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482B1 -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및 그 음탐방법 - Google Patents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및 그 음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482B1
KR100516482B1 KR10-2002-0038062A KR20020038062A KR100516482B1 KR 100516482 B1 KR100516482 B1 KR 100516482B1 KR 20020038062 A KR20020038062 A KR 20020038062A KR 100516482 B1 KR100516482 B1 KR 100516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ctor
personal computer
server
trainee
sub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582A (ko
Inventor
이훈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텍
Priority to KR10-2002-0038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482B1/ko
Publication of KR2002006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관이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하여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를 가변시키면서 서버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이들 신호가 분배기에서 공유기로 출력되어 프로젝터에 의해 다수의 훈련생이 볼 수 있도록 스크린에 표출됨과 동시에, 분배기에서 허브를 경유하여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에 출력함으로서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에 출력되고,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의 서버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제1 내지 제n 분배기를 통해 제2 음탐기에 출력되며, 제2 음탐기에서 음탐된 음파신호를 제2분배기에서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 및 공유기에 분배되어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및 공유기를 경유하여 프로젝터의 작동에 의해 스크린에 표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교관의 음성 교육내용 및 훈련생이 교관(또는 통제실)에게 보고한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종류 및 침로, 방향, 속도 등의 정보를 마이크를 통해 음성으로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육지에서 다수의 음탐 전문가를 단기간에 훈련시킬 수 있고, 육지에서 음탐교육을 시킬 수 있으므로, 음탐 전문가의 교육 훈련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및 그 음탐방법{SONAR SYSTEM FOR SIMULATOR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및 그 음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관 및 훈련생이 직접 군함 등에 승선하지 않고, 육지에서 교관이 제공하는 각종 음향을 수신해서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 등의 종류, 크기, 위치, 진행방향 및 진행속도를 판독할 수 있는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및 그 음탐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음탐전문가를 육성할려면 교관과 음탐 훈련생이 직접 군함에 승선하여 교관의 지시에 따라 군함(항공모함 및 군함 포함)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파를 음파 탐지기에 의해 수신하면서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 등의 종류, 크기, 위치, 진행방향 및 진행속도를 판독해서 교관에게 보고하고, 잘못 판독된 음파에 대해 교관으로 부터 지적받으면서 음탐 교육을 받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음탐 교육방법은 실제적으로 교관과 음탐 훈련생이 직접 군함에 승선하여 바다의 특정위치에서 교관으로 부터 음탐 훈련을 교육받아야 하므로, 군함 운영 요원을 비롯하여 대체로 50여명이 군함에 승선하여야 하므로, 음탐 훈련에 소요되는 훈련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군함이 음탐 교육에 동원되어 해상, 대공 경계 근무를 할 수 없으며, 군함 1척당 음탐장치가 1대 밖에 없으므로, 다수의 음탐 훈련생을 단기간에 훈련시킬 수 없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육지에서 다수의 음탐 전문가를 단기간에 훈련시킬 수 있는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및 그 음탐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탐 전문가의 교육 훈련비를 절감할 수 있는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및 그 음탐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구성 요소에 동작 전압을 공급하는 자동 전압조절기와, 상기 자동 전압조절기로 부터 동작 전압을 받아 서버의 메모리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교관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와,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 영상신호를 교관용 제1 모니터에 표출시킴과 동시에, 교관의 제어명령을 받아서 출력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각각 받아서 출력하는 다수의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와, 상기 분배기와 다수의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기와 다수의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인터페이스하는 허브와, 상기 다수의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각각 받아서 분배하는 제1 내지 제n 분배기와, 상기 자동 전압조절기로 부터 동작 전압을 받음과 동시에, 상기 제1 내지 제n 분배기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음파를 받아서 특정 물체(예를 들면,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로 분류해서 모니터에 표출하는 제1 내지 제n 음탐기와, 상기 제1 내지 제n 음탐기에 의해 분류된 다수의 특정 물체들의 영상신호를 제1 내지 제n 분배기를 통해 받아 하나 또는 2개의 영상신호를 선택해서 출력하는 공유기와, 상기 공유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교관이 볼 수 있도록 표출하는 교관용 제2 모니터와, 상기 공유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받아서 다수의 훈련생이 볼 수 있도록 스크린에 표출시키는 프로젝터와,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음파 영상신호 및 상기 교관용 제2 모니터에 표출되는 각종 신호를 문자 또는 도형으로 프린트하는 텔레 타이프 라이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의 훈련용 음탐방법은 교관이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하여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음파를 가변시키면서 서버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음파입력스텝과, 상기 음파입력스텝에서 입력된 음파에 따라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및 스크린에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를 나타내는 그림이 원점(시스템)을 중심으로 해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져가는 화면이 표출되는 화면 표출스텝과, 상기 화면 표출스텝에서 표출된 화면을 보면서 훈련생이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하여 잠수함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잠수함 판별스텝과, 잠수함 판별스텝에서 잠수함이라고 판별하였을 경우, 소형 잠수함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소형 잠수함 판별스텝과, 상기 소형잠수함 판별스텝에서 소형잠수함이라고 판별하였을 경우 소형잠수함의 침로, 방향, 속도를 판독하여 훈련생이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하거나 또는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의 마이크에 음성으로 보고하는 소형 잠수함 정보출력스텝과, 상기 소형잠수함 정보출력스텝에서 정보를 출력한 다음에, 소형 잠수함이 유효 사격거리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유효사격거리 판별스텝과, 상기 유효사격거리 판별스텝의 판별 결과 잠수함이 유효사격거리 내에 있을 경우, 잠수함에서 어뢰를 발사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어뢰발사 판별스텝과, 상기 어뢰발사 판별스텝의 판별 결과 잠수함에서 어뢰를 발사하였을 경우 잠수함에서 어뢰를 발사하였음을 교관(통제실)에게 보고하는 어뢰발사 보고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은 각 구성 요소에 동작 전압을 공급하는 자동 전압조절기(10)와, 상기 자동 전압조절기(10)로 부터 동작 전압을 받아 서버(21)의 메모리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교관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와,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 영상신호를 교관용 제1 모니터(22)에 표출시킴과 동시에, 교관의 제어명령을 받아서 출력하는 분배기(30)와, 상기 분배기(30)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허브(50)를 통해 각각 받아서 출력하는 다수의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와, 상기 다수의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각각 받아서 분배하는 제1 내지 제n 분배기(60,60,ㆍㆍㆍ60)와, 상기 자동 전압조절기(10)로 부터 동작 전압을 받음과 동시에, 상기 제1 내지 제n 분배기(60,60,ㆍㆍㆍ60)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받아서 특정 물체(예를 들면,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 등)로 분류해서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에 표출하는 제1 내지 제n 음탐기(70,70,ㆍㆍㆍ70)와, 상기 제1 내지 제n 음탐기(70,70,ㆍㆍㆍ70)에 의해 분류된 다수의 특정 물체들의 영상신호를 제1 내지 제n 분배기(60,60,ㆍㆍㆍ60)를 통해 받아 하나 또는 2개의 영상신호를 선택해서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에 출력하는 공유기(80)와, 상기 공유기(8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교관이 볼 수 있도록 표출하는 교관용 제2 모니터(120)와, 상기 공유기(8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받아서 다수의 훈련생(122)이 볼 수 있도록 스크린(100)에 표출시키는 프로젝터(110)와,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 영상신호 및 상기 교관용 제2 모니터(120)에 표출되는 각종 신호를 문자 또는 도형으로 프린트하는 텔레 타이프 라이터(1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는 메모리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가 저장되는 서버(21)와, 상기 서버(2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출하는 교관용 제1 모니터(22)와, 상기 서버(21)에 교관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23)와, 상기 서버(21)에 교관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마우스(24)와, 상기 서버(21)에 교관의 음성명령을 입력하는 마이크(25)와, 상기 공유기(80)에서 교관용 제2 모니터(120)에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상기 서버(21)에서 받아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는 상기 분배기(30)에서 허브(50)를 경유하여 들어오는 영상제어신호를 받는 서버(41)와, 상기 서버(41)에 입력된 영상제어신호를 영상으로 표출하는 모니터(42)와, 상기 서버(41)에 훈련생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43)와, 상기 서버(41)에 훈련생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마우스(44)와, 상기 서버(41)에 훈련생의 음성보고를 입력하는 마이크(45)와, 상기 서버(41)에 입력된 훈련생의 보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4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유기(80)는 상기 분배기(30) 및 상기 제1 내지 제n 분배기(60,60,ㆍㆍㆍ60)로 부터 영상신호를 받아서 상기 교관용 제2 모니터(120) 및 프로젝터(110)에 각각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5 : 2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분배기(30)는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의 서버(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허브(50)를 경유하여 상기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서버(41)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공유기(80)에 분배하도록 1 : 2 분배기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전원스위치를 스위칭 온하여 각 구성 요소, 예를 들면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 제1 내지 제n 음탐기(70,70,ㆍㆍㆍ70), 프로젝터(110) 및 텔레타이프 라이터(130) 등에 자동 전압조정기(10)에서 동작전압을 인가하고 나서, 각각의 구성요소에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스위칭 온하여 전원을 인가한다.
다음에,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의 키보드(23) 및 마우스(24)를 사용하여 상기 서버(21)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 가변시키면서 서버(21)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의 서버(21)에서 분배기(30)에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에 대한 영상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분배기(30)에서 공유기(80)에 영상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공유기(80)에 입력된 영상제어신호는 프로젝터(110)에 출력되어 다수의 훈련생들이 볼 수 있도록 프로젝터(110)에 의해 영상이 출력되어 스크린(100)에 표출됨과 동시에, 상기 공유기(80)에 입력된 영상제어신호는 교관용 제2 모니터(120)에도 출력되어 교관이 입력한 영상제어신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하며, 또한 교관이 훈련생들에게 제2 모니터(120)를 보면서 마이크(25)로 설명을 하면서 음탐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의 서버(21)에서 분배기(30)에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에 대한 영상신호는 허브(50) 및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서버(41)에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25)를 통해 입력되는 교관의 음성 제어명령 및 설명은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의 서버(21), 분배기(30), 허브(50) 및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서버(41)를 통해서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스피커(46)에서 음성으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서버(41)에 입력된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에 대한 영상신호는 훈련생이 자신의 퍼스널 컴퓨터(40)의 키보드(43) 및 마우스(44)를 조작하여 제1 내지 제 n 분배기(60)에 각각 출력되며, 상기 제1 내지 제n 분배기(60)에서 제1 내지 제n 음탐기(70,70ㆍㆍㆍ)로 출력하여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분석함과 동시에, 이들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크기, 위치, 진행방향 및 진행속도를 판독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n 음탐기(70,70ㆍㆍㆍ)를 조작하는 훈련생은 상기 제1 내지 제n 음탐기(70,70ㆍㆍㆍ)에서 판독된 신호를 자신의 퍼스널 컴퓨터(40)의 모니터(42)에서 보고, 키보드(43), 마우스(44)를 조작하여 판독된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종류, 크기, 위치, 진행방향 및 진행속도를 입력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마이크(45)에 음성으로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n 음탐기(70,70ㆍㆍㆍ)를 조작하는 훈련생이 입력한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종류, 크기, 위치, 진행방향 및 진행속도 등에 대한 정보는 제1 내지 제n 분배기(60,60,ㆍㆍㆍ60)를 통해서 공유기(80)에 출력된다.
상기 공유기(80)에 입력된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종류, 크기, 위치, 진행방향 및 진행속도 등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내지 제n 음탐기(70,70ㆍㆍㆍ)를 조작하는 훈련생이 정확하게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다른 훈련생(참관 훈련생)이 알 수 있도록 프로젝터(110)를 통해서 스크린(100)에 표출됨과 동시에, 교관도 알 수 있도록 교관용 제2 모니터(120)에도 표출된다.
그리고, 교관이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에 의해 입력한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종류, 크기, 위치, 진행방향 및 진행속도 등에 대한 영상제어신호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음탐기(70,70ㆍㆍㆍ70)를 조작하는 훈련생이 판독한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종류, 크기, 위치, 진행방향 및 진행속도 등에 대한 정보는 훈련생이 음탐을 정확하게 판별하였는지 여부 및 왜 음탐을 잘못 판별하였는지 등에 대하여 교육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교관용 제2 모니터(120)에도 표출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음탐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에 의해 음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2에 있어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스텝S1에서 교관이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의 키보드(23) 및 마우스(24)를 사용하여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크게 또는 작게 가변시키면서 서버(21)에 제어 명령을 입력(음파 입력스텝)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을 초기화시키면,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의 모니터(22)에 이들 음파에 따른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 등을 표시하는 그림이 본 발명의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의 위치(원점)를 중심으로 해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져가는 화면이 표출되며, 또한 교관이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에서 입력한 이들 음파신호가 분배기(30)를 통해서 공유기(80)를 거쳐서 프로젝터(110)에 출력되어 프로젝터(110)에 의해 스크린(100)에 본 발명의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주위의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 등을 표시하는 그림이 접근 또는 멀어져 가는 화면이 표출됨과 동시에,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모니터(42)에도 본 발명의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주위의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 등을 표시하는 그림이 접근 또는 멀어져 가는 화면이 표출된다(화면표출스텝).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원점)을 중심으로 주위의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를 표시하는 그림이 접근 또는 멀어져 가는 화면이 표출되면, 스텝S2로 나아가서 훈련생은 화면을 보면서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키보드(43) 및 마우스(44)를 사용하여 잠수함인지 여부를 판별하고(잠수함 판별스텝), 스텝S2의 판별결과 잠수함일 경우(YES일 경우)에, 스텝S3으로 나아가서 소형잠수함인지 여부를 판별하며(소형잠수함 판별스텝), 상기 스텝S3의 판별스텝에서 소형잠수함일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4로 나아가서 소형잠수함의 침로, 방향, 속도를 판독하여 훈련생이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키보드(43) 및 마우스(44)를 사용하여 문자 또는 부호로 교관(통제실)에게 보고 하거나 또는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마이크(45)를 통하여 교관(통제실)에게 음성으로 보고한다(소형잠수함 정보출력스텝).
다음에, 스텝S5로 나아가서 잠수함이 유효 사격거리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제1 유효사격거리 판별스텝)하고, 스텝S5에서 잠수함이 유효사격거리 내에 있을 경우(YES일 경우)에, 스텝S6으로 나아가서 잠수함에서 어뢰를 발사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고(어뢰발사 판별스텝), 스텝S6의 판별결과 잠수함에서 어뢰를 발사하였을 경우(YES일 경우)에 스텝S7로 나아가서 잠수함에서 어뢰를 발사하였음을 교관(통제실)에게 보고한다.
한편 상기 스텝S5의 제1 유효사격거리 판별스텝에서 잠수함이 유효사격거리내에 있지 않을 경우(NO일 경우)에 스텝S4의 잠수함 정보출력스텝으로 복귀하여 스텝S4이하의 동작을 반복해서 행하고, 상기 스텝S6의 어뢰발사 판별스텝의 판별 결과, 잠수함에서 어뢰를 발사하지 않았을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6의 어뢰발사 판별을 반복해서 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S3의 소형잠수함 판별 결과 소형잠수함이 아닐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21로 나아가서 대형 잠수함인지 여부를 판별(대형잠수함 판별스텝)하여 대형잠수함일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22로 나아가서 대형 잠수함의 침로, 방향, 속도를 판독하여 훈련생이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키보드(43) 및 마우스(44)를 사용하여 문자 또는 부호로 교관(통제실)에게 보고하거나 또는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마이크(45)를 통하여 교관(통제실)에게 음성으로 보고하고(대형잠수함 정보출력스텝), 상기 스텝S5의 제1 유효사격거리 판별스텝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상기 스텝S3의 대형잠수함 판별 결과 대형잠수함이 아닐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31로 나아가서 군함인지 여부를 판별(군함 판별스텝)하고, 스텝S31의 판결결과, 군함일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32로 나아가서 군함의 침로, 방향, 속도를 판독(군함이동정보 판독스텝)하고, 스텝S33으로 나아가서 대형잠수함이 유효 사격거리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제2 유효사격거리 판별스텝)하고, 상기 스텝S33의 제2 유효사격거리 판별스텝의 판별 결과, 군함이 유효사격거리 내에 있을 경우(YES일 경우)에, 스텝S34로 나아가서 군함에서 함포를 발사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고(함포발사 판별스텝), 스텝S34의 판별결과 군함에서 함포를 발사하였을 경우(YES일 경우)에 스텝S7로 나아가서 군함에서 함포를 발사하였음을 훈련생이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키보드(43) 및 마우스(44)를 사용하여 문자 또는 부호로 교관(통제실)에게 보고하거나 또는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마이크(45)를 통해 교관(통제실)에게 음성으로 보고한다.
한편 상기 스텝S33의 제2 유효사격거리 판별스텝에서 군함이 유효사격거리내에 있지 않을 경우(NO일 경우)에 스텝S32의 군함 정보출력스텝으로 복귀하여 스텝S32이하의 동작을 반복해서 행하고, 상기 스텝S34의 함포발사 판별스텝의 판별 결과, 군함에서 함포를 발사하지 않았을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34의 함포발사 판별을 반복해서 해서 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S31의 군함 판별스텝의 판별 결과 군함이 아닐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3으로 나아가서 소형잠수함 판별스텝이하의 동작을 반복해서 행한다.
또한, 스텝S2의 잠수함 판별스텝에서 잠수함이 아닐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41로 나아가서 선박인지 여부를 판별(선박 판별스텝)하여 선박일 경우(YES 일 경우)에는 스텝S42로 나아가서 선박의 침로, 방향, 속도를 판독(선박정보 판독스텝)하고, 스텝S7로 나아가서 선박 정보를 훈련생이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키보드(43) 및 마우스(44)를 사용하여 문자 또는 부호로 교관(통제실)에게 보고하거나 또는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마이크(45)를 통해 의해 교관(통제실)에게 음성으로 보고한다.
상기 스텝S41의 선박 판별스텝의 판별 결과, 선박이 아닐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51로 나아가서 돌고래인지 여부를 판별(돌고래 판별스텝)하여 돌고래일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52로 나아가서 돌고래의 침로, 방향, 속도를 판독(돌고래정보 판독스텝)하고, 스텝S7로 나아가서 돌고래 정보를 훈련생이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키보드(43) 및 마우스(44)를 사용하여 문자 또는 부호로 교관(통제실)에게 보고하거나 또는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마이크(45)를 통해 교관(통제실)에게 음성으로 보고한다.
상기 스텝S51의 돌고래 판별스텝에서 판별 결과, 돌고래가 아닐 경우(NO 일 경우)에는 스텝S2로 복귀하여 스텝S2(잠수함 판별스텝)이하의 동작을 반복해서 행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에 의하면 교관이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하여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가변시키면서 서버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이들 신호가 분배기에서 공유기로 출력되어 프로젝터에 의해 다수의 훈련생이 볼 수 있도록 스크린에 표출됨과 동시에, 분배기에서 허브를 경유하여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에 출력함으로서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에 출력되고,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의 서버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제1 내지 제n 분배기를 통해 제2 음탐기에 출력되며, 제2 음탐기에서 음탐된 음파신호를 제2분배기에서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 및 공유기에 분배되어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및 공유기를 경유하여 프로젝터의 작동에 의해 스크린에 표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교관의 음성 교육내용 및 훈련생이 교관(또는 통제실)에게 보고한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종류 및 침로, 방향, 속도 등의 정보를 마이크를 통해 음성으로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육지에서 다수의 음탐 전문가를 단기간에 훈련시킬 수 있고, 육지에서 음탐교육을 시킬 수 있으므로, 음탐 전문가의 교육 훈련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에 의해 음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자동 전압조절기 20:교관용 퍼스널 컴퓨터
21:서버 22:제1 모니터
23:키보드 24:마우스
25:마이크 26:스피커
30:분배기
40: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 41:서버
42:모니터 43:키보드
44:마우스 45:마이크
46:스피커 50:허브
60,60,ㆍㆍㆍ60:제1 내지 제n 분배기
70,70,ㆍㆍㆍ70:제1 내지 제n 음탐기
80:공유기 90:제2 모니터
100:스크린 110:프로젝터
112:훈련생 120:교관용 제2 모니터
130:텔레 타이프 라이터

Claims (10)

  1. 각 구성 요소에 동작 전압을 공급하는 자동 전압조절기(10)와, 상기 자동 전압조절기(10)로 부터 동작 전압을 받아 서버(21)의 메모리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교관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와,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 영상신호를 교관용 제1 모니터(22)에 표출시킴과 동시에, 교관의 제어명령을 받아서 출력하는 분배기(30)와, 상기 분배기(30)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허브(50)를 통해 각각 받아서 출력하는 다수의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와, 상기 다수의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각각 받아서 분배하는 제1 내지 제n 분배기(60,60,ㆍㆍㆍ60)와, 상기 자동 전압조절기(10)로 부터 동작 전압을 받음과 동시에, 상기 제1 내지 제n 분배기(60,60,ㆍㆍㆍ60)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를 받아서 특정 물체(예를 들면,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로 분류해서 모니터에 표출하는 제1 내지 제n 음탐기(70,70,ㆍㆍㆍ70)와, 상기 제1 내지 제n 음탐기(70,70,ㆍㆍㆍ70)에 의해 분류된 다수의 특정 물체들의 영상신호를 제1 내지 제n 분배기(60,60,ㆍㆍㆍ60)를 통해 받아 하나 또는 2개의 영상신호를 선택해서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에 출력하는 공유기(80)와, 상기 공유기(8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교관이 볼 수 있도록 표출하는 교관용 제2 모니터(120)와, 상기 공유기(8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받아서 다수의 훈련생(122)이 볼 수 있도록 스크린(100)에 표출시키는 프로젝터(110)와,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에서 출력되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 영상신호 및 상기 교관용 제2 모니터(120)에 표출되는 각종 신호를 문자 또는 도형으로 프린트하는 텔레 타이프 라이터(1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는 메모리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선박, 잠수함, 군함 또는 돌고래의 모의 음파신호가 저장되는 서버(21)와, 상기 서버(2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출하는 교관용 제1 모니터(22)와, 상기 서버(21)에 교관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23)와, 상기 서버(21)에 교관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마우스(24)와, 상기 서버(21)에 교관의 음성명령을 입력하는 마이크(25)와, 상기 공유기(80)에서 교관용 제2 모니터(120)에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상기 서버(21)에서 받아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2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는 상기 분배기(30)에서 허브(50)를 경유하여 들어오는 영상제어신호를 받는 서버(41)와, 상기 서버(41)에 입력된 영상제어신호를 영상으로 표출하는 모니터(42)와, 상기 서버(41)에 훈련생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43)와, 상기 서버(41)에 훈련생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마우스(44)와, 상기 서버(41)에 훈련생의 음성보고를 입력하는 마이크(45)와, 상기 서버(41)에 입력된 훈련생의 보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4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80)는 상기 분배기(30) 및 상기 제1 내지 제n 분배기(60,60,ㆍㆍㆍ60)로 부터 영상신호를 받아서 상기 교관용 제2 모니터(120) 및 프로젝터(110)에 각각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5 : 2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30)는 상기 교관용 퍼스널 컴퓨터(20)의 서버(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허브(50)를 경유하여 상기 훈련생용 퍼스널 컴퓨터(40)의 서버(41)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공유기(80)에 분배하도록 1 : 2 분배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2-0038062A 2002-07-02 2002-07-02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및 그 음탐방법 KR100516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062A KR100516482B1 (ko) 2002-07-02 2002-07-02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및 그 음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062A KR100516482B1 (ko) 2002-07-02 2002-07-02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및 그 음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582A KR20020061582A (ko) 2002-07-24
KR100516482B1 true KR100516482B1 (ko) 2005-09-23

Family

ID=2772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062A KR100516482B1 (ko) 2002-07-02 2002-07-02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및 그 음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45B1 (ko) * 2012-06-18 2014-0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긴급상황 훈련 시스템 및 훈련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118A (ko) * 1997-02-14 1997-05-30 지희일 교육용 분배기
JP2000159475A (ja) * 1998-11-30 2000-06-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クレーン訓練用シミュレータ
US6096085A (en) * 1998-03-23 2000-08-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mputer-readable software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performing an integrated sonar simulation
KR20000054551A (ko) * 2000-06-12 2000-09-05 김혁구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실시간 전송 제어장치
KR20000061048A (ko) * 1999-03-23 2000-10-16 이중구 차량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20010096010A (ko) * 2000-04-15 2001-11-07 박순배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강의 시스템 및 인터넷 서비스
KR20020026777A (ko) * 2000-10-02 2002-04-12 최장수 실시간 3차원 가상현실 영상 처리 및 음향 발생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118A (ko) * 1997-02-14 1997-05-30 지희일 교육용 분배기
US6096085A (en) * 1998-03-23 2000-08-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mputer-readable software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performing an integrated sonar simulation
JP2000159475A (ja) * 1998-11-30 2000-06-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クレーン訓練用シミュレータ
KR20000061048A (ko) * 1999-03-23 2000-10-16 이중구 차량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20010096010A (ko) * 2000-04-15 2001-11-07 박순배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강의 시스템 및 인터넷 서비스
KR20000054551A (ko) * 2000-06-12 2000-09-05 김혁구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실시간 전송 제어장치
KR20020026777A (ko) * 2000-10-02 2002-04-12 최장수 실시간 3차원 가상현실 영상 처리 및 음향 발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582A (ko)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4109A (en) Simulated training system that utilizes operational equipment
JP2002366021A (ja) バーチャル現場訓練装置
Shiga Sonar: Empire, media, and the politics of underwater sound
US3514521A (en) Collision avoidance radar trainer
KR100516482B1 (ko) 모의 훈련용 음탐시스템 및 그 음탐방법
US4337045A (en) Navigation training aids
Magee Virtual reality simulator (VRS) for training ship handling skills
TWM467143U (zh) 語言自學系統
CN107146181A (zh) 一种在线教学方法及装置
US20100112528A1 (en) Human behavioral simulator for cognitive decision-making
KR102166033B1 (ko) 학습용 이미지 카드를 이용한 교육장치
Miller et al.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based simulators to shiphandling and marine operations
Yamada Mobilizing Citizens' Ears: Aural Training as Civil Defense, 1941–45
Correia et al. Using Augmented Reality for Learning Naval Operations
KR102566696B1 (ko) 영어 학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ay et al. An experiment in voice data entry for imagery interpretation reporting
WO20010672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entence in order to study foreign languages
JPH1123192A (ja) 訓練支援装置
Smith et al. Development of Graphic Area Displays for ASW Attack Management Simulator. Volume I.
Anable The Work of Didactic Art in the Information Age
Claus Sound Structures Experienced Underwater
Raganowicz et al. Visualisation forms in passive sonar with towed array
Crowe et al. Team Training though Communications Control
Manfredi et al. Analog Computer Mechanization of Experimental Electronic Periscope View Simulator.
Osler et al. A Historical Perspective on Experimental Acoustic Processing Systems at DRDC Atlan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