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652B1 -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652B1
KR100516652B1 KR10-2003-0076383A KR20030076383A KR100516652B1 KR 100516652 B1 KR100516652 B1 KR 100516652B1 KR 20030076383 A KR20030076383 A KR 20030076383A KR 100516652 B1 KR100516652 B1 KR 100516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hydrogen
fuel tank
wat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1265A (ko
Inventor
박정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65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산소와 수소와의 반응부산물로 배출되는 물을 적어도 2개의 구획된 공간을 갖는 연료탱크의 어느 한 공간으로 냉각, 회수하여 연료탱크 교체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는 기존의 연료전지 시스템을 변형시키지 않고도 소모품인 연료탱크의 구조를 단순 변형시킴으로써 전기화학 반응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수분을 간단하게 제거하여 휴대용 기기를 보호하고 화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 제거방법 {Portable non-humidified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nd method for removing water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의 소모품인 연료탱크의 구조를 단순 변형시킴으로써 전기화학 반응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수분을 연료탱크의 교체시 간단하게 제거하여 휴대용 기기를 보호하고 화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연료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직접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통상 전해질을 사이에 두고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으로 된 한 쌍의 전극을 배치하고, 그 중 양극(산화전극 또는 연료극)에는 수소 또는 수소를 함유하는 연료가스를 접촉시키는 반면, 다른 한 쪽의 음극(환원전극 또는 공기극)에는 산소를 함유하는 산화가스를 접촉시키고, 이 과정에서 이온화된 연료가스와 산화가스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을 함께 얻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솔린이나 여타의 탄화수소(LNG, LPG, CH3OH 등) 계열의 연료가 채워져 있는 연료탱크가 구비된 연료공급부(10)와, 산소가스 공급원으로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20)와, 상기 연료공급부(10)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연료로부터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개질가스를 만들어 내는 개질부(30)와, 상기 개질부(30)로부터 생성된 일산화탄소를 시프트 반응을 통해서 감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성부를 포함하는 일산화탄소 제거수단(40)과,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수단(40)으로부터 배출되는 개질가스를 상기 공기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가스와 반응시켜 전기와 열이 함께 발생되는 연료전지 스택(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개략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료공급부(10)의 연료탱크로부터 가솔린이나 탄화수소(CH) 계열의 연료가 개질부(30)의 반응로로 유입되고 나면, 그 반응로에 채워진 연료에 수증기 및 산소가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개질부(30)내의 버너가 동작하여 개질반응이 진행되고, 이 개질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개질가스 중의 일산화탄소가 후단의 일산화탄소 제거수단(40)을 통해서 감소되어 연료전지 스택(50)의 연료극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다른 한 쪽의 공기극으로는 공기공급부(20)로부터 산소가 공급되어 상기 연료극에서는 산화반응이, 공기극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전자가 연료극에서 공기극으로 이동하면서 전기와 열이 발생되고 이 전기는 전력변환기(도시되지 않음)를 거치면서 교류전기로 전환되어 각종 전기제품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대부분의 연료전지는 연료로서 수소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그러나, 현재는 개질가스의 기본적 시설이 준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전시스템은 연료전지뿐만 아니라, 천연가스 또는 LPG와 같은 탄화수소 성분, 메탄올과 같은 알코올, 또는 나프타(naphtha) 성분과 같은 원료와 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수소를 함유하는 개질가스를 생성하는 개질부가 제공된 수소생성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개질부에 의해 생성된 개질가스 중에는 수소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가 부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고분자형 전기 연료전지는 100℃ 이하의 저온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전지 전극 촉매의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개질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수소생성장치는 개질가스를 생성하는 개질부뿐만 아니라 일산화탄소와 물을 시프트 반응시키는 변성부 및 일산화탄소를 산화시키는 정화부로 구성된 일산화탄소 제거수단을 사용하는 구성을 갖는다.
수소생성장치의 효율은 개질부를 개질반응에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열량이 증가할수록 저하된다.
수소생성장치에서는 탄화수소와 같은 원료와 수증기를 반응시킨다. 그러나, 물은 증발 잠열(evaporative latent heat)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개질부는 물을 증발시키기 위해 다량의 열량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수소생성장치의 효율을 일정값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반면, 시프트 반응은 발열평형반응이기 때문에 개질부의 하류 측에 위치되어 시프트 반응을 실행하는 변성부에서는 저온에서 개질가스에 대한 수증기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일산화탄소를 더욱 쉽게 감소시키고, 반응에 필요한 공기 공급량은 변성부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정화부에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수소의 소비가 억제될 수 있고, 안정한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수증기의 양을 증가시키고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시프트 반응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촉매량을 감소시켜 변성부를 더욱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변성부 내의 수증기는 개질부에 의해 얻어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수증기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증발 잠열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질부의 가열에 필요한 열량이 증가하고, 변성부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변성부를 소형화하기 위해 개질부 내의 수증기의 양을 증가시키면 개질부의 효율저하를 초래한다.
한편, 이로부터 개질된 수소와 산소의 반응량에 비례하여 필연적으로 수분이 발생하며, 멤브레인의 종류에 따라 미차가 있지만 셀의 작동온도는 80℃ 이상이므로 발생하는 수분의 온도는 높다. 특히, 무가습 멤브레인의 경우 이러한 수분을 멤브레인 가습에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연료전지를 노트북 등의 휴대용 기기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기화학 반응의 부산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수분이 주변 기기를 웨팅시키거나 또는 인체에 고온도에 기인한 불쾌감 및 화상 등의 상해를 입힐 수 있으므로 이러한 수분을 처리하는 방법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산소와 수소와의 반응부산물로 배출되는 물을 적어도 2개의 구획된 공간을 갖는 연료탱크의 어느 한 공간으로 냉각, 회수하여 연료탱크의 교체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화학 반응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수분을 간단하게 제거하여 휴대용 기기에 적용시 주변 기기를 보호하고 화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의 전기화학 반응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수분을 간단하게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는:
수소가스 공급원으로서 수소함유 화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부;
산소가스 공급원으로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
상기 연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수소함유 화합물과 물을 반응시켜 적어도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개질가스를 생성시키기 위한 개질부;
상기 개질부에서 생성된 개질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를 시프트 반응을 통해서 감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성부를 포함하는 일산화탄소 제거수단;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개질가스를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산소가스와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 및 물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료전지 스택;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냉각하여 상기 연료공급부로 회수하기 위한 냉각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연료공급부는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어 회수되는 물을 각각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구획된 공간을 갖는 연료탱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의 수분 제거방법은:
연료탱크로부터 수소가스 공급원으로서 수소함유 화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산소가스 공급원으로서 공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을 물과 반응시켜 적어도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개질가스를 생성시키는 개질단계;
상기 개질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개질가스 중의 일산화탄소를 시프트 반응을 통해서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변성단계를 갖는 일산화탄소 제거단계;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단계에서 배출되는 개질가스 및 상기 공기로부터 공급되는 산소가스를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 및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 및 물을 발생시키는 전력생산단계; 및
상기 전력생산단계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물을 냉각하여 상기 연료탱크내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어 회수되는 물은 적어도 2개의 구획된 공간을 갖는 연료탱크의 어느 하나의 공간에 각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연료전지 시스템을 변형시키지 않고도 소모품인 연료탱크의 구조를 단순 변형시킴으로써 전기화학 반응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수분을 간단하게 제거하여 휴대용 기기를 보호하고 화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 제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의 구성도를 도 2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는 수소가스 공급원으로서 수소함유 화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부(100)와, 산소가스 공급원으로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200)와, 상기 연료공급부(100)에서 공급된 수소함유 화합물과 물을 반응시켜 적어도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개질가스를 생성시키기 위한 개질부(300)와, 상기 개질부(300)에서 생성된 개질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를 시프트 반응을 통해서 감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성부(401)를 포함하는 일산화탄소 제거수단(400)과,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수단(400)으로부터 배출되는 개질가스를 상기 공기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산소가스와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 및 물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료전지 스택(500)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5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냉각하여 상기 연료공급부(100)로 회수하기 위한 냉각수단(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공급부(100)는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500)으로부터 배출되어 회수되는 물을 각각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구획된 공간을 갖는 연료탱크(101)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탱크(101)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통상의 소모된 연료를 보충시키기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회수된 물을 제거 및 폐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의 구성도를 도 3 및 도 5에 각각 나타내었다. 또한, 각 실시예의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내의 연료탱크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 4 및 도 6에 각각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탱크(101)는 내부에 가요성(flexible) 용기(101a)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가요성 용기(101a)내에는 수소함유 화합물, 예를 들어 메탄올이 저장되고, 상기 가요성 용기(101a)와 상기 연료탱크(101)의 계면 사이(101b)에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500)으로부터 회수된 물이 저장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이때, 상기 가요성 용기(101a)의 재질로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 모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탱크(101)는 격막(101e)으로 분리된 2개의 구획된 공간(101c 및 101d)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공간 중 하나(101c)에는 수소함유 화합물, 예를 들어 메탄올이 저장되고, 다른 하나(101d)에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500)으로부터 회수된 물이 저장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때, 상기 연료탱크(101)의 격막(101c)의 재질로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 모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소함유 화합물은 에탄올, 메탄올, 디메틸에테르, 프로판 및 천연가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개략적인 과정을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연료공급부(100)의 연료탱크(101)로부터 연료인 수소함유 화합물이 연료 펌프(102)를 거쳐 예열기(103)에서 가열된 후 개질부(300)의 스팀 개질기(301)로 유입된다.
상기 스팀 개질기(301)에 채워진 연료에 수증기 및 산소가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개질부(300)내의 버너(도시되지 않음)가 동작하여 개질반응이 진행되고, 이 개질반응을 통해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개질가스가 생성된다.
이로부터 생성된 개질가스 중에 존재하는 일산화탄소는 후단의 일산화탄소 제거수단(400)을 통과하면서 감소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개질부(300)에서 배출되는 개질가스는 일산화탄소와 물을 시프트 반응시키는 변성부(401)와, 공기 펌프(403)를 통해서 공급된 산소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산화시키는 정화부(402)로 구성된 일산화탄소 제거수단(400)을 통과하면서 일산화탄소의 양이 저감된다.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수단(400)으로부터 배출되는 개질가스는 연료전지 스택(500)의 연료극으로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다른 한 쪽의 공기극으로는 공기공급부(200)의 공기 펌프(201)로부터 산소가 공급되어 연료극에서는 산화반응이, 공기극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전자가 연료극에서 공기극으로 이동하면서 전자 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생산된다.
한편, 상기 연료전지 스택(500)에서는 수소와 산소의 반응량에 비례하여 전기화학 반응의 부산물로서 수분이 발생하며, 멤브레인의 종류에 따라 미차가 있지만 셀의 작동온도는 약 80℃ 이상이므로 발생하는 수분의 온도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분을 냉각 수단(600)을 이용하여 처리하여 연료탱크(101)내의 특정 부위로 회수한다.
상기 냉각 수단(600)으로는 예를 들어, 파이프를 길게 연결하는 방법, 냉각핀과 같은 냉각용 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 팬을 이용하는 방법 및 냉매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냉각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탱크(1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로 사용되는 수소함유 화합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외에도 상기 연료전지 스택(500)으로부터 배출되어 회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구획된 공간을 가져 여기에 상기 스택(500)으로부터 회수되는 수분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탱크(101) 내에 구비된 가요성 용기(101a)는 수소함유 화합물이 저장되며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이 전기화학 반응의 연료로 소모됨에 따라 상기 가요성 용기(101a)의 부피는 점점 줄어들고, 상기 가요성 용기(101a)와 상기 연료탱크(101)의 계면 사이(101b)에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500)으로부터 배출되어 냉각수단(600)을 통해서 냉각된 물이 회수되어 차오른다(도 3 및 도 4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가용성 용기(101a)의 재질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연료탱크(101)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연료가 다 소모되면 이의 반대급부로 회수된 물이 차게 되며, 이러한 연료탱크(101)를 교체하여 폐기처분함으로써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도 전기화학 반응으로부터 부산물로 생성되는 물을 계(system) 외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탱크(101)는 연료로서 사용되는 수소함유 화합물이 저장되는 공간(101c)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500)으로부터 배출되어 냉각수단(600)을 통해서 냉각된 물이 회수되어 저장되는 공간(101d)이 격막(101e)을 사이에 두고 분리, 배치되어 전기화학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서 상기 공간(101c)에 저장된 수소함유 화합물은 연료로 소모되면서 그 부피가 감소하고, 대신 그 반대 공간(101d)에 상기 화학 반응의 부산물인 물이 충진된다(도 5 및 도 6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연료탱크 격막(101e)의 재질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101)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연료가 다 소모되면 이의 반대급부로 회수된 물이 차게 되며, 이러한 연료탱크(101)를 교체하여 폐기처분함으로써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도 전기화학 반응으로부터 부산물로 생성되는 물을 계 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산소와 수소와의 반응부산물로 배출되는 물을 기존의 연료전지 시스템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적어도 2개의 구획된 공간을 갖는 연료탱크의 어느 한 공간으로 냉각, 회수함으로써 연료탱크 교체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료탱크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통상의 소모된 연료를 보충시키기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회수된 물을 제거 및 폐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를 노트북, 핸드폰 등 휴대기기에 사용할 경우, 전기화학 반응의 부산물로서 휴대용 기기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수분이 주변 기기를 웨팅시키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고온의 수분에 의해 인체에 미치는 불쾌감 및 상해 등의 위험성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는 기존의 연료전지 시스템을 변형시키지 않고도 소모품인 연료탱크의 구조를 단순 변형시킴으로써 전기화학 반응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수분을 연료탱크의 교체시 간단하게 제거하여 휴대용 기기를 보호하고 화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의 적용상에 있어서 수분처리 문제로 상당한 제한을 받았던 난점을 해결하여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의 개발 단계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화학반응이 수반되는 전자기기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하는데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내의 연료탱크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내의 연료탱크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연료공급부 20, 200: 공기공급부
30, 300: 개질부 40, 400: 일산화탄소 제거수단
50, 500: 연료전지 스택 600: 냉각수단
101: 연료탱크 101a: 가요성 용기
101b: 물 저장 공간 101c: 연료 저장 공간
101d: 물 저장 공간 101e: 격막
102: 연료 펌프 103: 예열기
201: 공기 펌프 301: 개질기
401: 변성부 402: 정화부
403: 공기 펌프

Claims (10)

  1. 수소가스 공급원으로서 수소함유 화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부;
    산소가스 공급원으로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
    상기 연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수소함유 화합물과 물을 반응시켜 적어도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개질가스를 생성시키기 위한 개질부;
    상기 개질부에서 생성된 개질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를 시프트 반응을 통해서 감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성부를 포함하는 일산화탄소 제거수단;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개질가스를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산소가스와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 및 물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료전지 스택;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냉각하여 상기 연료공급부로 회수하기 위한 냉각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연료공급부는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어 회수되는 물을 각각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구획된 공간을 갖는 연료탱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내부에 가요성(flexible) 용기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가요성 용기내에는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이 저장되고, 상기 가요성 용기와 상기 연료탱크의 계면 사이에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회수된 물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격막으로 분리되어 2개의 구획된 공간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공간 중 하나에는 수소함유 화합물이 저장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회수된 물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은 에탄올, 메탄올, 디메틸에테르, 프로판 및 천연가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6. 연료탱크로부터 수소가스 공급원으로서 수소함유 화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산소가스 공급원으로서 공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을 물과 반응시켜 적어도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개질가스를 생성시키는 개질단계;
    상기 개질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개질가스 중의 일산화탄소를 시프트 반응을 통해서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변성단계를 갖는 일산화탄소 제거단계;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단계에서 배출되는 개질가스 및 상기 공기로부터 공급되는 산소가스를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 및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 및 물을 발생시키는 전력생산단계; 및
    상기 전력생산단계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물을 냉각하여 상기 연료탱크내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어 회수되는 물은 적어도 2개의 구획된 공간을 갖는 연료탱크의 어느 하나의 공간에 각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의 수분 제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내부에 가요성 용기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은 상기 가요성 용기내에 저장되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회수된 물은 상기 가요성 용기와 상기 연료탱크의 계면 사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의 수분 제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격막으로 분리되어 2개의 구획된 공간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은 상기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되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회수된 물은 다른 하나의 공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의 수분 제거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의 수분 제거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함유 화합물은 에탄올, 메탄올, 디메틸에테르, 프로판 및 천연가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의 수분 제거방법.
KR10-2003-0076383A 2003-10-30 2003-10-30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제거방법 KR100516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383A KR100516652B1 (ko) 2003-10-30 2003-10-30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383A KR100516652B1 (ko) 2003-10-30 2003-10-30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265A KR20050041265A (ko) 2005-05-04
KR100516652B1 true KR100516652B1 (ko) 2005-09-22

Family

ID=3724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383A KR100516652B1 (ko) 2003-10-30 2003-10-30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6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30B1 (ko) 2006-01-16 2008-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휴대용 직접 액체 연료전지 장치
KR100858166B1 (ko) 2006-03-30 2008-09-1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발전모듈, 시스템, 발전모듈의 제어부 및 발전모듈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881B1 (ko) * 2004-11-26 2006-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체연료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직접액체연료 전지
JP2011520055A (ja) * 2008-04-11 2011-07-1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燃焼器部品及び製造方法
US7662501B2 (en) * 2008-06-30 2010-02-16 Intel Corporation Transpiration cooling and fuel cell for ultra mobile applic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30B1 (ko) 2006-01-16 2008-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휴대용 직접 액체 연료전지 장치
KR100858166B1 (ko) 2006-03-30 2008-09-1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발전모듈, 시스템, 발전모듈의 제어부 및 발전모듈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265A (ko) 200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838B1 (ko)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JP2006031989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による発電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7191382A (ja) 移動可能な熱源を有する燃料改質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992123B1 (ko) 엔진과 함께 rep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JP467693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始動方法
JP200823486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516652B1 (ko)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및 이의 수분제거방법
JP2005310783A (ja) 燃料処理装置,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駆動方法
JP2003272691A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および燃料電池発電装置の運転方法
JP2005063697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JP4403230B2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の運転方法
KR101367807B1 (ko) 연료전지의 연료처리장치
JP2000281311A (ja) 燃料電池用改質装置
KR102583704B1 (ko) Rep를 갖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사용한 수소 생성
JP3789706B2 (ja) Co変成ユニットおよ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3837662B2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および燃料電池発電装置の運転方法
JP5066470B2 (ja) 改質原料供給装置及びその供給装置を備える燃料電池システム
JP4479361B2 (ja) ハイブリッド型燃料電池発電装置
KR100516651B1 (ko) 향기나는 휴대용 무가습 수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JP4161264B2 (ja) 燃料電池発電装置
JP2005071740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とその運転方法
JP2003132919A (ja) 燃料電池発電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126209B1 (ko) 개질기용 미반응 연료 회수장치를 갖는 연료 전지 시스템
JP2004192952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2003288933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