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029B1 - Input method for Korean consonant and vowel - Google Patents

Input method for Korean consonant and vow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029B1
KR100517029B1 KR10-2001-0003644A KR20010003644A KR100517029B1 KR 100517029 B1 KR100517029 B1 KR 100517029B1 KR 20010003644 A KR20010003644 A KR 20010003644A KR 100517029 B1 KR100517029 B1 KR 100517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button
input
control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83120A (en
Inventor
김민겸
Original Assignee
김민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겸 filed Critical 김민겸
Priority to KR10-2001-000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029B1/en
Publication of KR2001008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120A/en
Priority to JP2002553798A priority patent/JP4262981B2/en
Priority to PCT/KR2001/002267 priority patent/WO200205281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02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을 통해서 키패드에서 알파벳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각종 기호를 (은닉형) 컨트롤처리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한국어 자음중 어느 하나의 자음 입력은 해당 자음에 대응되는 자음키를 누름과 동일 모음 키를 2번 이상 누름의 조합으로 입력함으로써, 키패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enter the alphabet on the keypad. In addition to allowing various symbols to be input in a (hidden) control process, any consonant input of Korean consonants can be entered by pressing the consonant key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and pressing the same vowel key more than once. By doing so, the keypad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Description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Input method for Korean consonant and vowel}Input method for Korean consonant and vowel}

[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기 자판과 같은 적은 수의 키를 지닌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이동 통신의 발전에 따라, 음성 통화 위주의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 등의 디지털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초기에는 전화번호 입력을 목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는 문자를 입력하는 수단도 포함하게 되었다.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키패드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므로 키패드에 포함된 버튼의 수는 그 한계를 지니게 된다. 한편, 각 언어의 알파벳은 키패드에 포함된 12개의 키의 수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따라서, 전화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패드 상의 버튼들을 하나 또는 2 이상 조합하여 그 알파벳을 표현하여야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출원인의 선출원(출원번호 10-2000-0031879 및 PCT/KR00/00601)에서 제시하였던, 발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부분전체선택방법"에 의하면, 키패드 상의 각 버튼에 키패드 내의 전체 버튼들의 배치에 대응하는 형태로 소정수의 격자들을 구성하여 알파벳들을 격자들에 배치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알파벳(이하 "타겟알파벳"으로 약칭)이 배치된 제 1 버튼과 제 1 버튼의 격자들에서 그 알파벳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키패드 상의 제 2 버튼을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원하는 알파벳을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키패드 상의 [2]번 버튼의 첫번째 위치에 영어 알파벳 "A"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이 영어 알파벳 "A"는 상기 제 1 버튼에 해당하는 [2]번 버튼을 누르고 상기 제 2 버튼에 해당하는 [1]번 버튼을 눌러 입력하는 것이다.버튼의 격자들 중에서 제 1 버튼과 제 2 버튼이 동일하게 되는 기준격자를 포함하여 일부의 격자를 사용하는 것, 일부의 격자를 사용하되, 제 1 버튼과 제 2 버튼의 조합의 편리도가 높은 순서의 격자를 우선 사용하는 것이 부분전체선택방법의 핵심이었다. 이렇게 부분전체선택방법의 핵심을 기준격자에 있고, 기준격자의 개념을 활용할 수 있는 키패드를 "기준키패드"라고 이름 붙였다.다음으로 기준반복선택방법은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준키패드에서 기준격자위치의 알파벳으로부터 기준격자에 가까운 순서(부분전체선택방법에서의 버튼조합의 편리도 순서)로 버튼의 누름횟수에 따라 알파벳이 선택되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기준반복선택방법은 기준키패드에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것인데, 기준키패드를 반복선택방법 전용화하는 것을 "단순키패드"라고 이름 붙였으며, 편의상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것처럼 단순키패드에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단순반복선택방법 이라고 이름 붙였다.그리고 "컨트롤처리방법"이 있었으며, 여기에는 "첨자컨트롤처리방법" 그리고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이 있었다. 첨자컨트롤처리방법은 첨자와 기본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변형알파벳 입력시, 이를 첨자컨트롤과 기본알파벳을 조합하여 변형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은 어느 버튼에 배정되는 한 그룹의 알파벳들을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의 관계로 설정하고, 후속알파벳 입력시, 대표알파벳과 대표알파벳에 부속된 부속순위를 조합하여 후속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도1a의 (가)와 (나)에서 "ㅋ = ㄱ+[*]" 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첨자컨트롤처리와 후속알파벳컨트롤처리는 본질적으로 유사하며 후속컨트롤처리가 더 일반적인 것으로 보면된다. 첨자컨트롤처리의 경우도 특정 알파벳그룹에서 기본알파벳에 변형알파벳이 일정한 순서로 부속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단 첨자컨트롤처리의 경우 변형알파벳이 첨자와 기본알파벳으로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알파벳 그룹이 그 모양에 있어서 강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인 것이고 후속컨트롤은 그 순서 혹은 발음 등에 있어서 강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는 장점은 기본알파벳과 후속알파벳(혹은 변형알파벳)과의 연관관계를 통하여 후속알파벳(혹은 변형알파벳)을 키패드상에 표시하지 않음으로, 키패드의 배치를 단순화 시킬 수 있는 것과, 컨트롤처리를 통하여 모호성없이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었다. 후속알파벳을 생략하여 단순화한 키패드를 "후속키패드"라 하였고, 변형알파벳을 생략하여 단순화한 키패드를 "간략키패드"라 하였고 양자를 합하여 "간략화키패드"라 하였다. 후속알파벳(혹은 변형알파벳)을 모두 표시한 키패드를 간략화키패드에 대비하여 "전체표시키패드"라 하였다.전체표시키패드에서도 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후속알파벳(혹은 변형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다고 하였고, 반대로 간략화키패드에서도 전체표시키패드의 배치를 기억하고 있는 사용자는 전체표시키패드에서의 입력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렇게 간략화키패드를 확장하여 전체표시키패드를 구성할 수 있고, 전체표시키패드에서도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후속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는 호환성이 선출원의 특징 중의 하나였다.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는 효과 중의 하나는, 모호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 이외에도, 선출원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과의 연관관계를 통하여 후속알파벳을 키패드상에 표시하지 않고 "은닉"함으로써, 키패드를 단순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편의상 "은닉형 컨트롤처리방법"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속알파벳(혹은 변형알파벳)을 키패드상에 표시한 전체표시키패드에서도 후속알파벳을 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이를 편의상 "비은닉형 컨트롤처리방법"이라고 부른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in a keypad having a small number of keys, such as a telephone keypad. The ability to send and receive digital information, such as text, has been added to mobile terminals. Therefore, initially, a keypad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for the purpose of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lso includes a means for inputting a character.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keypad used as an input means of the portable terminal becomes smaller, the number of buttons included in the keypad has its limit. On the other hand, the alphabet of each language greatly exceeds the number of twelve keys included in the keypad. Therefore, in order to input one alphabet by using the telephone keypad, one or two or more buttons on the keypad must be combined to express the alphabe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presented in (KR / 00/00601)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artial full selection method", a predetermined number of grids are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all buttons in the keypad to each button on the keypad. Arrange the alphabets on the grids, and combine the first button on which the alphabet to be input (hereinafter abbreviated as "target alphabet") is arranged and the second button on the keypad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alphabet on the grids of the first button. Press to enter the desired alphabet. For example, when the English alphabet "A" is placed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button [2] on the keypad, the English alphabet "A" is pressed the button [2]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To enter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1]. Using a part of the lattice, including a reference grid in which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are the same among the lattice of the button. It was the core of the partial partial selection method to first use the lattice in the order of convenience of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In this way, the core of the partial full selection method is located in the reference grid, and the keypad that can utilize the concept of the standard grid is named "reference keypad." Next, the reference repeat selection method is a reference keypad configured to apply the partial full selection method. In this example, the alphabet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s were pressed in order from the alphabet of the reference lattice position to the reference lattice (the order of convenience of button combination in the partial partial selection method). The standard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s to apply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to the standard keypad. The dedicated keypad selection method is named "simple keypad". For convenience,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simple keypad as conventionally used. We called it a simple iterative selection method, and there was a "control processing method", which included "subscript processing method" and "following control method". The subscript control method was a method of inputting a modified alphabet by combining a subscripted control and a basic alphabet when inputting a modified alphabet consisting of a subscript and a basic alphabet.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sets a group of alphabets assigned to a button in the relation betwee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and inputs the subsequent alphabet by combining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orders attached to the representative alphabet when entering the subsequent alphabet. It was to be. For example, in Figure 1a (a) and (b), it can be entered as "ㅋ = a + [*]". Subscript control processing and subsequent alphabet control processing are essentially similar and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is more general. You should see In the case of subscript control processing, it is considered that the modified alphabet is attached to the basic alphabet in a certain alphabetic group in a certain order. In the case of the superscript control process, since the modified alphabet can be decomposed into subscripts and basic alphabets, the alphabet group has a strong association in its shape, and the subsequent control has a strong association in the order or pronunciation. The advantage of applying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s that the follow-up alphabet (or modified alphabet) is not displayed on the keypa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or modified alphabet), which can simplify the layout of the keypad. And, through the control process, the alphabet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The simplified keypad, excluding the subsequent alphabet, was referred to as "sequence keypad." The simplified keypad, excluding the modified alphabet, was called "simplified keypad." Keypads that display all subsequent alphabets (or modified alphabets) are referred to as "full display pads" in contrast to simplified keypads. In the entire display pads, subsequent alphabets (or modified alphabets) can be entered through a control method. In the simplified keypad, users who remember the layout of the entire display pad can use the input method of the entire display pa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application was the compatibility of the simplified keypad to extend the entire display pad and the ability to enter subsequent alphabets through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One of the effects is that,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eliminating ambiguity, the keypad can be simplified by "hiding" the subsequent alphabet without displaying it on the keypad through the association of the representative alphabet with the subsequent alphabet as shown in the earlier application. It is. This is called "hidden control method" for convenience. However, as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subsequent alphanumeric characters (or modified alphanumeric characters) may also be entered through the control method in the entire display pad where the keypad is displayed. This is called "non-hidden control method" for convenie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출원인의 선출원(출원번호 10-2000-0031879 및 PCT/KR00/00601)의 연장선상에서 개선사항을 제시한다. 또한 단축입력방법에 의하여 상용어구를 적은 타수로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단축입력방법과 풀입력방법을 병행하는 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하여 원하는 알파벳을 모두 입력할 수 있으면서도, 입력 타수를 줄여 입력의 편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각종 기호를 기 제시한 키패드에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동버튼 중 알파벳입력모드에서 빈번히 사용되지 않는 이동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improvement on the extension of the applicant's prior application (Application Nos. 10-2000-0031879 and PCT / KR00 / 00601).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of inputting common phrases with a few strokes by a shorthand input method, and by applying a parallel input method that uses both a shorthand input method and a full input method, it is possible to input all desired alphabets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inputs. We present a wa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inpu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inputting various symbols on a keypad that is presented, and a method of using a navigation button that is not frequently used in an alphabet input mode among the navigation buttons as a control button.

본 발명의 특성상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상세한 내용은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먼저 각 언어별로 선출원의 내용을 보완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어느 한 언어에서 언급하는 내용중 타 언어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은 타 언어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아도 이를 타 언어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실시예 ]1. 공통 보완 사항1.1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의 키패드의 활용범위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 제시한 키패드는 이동단말기 혹은 표준키패드의 숫자키패드 혹은 스크린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는 키패드 혹은 도어록 등 전화기자판 형태의 모든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표준키보드에 구비된 숫자키패드는 선출원 및 본발명에서 제시한 키패드와 숫자 버튼의 배치가 다르나,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의 키패드 버튼상의 배치를 키보드에 구비된 키패드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 [1] 버튼에 배치된 알파벳을 키보드에 구비된 숫자 키패드의 [1] 버튼에 배치하고, 이하 마찬가지 방법으로 배치하여 알파벳입력, 심플코드의 활용 및 각종 코드의 암기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1.2 연타지연시간 및 이타(離打)지연시간의 설정한국어, 힌디어 등과 같이 자음과 모음이 번갈아 등장하는 언어에 있어서, 대표자음과 대표모음의 쌍을 각 버튼에 배정하고, 자음은 1타 모음은 2타로 선택하는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일정 지연시간(예를 들어 0.1 초) 간격 이내의 입력된 동일버튼 2타를 1차적으로 모음으로 인식하도록 알고리즘을 구현하면, 사용자에 거부감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 지연시간은 같은 버튼을 연속적으로 누르는 경우 보편적으로 일정시간 눌러지는 시간간격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연시간을 편의상 "연타지연시간"이라고 부른다. 더불어 일정 지연시간(예를 들어 1 초) 간격 이상으로 입력된 동일버튼 2 타를 1차적으로 2 개의 자음으로 인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시간을 편의상 "이타(離打)지연시간"이라고 부른다. 이는 동일버튼을 3 타 이상 누르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a의 (가) 혹은 (나)에서 [1] + [1] 이 만약 0.08 초의 지연시간을 가지고 입력되었을 경우, 이를 모음 "ㅗ"자로 1 차적으로 인식하고, 만약 1.1 초 지연시간을 가지고 입력되었을 경우 1 차적으로 2 개의 자음("ㄱ","ㄱ")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만약 0.5 초의 시간지연을 가지고 입력되었을 경우는, 해당언어의 자음과 모음의 출현구조를 통하여 하나의 모음이 입력된 것인지 혹은 두개의 자음이 입력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0.08초 혹은 1.1초의 지연시간으로 입력되었을 경우에도, 해당언어의 자음과 모음의 출현구조를 통하여 하나의 모음이 입력된 것인지 혹은 두개의 자음의 입력된 것인지를 판단할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기존에는 일정 시간간격(예를 들어 1 초) 한가지만을 설정하여, 해당 시간이내에 동일버튼이 연속하여 입력되면 연속 2 타로, 해당 시간 지연되어 동일버튼 2타가 입력되면 각기 1타씩으로 인식하도록 되어 있었다. 차이는 연속 2 타로 판단하는 기준 시간지연값(예. 0.1 초)과 각기 1 타씩으로 판단하는 시간지연값(예. 1초)을 다르게 둔 것이다.보통의 경우 선출원의 부분전체선택방법과 반복선택방법중 입력의 편리도 면에서 반복선택방법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반복선택방법의 장점(입력규칙의 단순성과 편리성)을 활용하면서, 자음과 모음이 번갈아 출현하는 특정언어의 구조를 이용하여 모호성을 대폭회피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연타지연시간과 이타지연시간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알고리즘의 구현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3 체인형 컨트롤처리방법선출원에서 첨자컨트롤처리방법은 본질적으로 후속컨트롤처리방법과 같으며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이 더 일반적인 방법이라고 하였다. 즉 선출원의 한국어의 예에서 ㄱ, ㅋ, ㄲ 의 관계를 대표알파벳과 변형알파벳의 관계로 설명하여, ㅋ = ㄱ+{격음}, ㄲ = ㄱ+{경음}으로 설명하였으나, ㄱ(대표알파벳), ㅋ(2nd), ㄲ(3rd)와 같이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의 관계로 두어도 결과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이렇게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의 연관관계에서, 컨트롤버튼에 부속순위컨트롤을 두지않고,"다음" 컨트롤 하나만 둔 것으로 하고, 후속알파벳 입력시 선행알파벳을 새로운 대표알파벳으로 간주하여 이 선행알파벳과 "다음" 컨트롤을 조합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편의상 "체인형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이라고 부른다. 선출원에서 부속순위컨트롤을 후속컨트롤버튼상에 표시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특정 버튼이 후속컨트롤버튼인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된다고 하였으나, 이러한 체인형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의 장점은 "다음 컨트롤"을 컨트롤버튼상에 표시하더라도 그 표시가 간략해 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선출원에서 설명한 "후속컨트롤처리방법"과 "체인형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의 결과가 같으므로 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1.4 숫자 및 영어 알파벳의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한 입력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바, "기준격자에 가까운 순서"로 자국어 알파벳을 배치하고, 다음으로 숫자 그리고 영어알파벳을 배치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고, 기준반복선택방법 적용시 역시 기준격자에 가까운 순서로 이를 자국어 알파벳, 숫자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마찬가지로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특정버튼에 속한 자국어 알파벳 뿐만아니라, 숫자, 영어알파벳(로마자 계열언어가 아닌 경우)도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숫자 혹은 영어알파벳을 자국어 후속알파벳에 이어 후속알파벳으로 둘 수도 있다. 편의상 일본어의 경우를 예를 들면, あ(대표알파벳), い(2nd), う(3rd), え(4th), お(5th), 1(6th), .(7th), q(8th), z(9th) 와 같이 둘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숫자 혹은 영어알파벳을 컨트롤처리하기 위한 가용한 버튼이 있다면, あ(대표알파벳), い(2nd), う(3rd), え(4th), お(5th) 를 위한 컨트롤버튼을 임의의 버튼(예를 들어 [*] 버튼)으로 두고, 다른 버튼(예를 들어 [#] 버튼)을 숫자 혹은 영어알파벳을 위한 버튼으로 두어 あ(대표알파벳), 1(2nd), .(3rd), q(4th), z(5th) 의 관계를 두어 숫자 혹은 영어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 あ+[#]=[1]+[#],.= あ+[#]+[#]=[1]+[#]+[#], q = あ+[#]+[#]+[#] = [1]+[#]+[#]+[#] 과 같이 된다. 컨트롤버튼이 가용하다면, 숫자입력을 위한 컨트롤버튼 그리고 영어알파벳을 위한 컨트롤버튼을 별도로 둘 수도 있다.이는 타 언어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고, 후술하는 각종 기호의 입력에도 적용될 수 있다.2. 각 언어별 보완사항이하에서 각 언어별로 선출원의 내용을 보완하고 발전된 사항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각 언어별 보완사항에서 기술된 내용중에도 어느 한 언어에서 설명한 내용이 타 언어에 적용될 수 있는 경우, 이를 특별히 지적하지 않아도 타 언어에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2.1 영어선출원에서 전체표시키패드에서 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후속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는 것처럼, 영어의 경우에도 대표알파벳 이외의 알파벳을 자판상에 표시하고도 컨트롤처리를 통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어의 경우 후속컨트롤(2nd, 3rd)들은 같은 컨트롤버튼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예를 들어 [#] 버튼), 각각을 다른 버튼에 분리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 버튼). 영어의 경우에 ABC 가 하나의 버튼에 배치되어 있을 때, A 를 대표알파벳으로 하면 B, C 가 각각 후속컨트롤처리를 통하여 입력이 되고, B를 대표알파벳으로 하면,A, C가 각각 후속컨트롤처리를 통하여 입력되는 것이다.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의 부속순위는 사용빈도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예를 들어 A, B, C 그룹에서 A 를 대표알파벳으로 하고, 2nd, 3rd 컨트롤을 [*] 버튼에 두고, 컨트롤 후 입력을 적용하면, B = A+{2nd} = [2]+[*], C = A+{3rd} = [2]+[*]+[*] 이 된다. 만약 B 를 대표알파벳으로 하고, 2nd, 3rd 컨트롤을 각각 [*] 버튼과 [#] 버튼에 두고, 컨트롤 후 입력을 적용하면, A = B+{2nd} = [2]+[*], C = B+{3rd} = [2]+[#] 이 된다.또한 P,Q,R,S 4개 알파벳이 [7] 버튼에 배정되고,W,X,Y,Z 4개의 알파벳이 [9] 버튼에 배정되는 경우, 선출원의 한국어의 실시예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4개의 알파벳 중 한 개의 알파벳을 상하인접조합을 이루는 격자에 배치하여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2.2 한국어2.2.1 격음컨트롤, 경음컨트롤의 분리선출원에서 격음컨트롤을 [*] 버튼에 배정하고 기준격자의 위치에 배치하고, 경음컨트롤을 그 다음 기준격자에 가까운 격자에 배치함으로써, 컨트롤버튼 1 타에 격음컨트롤을 2 타에 경음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확장모음(2 개의 모음)입력시, 자연스럽게 모음과 모음간에 시간지연이 주어지므로, 확장모음을 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입력하지 않더라도, 사실상 모호성이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도 1a의 (가)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경음컨트롤을 [#] 버튼에 추가로 배정하고 기준격자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 버튼 1 타에 경음컨트롤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트롤 선입력시, ㅋ = {격음}+ㄱ =[*]+ㄱ, ㄲ = {경음}+ㄱ =[#]+ㄱ 이 된다.2.2.2 기본모음의 컨트롤처리또한 출원인의 선출원(10-2000-0025183)에서 자음과 모음의 쌍을 이용하는 방법에서, "일본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속 컨트롤 버튼을 [#]로 설정하고 [#]를 선입력(혹은 후입력도 가능)하고 숫자 버튼을 입력하여 기본모음을 입력할 수도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던 바 있다. 이는 즉 기본모음컨트롤을 도 1a의 (나)와 같이 두어 기본모음을 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전혀 모호성 없이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선출원에서 지적하였던 바와 같이 키패드상에 표기된 기본모음 역시 일본어의 경우(전체표시키패드에서 후속알파벳의 컨트롤처리에 의한 입력)와 마찬가지로 컨트롤처리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이 경우 기본모음을 해당 버튼 2 타로 반복선택하는 것보다 입력의 편리성은 떨어지나, 모호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기본모음은 사용빈도가 많으므로, 기본모음입력을 위한 "기본모음컨트롤"은 컨트롤버튼 1 타로 선택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1a의 (나)는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도면에서 기본모음을 컨트롤처리하기 위한 "기본모음컨트롤" 을 추가한 도면이다. 기본모음컨트롤을 컨트롤버튼 1 타에 선택되고, 확장모음컨트롤을 컨트롤버튼 2 타에 선택된다. 도 1a의 (나)의 예에서 컨트롤 후입력을 적용하면, ㅏ = [3]+[#], ㅐ = [3]+[#]+[#], ㅓ = [4]+[#], ㅔ = [4]+[#]+[#] 와 같이 된다. 나머지 모음과 확장모음에 대해서도 동일하며, 유사확장모음에 대해서도 ㅗ = [1]+[#], ㅚ = [1]+[#]+[#] 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이는 대표자음과 기본모음간의 연관관계가 부족하므로, 기본모음을 키패드상 표시하고, 기본모음을 비은닉형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2.2.3 격음컨트롤과 확장모음 컨트롤의 공용화선출원의 태국어의 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후속컨트롤버튼을 후속자음 혹은 후속모음에 대하여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음컨트롤과 확장모음컨트롤을 같은 컨트롤버튼의 같은 격자에 배치하는 것이다. 선출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속자음처리를 위한 컨트롤버튼과 후속모음처리를 위한 컨트롤버튼을 분리하면 각 컨트롤의 선입력 혹은 후입력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2.2.4 프로그램 구현도 1b는 단지 구현을 위한 흐름도의 일례일 뿐이고 좀 더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b에서 받침의 자음부분이 왔을 경우 이중받침을 이룰 수 있는 자음인가를 앞서 체크함으로써, 약간 더 효율적인 구현이 가능하다.선출원에서 제시한 한국어의 예는 유사한 특징(자음과 모음이 번갈아 출현하는 구��을 가지는 타 언어에 있어서도 응용될 수 있다. 타 언어의 경우에는 타 언어의 자모출현 특성을 반영하면 된다.한국어의 예에서, "단어시작"에서 부터 처음 3타(입력 1,2,3)는 항상 첫 음절(글자)의 자음과 모음으로 확정될 수 있다. 물론 이는 힌디어의 경우 "모+자"로 이루어진 음절이 처음에 나올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 4는 첫 음절(글자)의 종성 혹은 두번째 음절(글자)의 초성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판단하여야 한다. 선출원에서 제시한 흐름도상, 지면의 크기 관계로 모든 효율적인 세부절차를 다 표시하지 못하였으나, 입력 4가 이전입력(입력 3)과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동일하면 입력 4,5가 이중모음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미리 확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입력 2,3이 모음으로 확정되었는데, 입력 4,5가 모음으로 이중모음을 이루려면, 같은 모음이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입력 4 가 이전입력과 동일하지 않으면, 흐름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다음 입력(입력 5)와 비교하여, 다음 절차를 진행하면 된다.입력 5가 이전입력과 동일하면, 흐름도에서와 같이 이중모음을 이룰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다음 절차를 진행한다. 다음은 이중모음을 이루지 않는 경우의 진행이다. 입력 5가 이전입력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입력 4는 첫 음절(글자)의 받침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입력 5는 첫 음절(글자)의 이중받침 혹은 두번째 음절(글자)의 초성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단계에서 입력 4,5가 이중받침을 이룰 수 있는지를 체크하여 이중받침을 이룰 수 없으면 입력 5를 두번째 음절(글자)의 초성으로 미리 확정할 수 있다. 한국어의 경우에 평음 및 격음 14개의 모든 조합(14*14=196)이 가능한 것이아니고, ㄶ, ㅄ, ㄺ, ㄻ, ㅀ, ㄵ, ㄼ, ㄳ, ㄾ, ㄿ, ㄽ 의 11가지만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개 음절(글자)가 확정되었으며, 입력 5를 입력 1로 하여 처음부터 다시 진행되게 된다. 입력 5가 입력 4와 동일하면서, 입력 2,3과 이중모음을 이룰 수 없는 경우는 입력 4를 첫 음절(글자)의 종성으로 입력 5를 두번째 음절(글자)의 초성으로 확정할 수 있다. 흐름도 상에는 지면 제약 관계로 표현되지 않았으나, 선출원의 발명을 구현(programming)함에 있어서, 당연히 고려될 수 있는 사항이다.이중 모음을 이룰 수 있는 경우는 흐름도와 같이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모호성이 발생하는 모든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선출원의 입력예와 흐름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모호성이 발생하는 단어(혹은 음절(글자))가, 한쪽은 받침(종성)으로 끝나고, 또 한쪽은 받침 없이 끝나는 경우(예를 들어, "갉고 <=> 갉고") 다음 입력(편의상 "입력x")을 받아들이고 "단어종료"인가를 체크하여 단어종료인 경우에는 그 입력 x를 마지막 음절(글자)의 종성으로(즉 예에서 "갉고+입력 x") 확정할 수 있다.2.2.5 경음의 기본자음 조합처리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언급하였던 모든 한국어 키패드에 대해서 경음(쌍자음)을 기본자음의 조합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또한 경음(쌍자음)을 2 개의 평음의 조합으로 입력하는 것을 허용할 경우는 도 1b에서 입력 4 와 입력 5 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와 유사하게 진행할 수도 있다. 단, 이를 허용하는 경우는 입력의 편리성은 증대되나, 첫음절이 종성없이 모음으로 끝나고 두번째 음절의 초성이 경음인 경우 "오ㄷ두기 <=> 오뚜기"와 같이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오ㄷ두기"의 "ㄷ"은 종성이나 특허청 편집기에서 입력할 수 없으므로 편의상 이와 같이 표기함). 또한 첫음절이 받침으로 끝나더라도, 두번째 음절의 초성이 경음이고, 첫음절의 받침과 두번째 음절의 초성의 경음이 같은 경우(예를 들어 오ㄷ뚜기)에도, 첫음절의 모음과 "첫음절의 받침+두번째 음절의 첫자음(예에서 ㄷ+ㄷ)"이 모음으로 인식되어 이중모음으로 될 수도 있다(예에서 "ㅗ+ㄷㄷ"="ㅗ+[3]+[3]" 이 이중모음을 이룰 수 있는 경우만). 따라서 선출원의 발명의 특성상, 경음을 컨트롤처리함으로써 경음입력시 모호성이 제거되는 특성을 살리지 못하므로, 경음을 컨트롤처리하여 입력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오ㄷ두기 <=> 오뚜기" 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시간지연 혹은 구분입력(오른쪽 화살표 등 음절을 확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입력)을 통하여 이를 회피할 수 있다. "오ㄷ뚜기 <=> 와두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한국어에 있어서 이중모음을 이루는 경우(기본모음 3 개 조합의 경우를 제외한 2 개 조합의 경우)는 ㅔ, ㅢ, ㅘ, ㅚ, ㅝ, ㅟ, ㅖ, ㅒ 의 8 가지 경우로 항상 ㅣ, ㅏ, 혹은 ㅓ 로 끝나고 있다. 따라서 경음이 존재하지 않는 5 개의 자음 ㄴ, ㄹ, ㅁ, ㅇ, ㅎ 중 3 개의 자음과 ㅣ, ㅏ, ㅓ 의 3 개의 모음을 쌍으로 그룹핑하여 배치하면, "오ㄷ뚜기 <=> 와두기"의 경우는 경음을 2 개의 기본자음으로 입력시에도 "와두기"로 될 수 없으므로 항상 "오ㄷ뚜기"로 올바르게 인식될 수 있다.이 경우 위의 그룹핑만으로 기존의 알고리즘을 바꾸지 않고도(이중모음을 이룰 수 있는 지를 기존의 알고리즘에서 체크하므로), "오ㄷ뚜기"로 인식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첫 음절(글자)이 받침을 갖고, 다음 음절(글자)이 경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 경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같은 버튼을 연속 2 타 입력하더라도 모음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성질을 갖는다.단 경음이 단어시작시 첫음절의 초성으로 되는 경우(입력 1,2 가 경음으로 초성, 입력 3,4 가 모음으로 확정되는 경우)를 위하여 선출원의 흐름도에 대하여 약간의 수정이 필요하며, 이는 선출원의 사상을 이해하고 있는 당업자에게 용이한 일이다. 이 경우(단어시작시 입력 1,2 가 경음, 입력 3,4 가 모음, 즉 "자+모") 입력 1,2,3,4 가 모두 같은 버튼이면, 입력 1 이 평음으로 초성, 입력 2,3 이 모음, 입력 4 가 종성 인 것(즉 "자+모+자")과의 모호성이 있을 수 있는데, 선출원의 흐름도에서와 같이 이는 다음 입력(편의상 "입력 x")을 받고, "자+모+자"의 종성 자음과 이중받침을 이룰 수 있는지 그리고 단어종료인지를 체크하여, 이중받침을 이룰 수 없고 단어종료시 입력 x 를 "자+모"의 종성으로 처리함으로써 일부의 경우 모호성을 극복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중받침을 이룰 수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다음 입력을 받고 단어종료인지를 체크하여 같은 개념으로 처리할 수 있다.이렇게 경음을 해당 2 개 평음의 조합으로 처리함으로써, 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넓게 볼때,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생기는 모호성으로 볼 수 있으며, 다음에 설명하는 모호성 극복을 위하여 구비하는 "색인"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다.결국 반복선택방식을 적용하여 어차피 약간의 모호성이 있는데, 경음(쌍자음)을 2 개 기본자음의 조합으로 처리함으로써, 약간의 모호성 증가가 있더라도 입력의 편리성을 높이고 입력방법의 단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단어의 구별은 공백, 모드전환, 이동버튼, 확인, 입력종료 등 단어와 단어사이의 구별을 줄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3. 기본자모의 쌍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리적 모형을 통한 모호성 최소화한국어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반복적으로 출현하는 언어에 있어서,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을 각 10 개씩을 쌍으로 키패드상 숫자 버튼에 각각 배치하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적은 모호성으로 버튼상에 배치된 알파벳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음을 보였다.그리고 한국어의 경우 경음, 격음, 확장모음을 컨트롤과 기본자모를 조합하여 컨트롤처리하여 입력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선출원의 발명에서 모호성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키패드상 하나의 버튼에 여러개의 알파벳을 배정하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반복선택방법에 내재한 성질로 선출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모호성이 있게된다. 예를 들어 같은 버튼상에 배치된 AB 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경우 [2]+[2]+[2] 를 입력하면 이것이 AB 인지 BA 인지 알 수 없는 것이다.편의상 한국어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한국어는 대부분의 음절이 "자음+모음("자+모"로 약칭)" 혹은 "자음+모음+자음("자+모+자"로 약칭)"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음절이 하나의 글자(넙적글자)를 이루는 특성이 있다.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 중 자주 발생할 수 있는 형태는 첫번째 음절이 "자+모"로 이루어지고 두번째 음절이 "자+모+자"로 이루어진 경우, 두번째 음절의 "모+자"가 같은 버튼에 배치되면, 두번째 음절의 첫 자음(초성)이 첫번째 음절의 마지막 자음(종성)으로 인식되고, 두번째 음절의 "모+자" 가 "자+모"로 인식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모호성을 최소화 하려면, "자+모+자"로 이루어진 음절에서 자주 결합되는 "모+자" 가 가능한 한 같은 버튼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코퍼스에서 "자+모+자"로 이루어진 음절에서 모음(중성)에서 자음(종성)으로의 전이 빈도가 많은 모음과 자음이 같은 버튼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한국어의 경우 첫번째 음절이 "자+모+모"로 이루어진 경우 혹은 두번째 음절이 "자+모+자+자"로 이루어진 경우도 같은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으나 많은 경우는 아니다. 즉 한국어의 경우 정밀하게는 두번째 음절이 "자+모+자+자"로 이루어진 경우의 모자전이도 모자전이의 빈도수에 함께 고려하여야 하나 많은 경우는 아니라는 의미이다.위의 경우를 반대의 관점에서 보면 첫번째 음절이 "자+모+자"로 이루어지고 두번째 음절이 "자+모"로 이루어진 경우, 두번째 음절의 "자+모"가 같은 버튼에 배치되면, 첫 음절이 "자+모"로 인식되고 두번째 음절의 "자+모"가 "모+자"로 인식되어 앞 음절의 자음과 결합하여 "자+모+자"로 인식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호성을 최소화 하려면 "자+모"로 구성된 음절에서 자주 결합되는 "자+모"가 가능한한 같은 버튼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한국어의 경우 첫번째 음절이 "자+모+자+자"로 이루어진 경우도 같으나 많은 경우는 아니다.위의 경우를 비롯하여 그 밖에 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를 선출원에서 제시하였으나, 많은 경우가 아니므로 이 두가지 경우만 고려하여 모호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이하에서 편의상 한국어의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한국어의 경우는 "자+모"로 이루어진 음절이 전체의 약 50%(더 정확히 54.011%) 이고 "자+모+자"로 이루어진 음절이 전체의 약 50% 이다. 따라서 "자+모"로 이루어진 음절의 자음에서 모음으로의 전이("자모전이" 혹은 "자모결합"이라 약칭함) 빈도와 "자+모+자"로 이루어진 음절의 모음에서 자음으로의 전이("모자전이 " 혹은 "모자결합"이라 약칭함) 빈도를 같은 비중으로 고려할 수 있다. 만약 "자+모"로 이루어진 음절이 전체의 약 70% 이고 "자+모+자"로 이루어진 음절이 전체의 약 30% 라면, 자모전이 빈도수에 30%의 비중을 두고(자모전이의 자음과 모음이 같은 버튼에 배정되어 모호성이 발생하는 것은 앞 음절이 "자+모+자"로 끝난 30%의 경우를 전제로 하므로), 모자전이 빈도수에 70% 비중을 두어(반대로 모자전이의 모음과 자음이 같은 버튼에 배정되어 모호성이 발생하는 것은 앞음절이 "자+모"로 끝난 70%의 경우를 전제로 하므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문헌상 조사된 모자전이의 빈도수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에서 모자전이가 일어날 수 있는 가짓수는 모음(중성) 21 가지에 대하여 자음(종성) 27 가지로 567 가지 인데, 이중 실제로 전이가 일어나는 것은 270 가지 라고 한다. 최상위 12 가지가 전체의 51%를 차지하고, 상위 48 가지가 전체의 90%를 차지한다고 한다. 이렇게 전이빈도(결합빈도)의 차이가 큰 것은 최적화된 그룹핑(자음+모음) 통해 모호성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모음과 자음간의 전이에 있어서, 키패드상에 표시된 모음과 자음의 전이만 고려하면 되므로 모든 경우를 고려할 필요는 없다. 모음과 경음 혹은 격음과 결합되는 경우는 선출원에서 제시한 "컨트롤"이 개입하여 모호성을 제거시켜 주기 때문인 것은 쉽게 알 수 있다.본 발명에서의 모호성 최소화를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모자전이의 경우는 도 1a에서와 같이 키패드상 표시된 기본모음 10 개에 대하여 기본자음 10 개가 결합할 수 있으므로 100 가지 경우이며, 문헌상 조사된 모자전이의 빈도수는 아래의 표 1 및 표 2와 같다. 문헌상 조사된 자모전이의 빈도수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아래의 표 3은 "자+모"만으로 이루어진 음절의 빈도만을 조사한 것이다. "자+모+자"의 경우는 모자전이 빈도에서 고려되었으므로 여기에서 고려할 필요는 없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자모전이의 가짓수 역시 키패드상 표시된 기본자음 10 개에 대하여 10 개의 기본모음이 결합할 수 있으므로 다음의 100 가지 경우이다. 위의 모자전이와 자모전이의 빈도수는 상대적인 비율값이 아니고 절대빈도 이므로 양자를 합하여 자음과 모음의 결합빈도를 나타내는 표를 아래의 표 4 및 표 5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표 4 및 표 5는 모자전이와 자모전이의 빈도수를 합한 표이다. 좀 더 정밀하게 한다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국어에서 "자+모"로 이루어진 음절이 전체의 약 54% 이므로 모자전이의 빈도수에 54%의 비중을 두고 "자+모+자"로 이루어진 음절이 전체의 약 46%이므로 자모전이의 빈도수에 46%의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표 4 및 표 5에서는 한국어에서 "자+모" 혹은 "자+모+자"로 이루어진 음절이 각각 약 절반씩을 차지하므로 큰 차이가 없으리라 보아 모자전이와 자모전이 빈도수의 비중을 동등하게 50%씩 고려한 것이다.일반적으로 키패드를 통한 반복선택방법 적용시의 모호성을 최소화하는 문제는 NP-hard 문제라고 한다. 그러나 출원인이 선출원에서 제시한 자음과 모음이 쌍으로 배치된 키패드에서 자음 1 타와 모음 2 타의 (기준/단순)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때 발생하는 모호성을 최소화하는 문제는 전형적인 선형계획법의 배정문제로 모형화 할 수 있는데 이 점 역시 출원인의 발명의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위의 표는 본 발명에서 수리적으로 모형화하려는 최적화 문제의 "통합빈도수를 구한 표(통합빈도표)" 이다.선출원의 발명에서 버튼별로 배정할 알파벳의 그룹을 짓는 것을 "그룹핑"이라 하고, 그룹핑된 알파벳을 각 버튼에 배정하는 것을 "배정"이라 하고, 배정된 알파벳을 버튼상의 각 격자에 배치하는 것을 "배치"라 하였으므로, 여기에 맞춰 모호성이 최소화 되도록 자모의 쌍을 짓는 것을 "그룹핑문제"라 한다.각 행의 첨자를 i 로 두고, 각 열의 첨자를 j 로 두고, 각각 배정되는 자음과 모음의 갯수 즉 10 을 n 이라 둘 때, 목적식과 제약식은 다음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과 같다. 여기서 각 변수 및 계수는0 : i 번째 모음과 j 번째 자음이 그룹핑되지 않을 때 1 : i 번째 모음과 j 번째 자음이 그룹핑될 때i 번째 모음과 j 번째 자음이 연속하여 나타나는 경우의 통합 빈도수를 의미위의 수학식 1에서 목적식을 풀어쓰면 다음과 같이 된다. 마찬가지로 제약식도 풀어서 쓸 수 있다. 문제의 수리적인 모형이 확정되었고, 또한 계수(전이빈도수 혹은 결합빈도수)가 확정되었으므로 위 문제를 푸는 것은 상용 LP(Linear Programing) 패키지를 써서 쉽게 풀 수 있다. 위 문제를 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 출원인이 사용한 프로그램의 제약상 계수로 사용한 위의 통합빈도표를 1/50 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푼 결과이다. 그러나 모호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그룹핑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 그룹핑이 최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키패드에서의 알파벳의 위치식별성도 중요한 고려요소이기 때문이다.전이(혹은 결합) 빈도수를 최소화하도록 문제를 풀면, 모호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음과 모음의 쌍을 찾을 수 있다. 반대로 전이빈도수를 최대화하도록 위 문제를 풀면 모호성은 많이 발생하나 알파벳 입력시 같은 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많아지므로 입력의 편리성은 높아진다. 단 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를 사용자가 숙지하고 대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전이빈도수(결합빈도수)를 최대화하는 것은 모음을 쌍으로 배치하고 자음 1 타로, 모음 1 타로 입력하도록 하면서 음절(한국어에서는 글자) 단위로 확정버튼을 입력하거나 혹은 확정컨트롤을 선택하여 한 음절을 확정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매우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키패드상에 표시되지 않은 자음과 모음을 입력함에 있어서 후속컨트롤을 확정컨트롤이 배치되지 않은 버튼에 배정하고 후속컨트롤을 컨트롤버튼의 반복횟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자음과 모음을 모호성 없이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음절 단위로 확정버튼을 누르는 불편을 사용자에 강요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선출원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후속컨트롤버튼은 자음과 모음에 대하여 선입력 혹은 후입력을 동일하게 적용하면 하나의 후속컨트롤버튼을 후속자음과 후속모음에 대하여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음절단위의 확정버튼을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도 같음은 물론이다.전이빈도수(결합빈도수)를 최대화 하는 것은 목적식을 "Max Z = ... "으로 하여 문제를 푸는 것으로 계수(빈도수)에 minus 기호("-")를 붙여 최소화 문제로 풀거나 계수중 가장 큰 수에서 각 계수를 뺀 값을 계수로 사용하여 최소화 문제로 풀면된다. 역시 상용 LP 패키지를 사용하여 쉽게 풀 수 있다.자음과 모음의 결합빈도가 모호성이 발생하는 모든 경우를 고려한 것은 아니지만, 모호성이 발생하는 가장 많은 경우(모자전이, 자모전이)를 지적하였고 그 경우의 빈도수를 바탕으로 최적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 여기에서의 "핵심"이다.결국 수리적인 모형으로 모호성을 최소화하는 방법의 "핵심"을 다시 정리하면 10 개의 자음과 10 개의 모음을 쌍으로 그룹핑하여 각 버튼에 배치하고 각 버튼 1 타로 키패드상 배치된 자음을 선택하고 각 버튼 2 타로 키패드상 배치된 모음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호성이 발생하는 가장 많은 경우가 모자전이("자+모+자" 로 이루어진 음절에서 모음과 자음의 결합)와 자모전이("자+모"로 이루어진 음절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의 결합)시의 결합되는 자음과 모음이 같은 버튼에 배정된 경우임을 지적하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각 전이형태에 따른 빈도수에 비중을 두어 선형계획법의 배정문제로 모형화했을 때 계수로 사용할 "통합빈도표"를 구한 것이다. 일단 이렇게 수리적으로 모형화된 문제를 풀어 최적화할 수 있는 자음과 모음의 그룹을 알아내는 것은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매우 용이한 일이다.4. 한국어에 있어서 모음요소를 활용하는 방법4.1.1 격음과 경음을 컨트롤처리하는 방법천(ㆍ), 지(━), 인(┃)으로 잘 알려진 한국어의 모음요소(ㅡ, ㅣ, .)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c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는 10 개의 기본자음 중 9 개의 기본자음을 [1] ~ [9] 각 숫자 버튼에 배정하고, 키패드상 맨 하단의 [*] 및 [#] 버튼에 상기한 한국어의 모음요소 "ㅡ", "ㅣ" 를 임의로 배정하고, 숫자 [0] 버튼에 상기한 한국어의 모음요소 "."을 배정한다. 다양한 방법의 배정이 가능하나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도 1c의 배정 및 배치를 예시한다. 배치된 기본자음과 모음요소는 당연히 기준격자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고, 배치된 기본자음과 모음요소의 선택에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적용할 필요는 없다.격음(ㅊ,ㅋ,ㅌ,ㅍ,ㅎ)과 경음(ㄲ,ㄸ,ㅃ,ㅆ,ㅉ)을 컨트롤처리함에 있어서, "격음컨트롤" 및 "경음컨트롤"을 "ㅡ" 혹은 "ㅣ"가 배치된 버튼에 각각 임의로 배정하고, 나머지 격자중 기준격자에 가까운 격자에 배치한다. 즉 컨트롤이 배정된 버튼 2 타에 격음컨트롤 및 경음컨트롤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다. 격음컨트롤(혹은 경음컨트롤)이 배정된 버튼에 경음컨트롤(혹은 격음컨트롤)을 추가로 배치하여, 배치된 버튼 3 타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격음컨트롤 혹은 경음컨트롤이 반드시 버튼상에 표시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는 그 입력규칙을 숙지하고 있으면 된다.격음컨트롤을 선택한 상태를 편의상 "{격음}" 으로 나타내고, 도 1c의 예에서 컨트롤 선입력을 적용하면, ㅋ = {격음}+ㄱ = [*]+[*]+[1]이 되고, ㄲ = {경음}+ㄱ = [*]+[*]+[1]이 된다. 반대로 컨트롤 후입력을 적용하면, ㅋ = ㄱ+{격음} = [1]+[*]+[*]이 되고, ㄲ = ㄱ+{경음} = [1]+[*]+[*]이 된다.한편, 경음컨트롤을 격음컨트롤이 배정된 버튼 3 타로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면, ㄲ = {경음}+ㄱ = [*]+[*]+[*]+[1] 이 된다.본 발명에서 경음컨트롤과 격음컨트롤을 모음 알파벳요소 중 ㅡ, ㅣ 와 함께 같은 버튼에 배정하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도 모호성이 없는 이유는 한국어의 특성상, 모음 "ㅡ"는 단어에서 연속하여 2 번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예에서 격음컨트롤을 선택하기 위하여 [*] 버튼을 2 타 입력한 것이 2 개의 모음 "ㅡ" + "ㅡ" 을 선택한 것으로 인식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모음 "ㅣ"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의"라는 단어(예에서 [8]+[0]+[0]+[#]+[#]+[0]+[*]+[#])에서 모음 "ㅣ"가 2 번 등장하나 이 경우는 모음 알파벳요소 "." 에 이어 나오므로 여기에서의 "[#]+[#]"이 경음컨트롤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모음임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예에서, 모음 알파벳요소 "." 으로 단어가 종료될 수 없으므로 그 뒤에 이어서 입력된 [#]은 모음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모음 "ㅡ"는 연속하여 등장하는 경우가 전혀 없으므로, 모음 "ㅡ"가 배정된 버튼에 격음컨트롤과 경음컨트롤을 배정하더라도 모호성은 결코 없다.그리고 도 1c에서는 10 개의 기본자음 중 9 개의 자음을 9 개 버튼 ([1] ~ [9] 버튼)에 배정하고 배치하였으므로, 나머지 한 개의 기본자음(ㅎ)이 버튼상에 배정되지 않았다. 이를 편의상 "9 버튼탈락자음"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9 버튼탈락자음은 발음 혹은 모양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10 개의 기본자음 중 하나의 기본자음을 변형알파벳 혹은 후속알파벳으로 간주하여 컨트롤처리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ㄹ"을 버튼상에 배치하지 않고, "ㄹ"을 "ㄴ"의 변형알파벳(격음 혹은 경음)으로 간주하여, 컨트롤 선입력시 ㄹ = [*]+[*]+ㄴ 혹은 ㄹ = [*]+[*]+[*]+ㄴ 혹은 ㄹ = [#]+[#]+ㄴ 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도 1c의 예에서 역시 발음과 모양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ㅎ"을 "ㅇ"의 변형알파벳(격음 혹은 경음)으로 간주하여 ㅎ = [*]+[*]+ㅇ 혹은 ㅎ = [*]+[*]+[*]+ㅇ 혹은 ㅎ = [#]+[#]+ㅇ 으로 처리할 수 있다.이 경우 컨트롤처리되는 알파벳(도 1c의 예에서 "ㅎ")은 알파벳 입력의 편리를 위해 경음 혹은 격음이 존재하지 않는 알파벳(ㄴ, ㅁ, ㄹ, ㅎ, ㅇ) 중의 하나인 것이 좋을 것이다. 컨트롤처리되는 알파벳의 기본 알파벳(도 1c의 예에서 "ㅇ")역시 경음 혹은 격음이 존재하지 않는 알파벳 중의 하나 이어야 알파벳 입력의 편리성을 더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ㅎ"을 컨트롤 처리하는 예시를 제시한 이유는 경음, 격음이 존재하지 않고, 경음, 격음이 존재하지 않는 알파벳 중 사용빈도 또한 가장 낮은 알파벳 이기 때문이다. 또한 발음에 있어서도 유사성이 있으며, 모양에 있어서도 다른 평음과 격음의 관계처럼 유사성이 있기 때��甄�여기서 한국어가 전화번호 및 각종 코드의 암기용으로 쓰이기 위해서는 10 개의 기본자음(평음)이 10 개의 숫자 버튼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ㅎ"을 "."이 배정된 버튼(도 1c의 예시에서 [0])에 추가로 배정하고 해당 버튼 3 타에 "ㅎ"을 선택할 수 있는 격자에 배치할 수 있다. "."은 두번 연속 등장하는 경우가 다수이므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모호성이 없으려면, 3 타에 선택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도 물리적으로 기준격자에서 3 번째로 가까운 격자에 "ㅎ"을 배치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단지 해당 버튼 3 타로 "ㅎ"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면 된다. 이는 "ㅎ"이 [0] 버튼 3 타에 입력될 수 있다는 의미도 있지만, 기본 자음을 모두 각 숫자버튼에 배치함으로써 각종 암기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도 1c에서 알파벳의 식별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음은 파란색으로, 모음 혹은 모음요소는 붉은색으로 표시하였으며, 숫자는 검은색으로 표시하였다. [0] 버튼에 푸른색으로 "ㅡ"를 표시한 것은 ". + ㅡ + 0(zero)"가 전체적으로 "ㅎ" 모양을 나타내므로 [0] 버튼에 "ㅎ"이 암시적으로 배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즉 9 버튼탈락자음은 특정 기본자음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되어 컨트롤처리방법으로 입력할 수도 있고, 동시에 모음요소 "."이 배정된 버튼 3 타로 입력될 수도 있다.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국어에서 모음요소 "ㅡ" 및 "ㅣ"가 연속하여 등장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9 버튼 탈락자음(예를 들어 "ㅎ")을 "ㅡ" 혹은 "ㅣ"와 같은 버튼에 두고 해당 버튼 2 타로 9 버튼 탈락자음을 입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경음컨트롤 혹은 격음컨트롤 중의 한 가지는 "." 과 함께 다른 버튼에 배정되고, 해당 버튼 3 타로 배정된 컨트롤을 선택하도록 하면 된다. 즉 이는 9 버튼 탈락자음, 격음컨트롤, 경음컨트롤의 3 가지와 상기 한국어 모음요소(ㅡ, ., ㅣ) 3 가지를 그룹핑함에 있어서 임의로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4.1.2 경음의 기본자음 조합처리 및 경음, 격음의 은닉형/비은닉형 반복선택처리한국어의 모음요소를 활용한 방법에 있어서도 경음을 기본자음의 조합으로 처리할 수 있다. 더구나 모음요소를 활용한 방법에서는 숫자버튼에 기본자음이 하나씩 배정되므로, 경음을 기본자음의 조합으로 처리하더라도, 현행 2 벌식 키보드에서와 마찬가지로 "오뚜기"<=>"오ㄷ두기" 와 같은 경우에만 모호성(풀코드간의 모호성으로 1 차모호성)이 발생한다. ("오ㄷ"에서 "ㄷ"은 종성임)그러나 역시 모호성 발생시 이를 회피할 수 있도록 "색인"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결국 경음을 기본자음의 조합으로 입력하는 경우, 격음만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면 되므로 입력규칙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다. 격음컨트롤을 선출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절한 격자에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의 (가)에서 경음컨트롤을 제거하는 것이다.또한 기본자음, 격음, 경음의 순으로(예를 들어 ㄱ, ㅋ, ㄲ) 해당 버튼의 누름횟수에 따라 입력(예를 들어 ㄱ=[1], ㅋ=[1]+[1], ㄲ=[1]+[1]+[1])하도록 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이 경우도 선출원에서 밝힌 대로 1 차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 모호성이 발생하는 구체적인 경우는 여기에서 소개하지 않는다. 이 경우 기본자음, 격음, 경음을 버튼상에 모두 표시할 수도 있고 기본자음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이는 후속알파벳(예를 들어 ㅋ, ㄲ)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선택하는 것이다.여기서 대표알파벳만을 표시하고 나머지 후속알파벳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선택하는 방법을 편의상 "은닉형 반복선택처리방법"이라 하기로 한다. 다시 경음과 격음의 부속순위를 기본자음-경음-격음의 순으로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ㄱ(1st:기준격자위치), ㄲ(2nd), ㅋ(3rd) 와 같이 두는 것이다. 즉 ㄱ = [1], ㄲ = [1]+[1], ㅋ = [1]+[1]+[1] 로 된다. 이는 쌍자음을 기본자음의 조합으로 처리(혹은 은닉형 반복선택처리)하고 격음까지도 은닉형 반복선택처리방법에 의하여 선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이경우 선출원에서 제시한 은닉형 반복선택처리방법과 후속알파벳의 부속순위만 다르나, 경음입력시 숫자버튼 2 타(기본자음의 조합)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의 자연스러움을 배가시킬 수 있다.또한 "ㅎ"을 입력시 [0] 버튼 3 타로 입력하였는데, "ㅇ"과 "ㅎ"간의 관계는 모양 및 발음상 평음(기본자음)과 격음의 관계와 유사하고 격음역시 숫자버튼 3 타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사용방법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여기서 "ㅎ"을 입력함에 있어서 "ㅎ" 이 배정된 [0] 버튼 3 타로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동시에 "ㅎ"을 "ㅇ"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여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한 것처럼, 격음을 해당 기본자음이 속한 버튼 3 타(혹은 2 타)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을 얼마든지 허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가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격음을 입력하면, 시스템은 격음입력시 모호성(풀코드간의 모호성으로 즉, 1 차 모호성) 없이 격음을 식별할 수 있고, 해당 기본자음이 속한 버튼 3 타로 입력하면 경우에 따라 모호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경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즉 동일한 키패드에서 사용자는 격음입력시,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은닉형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도 있는 것이며, 더불어 경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격음컨트롤을 [*] 버튼 2 타로 선택하도록 하고, 컨트롤 후입력을 적용하고, 동시에 경음 및 격음은 기본자음이 속한 버튼 2 타 및 3 타로 선택하도록 하여,"카키"를 입력시, "카키 = [1]+[*]+[*]+[#]+[0]+[1]+[1]+[1]+[#]" 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첫번째 "ㅋ"은 컨트롤처리방법으로 입력하고, 두번째 "ㅋ"은 반복선택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까끼"에 대해서도 "까끼 = [1]+[#]+[#]+[#]+[0]+[1]+[1]+[#]" 로 할 수 있는 것이다.경음과 격음을 비은닉형 반복선택처리방법 혹은 은닉형 반복선택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시 경음과 격음의 선택순서 역시 사용자의 편리대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4.1.3 기본자모의 쌍을 이용하는 방법과 모음요소를 활용한 방법의 혼합적용모음요소를 활용하는 방법은 도 1a의 키패드를 더욱 간략화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선출원에서의 알파벳 입력방법들과도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즉 10 개의 기본모음을 추가로 각 버튼에 표시한 키패드에서도 본 출원의 알파벳 입력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기본자음, 기본모음, 확장모음, 격음, 경음 등을 표시한 전체표시키패드에서도 본 출원의 입력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도 1a의 (가)의 예시에서 경음컨트롤 및 격음컨트롤이 [*] 버튼 혹은 [#] 버튼에 배정되었는데, 굳이 표기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으면 되므로, 각 버튼에 본 출원의 예시와 같이 "ㅡ" 혹은 "ㅣ" 등을 표기함으로써, 모음요소를 활용한 방법과 기본자모의 쌍을 이용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c에서 모음요소로 존재하는 모음 "ㅡ", "ㅣ"를 제외한 8 개의 기본모음을 [1] ~[9]의 9 개 버튼중 8 개의 버튼에 배정하고, 배정된 8 개의 기본모음을 기본모음이 배정된 버튼 2 타에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격음과 경음의 입력에는 컨트롤처리방법 혹은 반복선택처리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c에 추가적으로 "ㅡ", "ㅣ"를 제외한 8 개 모음을 도 1a의 (가)와 같이 배치한 것으로 가정하면, "가신"이라는 단어를 입력시 "가신" = [1]+[3]+[3] + [7]+[#]+[2] 와 같이 될 수 있다.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가"의 모음 "ㅏ"는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고, "신"의 모음 "ㅣ"는 모음요소가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모음 입력에 있어서 다른 방법을 같은 단어내에서 적용하면서도 입력모드전환을 요하지 않는다.또한 [1]~[9] 버튼에 8 개의 모음을 추가적으로 배정하고, 모음이 배정되지 않은 버튼에 경음과 격음이 존재하지 않는 기본자음 중 모양과 발음이 유사한 2 개의 기본자음(예를 들어 ㄴ/ㄹ 혹은 ㅇ/ㅎ 등)을 함께 배치하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모호성도 다음에 설명하는 "색인"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다.5. 색인을 통하여 모호성을 극복하는 방법반복선택방법 적용시 여러 단어가 하나의 코드로 표현되어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고이"가 "굉"으로 "굉"이 "고이"로 인식될 수 있는 모호성이 있음을 지적했다. 그런데 보통은 단어단위로 단어를 입력하는데, 예를 들어 "굉장히" 라는 단어는 존재하지만 "고이장이"라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지만 이들 모두는 같은 코드값을 갖는다. 따라서 이에 대하여 단말기(클라이언트) 혹은 서버측에 특정 키패드와 특정 알파벳입력방법에 대하여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단어들에 대한 색인을 준비하고 이를 등록해 둔다. "굉장히" 혹은 "고이장이"가 입력이 되었을 때 시간지연 등에 의해서도 양자를 구별할 수 없을 때, 색인에 "굉장히"가 올바른 단어로 등록이 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단어(이하에서 편의상 "타겟단어"라고 함)는 "굉장히"인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시스템이 구별할 수 없는 모호성이 발생했을 경우만 적용되며, 시스템(단말기측 혹은 서버측 시스템)에서 정의한 시간지연값 혹은 사용자가 정의한 시간지연값에 의하여 구별이 가능한 경우는 그에 따라야 함은 당연하다. 즉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끊어(시간지연 혹은 공백 혹은 우측진행 버튼 혹은 기타의 특정버튼을 사용하여) "고이장이"를 입력하였다면 비록 의미상 그른 단어라 할지라도 그 단어가 타겟단어이므로 "고이장이"를 출력하여야 한다.색인을 준비하는 방법은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단어에 대하여 올바른 단어(예에서 "굉장히")만을 등록해 둘 수도 있고, 그른 단어(예에서 "고이장이")만을 등록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올바른 단어와 그른 단어를 모두 등록해 두어도 무방하며, 단지 시스템은 색인의 어떤 단어가 올바른 단어인지 그른 단어인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이는 키패드에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삼성전자사의 입력방법에서 "국가 <=> 구카" 와 같은 모호성이 발생하는데 여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자모의 쌍을 각 버튼에 배치하고 자음 1 타, 격음 2 타, 경음 3 타, 모음 1 타로 선택할 수 있게 하면서, 음절(글자) 단위로 음절완성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굉장히"를 입력시, 일시적으로 "고이장이"가 출력되더라도, 단어종료되는 순간(예를 들어 공백입력 등)에 색인을 참조하여 이를 "굉장히"로 수정할 수 있다.이때, 단어의 색인이 클라이언트측과 서버측에 모두 존재할 경우 1 차적으로 클라이언트측의 색인을 검색하여 올바른 단어의 식별을 시도하고, 식별실패시 2 차적으로 서버측의 색인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올바른 단어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단어의 단위를 구별하는 것은 누구나 생각할 수 있듯이 단어와 단어를 구분해 주는 요소에 의해서 식별하면 된다. 예를 들어 공백과 공백사이, 단어시작과 공백사이, 공백과 입력끝 사이, 공백과 모드전환 사이 등등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색인을 참조하여 올바른 단어를 결정하는 것은 단어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단어의 구분을 주는 요소 입력시 색인참조가 이루어지고 올바른 단어가 결정될 수 있다.이는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모호성이 발생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삼성전자社의 방법에서 종성과 초성이 같은 버튼에 속한 자음인 경우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 "국가" <=> "구카"를 예로 들 수 있다. 알파벳 별로 코드를 두어 입력시, 음절(글자) 단위를 인식하지 않고 입력하므로 사실상 많은 경우에 무의식 적으로 "국가"를 입력하면 "구카"로 된다. 이 경우도 시간지연 등에 의하여도 두 단어중의 어느 단어가 타겟단어인지를 알 수 없으면, 시스템(단말기 혹은 서 버)은 색인을 참조하여 타겟단어를 알아낼 수 있다. 단 이 경우는 "국"의 종성 "ㄱ"과 "가"의 초성 "ㄱ"이 연속하여 눌러졌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경우 타겟단어는 "국가"인 경우가 많으므로, 시간지연에 상관없이 색인을 참조하여 타겟단어를 식별해 내는 방법도 효율적일 수 있다.또한 이는 한국어에만 국한되지 않고 반복선택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의 모든 언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영어입력에 있어서 혹은 다른 언어 키패드의 영어모드에서, [2]-[2]-[2]를 입력한 것이 "AB" 인지 "BA" 인지 알 수 없는 모호성이 발생한 경우에 "AB" 가 올바른 단어로 색인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타겟단어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모호성이 발생하는 복수의 단어가 올바른 단어로 색인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사용빈도가 많은 단어를 사용자에 1 차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최종적으로 타겟단어를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만약 어떤 단어의 입력에 대하여 모호성이 있을 경우, 색인을 참조하여도 그 입력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모두 올바른 단어로 인식된다면, 사용자에게 적절한 방법(시각적, 청각적)에 의한 피드백을 주어 선택하게 하면 된다.사용자로 하여금 타겟단어를 확정하게 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창에 올바른 단어로 인식된 복수의 단어를 사용빈도순서(혹은 우선순위순서)로 나열하고 상하 스크롤에 의하여 혹은 디스플레이된 순서에 해당하는 숫자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타겟단어를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빈도가 높은 단어만을 표시하고 타겟단어가 아닌 경우 다음 단어를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컨트롤(편의상 "다음단어컨트롤"이라 함)을 선택함으로써 다음으로 사용빈도가 많은 단어를 표시되도록 하고, 역시 타겟단어가 아닌 경우 마찬가지로 다음단어컨트롤을 다시 선택함으로써 계속해서 타겟단어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타겟타어를 검색한 후 임의의 다른 버튼의 입력(예를 들어 다른 알파벳의 선택 혹은 공백, 모드전환 등 다음단어컨트롤 선택의 선택이 아닌 일체의 버튼 입력)으로 타겟단어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다음단어컨트롤의 선택은 선출원에서 기술한 "부분전체선택방법" 혹은 "반복선택방법(기준/단순)"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특정 버튼의 기준격자의 위치에 다음단어컨트롤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면, 그 특정 버튼 1 타로 다음단어컨트롤이 선택될 것이다.6. 이동버튼 활용방법6.1 이동버튼의 컨트롤버튼으로의 활용선출원에서 각종의 컨트롤이 배치되는 컨트롤버튼을 4*3 키패드 내의 임의의 버튼에 둘 수도 있고, 4*3 키패드 이외의 별도의 버튼에 둘 수도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선출원에서 특히 알파벳의 갯수가 많고, 변형알파벳이 다수 존재하는 언어에 있어서,4*3 키패드내에서 컨트롤버튼으로 사용할 버튼이 부족한 것을 경험하였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문자입력모드에서 비교적 빈번히 사용되지 않는 좌/상/하 이동버튼의 1 차기능을 선출원과 본 발명에서 언급하였던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그러한 예를 보인다. 즉, 문자입력모드에서 4*3 키패드 밖의 별도의 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함에 있어서, 상/하/좌 이동버튼을 컨트롤 버튼으로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도 2a는 현재 전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더형 단말기의 버튼을 도시한 것이다. 파선으로 표시된 [i] 버튼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버튼이며 이 버튼은 단말기에 따라서 존재하기도 하고 존재하지 않기도 한다. 여기서 우측 이동버튼은 공백입력용으로 사용되고, 특히 한국어에서는 1 차모호성 제거를 위한 음절(글자)확정버튼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문자입력모드가 아닌 메뉴선택모드에서는 상/하/좌 이동버튼은 메뉴의 선택을 위한 이동버튼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문자입력모드에서 상/하/좌 이동버튼은 사용빈도가 많지 않으며, 특히 상/하 이동버튼은 빈번히 사용되지 않는다. 편의상 상/하/좌 이동버튼을 합쳐 "상하좌 이동버튼" 혹은 "상하좌버튼" 이라고 부르기로 하고, 상/하 이동버튼을 "상하 이동버튼" 혹은 "상하버튼" 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어는 한 방향의 이동버튼만을 언급할 때에도 같은 요령으로 한다.6.2 이동버튼 하단 배치우선 이 상하좌버튼은 보통 숫자버튼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보통이다. 그러나 문자입력모드에서 이들 버튼이 1 차기능을 각종의 알파벳 입력을 위한 버튼으로 활용하려면, 주로 컨트롤버튼으로 활용되는 [*], [#] 버튼과 함께 4*3 키패드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 유용함을 알 수 있다. 도 2b의 (가)와 (나)는 이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렇게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편의상 본 발명의 예에서는 이동버튼을 4*3 키패드 하단에 배치한 예로써 설명한다.여기서 4*3 키패드와 상하좌버튼을 합하여 5*3 키패드를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부분전체선택방법의 적용시, 각 버튼을 3x5 의 15 개 격자로 나누어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반드시 도 2b의 (나)에서와 같이 5*3 키패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하좌버튼을 배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6.3 이동버튼 좌측면 혹은 우측면 배치상하좌우 이동버튼을 4*3 키패드의 좌측 혹은 우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이 경우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4*3 키패드와 이동버튼을 합하여 4*4 키패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b의 (다)는 상하좌우 이동버튼을 4*3 키패드의 오른쪽에 구비한 경우의 예이다.이는 단말기에서 액정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추세에 있는데, 단말기의 액정의 크기를 더 크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10-2000-0002081, 10-2000-0005671, 10-2000-0067852, 10-2001-0002137 에서 제시한 이동단말기에서의 측면배터리 장착방법을 병행적용시 좋은 특성이 있다.6.4 컨트롤버튼 및 알파벳입력을 위한 버튼으로의 각종 활용 사례다음에서, 이동버튼을 활용하는 사례를 든다. 단 아래의 사례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6.4.1 기호컨트롤버튼으로의 활용 사례한국어의 실시예에서, [*] 버튼과 [#] 버튼에 각각 격음컨트롤과 경음컨트롤을 배치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 버튼에 격음컨트로과 격음컨트롤을 배치하고, [#] 버튼을 기본모음컨트롤과 확장모음컨트롤만을 배치한 경우가 있었으며, [#] 버튼에 확장모음컨트롤만을 배치한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 기호컨트롤을 [*] 버튼 혹은 [#] 버튼상에 배치하며, 컨트롤버튼 후입력에 따라 먼저 격음, 경음 등이 먼저 나오고, 다음에 기호가 선택되게 된다. 이는 타 언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그러나 기호컨트롤을 분리하여 상하좌버튼 중 임의의 버튼에 두게되면, 기호의 그룹과 연관된 버튼과 기호컨트롤이 배치된 기호컨트롤버튼을 조합하여 입력하는 즉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b의 (라)는 하 이동버튼의 1 차기능을 기호컨트롤의 선택을 위한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한 예이다. 0 차원형태의 기호그룹에 대하여 컨트롤 후입력을 적용한 예를 보이면, dot = [3]+[v], comma = [3]+[v]+[v], colon = [3]+[v]+[v]+[v], semi-colon = [3]+[v]+[v]+[v]+[v],... 과 같이 된다.6.4.2 한국어에서의 모음요소 버튼으로 활용 사례특히 선출원에서 한국어의 예에서 모음요소(ㅡ, ㅣ, .)을 활용한 경우에 있어서, 모음요소 "."과 "ㅎ"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ㅎ" 입력에 불편이 있었는데, 모음요소를 상하좌버튼 중 임의의 버튼에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불편을 극복할 수 있다. 만약 기호컨트롤을 하 이동버튼에 두고, 모음요소 "."을 상 이동버튼에 두면 상하좌버튼에서 2 개의 버튼을 사용하게 된다. 혹은 상하좌버튼에 한국어의 모음요소 3 개를 각각 둘 수도 있다.격음컨트롤을 둔 버튼에 기호컨트롤을 둔 것과 마찬가지로, 상하좌버튼 중 임의의 버튼의 기준격자위치에 한국어의 모음요소 "." 를 두고, 기준격자에 가까운 순서로 기호컨트롤을 둘 수도 있다. 도 2c의 (가)는 이러한 예이다. 이 경우도 모음요소 "."은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반복선택방법으로 배치된 모음요소와 기호컨트롤을 선택하더라도 모호성없이 모음요소와 기호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c의 (가)에서 [v] 버튼을 1 번 누르면 모음요소"."이 선택되고 두번 누르면, 기호컨트롤 1 이 선택되고, 3 번누르면 기호컨트롤 2 가 선택된다.7. 도움기능 활성화여기서 각각의 입력모드에서 버튼(상/하/좌/우)에 표시되지 않은 기능을 스크린(액정)에 표시하여 사용의 편리를 더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정의 일부를 소모하는 단점이 있는데, 물론 각 연산자버튼의 기능을 숫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굳이 액정의 공간을 소비하면서 이를 표시되도록 할 필요가 없으나 그렇지 못한 사용자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2a를 참고할 수 있으며, 도 3의 (가)는 도 2b의 (다)와 같이 상하좌우버튼이 4*3 키패드의 오른쪽에 배치된 경우를 가정하여, 유사한 형태로 배치한 경우의 예이다.이렇게 사용자의 편의와 의도에 따라 버튼의 기능(즉 버튼에 할당된 연산자 혹은 각 버튼에 연관된 기호그룹)을 표시하여 주는 것을 편의상 "도움기능 활성화"라고 한다. 도움기능 활성화는 각각의 모드(예. 알파벳입력모드, 계산기모드)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 모드에서 필요기능에 대해서(예. 알파벳입력모드에서 기호그룹에 연관된 숫자버튼 혹은 컨트롤버튼의 용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마찬가지로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컨트롤버튼의 기능 혹은 기호그룹과 연관되는 숫자버튼 역시 사용자가 필요로 할 경우 액정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의 (나)를 참고한다. 도 3의 (나)는 앞에서 예시한 기호그룹분류에 의거하여 각 기호그룹에 연관되는 숫자버튼을 아이콘화하여 액정에 표시한 예이다. 각 숫자버튼에 연관된 기호그룹의 기호중 편의상 첫번째로 선태되는 기호만을 숫자버튼 아이콘에 부기한 것이다.8. 삭제버튼 활용방법삭제버튼을 활용함에 있어서 이를 선출원에서 소개한 "최종입력취소"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c에서 "ㄱ"을 입력하려다, [1]+[*]을 입력하여 "ㅋ"을 입력하였는데 삭제버튼을 눌러서 최종입력([*])을 취소함으로써 "ㄱ" 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컨트롤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서 후속알파벳을 입력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취소버튼을 연속하여 누르는 경우는 통상의 방법대로 이미 알려진 알파벳이 삭제되도록하면 된다. 예를 들어 "가나ㅋ"을 입력한 상태에서 취소버튼을 1 번 누르면 "가나ㄱ"이 되고, 한번 더 누르면, "가나"가 되고, 또 한번 더 누르면, "가" 가 된다. 로마자의 경우 "aba.."을 입력한 상태(마지막의 "a.."은 "..+a"로 이루어진 변형알파벳)에서 삭제버튼을 한번 누르면 "aba"가 되고, 한번 더 누르면 "ab"가 되고, 또 한번 누르면 "a"가 되는 것이다. 즉 이미 형성된 알파벳에 대해서는 알파벳단위로 삭제되는 것이다.9. 키보드의 숫자키패드와 전화단말기에서의 키패드의 통일화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 제시한 키패드는 이동단말기 혹은 표준키보드의 숫자키패드 혹은 스크린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는 키패드 혹은 도어록 등 전화기자판 형태의 모든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표준키보드에 구비된 숫자키패드는 선출원 및 본발명에서 제시한 키패드와 숫자 버튼의 배치가 다르나,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의 키패드 버튼상의 배치를 키보드에 구비된 키패드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 [1] 버튼에 배치된 알파벳을 키보드에 구비된 숫자 키패드의 [1] 버튼에 배치하고, 이하 마찬가지 방법으로 배치하여 알파벳입력, 심플코드의 활용 및 각종 코드의 암기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그러나 혼동을 줄이고 사용의 편리를 더하기 위하여, 키보드의 숫자키패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화기 키패드의 숫자배치를 활용할 수 있다. 즉 키보드의 숫자키패드의 숫자배열에 있어서, 전화기의 키패드에서와 같이 제 1 행의 버튼에 [1], [2], [3] 버튼을 두고, 2 행의 버튼에 [4], [5], [6] 버튼을 두고, 3 행의 버튼에 [7], [8], [9] 버튼을 두는 것이다. 더불어 전화기의 키패드에서와 같이 [*] 버튼과 [#] 버튼 을 둘 수도 있다.Since it is essential to give a specific example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s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following embodiments. First, the contents of the prior application for each language are as follows. Among the contents mentioned in any one of the following languages, it is obvious that the contents applicable to the other languages can be applied to the other languages even if not mentioned in the other languages. Common Complementary 1.1 Scope of Application of Keypad in the First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and the keypad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fields in the form of a telephone keyboard, such as a numeric keypad of a mobile terminal or a standard keypad or a keypad or door lock configured in software on a screen. Applicable to is obvious. In addition, the numeric keypad provided on the standard keyboard is different from the arrangement of the keypad and the numeric buttons present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the arrangement on the keypad button in the prior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keypad provided in the keyboard. For example, in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phabet disposed on the [1] button is placed on the [1] button of the numeric keypad provided on the keyboard, and in the same manner below, alphabet input, utilization of simple codes, and memorization of various codes. 1.2 Setting the battering delay time and iterating delay time In a language where consonants and vowels alternately appear, such as Korean and Hindi, assign a pair of representative consonants and a representative vowel to each button, In applying the method of selecting one consonant to two consonants, if the algorithm is implemented to recognize the first two vowels within a predetermined delay time (for example, 0.1 second) as the vowel, It can be implemented efficiently while reducing the feeling of rejection. This delay time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interval that is commonly pressed for a certain time when the same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This delay time is referred to as " hit delay time " for convenience.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to recognize two consonants of the same button 2 input more than a certain delay time (for example, 1 second) interval. This delay time is referred to as "ita delay time" for convenience. This may also apply to pressing the same button three or more times. For example, if [1] + [1] is entered with a delay of 0.08 seconds in (a) or (b) of FIG. It is recognized as "ㅗ" first, and if it is input with a delay of 1.1 seconds, it is recognized as two consonants ("a", "a"). If it is input with a time delay of 0.5 second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ne vowel is input or two consonants are input through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ppearance structure of the language. In addition, even when a delay time of 0.08 sec or 1.1 sec is input, it is possible to finally determine whether one vowel is input or two consonants are input through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ppearance structure of the corresponding language. Conventionally, only one time interval (for example, 1 second) is set, and if the same button is continuously input within the corresponding time, it is recognized as two consecutive strokes. The difference is that the reference time delay value (e.g. 0.1 second) judged by two consecutive strokes is different from the time delay value (e.g. 1 second) judged by one stroke each. Among the methods,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is excellent in terms of input convenience. Therefore, this means that the ambiguity can be largely avoided by using the structure of a specific language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lternate,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simplification and convenience of input rules). By setting different delay times and allowing them to be specified by the user, the implementation of the algorithm can be simplified. 1.3 Chained Control Processing Subscript control processing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Subsequent control methods are more common. In other words, in the Korean example of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ㅋ, and 설명 was explained as the relation betwee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modified alphabet, and it was explained as ㅋ = a + {beep}, ㄲ = a + {beep}, but a (represented alphabet) This is because the result is the same even if it is place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such as ㅋ (2nd) and ㄲ (3rd). Thu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the control buttons do not have subordinate rank control, " The method of inputting a combination of the preceding alphabet and the "next" control by considering the preceding alphabet as a new representative alphabet at the time of entering the subsequent alphabet is called "chain-type subsequent control method" for convenience. Even if the prior application does not display the subordinate control on the subsequent control button, the user is aware that the specific button is the subsequent control button. However, the advantage of the chained subsequent control method is that the "next control" is displayed on the control button. Even if it is displayed, the display can be simpl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ults of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the "chain-typ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describ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are the same, so that they are used interchangeably. 1.4 As presented in the input prior application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of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Explain that the national alphabets can be placed in the order of "closest to the reference grid," followed by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Also, when applying the standard repetition selection method, the national alphabets and numbers are selected in the order close to the reference grid. It can be explained. Likewise, in applying the subsequent control method, not only the alphabet of the local language belonging to a specific button, but also the number and the English alphabet (if it is not a roman language) can be input through the subsequent control method. It may be followed by an alphabet followed by an alphabet. For convenience, for example, in Japanese, あ (represented alphabet), い (2nd), う (3rd), え (4th), お (5th), 1 (6th),. (7th), q (8th), You can put it like z (9th). In addition, if there are available buttons for controlling numbers or English alphabets, the control buttons for あ (represented alphabet), い (2nd), う (3rd), え (4th), お (5th) can be selected as For example, the [*] button), and the other button (for example, the [#] button) as a number or a button for English alphabet, あ (represented alphabet), 1 (2nd),. (3rd), q ( 4th), z (5th) can be entered to enter numbers or the English alphabet. For example, 1 = あ + [#] = [1] + [#],. = あ + [#] + [#] = [1] + [#] + [#], q = あ + [#] + [#] + [#] = [1] + [#] + [#] + [#] If a control button is available, a control button for inputting a number and a control button for an English alphabet may be separately provided. This may also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and may be applied to input of various symbols described below. Below are the supplements for each language. Th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for each language are supplemented and the details of development are as follows. If any of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supplements for each language can be applied to another language,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without special reference. In the case of English, it is possible to input alphabets other tha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on the keyboard even through the control process, as the subsequent alphabet can be input through the method. In English, subsequent controls (2nd, 3rd) can be placed on the same control button (for example, the [#] button), and can be plac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for example, [*], [ #] button). In the case of English, when ABC is placed on one button, if A is represented as a representative alphabet, B and C are input through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and if B is represented as a representative alphabet, A and C ar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It is entered through. As mentioned in the earlier filings, the sub-categories of the representative alphabets and subsequent alphabets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etc. For example, in the A, B, and C groups, A i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2nd, 3rd control is set to [*. ] And then apply the input after control, B = A + {2nd} = [2] + [*], C = A + {3rd} = [2] + [*] + [*]. If B i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the 2nd and 3rd controls are placed on the [*] and [#] buttons, respectively, and the input is applied after the control, A = B + {2nd} = [2] + [*], C = B + {3rd} = [2] + [#]. Also, four letters of P, Q, R, and S are assigned to the [7] button, and four letters of W, X, Y, and Z are assigned to the [9] button. When assigned to Korean, the partial full selection method may be applied by placing one of the four alphabets in a grid forming a top and bottom adjacent combination, as indicated in the Korean embodiment of the previous application. In the separate application of the horn control, the horn control is assigned to the [*] button and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grid, and the horn control is then placed on the grid close to the reference grid. You can select the horn control. However, when the extended vowels (two vowels) are input, there is a natural time delay between the vowels and the vowels. Thus, even if the extended vowels are not input through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virtually no ambiguity exists. Therefore, 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a) of FIG. 1A, the horn control may be additionally assigned to the [#] button and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grid so that the horn control is selected at the other one of the [#] button. In this case, when inputting the control, ㅋ = {beep} + a = [*] + a, ㄲ = {beep} + a = [#] + a. 10-2000-0025183), in the method of using consonant and vowel pairs, "as with Japanese, set the following control buttons to [#], pre-enter [#] (or post-input), and press the numeric buttons. You can also enter the default collection by typing. " This means that the basic vowel control can be inputted without any ambiguity by inputting the basic vowel through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s shown in FIG. As pointed out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basic vowels displayed on the keypad can also be entered by the control process as in the case of Japanese (entry by the control of the subsequent alphabet on the entire display pad). Input is less convenient than repeated selection, but it can completely eliminate ambiguity. Since the basic vowel is frequently used, the "basic vowel control" for the basic vowel input should be selected by one control button. FIG. 1A (b) is a diagram showing the addition of "basic collection control" for controlling the basic collection in the drawing present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The Basic Bar Control is selected to Control Button 1 and the Extended Bar Control to Control Button 2 is selected. In the example of FIG. 1A (b), after applying the control input, ㅏ = [3] + [#], ㅐ = [3] + [#] + [#], ㅓ = [4] + [#], ㅔ = [4] + [#] + [#] The same is true for the rest of the vowels and extended vowels, and can be applied to pseudo-extended vowels as ㅗ = [1] + [#], ㅚ = [1] + [#] + [#]. Because of the lack of association between vowels, the basic vowels can be displayed on the keypad, and the basic vowels can be viewed by the non-hidden control processing method. As in, one subsequent control button can be used in common for the subsequent consonants or subsequent vowels. For example, placing the Sound Control and Expansion Controls on the same grid of the same control buttons. As explai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separate control buttons for subsequent consonants and control buttons for subsequent vowels can be applied differently to the pre-input or post-input of each control. It is only one example of a flow chart and more efficient programming is possib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nsonant part of the support in FIG. 1B, by checking whether the consonant can form a double support earlier, a slightly more efficient implementation is possible. The example of Korean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has similar features (consonants and vowels alternately). It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that have emerged phrases, and in the case of other languages,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letter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other languages. In the Korean example, the first three strokes from "word start" (input 1, 2,3) can always be defined as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first syllable (letter), of course, this does not apply to the first occurrence of a syllable consisting of "mo +" in Hindi. This may be the finality of the syllable or the first syllable of the second syllable, and should be judged according to the flow chart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in advance that inputs 4 and 5 cannot form a double vowel if the input 4 is the same as the previous input (input 3). If, 5 is a double vowel, it must not be the same vowel If input 4 is not the same as the previous input, compare the next input (input 5), as shown in the flowchart, and proceed as follows: If input 5 is the same as the previous input, check to see if you can achieve a double vowel as shown in the flow chart, and then proceed as follows: If the input 5 is not the same as the previous input, then input 5 is not the same as the previous input. In this case, input 4 can be confirmed as the support of the first syllable (letter), and input 5 can be a double foot of the first syllable (letter) or a first consonant of the second syllable (letter). If you can't achieve double support by checking whether inputs 4 and 5 can achieve double support, you can predetermine input 5 as the first syllable of the second syllable (letter). 14 * 14 = 196) is not possible, and only 11 of ㄶ, ㅄ, ㄺ, ㄻ, ㅀ, ㄵ, ㄼ, ㄳ, ㄾ, ㄿ, ㄽ are possible. One syllable (letter) is confirmed, and input 5 is input 1, and it is processed again from the beginning. If input 5 is the same as input 4 and a double vowel cannot be made with inputs 2 and 3, input 4 may be determined as the final syllable of the first syllable (letter) and input 5 may be the first consonant of the second syllable (letter). Although not shown in the flowchart as a page constraint relationship,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can be taken into account in programming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case where a double vowel can be achieved can proceed as shown in the flowchart. In all other cases where ambiguity occurs, as shown in the input examples and flowcharts of the prior application, the word (or syllable) in which the ambiguity occurs, ends with a backing (jong) and the other Ends with no (for example, " Accepts the next input ("input x" for convenience) and checks whether it is "Word End". If it is a word end, the input x is the last syllable (letter) in the example. 2.2.5 Combination of Consonant Basic Consonants It is possible to treat a consonant (double consonant) as a combination of basic consonants for all Korean keypads mentioned in the applicant's election. ) Can be entered similarly to the case where input 4 and input 5 are not the same in Fig. 1b, but the convenience of input increases, but the first If a syllable ends with a vowel without a bell and the second syllable is the horn, Ambiguity can occur, such as <=> Ottogi "(" T "in" Otdugi "can't be typed in Jongsung or the JPO editor, so it's labeled for convenience). Also, even if the first syllable ends with a base, the second syllable Even if the first consonant of the first syllable is the same as the initial syllable of the first syllable and the second syllable of the second syllable (e.g. Octopus), the first syllable vowel and the first syllable of the second syllable ( +)) "May be recognized as a vowel and resulted in a double vowel (in this example only if" ㅗ + ㄷ "=" ㅗ + [3] + [3] "could achieve a double vowel). Due to the nature of the control process, the ambiguity is removed from the ambiguity when the horn input is removed. Therefore, more ambiguity may occur than when the horn is input by the control process. " In the case of <=> Ottogi ", the user can avoid this through time delay or division input (enter means to confirm the syllable, such as right arrow).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of <=> Wadoop ". However, in the latter case, double vowels in Korean (two combinations except three basic vowels) are ㅔ, ㅢ, ㅘ, ㅚ, ㅝ. , ㅟ, ㅖ, and 8, always ending with ㅣ, ㅏ, or 따라서, so three of the five consonants b, ㄹ, ㅁ, ㅇ, ㅎ, ㅏ, ㅏ, ㅓ Grouping three vowels in pairs and placing them, In the case of <=> Wadoop ", it is not always" Waddu "even when the sound is input as two basic consonants, so it can always be correctly recognized as" otduggi ". Without changing (as the existing algorithm checks if a double vowel can be achieve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it as “otduggi.” It is supported by the first syllable (letter) and the next syllable (letter) starts with a horn. In this case, even if two consecutive inputs of the same button for entering the meridian are not recognized as vowels, the meridian becomes the first syllable of the first syllable at the beginning of a word Some modifications are required to the flow chart of the earlier application for initial consonants, where inputs 3 and 4 are confirmed as vowels, which is eas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idea of the prior application. (1, 2 at the beginning of the word, 3, 4 is the vowel, ie "child + mother") If input 1, 2, 3, 4 are all the same button, input 1 is the initial sound, input 2, 3 There may be ambiguity with this vowel, input 4 being final (i.e. "child + parent + child"), which, as in the flow of the previous application, receives the next input (conventional "input x"), and "child + parent" It is possible to overcome ambiguity in some cases by checking that the final consonant and double support of the + character "can be achieved and whether the word is terminated, so that the double support cannot be achieved and the input x is treated as the" child + mother "finality at the end of the word. Similarly, if the double support can be achieved, the next input can be received and the word end can be checked and treated as the same concept. Broadly speaking, the ambiguity caused by applying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It can be overcome by the "index" provided to overcome the ambiguity described in the following. After all, by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there is some ambiguity anyway. Combination processing improves the convenience of input and improves the simplicity of input even with a slight increase in ambiguity. Words can be distinguished from words to words such as spaces, mode switching, navigation buttons, confirmation, and input termination. Can be made by any means that can be distinguished. 3. In the method of using a pair of basic vowels, in a language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repeatedly appear, such as Korean, minimizing ambiguity through a mathematical model, the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are arranged in pairs on the numeric buttons on the keypad. By applying th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t has been shown that the alphabet placed on the button can be entered efficiently with less ambiguity, and in the case of Korea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put of the rhythm, the vowel, the extended vowel by combining the control and the basic vowel. Presented. Here, we present a method to reduce ambiguity as much as possible in the invention of a prior application. When assigning multiple alphabets to a button on a keypad and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the ambiguity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s inherent i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Will be. For example, if you continuously input ABs arranged on the same button, if you enter [2] + [2] + [2], it is not known whether it is AB or BA. In Korean, most syllables are in the form of "consonants + vowels (abbreviated as" ja + hom ")" or "consonants + vowels + consonants (abbreviated as" ja + emo + ja ")". The most common form of ambiguity is when the first syllable consists of "za + mo" and the second syllable consists of "ja + mo + za". If the syllable's "parent + child" is placed on the same button, the first consonant (first consonant) of the second syllable is recognized as the last consonant (final) of the first syllable, and the "child + mo" of the second syllable is "child + mo" It is recognized. Finally, to minimize this ambiguity, we can see that "parent + child" that is frequently combined in syllables of "child + child + child" should not be placed on the same button as much as possible. In other words, a vowel (neutral) to consonant (single) with a high frequency of vowels (sons + mothers + rulers) in the corpus should not be placed on the same button. In Korean, the same ambiguity may occur when the first syllable consists of "ja + mo + mo" or the second syllable consists of "ja + mo + ja + ja", but this is not the case. In Korean, precisely, the mother transition when the second syllable is composed of "ja + ma + ja + ja"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frequency of the hat transition, but not many times. If the first syllable consists of "child + mother + child" and the second syllable consists of "child + mother", the second syllable "child + mother" is placed on the same button, the first syllable is "child + mother" The second syllable "child + mother" is recognized as "child + mother" and combined with the consonant of the previous syllables as "child + mother + child". To minimize this ambiguity, you should ensure that "child + parent" that is frequently combined in syllables consisting of "child + parent" is not placed on the same button as much as possible. In the case of Korean, the first syllable is composed of "ja + m + ja + ja", but this is not the case. In the case of the above, other cases of ambiguity have been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but these are not many cases. In this case, the method of minimizing ambiguit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For convenience, the syllable consisting of "ja + mo" is about 50% (more precisely 54.011%). ), And the syllable of "child + mother + child" is about 50% of the total. Thus, the frequency of transition from consonant to vowel (abbreviated as "consonant" or "self-combination") of "syllable + mother" and the vowel to consonant (syllable + mother) The frequency of "cap rotation" or "cap coupling" may be considered equal. If the syllable consisting of "ja + mo" is about 70% of the total, and the syllable consisting of "ja + mo + ja" is about 30% of the total, put 30% of the consonant frequency (consonant and The ambiguity caused by the vowel being assigned to the same button is assumed to be 30% with the first syllable ending with "child + mother + child"), with a 70% emphasis on the number of mother-to-child transitions. Ambiguity due to consonants being assigned to the same button is assumed (assuming 70% of the preceding syllables end with "child + mother"). The number of possible transitions in Korean is 567, 27 for vowels (neutral) and 27 for consonants (jong). Of these, 270 are actually transmitted. The top 12 are 51% of the total and the top 48 are 90% of the total. This large difference in transition frequency (combination frequency) means that ambiguity can be greatly reduced through optimized grouping (consonant + vowel).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ansition between the vowel and the consonant,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all the cases because only the transition of the vowel and the consonant displayed on the keypad is considered. It is easy to see that the combination of vowels, rhymes, and voicings is due to the intervention of the "control" propos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to eliminate ambiguity. As shown in 10, 10 basic consonants can be combined with respect to 10 basic vowels displayed on the keypad, and thus 100 cases. The frequency of the hat transitions investigated in the literature is as shown in Table 1 and Table 2 below. The frequency of the studied hair follicles in the literature is shown in Table 3 below. Table 3 below examines only the frequency of syllables consisting of "child + mother" only. The case of "child + mother + child" is considered in the parental transition frequency and need not be considered here,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gamma transitions is also the following 100 cases because 10 basic vowels can be combined for 10 basic consonants displayed on the keypad. Since the frequency of the mother and mother transition is not a relative ratio but an absolute frequency, the tables representing the coupling frequency of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Tables 4 and 5 below by adding the two together. Table 4 and Table 5 are the sum of the frequency of the mother and hair transfer. More precisely, as explained earlier, the syllable composed of "ja + mo" in Korean is about 54% of the total, so the syllable composed of "ja + mo + ja" is 54% of the frequency of the mother's transition. It is about 46%, so 46% should be weighted for the frequency of Zamo transition. However, in Table 4 and Table 5, since syllables consisting of "ja + mo" or "ja + mo + ja" in Korean occupy about half each, there will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the problem of minimizing ambiguity when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through the keypad is called NP-hard problem. However, the problem of minimizing the ambiguity that occurs when applying the (standard / simpl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of consonants 1 and vowels 2 on a keypad arranged in pairs of consonants and vowels present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is a typical linear programming problem. This can also be said to be a great advantage of the applicant's invention. After all, the above table is a "table frequency table (integrated frequency table)" of the optimization problem to be mathematically model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ntion of the prior application, grouping the alphabet to be assigned to each button is called "grouping", grouping Assigning the assigned alphabet to each button is called "assignment", and assigning the assigned alphabet to each grid on the button is called "arrangement". Therefore, pairing of letters to minimize ambiguity is "grouping problem". When the subscript of each row is i, the subscript of each column is j, and the number of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each is 10, respectively, n is n, the objective equations and constraints are as follows. same. Where each variable and coefficient 0: When i th vowel and j th consonant are not grouped 1: When i th vowel and j th consonant are grouped When the i-vowel and the j-th consonant appear consecutively, the integrated frequency is solved as follows. Similarly, constraints can be solved. Since the mathematical model of the problem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coefficients (transition frequency or coupling frequency) have been established, solving the above problems can be easily solved using a commercial linear programming (LP) package. The result of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as follows. However, this is the result of solving the above integrated frequency table divided by 1/50, which is used as a constraint of the program used by the applicant. However, even if the grouping to minimize ambiguity, the grouping is not the best. This is because the location of the alphabet on the keypad is also an important consideration. Solving the problem to minimize the number of transitions (or combinations) can find pairs of consonants and vowels to minimize ambiguity. On the contrary, if the above problem is solved in order to maximize the transition frequency, ambiguity occurs a lot, but the same button is pressed more frequently when entering alphabets,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input.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should be aware of and deal with cases where ambiguity occurs. Maximizing the transition frequency (combination frequency) is to arrange the vowels in pairs and to enter the consonant 1 taro and the vowel 1 taro It is very efficient when you enter a confirmation button in units or select a control to confirm a syllable. In this case, when entering consonants and vowels that are not displayed on the keypad, all subsequent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by assigning subsequent controls to buttons that do not have a fixed control and allowing subsequent controls to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terations of the control button. It is possible to do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 is forced to inconvenience the pressing of the confirmation button by syllable unit. As sta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is subsequent control button can apply one subsequent control button to both the subsequent consonants and the subsequent vowels if the same input or post input is applied to the consonants and vowels. This is also true even if the confirmation button of the syllable unit is not input. Maximizing the transition frequency (combination frequency) is solved by solving the objective with "Max Z = ..." and minus in the coefficient (frequency). Solve as a minimization problem by adding a symbol ("-") or as a factor by subtracting each coefficient from the largest number of coefficients. Again, it is easy to solve using a commercial LP package.The combination frequency of consonants and vowels is not considered in all cases where ambiguity occurs, but it points out the most cases of ambiguity (mother transitions, zymotransitions). It is here the "core" that has been proposed to optimize based on frequency. After all, the "core" of how to minimize ambiguity with mathematical models is to group 10 consonants and 10 vowels in pairs. In the method of selecting each consonant placed on the keypad with each button 1 tarot, and selecting a vowel placed on the keypad with each button 2 tarot, the most common occurrence of ambiguity is hat transition ("child + mother +"). Vowel and consonant combination in syllable) and consonant transition (combination of consonant and vowel in syllable consisting of "ja + emo") This points out that the cases assigned to the same button, is also obtained a Based on this, a couple of the weight on the frequency used by a factor when modeled as a double problem of linear programming for each transition type "integration frequency table". It is very easy to use commercial programs to find groups of consonants and vowels that can be solved and optimized to solve these mathematically modeled problems. How to use vowel elements in Korean 4.1.1 How to control vowels and rhythms You can use Korean vowel elements (ㅡ, ㅣ,.), Which are well known as Cheon (ㆍ), Ji (━), and In (┃). Can be. Referring to FIG. 1C, in the present invention, nine basic consonants among the ten basic consonant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1] to [9] number buttons, and the Korean language described in the [*] and [#] buttons at the bottom of the keypad. The vowel elements "-" and "|" are randomly assigned, and the Korean vowel element "." Is assigned to the number [0] button. Various methods of assignment are possible, but for convenience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the assignment and placement of FIG. 1C. The arranged basic consonants and vowel elements can of course be arranged at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lattice, and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the partial partial selection method to the selected basic consonants and vowel elements. 컨트롤, ㅎ) and the sound (ㄲ, ㄸ, ㅃ, ㅆ, ㅉ) in the control process, the "beep control" and "beep control" is assigned to a button arranged with "-" or "ㅣ", respectively, It is placed on the grid closest to the reference grid among the remaining grids. That is, the beep control and the horn control are selected at the button 2 to which the control is assigned. The sound control (or sound control) may be additionally arranged on the button to which the sound control (or sound control) is assigned, so that the selected button 3 may be selected. In addition, the sound control or the sound control is not necessarily displayed on the button, and the user only needs to be familiar with the input rules. The state of selecting the sound control is indicated by "{beep}" for convenience, and the control input in the example of FIG. If you apply, ㅋ = {beep} + a = [*] + [*] + [1], and ㄲ = {beep} + a = [*] + [*] + [1]. Conversely, if you apply a post-control input, ㅋ = AZ + {beep} = [1] + [*] + [*] and ㄲ = AZ + {beep} = [1] + [*] + [*] On the other hand, if the horn control is allowed to be selected by the button 3 to which the horn control is assigned, {= {beep} + a = [*] + [*] + [*] + [1]. The reason why the rhythm control and the rhyme control are assigned to the same button with ㅡ and ㅣ among vowel alphabet elements and that the vowel selection method is not ambiguity is that the vowel “ㅡ” does not appear twice in a word in Korean. This is because, in the example, two inputs of the [*] button to select the sound control are not recognized as having selected two vowels "-" + "-". The same is true of the vowel "|". In the word "courtesy" (in the example [8] + [0] + [0] + [#] + [#] + [0] + [*] + [#]), the vowel "|" appears twice. In this case, the vowel alphabet element "." Following it, you can see that "[#] + [#]" here is a vowel, not a horn control. Because in the example, the vowel alphabet element "." This is because the word cannot be terminated, so the next input [#] is a vowel. The vowel "-" never appears consecutively, so there is no ambiguity even if you assign a sound control or a sound control to a button to which the vowel "-" is assigned. In Figure 1c, 9 consonants out of 10 basic consonants Since they were assigned to and placed on the dog buttons ([1] to [9] buttons), the other basic consonant (ㅎ) was not assigned to the buttons. This is called "9 button dropping consonants" for convenience. The 9-button drop-out consonants can be omitted from the control process by considering one of the 10 basic consonants as a modified alphabet or a subsequent alphabet in consideration of pronunciation or shape similarity. For example, instead of placing "ㄹ" on the button, consider "ㄹ" as a variant alphabet ("beep" or "beep") of "b", so that when you enter the control ㄹ = [*] + [*] + ㄴ or ㄹ = [*] + [*] + [*] + B or d = [#] + [#] + b. In the example of FIG. 1C, in consideration of the similarity between pronunciation and shape, "ㅎ" is regarded as a modified alphabet of "ㅇ" (diaphragm or hard sound) ㅎ = [*] + [*] + ㅇ or ㅎ = [*] + [*] + [*] + ㅇ or ㅎ = [#] + [#] + ㅇ. In this case, the controlled alphabet ("ㅎ" in the example of FIG. 1C) is used for the convenience of alphabet input. It would be nice to have one of the alphabets (b, ㅁ, ㄹ, ㅎ, ㅇ) without any horns or vowels. It is obvious that the basic alphabet of the alphabet to be controlled ("o" in the example of FIG. 1C) should also be one of alphabets in which no sound or sound is present, which can add convenience to alphabet input. The reason why the control process of "ㅎ" is given is because there is no hard and hard sound,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hard and hard sound is also the lowest alphabet. In addition, there are similarities in pronunciation, and similarities in shape, like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rhythms and rhythms �� 甄 � Here, in order for Korean to be used for memorizing phone numbers and various codes, 10 basic consonants It is preferably arranged on the numeric button. Therefore, "ㅎ" can be additionally assigned to the button ("0" in the example of FIG. 1C) to which "." Is assigned and placed in a grid in which "ㅎ" can be selected for the corresponding button 3. Because "." Appears twice in a row, it is necessary to select three hits if there is no ambiguity by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Even in this case, the user only needs to be aware that the button 3 tarot "ㅎ" can be selected even if he does not place "ㅎ" in the third grid closest to the reference grid. This means that "ㅎ" can be input to the [0] button 3 stroke, but it can be usefully used for various memorization by placing all the basic consonants in each number button. Are blue, vowels or vowels are red, and numbers are black. The blue "-" on the [0] button means that ". + ㅡ + 0 (zero)" is "h" overall, so that the "0" is implicitly assigned to the [0] button. In other words, the 9-button drop-out consonant is considered to be a variant of the specific basic consonant and can be entered as a control method, and at the same time it can also be entered as a button 3 type with the vowel element ".". With the property that the vowel elements "ㅡ" and "ㅣ" do not appear in succession, the 9 button dropping consonants (for example, "ㅎ") are placed on buttons such as "ㅡ" or "ㅣ"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a button dropping consonant. In this case, one of the horn control or the sound control is "." And assign it to another button, and select the control assigned to that button 3.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he three buttons of the 9-button dropout consonant, the rhythm control, the horn control, and the three Korean vowel elements (ㅡ,., ㅣ) can be arbitrarily grouped. And the method of utilizing the vowel elements of the hidden / non-hidden repetitive selection processing Korean for the horn and the rhythm can be treated as a combination of the basic consonants. Moreover, in the method using the vowel element, the basic consonants are assigned to the number buttons one by one, so even if the sound is treated as a combination of the basic consonants, "Ottogi" as in the current 2 punishment keyboard Ambiguity (primary ambiguity due to ambiguity between full codes) occurs only when <=>"backing".("O" to "c" is a finality) However, it can also be solved by having an "index" to avoid this in case of ambiguity. As a result, when inputting the rhythm as a combination of basic consonants, the input rule can be further simplified since only the vowel is to be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The sound control can be placed on the appropriate grid as describ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For example, in Figure 1a (a), remove the horn control.In addition, the basic consonants, the vowels, the horns (e.g. ,, ㅋ, 입력) will be ente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f the button (e.g. = [1], ㅋ = [1] + [1], ㄲ = [1] + [1] + [1]). In this case too, primary ambiguity may occur, as indicat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The specific case where ambiguity occurs is not introduced here. In this case, all of the basic consonants, vowels, and warnings can be displayed on the button, or only the basic consonants can be displayed. This is to select the subsequent alphabet (e.g., ㄲ) by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Here, the method of displaying only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selecting the remaining subsequent alphabets by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is called "hidden iteration selection process" for convenience. Let's do it. Again, the suborders of the horn and the vowel may be in the order of the basic consonant, the horn and the vowel. For example, ((1st: reference grid position), ㄲ (2nd), ㅋ (3rd), and so on. That is, a = [1], ㄲ = [1] + [1], ㅋ = [1] + [1] + [1]. It can be seen that the double consonants are treated as a combination of basic consonants (or concealed repetitive selection processing) and the even sound is selected by the concealed repetitive selection processing method. Only the sub order of is different, but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naturalnes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by inputting the number button 2 (combination of the basic consonants). Entered in tarot, the relationship between "ㅇ" and "ㅎ" is simila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mal sound (basic consonant) and the rhythm in shape and pronunciation. Here, while inputting "ㅎ", it is possible to input the [0] button 3 with "ㅎ" assigned to it, and at the same time, "ㅎ" is regarded as a variant of "ㅇ". As it is possible to input by means of, it is possible to allow the input of the sound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t the same time, while allowing the user to input the 3rd (or 2) of the button to which the basic consonant belongs. If the user inputs the sound by the control method, the system can identify the sound without any ambiguity (ie, primary ambiguity) between the full codes when the sound is input, and when the user inputs the button 3 with the corresponding basic consonant, Ambiguity may also occur. This is the same for the horn, i.e., in the same keypad, the user may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the hidden repetition selection method, or the horn when the horn is input. For example, select the [2] button for the sound control and apply the input after the control. At the same time, the sound and the sound should be selected with the button 2 and 3 with the basic consonant. Khaki = [1] + [*] + [*] + [#] + [0] + [1] + [1] + [1] + [#] ". That is, the first "ㅋ" can be entered as a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the second "ㅋ" can be entered as a repetition selection method. Similarly, "scat" can be "scat = [1] + [#] + [#] + [#] + [0] + [1] + [1] + [#]". By selecting the non-hidden repetition selection processing method or the hidden repetition selection processing method, the selection order of the horn and the sound when inputting can also be set at the user's convenience. The method of utilizing the mixed application vowel elements of the method used can be seen as a simplified version of the keypad of FIG. 1A and can be compatible with alphabet input methods in an earlier application. That is, the alphabet input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applied to the keypad displayed on each button in addition to the 10 basic vowels, and furthermore, the entire vowel pad showing the basic consonants, the basic vowels, the extended vowels, the vowels, the horns, etc.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application can be applied. In the example of (a) of FIG. 1A, the horn control and the horn control are assigned to the [*] button or the [#] button. By displaying "-" or "|" as shown 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on the butt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se a method using a vowel element and a method using a pair of basic letters. For example, in FIG. 1C, eight basic vowels except for the vowels “ㅡ” and “ㅣ” that exist as the vowel elements are assigned to eight buttons among the nine buttons of [1] to [9], and the eight basic assigned This allows you to select a vowel on the button 2 stroke to which the default bar is assigned. Similarly, a control processing method or a repetitive selection processing method may be applied to the input of the beep and the horn. For example, suppose that 8 vowels excluding “ㅡ” and “ㅣ” are additionally arranged in FIG. 1C as shown in FIG. 1A, when entering the word “trail”, “trail” = [1] + [3] + [3] + [7] + [#] + [2].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 "A" vowel "ㅏ" applies a repetitive selection method, and the "Shin" vowel "ㅣ" can be input using a button in which the vowel elements are arranged. It is possible to apply different methods in the same word for vowel input, but it does not need to change the input mode. Two basic consonants (for example, // ㄹ or ㅇ / ㅎ) that have similar shapes and pronunciations among the basic consonants that are not used can be placed together and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can be applied. The ambiguities that may arise in this case can also be overcome by the following "index". Overcoming ambiguity through indexes When applying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ambiguity can occur because multiple words are represented by one code. For exampl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re is an ambiguity in which "goi" can be recognized as "go" and "go". Normally, words are entered word by word. For example, the word "very great" exists, but the word "meister" does not exist, but they all have the same code value. Therefore, the terminal prepares and registers an index for words that may cause ambiguity for a specific keypad and a specific alphabet input method on the terminal (client) or server side. When “very” or “heavy” is input, when both are not distinguished by time delay, etc., if the word “very” is registered as the correct word in the index, the word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arget word") can be seen that "very". This applies only when ambiguities are indistinguishable from the system, and it is natural to distinguish them by the time delay value defined by the system (terminal or server side system) or by the user-defined time delay value. . In other words, if the user intentionally breaks (using a time delay or a space or the right button or other specific button) and enters "the old man", even though the word is semantically wrong, the word is the target word. "The way to prepare the index can be to register only the correct words (" very bad "in the example) for words where ambiguity can occur, or just the wrong words (" bad guy "in the example). You can also register. It is also acceptable to register both the correct word and the wrong word, and the system only needs to have information about which word in the index is the correct word or the wrong word. have. For example, in the input method of Samsung Electronics in Korea, Ambiguity, such as <=> Kuka ", can be applied here as well. You can also place pairs of Jamo on each button and select one consonant, two consonants, three hombres, and one vowel. This can also be applied when the syllable completion button is pressed in letter units, even if the user enters "very", even if "temporarily" is temporarily output, the index is terminated at the end of the word (for example, by entering a space). You can modify this to "very" by referring to it. If a word index exists on both the client and server side, it will first attempt to identify the correct word by searching the index on the client side, and on the second hand if the index fails. A server-side index can be searched to ultimately identify the correct word. To distinguish between units of words, as one might think, distinguish between words. Elements can be identified, for example, between spaces and spaces, between word start and space, between spaces and input ends, between spaces and mode switching, etc. Determining the correct word by looking at the index Because it is a word unit, index references can be made and correct words can be determined when entering elements that distinguish words, which can be applied to all cases where ambiguity occurs by applying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Ambiguity can occur if the consonants belonging to the same button are the same as in Samsung's method. <=>"Kuka" is exemplified. When entering codes by alphabet, the syllable (letter) units are entered without recognition, so in many cases, unconsciously entering "country" results in "guka". In this case, too, if a time delay or the like does not determine which of the two words is the target word, the system (terminal or server) can find the target word by referring to the index. In this case, even though the finality "a" of "country" and the first "a" of "ga" are pressed in succession, in most cases the target word is "country", so the index is irrespective of time delay. The method of identifying the target word by reference can also be efficient. It is obvious that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all languages us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not limited to Korean. For example, in the English input or in the English mode of a different language keypad, the input of [2]-[2]-[2] is "AB" or "BA". If is registered in the index with the correct word, it can be recognized and provided to the target word to the user. If multiple words with ambiguity are registered in the index with the correct words,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first, and the user can finally determine the target word. If there is an ambiguity about an input, and if the words that correspond to the input are recognized as correct words even after referring to the index, then the user can be given feedback by appropriate means (visual and audio). In order to confirm the target word, a plurality of words recognized as correct words in the display window are listed in order of use (or priority order), and the user can use the number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order by scrolling up or down. Allow the user to determine the target word. Alternatively, select the control that displays only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and the next word if it is not the target word (called "next word control" for convenience) to display the next most frequently used words. If the target is not the target word, the user can continue to search for the target word by selecting the next word control again. In this case, the target word may be determined by inputting any other button (for example, inputting any button other than selection of the next word control such as selecting a different alphabet or space or mode switching) after searching for the target word. The choice of the next word control can be applied to either the "partial full selection method" or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standard / simple)" describ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If the next word control is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grid of a particular button, the next word control will be selected with that particular button 1. How to Use Move Buttons 6.1 Use of Move Buttons as Control Buttons The control buttons in which various controls are placed can be placed on any button in the 4 * 3 keypad, or on a separate button other than the 4 * 3 keypad. It was. In the first application, especially in languages with a large number of letters and a large number of modified alphabets, you may have experienced a lack of buttons for use as control buttons in a 4 * 3 keypa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inted out that the primary function of the left / up / down movement button which is not used relatively frequently in the character input mode can be used as a control button mentio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such an example. In other words, when using a separate button outside the 4 * 3 keypad as a control button in the text input mode, the up / down / left move button is used as a control button. The button is shown. The dashed [i] button is for accessing the Internet. This button may or may not be present depending on the terminal. In this case, the right shift button is used to input a space, and in Korean, it is also used as a syllable (letter) confirmation button for removing the first ambiguity. In the menu selection mode other than the text input mode, the up / down / left navigation buttons are useful as a navigation button for selecting a menu. However,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up / down / left movement buttons are not frequently used, and the up / down movement buttons are not frequently used. For convenience, the up / down / left navigation buttons are combined to be referred to as “up and down navigation buttons” or “up and down left buttons”, and the up / down navigation buttons are referred to as “up and down navigation buttons” or “up and down buttons”. The same is true when referring to only one direction of movement button. 6.2 Position of bottom of movement button First of all, this up, down, left and right buttons are usually placed above the number buttons. However, in the text input mode, it is useful to place these buttons at the bottom of the 4 * 3 keypad together with the [*] and [#] buttons, which are mainly used as control buttons, in order to use the primary functions as buttons for various alphabet input. It can be seen. (A) and (b) of FIG. 2b illustrate this.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do this, and for convenience,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rranging the move button at the bottom of the 4 * 3 keypad. Here, the 5 * 3 keypad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4 * 3 keypad with the up and down buttons. It can be seen. This means that when applying the partial partial selection method, each button can be divided into 15 grids of 3x5. Likewise, it is not necessary to arrange the up and down buttons so that the 5 * 3 keypad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b) of FIG. 2B. In this case, in applying the partial partial selection method, the 4 * 4 keypad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4 * 3 keypad and the move button. 2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ing buttons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4 * 3 keypad.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terminal, and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of the terminal can be made larger. There is an advantage. In addition, the side battery mount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presented in the applicant'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02081, 10-2000-0005671, 10-2000-0067852, 10-2001-0002137 has good characteristics. Various Use Cases as Control Buttons and Buttons for Alphabet Input In the following, an example of using a move button is giv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6.4.1 Example of use as a symbol control button In the Korean example, a sound control and a sound control are arranged on the [*] and [#] button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ound control and sound control are arranged in the [*] button, and the [#] button is arranged only in the basic vowel control and in the expansion vowel control, and in the case of the [#] button, only the expansion vowel control is arranged. In this case, the symbol control is placed on the [*] button or the [#] button, and then the beep, the beep, etc. first appear according to the input after the control button, and then the symbol is selected. The same is true for other languages, but if you separate the symbol control and place it on any of the up and down buttons, you can enter the symbol as soon as you enter it by combining the symbol control button with the symbol control button. Can be. 2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primary function of the down shift button is used as a control button for selecting a symbol control. An example of applying post-control input to a symbol group in the 0-dimensional form is dot = [3] + [v], comma = [3] + [v] + [v], colon = [3] + [v] + [v] + [v], semi-colon = [3] + [v] + [v] + [v] + [v], ... Application Cases In particular, when the vowel elements (ㅡ, ㅣ,.) Were used in the Korean example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vowel elements "." And "ㅎ" were placed together, resulting in inconvenience in typing "ㅎ". By disposing to any button of the up and down buttons, this inconvenience can be overcome. If the symbol control is placed on the down button and the vowel element "." Is on the up button, two buttons are used on the up, down, left, and right buttons. Alternatively, three Korean vowel elements may be placed on the up and down buttons. Similar to the symbol control on the button with the sound control, the Korean vowel element "." Is placed at the reference grid position of any one of the up and down buttons. In addition, the symbol control may be placed in the order close to the reference grid. 2A is an example of this. In this case, since the vowel element "." Is not used alone, the vowel element and the symbol control can be selected without ambiguity even if the vowel element and the symbol control arranged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are selected. In (a) of FIG. 2C, when the [v] button is pressed once, the vowel element "." Is selected, and when pressed twice, the symbol control 1 is selected, and the third time, the symbol control 2 is selected. Activating the help function Here, in each input mode, functions not displayed on the buttons (up / down / left / righ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liquid crystal) to add convenience. In this case, there is a drawback of consuming a portion of the liquid crystal, of course, the user who digitizes the function of each operator button does not need to be displayed while consuming the space of the liquid crystal, but it can be very helpful for users who do not. Referring to FIG. 2A, FIG. 3A is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up, down, left, and right buttons ar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4 * 3 keypad as shown in FIG. In this way, displaying a function of a button (that is, an operator assigned to the button or a symbol group associated with each button)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intention is referred to as "activating a help function" for convenience. Activation of the help function can be done for each mode (e.g. alphabet input mode, calculator mode), or for each of the required functions (e.g. the use of numeric buttons or control buttons associated with a symbol group in the alphabet input mode). Likewise,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buttons presented in the Election or the numeric buttons associated with the symbol groups can also b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when the user needs them. See (b) of FIG. 3. 3 (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number buttons associated with each symbol group are iconized and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based on the symbol group classification exemplified above. Only the first symbol selected among the symbols of the symbol group associated with each number button is added to the number button icon. How to use the delete button In using the delete button, it can be used as the "cancel final input" introduc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For example, in Figure 1c, "a" is entered, [1] + [*] is entered "ㅋ" by pressing the delete button can be reduced to "a" by canceling the last input ([*]). It is. This can be useful for entering subsequent alphabets by repeatedly pressing the control buttons. If the cancel button is pressed continuously, the known alphabet may be deleted as usual. For example, if you press the Cancel button once while entering "Kana-K", it becomes "Kana-a". If you press it again, it becomes "Kana", and if you press it again, it becomes "A-ga". If you type "aba .." in the Roman alphabet (the last "a .." is a modified alphabet consisting of ".. + a"), press the delete button once to become "aba", then press "ab" again. When pressed again, it becomes "a". That is, alphabets already formed are deleted in alphabetical units. Unified keypad application of the numeric keypad of the keyboard and the keypad in the telephone terminal and the keypad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ll fields of the telephone keyboard type, such as the numeric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standard keyboard or the keypad or door lock configured in software on the screen. It can be obvious. In addition, the numeric keypad provided on the standard keyboard is different from the arrangement of the keypad and the numeric buttons present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the arrangement on the keypad button in the prior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keypad provided in the keyboard. For example, in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phabet disposed on the [1] button is placed on the [1] button of the numeric keypad provided on the keyboard, and in the same manner below, alphabet input, utilization of simple codes, and memorization of various codes. However, to reduce confusion and add ease of use, the numeric keypad of the telephone keypad can be used to configure the numeric keypad of the keyboard. That is, in the arrangement of numbers on the numeric keypad of the keyboard, the buttons [1], [2], and [3] are placed on the buttons in the first row as in the keypad of the telephone, and the buttons [4], [5] on the buttons in the second row. , [6] button, and three rows of buttons [7], [8], [9] button. In addition, you can have the [*] and [#] buttons as on the keypad of the 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을 통해서 키패드에서 알파벳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각종 기호를 (은닉형) 컨트롤처리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한국어 자모를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자음중 어느 하나의 자음 입력은 모음키를 활용하여 입력함으로써 키패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enter the alphabet on the keypad. In addition to allowing various symbols to be input by a (hidden) control processing method, in particular, when entering a Korean alphabet, the consonant input of any of the Korean consonants is performed using a vowel key to more efficiently use the keypad. It becomes possi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1a과 도 1c,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키패드의 다양한 버튼 상태를 나타낸 도면.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위한 흐름도.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키패드의 버튼 상태를 액정에 나타낸 도면.1A and 1C, and FIGS. 2A to 2C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button states of a keypad for explaining an alphabet in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in th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n alphabet input in th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s a program.

Claims (33)

키패드를 통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inputting Hangul through the keypad, 상기 한글 자음중 입력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자음의 입력은, 미리 약정되어 대응되는 자음의 입력과 동일 모음키의 2번 이상 눌러짐의 조합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The input of any one of the consonants to be input among the Hangul consonants is input in a combination of a predetermined consonant input and pressing twice or more of the same vowel key. 제1항에 있어서, 조합되는 모음키가 후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에서의 한글입력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bined vowel keys are input later. 제1항에 있어서, 조합되는 모음키가 선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에서의 한글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owel key to be combined is pre-input.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음중 입력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자음은 경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ny one of the Hangul consonants to be input is a consonant sound.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음중 입력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자음은 격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ny one of the Hangul consonants to be input is a vowel sound.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키는 천(ㆍ), 지(━), 인(┃)으로 알려진 한국어 모음요소(ㅡ, ㅣ, .)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The Korean vowe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vowel key uses a Korean vowel element (ㅡ, ㅣ,.), Known as cloth (·), ji (━), or phosphorus (┃). Input method. 제6항에 있어서, 모음키 선택은 상기 한국어 모음요소(ㅡ, ㅣ,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vowel key selection is one of the Korean vowel elements (ㅡ, ㅣ,.).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1-0003644A 2000-01-17 2001-01-17 Input method for Korean consonant and vowel KR1005170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644A KR100517029B1 (en) 2000-01-17 2001-01-17 Input method for Korean consonant and vowel
JP2002553798A JP4262981B2 (en) 2000-12-26 2001-12-26 Keypad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PCT/KR2001/002267 WO2002052816A1 (en) 2000-12-26 2001-12-2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on key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2082 2000-01-17
KR1020000002082 2000-01-17
KR20000004759 2000-01-31
KR1020000004759 2000-01-31
KR20000053287 2000-09-08
KR1020000053287 2000-09-08
KR20000055036 2000-09-19
KR1020000055036 2000-09-19
KR20000061105 2000-10-17
KR1020000061105 2000-10-17
KR1020000070580 2000-11-24
KR20000070580 2000-11-24
KR1020000071128 2000-11-28
KR20000071128 2000-11-28
KR20000071757 2000-11-29
KR1020000071757 2000-11-29
KR1020000081475 2000-12-26
KR20000081475 2000-12-26
KR1020010000105 2001-01-03
KR20010000105 2001-01-03
KR1020010000464 2001-01-04
KR20010000464 2001-01-04
KR1020010000878 2001-01-06
KR20010000878 2001-01-06
KR1020010000891 2001-01-08
KR20010000891 2001-01-08
KR20010002528 2001-01-17
KR10-2001-0003644A KR100517029B1 (en) 2000-01-17 2001-01-17 Input method for Korean consonant and vowel
KR1020010002528 2001-01-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885A Division KR100655720B1 (en) 2005-04-04 2005-04-04 Alphabet input apparatus in a keypad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120A KR20010083120A (en) 2001-08-31
KR100517029B1 true KR100517029B1 (en) 2005-09-26

Family

ID=2758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644A KR100517029B1 (en) 2000-01-17 2001-01-17 Input method for Korean consonant and vow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0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973B1 (en) 2003-08-20 2012-05-02 김민겸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from keypa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9914B2 (en) * 2001-06-27 2004-10-05 Timespace System Co., Ltd. Arabic-persian alphabeth input apparatus
US7002491B2 (en) * 2002-05-02 2006-02-2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far east languages
KR101377892B1 (en) * 2003-01-22 2014-03-27 김민겸 Korean input method on the keypad that processes a part of a word or phrase as a full input method or a short input method, respectively
KR101531540B1 (en) * 2014-03-17 2015-06-25 이선규 Alphabet inputting system
KR102122611B1 (en) * 2018-11-12 2020-06-12 김민겸 Korean input method on the keypad processed in a cyclic and non-cyclic manner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consonant and the final consona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1661A (en) * 1997-03-06 1997-06-26 이종수 How to input Korean characters on the phone
KR19980014350U (en) * 1998-03-04 1998-06-05 최병규 New Hangul Input Method of Telephone II
KR19990036989A (en) * 1997-10-10 1999-05-25 모토로라, 인크 Communication device and keypad for optimization of character input
KR100226206B1 (en) * 1996-09-18 1999-10-15 조관현 Compact hangul keyboard
KR19990081180A (en) * 1998-04-27 1999-11-15 김경덕 Character input keypad
KR20000050433A (en) * 1999-01-08 2000-08-05 박성찬 Telephone keypad and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the same
KR20010020973A (en) * 1999-06-09 2001-03-15 김민겸 Alphabet input device and method in small keypa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206B1 (en) * 1996-09-18 1999-10-15 조관현 Compact hangul keyboard
KR970031661A (en) * 1997-03-06 1997-06-26 이종수 How to input Korean characters on the phone
KR19990036989A (en) * 1997-10-10 1999-05-25 모토로라, 인크 Communication device and keypad for optimization of character input
KR19980014350U (en) * 1998-03-04 1998-06-05 최병규 New Hangul Input Method of Telephone II
KR19990081180A (en) * 1998-04-27 1999-11-15 김경덕 Character input keypad
KR20000050433A (en) * 1999-01-08 2000-08-05 박성찬 Telephone keypad and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the same
KR20010020973A (en) * 1999-06-09 2001-03-15 김민겸 Alphabet input device and method in small keyp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973B1 (en) 2003-08-20 2012-05-02 김민겸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from key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120A (en) 200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553B1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with 3x4 keypads
KR100517029B1 (en) Input method for Korean consonant and vowel
KR20030049443A (en) Apparatus for inputting Hangeul i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0789506B1 (en) Alphabet input device and method in small keypad
KR100655720B1 (en) Alphabet input apparatus in a keypad and method thereof
JP2004523030A (en) Keypad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keypad
KR100661457B1 (en) Alphabet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KR100627964B1 (en) CrossDial Keypad for inputting letter
KR100625357B1 (en) Alphabet input apparatus in a keypad and method thereof
KR100680579B1 (en) Alphabet input apparatus in a keypad and method thereof
KR1009464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roman alphabet characters including chinese pinyin
KR20030008254A (en) Alphabet input device and method in keypad
KR200300133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KR200419298Y1 (en) Alphabet input apparatus in a keypad and method thereof
KR100848727B1 (en) Alphabet input apparatus in a keypad and method thereof
KR20070036116A (en) Alphabet input apparatus in a keypad and method thereof
KR20210025028A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mathematical operators on a keypad
KR20200015436A (en) Mathematical operator input method and keypad thereof
KR20130081518A (en) Multi-language text input device with word processing function on touch screen panel
KR20090036110A (en) Mathematical operator input method and keypad thereof
KR201800113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mathematical operators on a keypad
KR20010091182A (en) Character Input Method By Small Number of User Input Interface
KR20020012824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wo conversion buttons
KR20070062490A (en) Alphabet input apparatus in a keypad and method thereof
KR201600365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mathematical operators on a key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