19 2000-05-25 Inova Gmbh Tech Entwicklungen Airbagvorrichtung und Auslöseverfahren dafür
DE19904740A1 (de) * 1999-02-05 2000-08-10 Volkswagen Ag Sicherheitsvorrichtung mit einer Airbaganordnung aus mehreren Airbags für ein Kraftfahrzeug
DE19913095A1 (de) * 1999-03-23 2000-10-12 Siemens Ag Aufprallschutzeinrichtung
DE19952231A1 (de) * 1999-05-21 2001-02-01 Volkswagen Ag Airbag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018170B4 (de) * 2000-04-12 2012-10-31 Audi Ag Luftsackanordnung
DE10107273B4 (de) * 2001-02-16 2018-01-11 Volkswagen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icherheitsvorrichtung für Insassen eines Fahrzeuges sowie Steuergerät
DE10139626A1 (de) * 2001-08-14 2003-03-13 Takata Petri Ag Airbaganordnung
DE10153503A1 (de) * 2001-10-30 2003-05-22 Siemens Restraint Systems Gmbh Vorrichtung mit einem Gaskissen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7566074B2 (en) * 2002-02-20 2009-07-28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6991258B2 (en) * 2002-02-20 2006-01-31 Delphi Technologies, Inc. Frontal air bag system
US7819425B2 (en) * 2002-02-20 2010-10-26 Autoliv Development Ab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7543848B2 (en) 2002-02-20 2009-06-09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6726243B2 (en) 2002-05-31 2004-04-27 Autoliv Asp, Inc. Tuning the performance of compressed gas-containing inflators
US6796578B2 (en) * 2002-11-08 2004-09-28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with bag mounted sensor
US6932384B2 (en) * 2002-11-15 2005-08-23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6869103B2 (en) * 2002-12-13 2005-03-22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7070203B2 (en) * 2004-05-26 2006-07-04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deployment rate sensor with electrostatic dissipative guide slots
GB2416152A (en) * 2004-07-13 2006-01-18 Autoliv Dev An air bag with an igniter triggered by a tether.
US20070056251A1 (en) * 2005-01-05 2007-03-15 Ruppman Kurt H Sr Method and Apparatus for Flushing a Container with an Inert Gas
US20070056652A1 (en) * 2005-01-05 2007-03-15 Ruppman Kurt H Sr Method and Apparatus for Inerting Head Space of a Container by Way of Chute Attachment
US20070017186A1 (en) * 2005-01-05 2007-01-25 Ruppman Kurt H Sr Method and apparatus for inerting head space of a capped container
US20060144017A1 (en) * 2005-01-05 2006-07-06 Ruppman Kurt H Sr Method and apparatus for inerting head space of a capped container
GB0500684D0 (en) * 2005-01-13 2005-02-2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inflator for an air-bag"
US7380820B2 (en) * 2005-06-23 2008-06-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Heated gas inflator
JP2007030791A (ja) * 2005-07-29 2007-02-08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02005056101A1 (de) * 2005-11-24 2007-05-31 Linde Ag Verfahren zur Befüllung eines Airbags mit hochverdichtetem Gas
JP4952321B2 (ja) * 2007-03-20 2012-06-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1668665B (zh) * 2007-04-03 2012-11-28 奥托立夫开发公司 用于控制可充气垫的设备和方法
CN101918251B (zh) * 2008-01-15 2012-11-07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充气装置
US20090200777A1 (en) * 2008-02-13 2009-08-13 Webber James 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8319630B1 (en) * 2012-03-02 2012-11-27 Angadbir Singh Salwan Air-cushioned bag with electro-mechanical devices for safely and securely transporting objects
JP2023092111A (ja) * 2021-12-21 2023-07-03 株式会社ダイセル 安全装置、及び安全装置の作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3635A (en) * 1978-11-13 1980-07-22 Toyota Kodosha Kogyo Kabushiki Kaisha Two-stage air bag system
US5184845A (en) * 1988-05-20 1993-02-09 Nissan Motor Co., Ltd. Air-bag system
US5074583A (en) 1988-07-29 1991-12-24 Mazda Motor Corporation Air bag system for automobile
US4964652A (en) * 1989-06-26 1990-10-23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able restraint
DE4041049A1 (de) * 1990-12-20 1992-07-02 Siemens Ag Steueranordnung fuer einen airbag eines fahrzeuges
US5348344A (en) * 1991-09-18 1994-09-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inflating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ing a mixture of gases
US5820161A (en) * 1993-05-19 1998-10-13 Aga Aktiebolag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n airbag
US5413378A (en) 1993-12-02 1995-05-0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restraining device in response to discrete control zones
US5513879A (en) * 1994-05-04 1996-05-07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Two stage inflator with module venting for passenger side airbags
JP3531168B2 (ja) * 1994-09-30 2004-05-24 アーゲーアー アクツイエボラーグ エアバツグを満たす手段および方法
DE19526334A1 (de) 1995-07-19 1997-01-23 Bosch Gmbh Robert Sicherheitseinrichtung für Fahrzeuginsassen
GB2306409B (en) 1995-10-23 1999-05-26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EP0836971B1 (de) * 1996-08-22 2002-07-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sassenschutz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26960A1 (en) 1998-06-25
JP2001510417A (ja) 2001-07-31
AU726887B2 (en) 2000-11-23
SE9604637L (sv) 1998-06-18
BR9714141A (pt) 2000-02-29
CN1240393A (zh) 2000-01-05
RU2185972C2 (ru) 2002-07-27
KR20000057577A (ko) 2000-09-25
EP0944500B1 (en) 2003-03-19
DE69720032T2 (de) 2004-01-15
US6186540B1 (en) 2001-02-13
AU7737298A (en) 1998-07-15
SE9604637D0 (sv) 1996-12-17
DE69720032D1 (de) 2003-04-24
SE510534C2 (sv) 1999-05-31
CN1095765C (zh) 2002-12-11
EP0944500A1 (en) 1999-09-29
AR010788A1 (es) 2000-07-12
ES2195187T3 (es) 200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749B1 (ko) 빈 가요성 컨테이너 충전 방법 및 컨테이너 장치
US5992881A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with multiple stage inflator
JP3040516U (ja) 能力調整可能な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US6032979A (en) Adaptive output inflator
CA2110825C (en) Dual stage inflator
US5803494A (en) Air bag inflator
US5316336A (en) Air bag apparatus
EP0604001B1 (en) Inflator assembly
US6012737A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6086094A (en) Air bag inflator
JP5707328B2 (ja)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膨張方法
US6976704B2 (en) Adaptive output airbag inflation device
JPH05319199A (ja)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US5951042A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5863067A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7316417B2 (en) Inflator with internally mounted initiator
US20030057687A1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device
US6161481A (en) Air bag inflator
EP1841623B1 (en) An air-bag inflator
JP4542698B2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0205584B1 (ko)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