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571B1 - 지지프레임 바베큐 그릴조립체 - Google Patents

지지프레임 바베큐 그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571B1
KR100517571B1 KR10-2002-0047162A KR20020047162A KR100517571B1 KR 100517571 B1 KR100517571 B1 KR 100517571B1 KR 20020047162 A KR20020047162 A KR 20020047162A KR 100517571 B1 KR100517571 B1 KR 100517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frame
barbecue grill
receiving portion
fram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170A (ko
Inventor
스티이븐로버트티.
브루노아드리안에이.
시그에발드
쵸이다니엘에스.
Original Assignee
웨버어-스티이븐 프로닥츠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버어-스티이븐 프로닥츠 캄파니 filed Critical 웨버어-스티이븐 프로닥츠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3001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킹챔버를 수용하는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를 포함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그릴조립체는 하부 조립체 또는 상부 조립체중 어느 한쪽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그 다른 쪽에 수용부를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와 수용부는 돌출부가 수용부에 의해 수용될 때 협력하는 칫수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부분은 수용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편의된다. 상기 바베큐 그릴조립체는 상부 조립체 근처에 인접하여 위치된 측부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측부 조립체에는 보조작업면 또는 쿠킹버너를 수용된다. 상하부 조립체 및 측부 조립체는 다수의 관형 프레임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조립체 및 측부 조립체는 프레임부재들을 용접하므로써 예비조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프레임 바베큐 그릴조립체{SUPPORT FRAME BARBECUE GRILL ASSEMBLY}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 바베큐 그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규한 서브조립체를 구비한 바베큐 그릴 지지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지난 20년간 가스 바베큐 그릴은 일반적인 실외용 쿠킹장치로 변천되었다. 일반적으로, 가스 바베큐 그릴은 쿠킹챔버에 연결된 지지구조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체는 연료탱크와 보조 쿠킹면을 포함하여 기타 다른 소자를 위한 지지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구조는 일반적으로 너트 및 볼트 등의 고정구와 함께 연결되는 다수의 프레임부재로 형성된다. 가스 바베큐 그릴은 전형적으로 지지구조체와, 쿠킹챔버와, 포장크기를 줄이도록 분해되는 관련의 부속품들로 포장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가스 바베큐 그릴은 그릴의 조립이 매우 어렵다. 프레임부재와 고정구와 기타 다른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포장부품들로 인하여, 구입자들은 여러단계를 거쳐 프레임부재를 연결한 후 지지구조체를 조립해야만 한다. 구입자들은 쿠킹챔버를 지지구조체에 연결할 때 시간이 소요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러한 조립체는 바베큐 그릴에 보조 쿠킹면과, 보조 쿠킹버너와 온도게이지 및 쿠킹제어부 등의 기타 다른 부속품들이 포함될 때 구입자들을 더욱 질리게 한다. 일반적으로, 그릴 디자인이 복잡해짐에 따라 조립과정은 더욱 어렵게 된다. 마케팅 관점에서 볼 때, 복잡한 조립과정을 포함하는 그릴 디자인은 잠재적 구매에 호소할 수 없게 되며, 그 결과 시장에서 도태된다.
이러한 가스 바베큐 그릴의 두번째 관점으로는, 프레임부재들을 서로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다수의 고정구로 인해 상기 지지구조체의 구조적 일체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모되고 느슨해진다. 구조적 일체성의 감소는 상기 지지구조체에 연결된 측부 지지구조체에도 영향을 미쳐, 측부구조체의 부하 지지능력의 감소를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는 현존의 가스 바베큐 그릴은 홈(Home)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5.140.973호를 들 수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5.140.973호의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1)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느슨해지는 나선형 고정구로 고정되는 다수의 개별부품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그릴조립체는 구조적 일체성이 감소하게 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기둥(31)과 하부기둥(32)은 스프링(4)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기둥(31, 32)의 연결부에서 비선형의 접합되지 않은 듯한 외관을 보이게 된다.
현존하는 가스 그릴 디자인의 다른 실시예로서, 피본카(Pivonka)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4.984.515호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구조적 일체성이 감소되는 복잡한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명세서의 도1 및 도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카트 조립체(10)는 슬리브(36, 38, 40, 42)를 통해 삽입되며 단부 프레임부재(12, 14)에 부착되는 여러개의 프레임부재(16, 76, 78)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재(16, 76, 78)는 나선형 고정구(52, 54, 56, 58)와 너트(44, 46, 48, 50)와 슬리브(36, 38, 40, 42)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위치에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는 다른 실시예로는 홈(Home)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5.623.866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명세서의 도1 내지 도3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조립체(10)는 다수의 프레임부재(3)와 2개의 지지브래킷(1)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재(3)는 브래킷(1)의 단단한 벽에 매립되고 부재(3)에서 구멍(31)에 결합되는 스프링형 볼(112)에 의해 브래킷(1)에 고정되고 있다. 측부테이블(4)은 각각의 브래킷(1)의 상부에 위치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나선형 고정구에 의해 브래킷(1)에 고정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쿠킹챔버(2)는 각각의 브래킷(1)의 상부에 위치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나선형 고정구에 의해 브래킷(1)에 고정된다.
따라서, 조립이 간단하고 신뢰성이 있는 내구성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용이한 조립을 촉진시키는 상태로 소형으로 포장될 수 있는 바베큐 그릴조립체도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쿠킹챔버를 수용하는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를 포함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그릴조립체는 하부 조립체와 상부 조립체중 어느 한쪽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다른쪽 조립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부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와 수용부는 돌출부가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칫수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은 수용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편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베큐 그릴조립체는 상부 조립체 근처에 위치된 측부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측부 조립체에는 보조작업면 또는 쿠킹버너가 수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 및 측부 조립체는 다수의 관형 프레임부재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 및 측부 조립체는 프레임부재들을 용접하므로써 예비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체에는 수용부와, 사용자의 조립을 위한 삽입돌출부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베큐 그릴조립체는 돌출부의 제1부분을 편의시켜 수용부의 내측면과 결합하므로써 상하부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1에는 바베큐 그릴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바베큐 그릴조립체(10)는 상부 프레임조립체(12)와, 하부 조립체(14), 측부 조립체(40)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조립체(12)는 쿠킹챔버 또는 화실(火室)(firebox)(16)을 수용하거나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베큐 그릴조립체(10)는 제어부(18), 제어패널(20), 온도게이지(21), 휘일(22), 및 캐스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릴조립체(10)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11)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접합부(11)는 그릴조립체(10)의 접합된 구조체를 형성하는 협력구조체이다.
도2 및 도3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조립체(12)는 상부 수직부재(26)와, 상부 수평부재(28) 및 상부 횡단부재(30)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부재로 형성된다. 상부 조립체(12)를 포함하는 부재(26, 28, 30)의 크기와 갯수는 쿠킹챔버의 크기와 형태를 포함한 디자인변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조립체(12)는 부재(26, 28, 30)에 의해 형성되어 쿠킹챔버(16)를 수용하는 상부 내측면(27)을 포함한다. 상부 조립체(12)는 수직부재(26)의 한쪽을 연결하는 횡단부재(도시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횡단부재는 연결된 측에 부가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상기 횡단부재는 연료탱크와 결합 및/또는 지지하기 위하여 신장된 구조형태를 취하거나 패널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탱크 스케일(tank scale)(도시않음)은 횡단부재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연료탱크는 탱크 스케일 및 횡단부재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부 조립체에서 부품의 갯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평부재 (28) 또는 횡단부재(30)는 조립체(12)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남아있는 부재는 쿠킹부재(16)를 수용하는 내측면(27)을 형성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재(26)는 쿠킹챔버(16)의 일부 또는 그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상부 조립체에서 부품의 갯수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평부재 (28) 또는 횡단부재(30)는 조립체(12)로부터 생략된다. 따라서, 쿠킹챔버(16)와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재(26)가 상부 조립체(12)를 형성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수직부재(26)는 쿠킹챔버(16)의 일부 또는 그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상부 조립체에서 부품의 갯수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쿠킹부재(16)는 적어도 하나의 소켓이나 스템으로 성형되거나 주조된다. 상기 소켓은 쿠킹챔버(16)의 일부 또는 그 표면으로부터 현수된다. 상기 소켓은 광폭의 칫수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소켓의 개방단부는 내측 칫수를 갖고 있으므로, 그 결과 상기 소켓은 하부 조립체(14)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에서, 상부 조립체(12)의 분리된 수직부재(26)는 생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소켓은 상하부 조립체(12, 14)를 고정하기 위해 유니온부재의 일부를 수용한다.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니온부재는 소켓의 일부와 하부 조립체의 일부에 삽입되어 상하부 조립체(12, 14)를 연결 및 고정하는 신장된 구조체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하부 조립체(14)는 하부 수직부재(32)와 래크와 패널 또는 트레이(34)와 하부 횡단부재(3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부재(32, 36)는 2개의 H형 서브조립체를 형성한다. 각각의 서브조립체는 고정구를 사용하거나 용접 등의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예비조립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4)는 일반적으로 단단한 구조체로서 부재(32, 36)를 연결하여 하부 조립체(14)를 형성한다. 또한, 하부 조립체(14)에 구조적 지지체를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트레이(34)는 그릴조립체(10)와의 연결에 사용되는 저장소(storage)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트레이(34)는 부재(32, 28)와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재(도시않음)으로 대체되어, 하부 조립체(14)에 수평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부재는 H형 서브조립체를 연결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평부재와 부재(32, 28)는 고정구를 사용하거나 용접 등의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예비조립되어, 하부 조립체(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휘일러그(38)는 하부 수직부재(32)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휘일(22)을 수용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그릴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상부 프레임조립체(12)에 대해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측부 프레임조립체(40)를 포함한다. 상기 측부 프레임조립체(40)는 측부프레임부재(42)와 트림부재 또는 단부캡(4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측부 조립체(40)는 상부 조립체(12)의 한쪽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조립체(12)는 상부 조립체(12)의 양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측부 조립체는 상부 조립체(12)의 양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측부 조립체(40)는 보조 쿠킹버너와 작업면 또는 제어소자를 위한 신장된 지지체를 제공한다. 이것은 신장된 캔틸레버 위치에서 상기 측부 조립체(40)가 쿠킹버너와 작업면 또는 제어소자를 지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측부 조립체(40)의 칫수와 형태는 그릴조립체(10)의 디자인변수에 따라 변화된다.
상기 측부 조립체(40)는 상부 조립체(12)의 측부에만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하부 조립체(14)의 측부에도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측부 조립체(40)는 그릴조립체(10)와의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기타 다른 부속품이나 연료탱크를 지지한다. 그릴조립체(10)에 사용된 측부 조립체(40)의 갯수는 그릴조립체(10)의 디자인변수에 따라 변화된다.
접합부(11)는 하부 프레임조립체(32)와 상부 프레임조립체(26) 사이에서 협력하는 구조체이다.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11)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조립체(26, 32) 사이의 고정위치에 존재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11)는 측부 조립체(42)와 수평부재(28) 사이에서 협력하는 구조체이다. 상기 접합부(11)는 일반적으로 상하부 조립체(12, 14)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그릴조립체(10)의 여러 곳에 위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하부 조립체(12, 14)의 길이도 변화될 수 있다. 도2 및 도3에서는 모두 6개의 접합부가 도시되었지만, 이보다 적거나 많은 수의 접합부(11)가 사용되어, 각각의 조립체(12, 14, 40)의 형상을 포함하는 디자인변수에 따라, 상하부 조립체(12, 14) 및 상부 조립체 및 측부 조립체(12, 40)를 접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상부 조립체 및 하부 조립체를 포함하는 실외 쿠킹장치(도시않음)을 위한 프레임을 포함한다. 쿠킹챔버를 수용하는 대신에, 상기 프레임은 예를 들어 실외용 상부 스토브형 버너 또는 깊이가 깊은 프라이팬을 포함하는 쿠킹장치를 수용할 수도 있다. 쿠킹장치와 프레임은 이러한 장치가 일반적으로 프레임에 표면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쿠킹장치의 상부면과 프레임의 하부면이 일반적으로 평탄하게 정렬되는 것을 의미한다. 보조버너는 프레임내에 표면장착된다. 상기 프레임은 이동가능하므로, 프레임과 쿠킹장치는 여러 위치들 사이로 이동하여 프레임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실외용 쿠킹장치의 프레임은 제2조립체 근처에 위치된 제1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제2조립체는 제1조립체의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조립체는 예를 들어 실외용 상부 스토브형 버너나 깊이가 깊은 프라이팬과 같은 보조버너 등의 쿠킹장치를 수용한다. 그 결과,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실외용 쿠킹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조립체(12, 14, 40)는 관형 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은 관형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측부단일형 또는 양측부형 또는 측부가 3개인 형태의 부재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다측형 부재는 정방형이나 사각형, U형, 또는 원형 처럼 단면 형상이 변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부재(26, 28, 30)는 예비조립되어 상부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부재(32, 36) 또한 예비조립되어 하부 조립체(14)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조립체(14, 14)를 위한 조립도는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부 조립체(12, 14)중 어느 한쪽은 부분적으로 예비조립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측부 조립체(40)도 부분적으로 예비조립될 수 있다.
부재들(26, 28, 30, 32, 36)을 예비조립하는 방법으로서는 용접이 적합한데, 그 이유는 고강도와 내구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부재들은 리벳, 핀, 또는 나선형 고정구 등의 여러가지 방법으로 예비조립될 수 있다.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조립체(12, 14)의 예비조립은 그릴조립체(10)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상당히 감축시킨다.
상부 조립체 및 하부 조립체(12, 14)는 결합조립체(46)의 기계적 결합에 의해 접합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부 조립체 및 하부 조립체(12, 40)도 결합조립체(46)의 기계적 결합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 결합조립체(46)는 접합부(11) 근처에 위치된다. 도2 및 도3에는 모두 6개의 분리된 결합조립체(46)가 도시되었지만, 각각의 조립체(12, 14, 40)의 형태를 포함한 디자인변수에 따라, 이보다 많거나 적은 갯수의 조립체(46)가 상부 조립체 및 하부 조립체(12, 14)의 접합과 상부 조립체 및 하부 조립체(12, 40)의 접합에 사용될 수 있다.
도3 내지 도5에 있어서, 결합조립체(46)는 돌출부(48)와 수용부(50)를 포함한다. 하기에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이, 부재의 개방단부는 수용부(50)를 형성하는 내측 칫수를 갖는다. 상기 수용부는 돌출부(48)의 일부를 수용한다. 수용부(50)가 돌출부(48)의 길이를 수용하였을 때, 수용부(50)와 돌출부(48)가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48)는 상부 조립체(12), 하부 조립체(14), 또는 측부 조립체(40)에 위치된다. 상기 수용부(50)는 상부 조립체(12), 하부 조립체(14), 또는 측부 조립체(40)에 위치된다. 이것은 그릴조립체(10)의 유틸리티나 융통성을 증가시키는데 기연한다. 상기 돌출부(48)와 수용부(50)는 일반적으로 대향의 조립체(12, 14, 40)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돌출부(48)가 상부 조립체(12) 또는 하부 조립체(14)중 어느 한쪽에 있을 때, 결합되는 수용부(50)는 상부 조립체(12) 또는 하부 조립체(14)중 다른 쪽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돌출부(48)는 쿠킹챔버(16)의 하부에 위치되거나, 쿠킹챔버(16)의 하부로부터 현수된다. 또한, 수용부(50)는 쿠킹챔버(16)의 하부에 위치되거나, 쿠킹챔버(16)의 하부로부터 현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쿠킹챔버(16)는 적어도 일부가 주물재료로 성형되며, 돌출부(48)와 수용부(50)는 동일한 주물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돌출부(48) 또는 수용부(50)를 형성하기 위해,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신장된 주물재료의 이와 같은 배치는 측부 조립체(40)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직부재(26)의 개방단부(27)는 상부 조립체(12)를 위한 수용부(50)를 형성하는 내측 칫수를 갖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부 수평부재(28)의 개방단부도 측부 조립체(40)를 위한 수용부(50)를 형성하는 내측 칫수를 갖는다. 그러나, 하부 프레임부재(32)의 개방단부(도시않음)는 수용부(5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측부 프레임부재(42)의 개방단부(도시않음)는 수용부(50)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48)는 하부 조립체(14)의 하부 수직부재(32)와 측부 조립체(40)의 측부 프레임부재(42)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돌출부(48)는 상부 수직부재(26)의 개방단부(27) 또는 상부 수평부재(28)의 개방단부(29)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50)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수용부(500의 형태는 부재들(26, 28, 32, 42)의 형상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50)는 조립체(12, 14, 40)에 원통형 부재(26, 28, 32, 42)가 사용될 때 둥근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조립체(12, 14, 40)에 양측부형 부재(26, 28, 32, 42)가 사용될 때, 수용부(50)는 L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결합조립체(46)는 돌출부(48)를 수용부(50)로 편의시키기 위한 편의수단(52)을 부가로 포함한다. 나선형이 바람직한 개구(31)는 각각의 수용부(50) 근처에 위치되어, 상기 편의수단(52)의 일부를 수용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8)는 제1부분 또는 레그(54), 제2부분 또는 레그(56), 및 중간부(58)를 갖는다. 제1부분(54)의 길이는 제2부분(56)의 길이를 지나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58)는 제1부분 및/또는 제2부분(56)을 편의시키거나 굴곡시킨다. 상하부 조립체(12, 14)의 조립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중간부(58)는 두께가 감소되거나 경사진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경사진 형태의 중간부(58)는 상하부 조립체(12, 14)의 조립시 안내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경사진 형태의 중간부(58)는 편의를 촉진시킨다. 편의되는 정도(degree)는 돌출부(48)의 디자인을 포함한 그릴조립체(10)의 디자인변수에 따라 변화된다. 상기 편의수단(52)은 나선형 고정구(72)와 와셔(74)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구(72)는 핀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5에 있어서, 제1부분(54)은 내측면(60)과 외측면(62)을 포함한다. 제2부분(56)은 내측면(64)과 외측면(66)을 포함한다. 보스(68)는 내측면(64)상에 위치되어, 편의수단(52)의 일부를 수용한다. 상기 보스(68)는 외측면(66)에 천공력을 인가하거나, 내측면(64)에 일정량의 재료를 추가하므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56)은 자유단부(84)를 갖는다. 편의되거나 또는 편의되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자유단부(84)는 고정되지 않으며 편의될 것이다.
나선형이 바람직한 개구(70)는 제1부분(54)에 위치된다. 상기 개구(70)는 편의수단(52)의 일부를 수용한다. 상기 개구(70)와 보스(68)는 편의수단(52)이 개구(70)를 통과하여 연장될 때, 편의수단(52)의 제1단부가 보스(68)와 결합하도록 정렬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조립체(14)에서의 2개의 돌출부(48)는 하부 조립체(14)에서의 나머지 돌출부(48)와는 달리 상이한 방향을 취한다. 이것은 하부 조립체(14)의 전방부에서의 돌출부(48)의 방향이 조립체(14)의 후방부의 돌출부 방향과는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측부 조립체(40)에서의 돌출부(48)도 상이한 방향을 취한다. 돌출부(48)의 방향을 변화시키면, 그릴조립체(10)가 적절히 조립되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부 조립체(12)가 적절히 위치되었을 때, 상부 수직부재(26)에서의 개구(31)는 돌출부(48)에서의 결합 개구(70)와 정렬될 것이다. 이와는 달리, 상부 조립체(12)가 부적절하게 위치되면, 상부 수직부재(26)의 개구(31)는 돌출부(48)의 개구와 정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편의수단(52)이 조립체(12, 14)를 고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돌출부(48)와 수용부(50)는 서로 협력하여 정렬된다. 따라서, 돌출부(48)의 방향이 변경되면, 이에 따라 개구(31)의 방향도 변화된다.
돌출부(48)의 정밀한 방향은 돌출부(48)의 형태를 포함한 디자인변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8)는 플라스틱, 스틸, 알루미늄, 기타 금속합금을 포함하는 다른 금속으로 형성된다. 금속으로 돌출부(4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고강도와 변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돌출부(48)의 형성에 사용된 재료에 따라, 돌출부(48)의 탄성 변형도와 변형량이 변화될 것이다.
도6 및 도7에는 상하부 조립체(12, 14)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48)와 수용부(50)는 돌출부(48)의 일부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48)와 수용부(50)가 서로 협력하는 칫수를 갖기 때문에, 돌출부(48)는 수용부(50)에 삽입가능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돌출부(48)는 대응의 수용부(50)에 결합된다. 상기 수용부(50)는 돌출부(48)의 일부를 제거가능하게 수용한다. 그 결과, 돌출부(48)는 수용부(50)에 반복해서 삽입 및 수용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돌출부(48)는 수용부(50)를 손상시키지 않고 또는 수용부(50)의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고서도, 수용부(50)에 반복가능하게 삽입 및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8)는 하부 조립체(14)의 하부 수직부재(32)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수용부(50)는 상부 조립체(12)의 상부수직부재(26)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돌출부(48)는 상부 조립체(12)의 수직부재(26)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수용부(50)는 하부 조립체(14)의 수직부재(32)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돌출부(48)와 수용부(50)를 포함하여, 결합부재(46)의 크기와 형태는 조립체(12, 14, 40)를 포함하는 부재들의 형태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8)의 제1부분(54)의 하부(76)는 프레임부재(32)의 수용부(50)의 내측면(78)에 부착된다. 상기 하부(76)는 내측면(78)에 고정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 및 도8에 있어서, 편의부재(52)가 삽입되기 전에, 제1공동 또는 간극(C1)은 제1부분의 상부(80)와 수용부(50)의 내측면(82) 사이에 존재한다. 제2공동 또는 간극(C2)은 내측면(82)과 제2부분(56) 사이에 존재한다. 제3공동 또는 간극(C3)은 내측면(78)과 제2부분(56) 사이에 존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돌출부(48)는 "편의되지 않은 위치"에 있다. 도7 및 도9에서, 편의수단(52)은 개구(31, 70)를 통해 삽입되어, 제2부분(56)의 보스(68)와 결합된다. 이때, 돌출부(48)는 "편의된 위치"에 있다. 이러한 편의위치에서, 제1부분(54)의 일부가 편의되어, 내측면(52)과 접촉하게 된다. 특히, 제1부분(54)의 상부(80)는 내측면(82)과 접촉하도록 편의되므로, 일반적으로 간극(C1)이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고정수단(52)의 나선이 개구(31, 70)의 나선과 결합할 때 발생된다. 또한, 편의된 위치에서, 제2부분(56)의 일부는 내측면(78, 82)과 접촉하도록 편의되거나 변형된다. 특히, 제2부분(56)은 프레임부재(32)의 표면(78) 및 수용부(50)의 내측면(82)과 접촉하도록 편의되므로써, 간극(C2, C3)은 일반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편의수단(52)이 보스(68)와 결합하여 보스(68)상에 충분한 힘을 발휘하므로써 제2부분(56)을 내측면(78, 82)의 방향으로 편의시키거나 변형시킬 때 발생된다. 상기 편의 또는 탄성은 탄성적이므로, 인가된 부하가 일단 해제된 후에는 상기 돌출부(48)는 비편의 위치로 반향되어, 그 본래의 형태로 복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스(68)와 개구(70)의 위치는 내측면(78, 82)에 대한 편의도나 편의량에 영향을 미친다. 도6 및 도7에 있어서, 보스(68)와 개구(70)는 상부 프레임부재(26)의 내부에서 일반적으로 중간부(58) 보다 짧은 거리에 위치된다. 이 위치에서, 제2부분(56)은 내측면(78, 82)에 편의될 수 있으므로, 간극(C2, C3)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보스(68)와 개구(70)는 하부 프레임부재(32)의 내부에서 일반적으로 중간부(58) 보다 긴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제2부분(56)은 내측면(78)에 대해서만 편의되므로, 단지 간극(C3)만이 제거될 수 있다.
비편의 위치에서는 상부 프레임부재(26)와 하부 프레임부재(32)가 접합되지만, 프레임부재(26, 32) 사이의 횡단이동은 상기 간극(C1, C2, C3)으로 인해 배제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부재(26, 32)는 일반적으로 조립체(12, 14) 사이의 길이방향 이동 및 횡단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적절히 고정된다. 따라서, 그릴조립체(10)는 쿠킹챔버(16)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구조적 일체성을 갖게 된다. 편의수단(52)이 개구(31, 70)를 통해 삽입되는 부분적 편의위치에서는 보스(68)와 결합되지 않으므로, 조립체(12, 14) 사이의 길이방향 이동이 방지되고, 횡단방향 이동은 보다 작은 정도로 감소된다.
상부 수직부재(26)는 외측 벽면(86)을 포함하며, 하부 수직부재(32)는 외측 벽면(88)을 포함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8)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될 때, 상부 프레임부재(26)의 외측 벽면(86)은 하부 프레임부재(32)의 외측 벽면(88)과 평탄하게 정렬된다. 이것은 외측면이 밀착되어 있어 거의 동일평면상에 존재하며 중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7에 있어서, 편의수단(52)이 개구(70)에 충분히 삽입되어 제1부분(54)을 편의시켜 내측면(82)과 접촉되었을 때, 외측면(86, 88)은 평탄하게 정렬된 상태로 남게 된다. 상기 편의수단(52)이 개구(70)내로 계속 삽입되어 제2부분(56)을 편의시켜 내측면(78, 82)과 접촉시키면, 상기 외측면(86, 88)은 평탄하게 정렬된 상태가 된다. 현존의 그릴 디자인과는 달리, 상기 외측면(86, 88)이 평탄하게 정렬되었을 때, 수직부재(26, 32)는 "부드러운" 외관을 갖게 되어, 상하부 조립체(12, 14) 사이의 접합부(11)에서 그릴조립체(10)에 선형적인 외관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도6 및 도7에 있어서, 상부 수직부재(26)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단부면(27a)이 구비된 개방된 외측단부(27)를 포함한다. 외측칫수는 일반적으로 단부(27)의 둘레로 표시된다. 하부 수직부재(32)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단부면(90a)이 구비된 개방된 외측단부(90)를 포함한다. 외측칫수는 일반적으로 상부부재(27)의 기하학적 칫수와 정렬되는 단부(90)의 둘레로 표시된다. 상기 단부(27)의 외측칫수는 단부(90)의 외측칫수와 동일하다.
돌출부(48)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되었을 때, 수직부재(26, 32)는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단부(27)는 단부(90)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단부면(27a)은 단부면(92a)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에 있어서, 상부 수직부재(26)의 외측칫수는 하부 수직부재(32)의 외측칫수와 정렬된다. 그 결과, 부재들(26, 32)의 외측칫수 사이와 단부들(27, 90) 사이에는 중첩이나 현수부가 없다. 중첩이나 현수부가 존재할 때, 부재들(26, 32) 사이의 접합부(11)는 접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게 되고, 바베큐 그릴조립체(10)의 외관은 심미적 요소가 감소된다.
도7에 있어서, 편의수단(52)이 개구(70)에 충분히 삽입되어 제1부분(54)을 편의시켜 내측면(82)과 접촉되었을 때, 수직부재(26, 32)는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로 고정되며, 외측칫수는 거의 정렬된 상태로 남게 된다. 상기 편의수단(52)이 개구(70)내로 계속 삽입되어 제2부분(56)을 편의시켜 내측면(78, 82)과 접촉시키면, 수직부재(26, 32)는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로 고정되며, 외측칫수는 거의 정렬된 상태로 남게 된다. 현존의 그릴 디자인과는 달리, 수직부재(23, 32)가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일 때, 상기 그릴조립체(10)는 상하부 조립체(12, 14) 사이의 접합부(11)에서 선형의 외관을 갖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48)와 수용부(50)는 측부 조립체 및 상부 조립체(12, 40)를 접합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돌출부(48)는 측부 조립체(40)의 측부부재 도는 상부 조립체(12)의 수평부재(28)의 내측면(도시않음)에 부착될 수 있다. 수용부(50)는 수평부재(28)의 측부부재(42)의 다른쪽에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48)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될 때, 간극(C1, C2, C3)은 비편의 위치로 존재한다. 편의수단(52)이 인입될 때, 제1부분 및 제2부분(54, 56)의 일부는 수용부(50)의 내측면(82) 및 수평부재(42)의 내측면(도시않음)과 접촉하도록 편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간극(C1, C2, C3)은 제거되며, 돌출부(48)는 편의된 위치로 있게 된다. 편의된 위치에서, 부재(28, 42)는 적절히 고정되어, 부재들(12, 40) 사이의 길이방향 이동 및 횡단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측부 조립체(40)는 캔틸레버 위치로 지지되며, 그릴조립체(10)는 캔틸레버 위치에서 작업면이나 보조 쿠킹장치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구조적 일체성을 갖는다.
돌출부(48)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될 때, 측부 프레임부재(42)의 외측 벽면(도시않음)과 상부 수평부재(28)의 외측 벽면(도시않음)은 평탄하게 정렬된다. 편의수단(52)이 개구(31, 70)에 충분히 삽입되어 제1부분(54)을 편의시켜 수용부(50)의 내측면(82)과 접촉되었을 때, 측부부재(42)의 외측 벽면과 상부부재(28)의 외측 벽면은 평탄하게 정렬된다.
상기 편의수단(52)이 개구(31, 70)내로 계속 삽입되어 제2부분(56)을 편의시켜 내측면(82) 및 측부부재(42)의 내측면과 접촉시키면, 측부부재(42)의 외측 벽면과 상부부재(28)의 외측 벽면은 평탄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그릴조립체(10)는 상부 조립체 및 측부 조립체(12, 40)의 접합부(11)에서 구조적 일체성이 증가되고 선형 외관을 갖게 된다.
또한, 돌출부(48)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되었을 때, 측부 프레임부재(42)와 수평부재(28)는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로 고정되며, 부재(28)의 단부(29)는 부재(42)의 단부(43)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와 같이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에서, 부재(28)의 둘레를 의미하는 외측칫수는 부재(32)의 둘레를 의미하는 외측칫수와 정렬한다. 편의수단(52)이 개구(31, 70)내로 충분히 삽입되어 제1부분(54)을 편의시켜 내측면(82)과 접촉되었을 때, 부재(28, 42)는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로 고정되며, 다른쪽 칫수는 정렬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편의수단(52)이 개구(31, 70)내로 계속 삽입되어 제2부분(56)을 편의시켜 내측면(82) 및 측부부재(42)의 내측면과 접촉시키면, 부재(28, 42)는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로 고정되며, 외측 칫수는 정렬상태로 유지된다. 부재(28, 42)가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로 고정되었을 때, 그릴조립체(10)는 상부 조립체 및 측부 조립체(12, 40)의 접합부(11)에서 외관의 선형성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10 내지 도14에는 측부 프레임부재(42)가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148)는 단일 블레이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48)는 내측면(160)과 외측면(162)을 갖고 있다. 나선형이 바람직한 개구(170)는 돌출부(148)의 상부(180)에 위치된다. 상기 개구(170)는 편의수단(52)의 일부를 수용한다.
도11 내지 도14에는 상부 조립체 및 측부 조립체(12, 40)가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148)와 수용부(150)는 돌출부(148)의 일부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칫수를 갖는다. 하부(176)는 측부 조립체(40)의 측부부재(42)의 내측면(178)에 부착된다. 도11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수단(52)이 삽입되기 전에, 제1간극(C1)은 수용부(50)의 내측면(82)과 상부 사이에 존재한다. 이 상태에서, 돌출부(148)는 "편의되지 않은 위치"에 있다. 도12 및 도14에서, 편의수단(52)은 개구(31, 170)를 통해 삽입되어, 내측면(82)과 결합된다. 이때, 돌출부(148)는 "편의된 위치"에 있다. 이러한 편의위치에서, 상부(180)는 내측면(82)과 접촉하도록 편의되므로, 일반적으로 간극(C1)이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고정수단(52)의 나선이 개구(31, 170)의 나선과 결합할 때 발생된다. 상기 편의 또는 탄성은 탄성적이므로, 인가된 부하가 일단 해제된 후에는 상기 돌출부(148)가 편의되지 않은 위치로 반향되어, 그 본래의 형태로 복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5에는 돌출부(48)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248)는 서로 이격된 제1부분(254) 및 제2부분(256)이 구비된 이중 블레이드 형상을 취하고 있다. 제1부분(254)은 내측면(260)과 외측면(262)을 포함하며, 그 일부는 측부 조립체(40)의 측부부재(42)의 내측면(278)에 부착되어 있다. 제2부분(256)은 내측면(264)과 외측면(266)을 포함하며, 그 일부는 내측면(278)에 부착되어 있다. 나선형이 바람직한 개구(270)는 제1부분(254)에 위치된다. 보스(268)는 내측면(264)에 위치되어, 편의수단(52)을 수용한다. 돌출부(248)와 수용부(50)는 돌출부(248)의 일부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될 수 있게 하는 칫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16 및 도17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11)를 포함하는 그릴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접합부(11)는 접합된 구조의 그릴조립체(10)에 의해 생성된 구조체이다. 특히, 접합부(11)는 하부 프레임부재(32)와 상부 프레임부재(26) 사이에서 협력하는 구조체이다. 또한, 상기 접합부(11)는 측부부재(42)와 수평부재(28) 사이에서 협력하는 구조체이다.
상기 그릴조립체(10)는 접합부(11)에서 상부 조립체(12)와 하부 조립체(14)를 접합하는 분리된 구조체인 유니온부재(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니온부재(300)는 접합부(1)1에서 상부 조립체(12)와 하부 조립체(14)를 접합한다.
상기 접합부(11)는 상하부 조립체(12, 14) 사이에서 중간지점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그릴조립체(10)의 여러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부 조립체(12, 14)에서의 부재들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도18 및 도19에서는 전부 6개의 분리된 접합부(11)가 사용되었지만, 이보다 많거나 적은 갯수의 접합부(11) 및 유니온부재(300)가 사용되어, 각각의 조립체(12, 14, 40)의 형태를 포함하는 디자인변수에 따라, 상하부 조립체(12, 14)와 상부 조립체 및 측부 조립체(12, 40)를 접합한다.
상기 유니온부재(300)는 외측면(302)과 내측면(304)을 포함한다. 유니온부재(300)는 길이(L)와 폭(W)과, 둘레(P)를 갖는다. 유니온부재(300)의 길이(L)와 둘레(P)는 그릴조립체의 디자인변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니온부재(300)는 최소한의 길이(L)와 최소한의 둘레(P)를 가지므로, 유니온부재(300)의 외측면(302)은 수직부재(26)의 내측면(306) 일부 및 수직부재(32)의 내측면(308)의 일부와 마찰결합된다.
상부 조립체(12)와 하부 조립체(14)를 접합하기 위하여, 유니온부재(300)는 상부 조립체(12)의 수직부재(26) 및/또는 하부 조립체(14)의 수직부재(32)의 내부에서 접합부(11)에 위치된다. 따라서, 유니온부재(300)는 수직부재(26, 32)와 협력하는 칫수를 갖게 된다. 유니온부재(300)가 수직부재(26, 32)내에 위치될 때, 유니온부재(300)의 외측면(302)은 수직부재(26)의 내측면(306) 일부 및 수직부재(32)의 내측면(308)의 일부와 마찰결합된다. 수직부재(26, 32) 사이의 마찰결합은 상하부 조립체(12, 14)의 분리를 방지한다. 마찰결합도 또는 마찰결합 수준은 유니온부재(300) 및 부재(26, 32)의 칫수와 형태에 따라 변화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온부재(300)는 수직부재(26, 32)의 내부에 위치되며, 유니온부재(300)의 제1부분(310)은 수직부재(26)의 단부(27)를 지나 연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유니온부재(300)의 제1부분(312)은 수직부재(32)의 단부(90)를 지나 연장된다. 유니온부재(300)의 중간부(314)는 접합부(11) 근처에 위치된다.
유니온부재(300)가 수직부재(26, 32)의 내부에 위치될 때, 상부 수직부재(26)의 외측 벽면(86)은 하부 수직부재(320)의 외측 벽면(88)과 평탄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그릴조립체(10)는 상하부 조립체(12, 14)의 접합부에서 선형 외관을 갖게 된다. 또한, 유니온부재(300)가 수직부재(26, 32)의 내부에 위치될 때, 상부 수직부재(26)의 단부(27)와 하부수직부재(32)의 단부(90)는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로 된다.
상부 조립체(12)와 하부 조립체(14)를 접합하기 위하여, 유니온부재(300)는 상부 조립체(12)의 수평부재(28) 및 하부 조립체(14)의 측부부재(42)의 내부에서 접합부(11)에 위치된다. 따라서, 유니온부재(300)는 수직부재(28, 42)와 협력하는 칫수를 갖게 된다. 유니온부재(300)가 수직부재(28, 42)내에 위치될 때, 유니온부재(300)의 외측면(302)은 수평부재(28)의 내측면 일부 및 측부부재(42)의 내측면(308)의 일부와 마찰결합된다.
유니온부재(300)가 수평부재(28) 및 측부부재(42)의 내부에 위치될 때, 수평부재(28)의 외측 벽면(도시않음)은 측부부재(42)의 외측 벽면(도시않음)과 평탄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그릴조립체(10)는 상하부 조립체(12, 14)의 접합부(11)에서 선형 외관을 갖게 된다. 또한, 유니온부재(300)가 부재(28, 42)의 내부에 위치될 때, 수평부재(28)의 단부(29)와 측부부재(42)의 단부(43)는 서로 맞닿는 형태로 된다.
상부 조립체(12)와 하부 조립체(14)는 유니온부재(300)에 의해 접합부(11)에서 접합되었지만, 상기 조립체(12, 14)는 조립체(12, 14) 사이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전히 고정되지 않는다. 상하부 조립체(12, 14)를 완전히 고정하기 위하여, 유니온부재(300)와 함께 로킹수단(도시않음)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로킹수단은 유니온부재(300)를 프레임부재(26, 32)내에 고정하여, 상하부 조립체(12, 14)를 고정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킹수단은 유니온부재(300)를 프레임부재(28, 42)내에 고정하여, 상부 조립체 및 측부 조립체(40)를 고정한다. 상기 로킹수단은 방사방향 돌출부 및 이와 결합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고정구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후자의 실시예에서, 프레임부재(26, 32)는 협력하여 위치되는 개구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유니온부재(300)의 제1부분(310)은 제1부분(310)의 둘레가 중간부(314)의 둘레 보다 크게 되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제2부분(312)은 제1부분(310)의 둘레가 중간부(314)의 둘레 보다 크게 되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한다. 유니온부재(300)의 상기 경사진 부분은 유니온부재(300)를 부재(26, 28, 32, 42)내에 위치시키는 것을 촉진시키며, 또한 부재(26, 28, 32, 42)의 고정도 촉진시킨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유니온부재(300)는 상부 프레임부재(26) 또는 하부 프레임부재(32)의 어느 한쪽에서 접합부(11)에 먼저 위치된다. 이어서, 상부 프레임부재(26) 또는 하부 프레임부재(32)의 다른쪽은 유니온부재(300)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유니온부재(300)는 하부 프레임부재(32)의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후, 프레임부재(26)가 유니온부재(300)와 결합된다. 그 결과, 상부 프레임조립체(42)와 하부 프레임조립체(14)가 접합부(11)에서 접합된다. 상부 프레임조립체와 측부 프레임 조립체(40)도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접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유니온부재(300)는 상부 프레임부재(26) 또는 하부 프레임부재(32)중 어느 한쪽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니온부재(300)의 제2부분(312)은 용접 기타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프레임부재(32)의 내측면(3020에 고정된다. 그후, 상부 프레임부재(26)는 유니온부재(300)와 결합된다. 그 결과, 상부 프레임조립체(12)와 하부 프레임조립체(14)는 접합부(11)에서 접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유니온부재(300)는 부재(26, 32)의 내측면과 결합되도록 편의된다. 예를 들어, 제1부분(310)은 프레임부재(26)의 내측면(306)과 결합되도록 편의된다. 선택적으로, 제2부분(312)은 프레임부재(32)의 내측면(308)과 결합되도록 편의될 수 있다. 상기 유니온부재(300)는 유니온부재(300)를 부재(26, 32)의 내측면과 결합하도록 편의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은 고정구 또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도16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온부재(300)는 일반적으로 정방향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형태는 유니온부재(300)가 일반적으로 정방향 단면의 프레임부재(26, 28, 32, 42)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유니온부재(300)의 형태가 프레임부재(26, 28, 32, 42)의 형태에 따라 변화된다. 프레임부재(26, 28, 32, 42)가 곡선형태를 취할 때, 유니온부재(300)도 이와 유사하게 곡선형태를 취한다. 상기 유니온부재(300)는 관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나 상기 유니온부재(300)는 중실의 형태를 갖는다. 또한, 유니온부재(300)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한 세그먼트형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니온부재(300)는 길이(L)와 폭(W)과, 둘레(P)가 포함된 일련의 칫수를 갖는다. 이러한 칫수는 유니온부재(300) 및 조립체(12, 14, 40)의 디자인변수에 따라 상당히 변화될 수 있다. 유니온부재(300)는 프레임부재(26, 28, 32, 42)와 함께 위치되고 프레임부재(26, 28, 32, 42)의 내측면과 마찰결합되므로, 상기 유니온부재(300)는 프레임부재(26, 28, 32, 42)와 협력하는 칫수를 갖는다. 따라서, 프레임부재(26, 28, 32, 42)의 폭 및 둘레 등의 칫수들이 증가함에 따라, 유니온부재(300)의 폭 및 둘레 등의 칫수들도 증가된다. 이러한 칫수 증가는 유니온부재(300)의 외측면(302)이 프레임부재(26, 28, 32, 42)의 내측면과 마찰결합하여 조립체(12, 14, 450)와 접합되는 것을 보장한다.
유니온부재(300)는 플라스틱, 스틸, 알루미늄, 기타 금속합금을 포함하는 다른 금속으로 형성된다. 금속으로 유니온부재(3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고강도를 보장하기 때문이다.
그릴조립체(10)는 조립체(10)의 포장특성에 장점을 부여하는 다수의 독특한 디자인 특성을 갖고 있다. 도18에 있어서, 하부 수직부재(32)와 하부 횡단부재(36) 및 하부 수평부재(100)는 상부 조립체(12)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하부 조립체(14)의 내측 공간(102)을 형성하도록 고정된다. 상부 조립체(12)의 부재(26, 28, 30)는 하부 조립체(14)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상부 조립체(12)의 내측 공간(103)을 형성하도록 고정된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립체(12)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 공간(10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부 조립체(12)가 내측 공간(102)의 내부에 위치될 때, 상부 조립체(12)의 적어도 하나의 상부 수직부재(26)는 하부 조립체(14)의 대응의 하부 수직부재(32)에 인접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하부 조립체(14)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 공간(103)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릴조립체(10)는 "적층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적층 위치에서, 조립체(12, 14)가 안착되고, 측부 조립체(40)는 조립체(12, 14)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으므로, 매우 컴팩트하고 아직 단단한 구조적 배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릴조립체(10)는 적층 위치에서 배치되어 포장될 수 있다. 적층 위치에서, 그릴조립체(10)는 부피가 매우 적으며, 현존의 그릴조립체에 배해 매우 작은 발자국(footprint)을 갖는다. 이것은 조립체(10)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보다 작은 칫수로 분배 및 컨테이너 선적되도록 포장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릴조립체(10)의 포장비용을 상당히 절감시킨다. 포장비용은 그릴조립체(10)가 전통적으로 국제간 분배를 위해 사용되는 외국행 컨테이너에 선적될 때 더욱 절감된다.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립체(12) 및 하부 조립체(14)는 예비조립된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상하부 조립체(12, 14)에 대한 예비조립도는 그릴조립체(10)의 여러 포장변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조립체(12)는 예비조립될 수 있고, 하부 조립체(14)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예비조립될 수 있다. 그후, 하부 조립체(14)는 상부 조립체(12)와는 분리된 구성 및 고정을 필요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조립체(14)는 예비조립될 수 있고, 상부 조립체(12)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예비조립될 수 있다. 그후, 상부 조립체(12)는 하부 조립체(14)와는 분리된 구성 및 고정을 필요로 한다.
도18 및 도19에서 측부 조립체(40)는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부품의 예비조립도는 포장변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조립체(10)의 포장은 상부 프레임조립체(12)에 이에 고정된 실외용 스토브 상부 등의 쿠킹장치가 구비된 예비조립된 장치를 제공하므로써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후, 하부 프레임조립체(14)는 상부 조립체(12)와는 분리된 구성 및 고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그릴조립체(10)의 포장은 적어도 하나의 유니온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유니온부재(300)는 조립체(10)의 구성중 사용된 각각의 부품으로서 포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느슨하게" 포장된다. 선택적으로, 유니온부재(300)는 상부 조립체(12) 또는 하부 조립체(14)중 어느 한쪽에 선위치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유니온부재(300)는 상부 조립체(12) 또는 측부 조립체(40)중 어느 한쪽에 선위치될 수 있다. 유니온부재(300)의 선위치는 그릴조립체(10)를 구성하는데 필요로 하는 처리과정을 감축시킨다.
상기 그릴조립체(10)는 적층된 위치로 포장될 수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내의 분리된 부품수는 상당히 감소된다. 부품수의 감소는 그릴조립체(10)의 조립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상당히 바람직하다. 부품수는 디자인변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그릴조립체(10)는 3개 정도의 적은 갯수 즉, 상부 조립체(12), 하부 조립체(14), 및 측부 조립체(40)로 포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각 조립체(12, 14, 40)의 각각의 부품은 조립공장에서 예비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조립체(12, 14, 40)는 완전한 유니트로 포장될 수 있다. 이것은 각 조립체(12, 14, 40)가 그릴조립체(10)를 작동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특정한 부품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쿠킹챔버(16)와 온도게이지(21)는 상부조립체(12)에서 예비조립될 수 있으며, 휘일(22)과 캐스터(24)는 하부조립체(14)에서 예비조립될 수 있고, 제어부(20)는 측부 조립체(40)에서 예비조립될 수 있다. 그릴조립체(10)의 구입자는 컨테이너로부터 각 조립체(12, 14, 40)를 제거하여 조립과정을 시작할 수 있으며, 이것은 각 조립체(12, 14, 40)의 예비조립된 상태로 인하여 매우 적은 조립단계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먼저, 하부 조립체(14)로부터 상부 조립체(12)는 상향이동되어, 적층된 위치로부터 하부 조립체(14)를 제거한다. 상부 조립체(12)를 충분히 상향이동시킨 후에는 하부 조립체(14)와 정렬된다. 이어서, 상부 조립체(12)는 하부 조립체(14)와 정렬되어, 상부 조립체(12)에서 돌출부(48)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될 수 있게 한다. 그후, 측부 조립체(40)는 상부 조립체(12)와 결합하며, 상부 조립체(12)에서 돌출부(48)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될 수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 조립체(12) 및 하부 조립체(14)는 접합되지만, 조립체(12, 14) 사이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전하게 고정되지는 않는다. 조립체(12, 14)를 더욱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편의수단(52)이 개구(31, 70)에 삽입된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8)가 편의위치로 편의되거나 변형될 때, 상기 조립체(12, 14)가 고정되어 조립체(12, 14) 사이의 길이방향 및 횡단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상부 조립체(12)와 하부 조립체(14)는 접합되지만, 조립체(12, 14) 사이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전하게 고정되지는 않는다. 조립체(12, 14)를 더욱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편의수단(52)이 개구(31, 70)에 삽입되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8)가 편의위치로 편의되거나 변형된다.
현존의 그릴 디자인과는 달리, 조립과정중에는 상부 조립체(12)가 회전, 선회, 또는 각운동을 하지 않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측부 조립체(40) 또한 그릴조립체(10)의 조립과정중에는 회전, 선회, 또는 각운동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그릴조립체(10)는 상부 조립체(12) 및 하부 조립체(14)와, 상부 조립체(12) 및 측부 조립체(40)를 접합하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니온부재(300)를 포함한다. 그릴조립체(10)는 유니온부재(300)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온부재(300)의 일부는 하부 조립체(14)의 수직 부재(32)의 내부에 위치된다. 특히, 유니온부재(300)의 제1부분(310)은 프레임부재(32)의 단부(90)를 지나 연장되며, 제2부분(312)은 프레임부재(32)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어서, 상부 프레임부재(26)는 유니온부재(300)와 결합된다. 특히, 유니온부재(300)의 제1부분(310)은 프레임부재(26)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 결과, 상부 프레임부재(12) 및 하부 프레임부재(14)가 접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니온부재(300)는 상부 프레임부재(26)의 내부에 먼저 위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쿠킹수단(350)은 상부 조립체(12) 및 하부 조립체(14)가 접합된 후 유니온부재(3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쿠킹수단(350)은 상부 조립체(12) 및 하부 조립체(14)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그릴조립체(10)는 조립체(10)의 포장특성에 장점을 부여하는 다수의 독특한 디자인 특성을 갖고 있다. 상기 그릴조립체(10)는 상하부 조립체(12, 14)를 분리시키거나 붕괴시키므로써 전체 높이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도18에 있어서, 조립체(12, 14)는 편의수단(52)을 제거하므로써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8)와 수용부(50)는 제거가능한 삽입을 허용하기 위하여 협력가능한 칫수를 가지며, 상부 조립체(12)는 편의수단(52)의 일단 제거된 후에는 하부 조립체로부터 상승할 수 있다. 그후, 상부 조립체(12)는 내측 공간(10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그릴조립체(10)는 상부 조립체 및 측부 조립체(12, 40)를 붕괴시키므로써 그 전체 폭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일단 편의수단(52)이 제거된 후에는, 조립체(12, 40)가 분리되고, 측부 조립체는 조립체(12, 14)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그릴조립체(10)는 적층 위치로 복귀된다. 적층위치에서, 그릴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부피가 작고 소형의 발자국을 갖기 때문에, 용이하게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베큐 그릴조립체의 정면도.
도2는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 및 측부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는, 도1의 바베큐 그릴조립체의 사시도.
도3은 도1의 바베큐 그릴조립체의 확대사시도.
도4는 도1의 바베큐 그릴조립체의 돌출부의 사시도.
도5는 도4의 돌출부의 측면도.
도6은 편의된 위치에서 수용부에 삽입된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1의 바베큐 그릴조립체의 돌출부의 부분단면도.
도7은 편의된 위치에서 수용부에 삽입된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6의 돌출부의 부분단면도.
도8은 편의된 위치에서의 수용부와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6의 선8-8을 따른 수용부와 돌출부의 단면도.
도9는 편의된 위치에서의 수용부와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7의 선9-9를 따른 수용부와 돌출부의 단면도.
도10은 도1의 바베큐 그릴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편의된 위치에서 수용부에 삽입된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10의 돌출부의 부분단면도.
도12는 편의된 위치에서 수용부에 삽입된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10의 돌출부의 부분단면도.
도13은 편의된 위치에서의 수용부와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11의 선13-13을 따른 수용부와 돌출부의 단면도.
도14는 편의된 위치에서의 수용부와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12의 선14-14를 따른 수용부와 돌출부의 단면도.
도15는 도1의 바베큐 그릴조립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바베큐 그릴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17은 도18의 바베큐 그릴조립체의 확대사시도.
도18은 도1의 바베큐 그릴조립체의 확대단면도.
도19는 적층된 위치에서의 그릴조립체를 도시하는, 도1의 바베큐 그릴조립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그릴조립체 12: 상부 프레임조립체
14: 하부 프레임조립체 16: 측부 프레임조립체
18: 제어부 22: 휘일
24: 캐스터 32: 수직부재
34: 트레이 36: 횡단부재

Claims (64)

  1. 쿠킹챔버(16)를 갖는 상부 조립체(12)와,
    다수의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로 형성된 하부 조립체(14)와,
    상부 조립체(12) 또는 하부 조립체(14)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돌출부(48, 148, 248)와,
    상부 조립체(12) 또는 하부 조립체(14)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수용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50)는 내측면(82)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48, 148, 248)와 수용부(50)는 돌출부(48, 148, 248)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도록 협력하는 칫수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48, 148, 248)는 제1부분(54, 254) 및 제2부분(56, 256)을 가지며, 상기 제1부분(54, 254)은 내측면(82)과 접촉하도록 제2부분(56)으로부터 편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8, 148, 248)는 쿠킹챔버(16)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50)는 쿠킹챔버(16)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8, 148, 248)는 쿠킹챔버(16)의 하부로부터 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50)는 쿠킹챔버(16)의 하부로부터 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조립체(12)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48, 148, 248)는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들중 하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50)는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들중 하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조립체(12)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를 포함하며, 수용부(50)는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들중 하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돌출부(48, 148, 248)는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들중 하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제1부분(54, 254)을 내측면(82)과 결합하도록 편의시키는 나선형 고정구(72) 및 와셔(74) 등의 편의수단(52)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수단(52)은 제1부분(54, 254)을 편의시키기 위하여 수용부(50)의 개구(31)를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수단(52)은 제1부분(54, 254)을 편의시키기 위하여 수용부(50)의 개구(31)와 돌출부(48, 148, 248)의 개구(70, 170, 270)를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수단(52)은 핀, 고정구, 또는 나선형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14. 제2항에 있어서, 쿠킹챔버(16)의 일부는 주물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돌출부(48, 148, 248)의 일부는 주물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16. 제3항에 있어서, 쿠킹챔버(16)의 일부는 주물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50)의 일부는 주물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하나이상의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로 형성된 상부 조립체(12)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에 연결된 쿠킹챔버(16)와,
    하나이상의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로 형성된 하부 조립체(14)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와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를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로 고정하는 하나이상의 결합조립체(46)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는 단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는 외측 칫수를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는 단부를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는 외측 칫수를 가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의 외측 칫수는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의 외측 칫수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조립체(46)는 돌출부(48, 148, 248)와 수용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48, 148, 248)는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나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중 어느 한쪽에 위치되며; 상기 수용부(50)는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나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중 다른 한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돌출부(48, 148, 248)의 제1부분(54, 254)을 수용부(50)의 내측(82)면과 결합하도록 편의시키는 편의수단(52)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와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는 단부와 단부가 맞닿는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27. 제25항에 있어서, 돌출부(48, 148, 248)의 제1부분(54, 254)을 수용부(50)의 내측면(82)과 결합하도록 편의시키는 편의수단(52)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부재(26, 28, 30, 32, 34, 36)의 외측 칫수는 정렬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의 외측 칫수는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의 단부의 둘레이고,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의 외측 칫수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단부의 둘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29. 다수의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로 형성된 상부 조립체(12)와,
    다수의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로 형성된 하부 조립체(14)와,
    하부 조립체(14)나 상부 조립체(12)중 어느 한쪽에 위치되는 하나이상의 돌출부(48, 148, 248)와,
    하부 조립체(14)나 상부 조립체(12)중 다른 한쪽에 위치되는 하나이상의 수용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50)는 내측면(82)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48, 148, 248)와 수용부(50)는 돌출부(48, 148, 248)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되도록 협력하는 칫수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48, 148, 248)는 제1부분(54, 254) 및 제2부분(56, 256)을 가지며, 내측면(82)과 접촉하도록 수용부(50)의 내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8, 148, 248)는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들중 하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50)는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들중 하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8, 148, 248)는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들중 하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50)는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들중 하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34. 제29항에 있어서, 상부 조립체(12)는 예비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35. 제29항에 있어서, 하부 조립체(14)는 예비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36. 제29항에 있어서, 제1부분(54, 254)을 내측면(82)과 결합하도록 편의시키는 편의수단(52)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제1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제1프레임 조립체에 대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프레임 조립체와,
    제1프레임 조립체 또는 제2프레임 조립체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돌출부(48, 148, 248)와,
    제1프레임 조립체 또는 제2프레임 조립체중 다른 한쪽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수용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50)는 내측면(82)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48, 148, 248)와 수용부(50)는 돌출부(48, 148, 248)가 수용부(50)에 의해 수용되도록 협력하는 칫수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48, 148, 248)는 제1부분(54, 254)과 제2부분(56, 256)을 가지며, 내측면(82)과 접촉하도록 수용부(50)의 내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조립체.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54, 254)을 내측면(82)과 접촉하도록 편의시키므로써 제2프레임 조립체의 캔틸레버형 지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조립체.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8, 148, 248)는 제1프레임 조립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조립체.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50)는 제2프레임 조립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조립체.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8, 148, 248)는 제2프레임 조립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조립체.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50)는 제1프레임 조립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조립체.
  4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조립체는 다수의 프레임부재로 형성되며, 제1프레임 조립체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쿠킹장치를 위한 프레임 조립체.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쿠킹챔버(16)를 갖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로 형성된 상부 조립체(12)와,
    다수의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로 형성된 하부 조립체(14)와,
    상기 상부 조립체(12)와 하부 조립체(14)를 접합하는 하나이상의 유니온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유니온부재(300)는 유니온 부재(300)가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 및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협력하는 칫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부재(300)는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외측면은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 및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와 마찰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62. 제60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와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 및 유니온부재(300)는 관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63. 삭제
  64. 제6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 프레임부재(26, 28, 30)는 외측 벽면을 가지며, 각각의 하부 프레임부재(32, 34, 36)는 외측 벽면을 가지며; 상기 외측 벽면은 유니온부재(300)가 상하부 조립체와 접합될 때 평탄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그릴조립체.
KR10-2002-0047162A 2001-08-10 2002-08-09 지지프레임 바베큐 그릴조립체 KR100517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27,892 2001-08-10
US09/927,892 US6805113B2 (en) 2001-08-10 2001-08-10 Support frame barbecue grill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170A KR20030014170A (ko) 2003-02-15
KR100517571B1 true KR100517571B1 (ko) 2005-09-28

Family

ID=2545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162A KR100517571B1 (ko) 2001-08-10 2002-08-09 지지프레임 바베큐 그릴조립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05113B2 (ko)
EP (1) EP1285617B1 (ko)
KR (1) KR100517571B1 (ko)
CN (1) CN1230112C (ko)
AT (1) ATE300223T1 (ko)
AU (1) AU2002300425B2 (ko)
CA (1) CA2397229C (ko)
DE (1) DE60205183T2 (ko)
DK (1) DK1285617T3 (ko)
ES (1) ES2245722T3 (ko)
NZ (1) NZ5207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8696B2 (en) * 2004-05-07 2008-02-12 Marshall Associates, Inc. Quick assembly grill
US7798139B2 (en) 2005-08-03 2010-09-21 Western Industries, Inc. Modular portable grill
US7445004B1 (en) * 2005-09-26 2008-11-04 Milner Jack E Campfire grill assembly
US8465031B2 (en) * 2008-08-26 2013-06-18 Ronald Ritter Modular beach cart system
US8544459B2 (en) * 2009-05-27 2013-10-01 Robert Rees, JR. Portable grill assembly
US20110023868A1 (en) * 2009-07-30 2011-02-03 Melinda Seller Solar oven
US20130106269A1 (en) * 2011-10-31 2013-05-02 Andrew Wolf Kahler Self packaging grill
US20130213382A1 (en) * 2012-01-20 2013-08-22 Phillip R. Barber Gas Barbecue With Fuel Supply Valve Control
US10071303B2 (en) 2015-08-26 2018-09-11 Malibu Innovations, LLC Mobilized cooler device with fork hanger assembly
US10807659B2 (en) 2016-05-27 2020-10-20 Joseph L. Pikulski Motorized platforms
US10694845B2 (en) * 2016-07-08 2020-06-30 Mill Brothers Landscape & Nursery, Inc. Grill insert enclosure
AU2017374059B2 (en) * 2016-12-27 2020-03-05 Traeger Pellet Grills, Llc Leg assembly methods and systems
CN112545322B (zh) * 2020-12-31 2021-11-09 江西花蝴蝶食品有限公司 一种能够自动翻面以及刷油的控温电烤箱
US20230087324A1 (en) * 2021-09-21 2023-03-23 Revoace Inc.Limited Grill stove
CN217792658U (zh) * 2022-07-15 2022-11-15 宁波吉盛电器有限公司 烤炉的车架结构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8757A (en) * 1971-05-12 1972-09-05 Owen J Gray Collapsible barbecue grill
EP0353642A1 (en) * 1988-08-02 1990-02-07 Michele Turcolin Apparatus for grill-cooking of foods, particularly meats, fish and the like
US4899725A (en) * 1989-05-08 1990-02-13 Barron Jr James O Barbecue grill
JPH07255608A (ja) * 1994-03-18 1995-10-09 Green Life:Kk バーベキューこんろ
US5678531A (en) * 1996-03-20 1997-10-21 Byers; Thomas L. Griddle attachment for outdoor grill
US5765469A (en) * 1995-05-05 1998-06-16 Weber-Stephen Products Co. Portable gas grill
US5791331A (en) * 1995-10-13 1998-08-11 Meco Corporation Convertible barbecue support frame
US5941229A (en) * 1996-08-09 1999-08-24 Weber Stephen Products Co. Barbecue cart and side work shelf assembly
US5979431A (en) * 1996-05-28 1999-11-09 Hamilton; Kenneth R. Portable stove
WO2000076381A1 (en) * 1999-06-15 2000-12-21 Andress Alphonso G Vertical hearth barbecue grill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6248A (en) 1981-01-22 1983-11-22 Weber-Stephen Products Co. Ash disposal damper for barbecue kettle
US4432334A (en) 1982-06-07 1984-02-21 Holt Jon R Foldable grid for cooker
US4508095A (en) 1983-05-17 1985-04-02 Bloechel Bradley A Collapsible portable stove and carrying case therefor
KR860002574Y1 (ko) 1984-05-31 1986-10-08 정관순 통고기 구이기
US4677964A (en) 1985-07-26 1987-07-07 Weber-Stephen Products Co. Portable gas grill
US4966125A (en) 1985-07-26 1990-10-30 Weber-Stephen Products Co. Barbeque kettle
US4688541A (en) 1986-07-22 1987-08-25 Weber-Stephen Products Co. Attachment for barbecue grill
US4741322A (en) 1987-07-21 1988-05-03 Patrick Lin Ash catch tray for barbecue kettle
US4809671A (en) 1987-10-09 1989-03-07 Vallejo Jr Edward Portable gas-fired cooking unit
US4896650A (en) 1988-01-13 1990-01-30 Pyromid, Inc. Cooking unit with improved fire grate
US4895068A (en) 1988-03-31 1990-01-23 King-Seeley Thermos Company Gas grill cooler shelf
US5070776A (en) 1988-08-12 1991-12-10 Weber-Stephen Products Co. Portable gas grill enhancements
US4984515A (en) 1989-01-03 1991-01-15 Pivonka Ralph M Portable barbeque grill cart
US5080313A (en) 1989-04-24 1992-01-14 Newport News Shipbuilding And Dry Dock Company Pipe to plate connection
US4886045A (en) 1989-05-02 1989-12-12 The Ducane Company, Inc. Side burner attachment for gas-fired grill
US5313928A (en) 1989-05-04 1994-05-24 Firelight Leisure Products Ltd. Portable camp stove and barbecue grill
US4949701A (en) 1989-07-03 1990-08-21 Arkla, Inc. Table or cart assembly
US5452707A (en) 1989-08-11 1995-09-26 W. C. Bradley Company Barbecue grill cart assembly
US5109834A (en) 1990-07-17 1992-05-05 W. C. Bradley Company Cart assembly for barbeque grills
US5072718A (en) 1989-08-11 1991-12-17 W. C. Bradley Company Cart assembly for barbecue grills
US4955358A (en) 1989-08-11 1990-09-11 W. C. Bradley Company Barbecue grill cart assembly
US5050577A (en) 1990-05-21 1991-09-24 Charmglow Industries, Inc. Pre-assembled gas barbeque grill
US5090398A (en) 1990-07-02 1992-02-25 The Thermos Company, Inc. Easily assembled barbecue grill with detachable accessory shelf and side burner
US5076257A (en) 1990-07-02 1991-12-31 The Thermos Company, Inc. Easily assembled barbecue grill with pop-in front panel and detachable condiment rack
US5076256A (en) 1990-07-06 1991-12-31 The Thermos Company, Inc. Easily assembled barbecue grill with detachable accessory shelf and snap-in wheels
US5220764A (en) 1990-07-23 1993-06-22 W. C. Bradley Company Front panel assembly for barbecue grill carts
US5203317A (en) 1990-08-10 1993-04-20 W. C. Bradley Company Auxiliary burner
US5027788A (en) 1990-08-10 1991-07-02 Weber-Stephen Products Co. Barbecue kettle cart
US5076252A (en) 1990-08-10 1991-12-31 Weber-Stephen Products Co. Barbecue grill assembly
US5065734A (en) 1990-12-17 1991-11-19 Bernard Elliott Portable convertible barbeque grill
US5104080A (en) 1991-01-14 1992-04-14 The Ducane Company, Inc. Slidable shelf for outdoor grills
US5140973A (en) 1991-04-02 1992-08-25 Grand Hall Enterprise Co., Ltd. Barbecue grill trolley
US5293859A (en) 1992-02-10 1994-03-15 Mikhail Lisker Grill with fuel modules
US5253634A (en) 1992-03-19 1993-10-19 Lebeouf Darrell Grilling apparatus
US5341793A (en) 1993-08-10 1994-08-30 Brown Thomas J Drawer attachment for barbecue grills
CA2117877C (en) 1994-04-26 1998-02-24 Walter Koziol Grill mounting assembly
US5579755A (en) 1994-08-12 1996-12-03 W. C. Bradley Company Barbecue grill cart assembly
US5531464A (en) 1994-12-09 1996-07-02 Maurer; Raymond N. Cart with snap-locking members
US5598834A (en) 1995-11-24 1997-02-04 Grady; Jeff Portable outdoor fireplace with convertible grill feature
US5819720A (en) 1996-05-14 1998-10-13 Schubert; Robert L. Portable barbecue stand
US5944009A (en) 1996-06-11 1999-08-31 Scheller; Kris T. Portable outdoor grill
US5623866A (en) 1996-08-08 1997-04-29 Home; William Support bracket for a grill bowl
US6178877B1 (en) 1998-08-19 2001-01-30 Karl Samuelson Portable roaster
US6131560A (en) 1999-06-02 2000-10-17 Healy; Dennis Portable grill with telescopic legs
US6182560B1 (en) 1999-06-15 2001-02-06 Alphonso G. Andress Vertical hearth barbecue grill
US6257229B1 (en) 2000-03-17 2001-07-10 Sunbeam Products, Inc. Collapsible cart for a barbecue grill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8757A (en) * 1971-05-12 1972-09-05 Owen J Gray Collapsible barbecue grill
EP0353642A1 (en) * 1988-08-02 1990-02-07 Michele Turcolin Apparatus for grill-cooking of foods, particularly meats, fish and the like
US4899725A (en) * 1989-05-08 1990-02-13 Barron Jr James O Barbecue grill
JPH07255608A (ja) * 1994-03-18 1995-10-09 Green Life:Kk バーベキューこんろ
US5765469A (en) * 1995-05-05 1998-06-16 Weber-Stephen Products Co. Portable gas grill
US5791331A (en) * 1995-10-13 1998-08-11 Meco Corporation Convertible barbecue support frame
US5678531A (en) * 1996-03-20 1997-10-21 Byers; Thomas L. Griddle attachment for outdoor grill
US5979431A (en) * 1996-05-28 1999-11-09 Hamilton; Kenneth R. Portable stove
US5941229A (en) * 1996-08-09 1999-08-24 Weber Stephen Products Co. Barbecue cart and side work shelf assembly
WO2000076381A1 (en) * 1999-06-15 2000-12-21 Andress Alphonso G Vertical hearth barbecue gr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5617A1 (en) 2003-02-26
AU2002300425B2 (en) 2006-11-23
CN1408311A (zh) 2003-04-09
NZ520703A (en) 2004-05-28
ATE300223T1 (de) 2005-08-15
EP1285617B1 (en) 2005-07-27
CA2397229C (en) 2006-10-31
DE60205183D1 (de) 2005-09-01
DK1285617T3 (da) 2005-11-07
US20030029437A1 (en) 2003-02-13
KR20030014170A (ko) 2003-02-15
CA2397229A1 (en) 2003-02-10
DE60205183T2 (de) 2006-05-24
US6805113B2 (en) 2004-10-19
CN1230112C (zh) 2005-12-07
ES2245722T3 (es) 2006-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571B1 (ko) 지지프레임 바베큐 그릴조립체
US7913681B2 (en) Floor assembly for grill
US5941229A (en) Barbecue cart and side work shelf assembly
US7802565B2 (en) Barbecue grill
US6619600B1 (en) Barbecue gas grill having a welded frame assembly
KR950010781B1 (ko) 바베큐 그릴(grill) 어셈블리
US5109834A (en) Cart assembly for barbeque grills
CA2104078C (en) Barbecue grill
US5572983A (en) Leg enhancements for barbecue grill
US20020112718A1 (en) Barbecue grill and cart assembly
WO2020223823A1 (en) Portable fire pit and grill assembly
EP1285618B1 (en) Barbecue grill assembly with a shelf component
EP2131707B1 (en) Barbecue grill
JP2004141603A (ja) 組立式バーベキューコンロ
WO2004069015A2 (en) Barbeque assembly
JPS63267839A (ja) バ−ベキユ−装置
CA2418515A1 (en) Barbequ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