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183B1 -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183B1
KR100515183B1 KR10-1999-7001163A KR19997001163A KR100515183B1 KR 100515183 B1 KR100515183 B1 KR 100515183B1 KR 19997001163 A KR19997001163 A KR 19997001163A KR 100515183 B1 KR100515183 B1 KR 100515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vacuum
extrudate
pond
vacuum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938A (ko
Inventor
라이틀로저디
쌔딘스키로버트엘
링컨로버트엠
Original Assignee
오웬스 코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웬스 코닝 filed Critical 오웬스 코닝
Publication of KR20000029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03Foam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in sub-atmospheric pressure, in or on a liquid
    • B29C44/3407Vacuum extrusion using underwater barometric le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06Processes utilising sub-atmospheric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3Pressure vessels, or vacuum vessels, having closure members or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03Foam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in sub-atmospheric pressure, in or on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55Conveyors for extru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0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9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using a bath, e.g. extruding into an open bath to coagulate or cool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085Velocity
    • B29C2948/92104Flow or feed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428Calibration, after-treatment, or cool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476Fluids, e.g. for temperature control or of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8Velocity
    • B29C2948/926Flow or feed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923Calibration, after-treatment or cool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971Fluids, e.g. for temperature control or of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0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 B29C48/905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using wet calibration, i.e. in a quenching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수평식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은 고정 격벽 (23) 과, 이 격벽 내부의 다이 (24) 와, 절첩식 진공 챔버 부위 (27) 와, 고정된 챔버 부위 (28, 29) 를 포함한다. 고정 부위의 댐 (33) 은 압출물의 침지 냉각을 위한 폰드 (72) 을 형성한다. 트러스 (35) 가 댐으로부터 격벽, 지지 장치, 성형 및 교정 장치 쪽으로 연장해 있으며, 절첩식 부위를 통과해 연장해 있다. 절첩식 부위의 각각의 단부에 있는 유체가압형 시일은 절첩식 부위가 격벽에 대해 밀폐되고 절첩식 부위와 격벽이 상호 로크된 후에 작동가능하다. 절첩식 부위가 다이의 하류의 복잡한 장치에 대해 더욱 소형화된 시스템과 손쉬운 접근을 제공한다. 다이로부터 압출물이 폰드 (72) 를 향해 아래쪽으로 통과한 후, 챔버로부터 대기에 노출된 폰드 (78) 의 낮은 레벨 부분으로 돌출한 후드 (75) 의 오리피스 (74) 를 통과한다. 또한, 후드가 압출물을 수면아래 오리피스를 통해 밀어내는 트랙터 구동장치 (88) 를 포함한다. 후드와 그 이의 컨텐츠는 대기 폰드를 통해 접근가능하다. 후드의 트랙터 운반 장치와 트랙터 구동 장치는 교정 장치와 대기 부위 사이의 유일한 압출물 구동 장치이다. 댐 하류의 챔버 내부의 폰드 (72) 의 높은 레벨이 펌프의 출력을 차례로 제어하는 밸브에 의해 제어한다. 밸브 제어가 폰드 레벨을 감지하며 진공 제어와 관계 없이 작동한다.

Description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및 방법{VACUUM EXTRUSION SYSTEM AND METHOD}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및 방법, 특히 페이건 (Pagan) 명의의 미국특허 4,783,291호에 소개된 수평식 연속 진공 압출가공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신뢰할 만한 개량에 관한 것이다.
고품질, 저밀도의 발포성 제품은 경사진 대기각 (inclined barometric leg) 프로세스에 의해 폭넓게 대량 생산된다. 이러한 제품은 미국 오하이오 토레도 소재의 오웬스 코닝사에 의해 잘 알려진 상표 FORMULAR 로 시판되고 있다. 이 제품은 결합 밀봉시 진공 챔버를 형성하는 철근 콘크리트 부위로 만들어진 대직경 관형상의 경사진 대기각 내로 플라스틱 용융물을 압출시킴으로써 대량 생산된다. 충분한 길이의 관이 경사면 상에서 물 폰드 (water pond) 로 연장해 있다. 챔버가 진공 상태일 때, 물이 관 내부로 유입되어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운다. 챔버의 상단부가 경사각의 상단부를 밀봉하는 이동가능한 큰 격벽 또는 플레이트에 의해 밀폐된다. 압출다이가 플레이트 내부에 설치되는 반면에, 하나 이상의 압출기가 플레이트 외부에 설치된다. 다이의 하류측에는 대형의 복잡한 성형, 치수결정, 및 운반 (haul-off) 장치가 제공된다. 진공 상태로 적절히 성형되고 치수결정될 때, 압출물이 경사각 아래로 이동해서 폰드로 들어간다. 물 폰드가 진공 챔버를 밀봉시킬 뿐만 아니라, 침지 (immersion) 에 의해 압출물을 냉각시키도록 사용된다. 경사진 형상으로 인해 압출물이 벨트 컨베이어의 도움으로 큰 반지름 곡률을 거쳐 연속적으로 대기 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 후, 발포성 압출물은 폰드와 챔버 외측에서 길이별로 절단되고 다듬질된다. 이러한 설비의 예가 미국특허 3,704,083호, 4,044,084호, 4,199,310호, 4,234,529호, 4,247,276호 및 4,271,107호에 소개되어 있다.
경사각의 주요한 단점 중의 하나가 크기와 설치 비용이다. 챔버가 대형의 경사면 상에 설치되며, 그리고 원료재 뿐만 아니라 압출기, 다이, 성형 장치가 더 높은 고도에 있어야 한다.
미국특허 4,487,731호 및 4,486,369호에 소개된 바와 같이 수평식 진공 챔버를 채택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비교적 비효율적인 스프레이 냉각을 사용하며, 또한 챔버 내부에서 절단 작업을 실행한다. 대체로 절단 작업은 챔버 내부에서 더욱 문제가 되고 있는 플라스틱 톱밥 상당물을 만들어낸다. 또한 절단된 제품이 하나 이상의 출구 챔버를 통해 진공 챔버를 빠져나간다. 출구 챔버는 진공으로부터 대기압으로 그리고 진공으로 끊임없이 재순환되어야 하며, 컨베이어 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밀봉 도어가 제공되는데, 이 모두가 기능 고장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은 중단없이 오랜 기간 동안 연속성을 유지할 수 없다. 경제적 효율성을 위해 이러한 시스템은 중단없이 또는 연속적으로 며칠 또는 몇주 동안 작동해야 한다.
진공 압출기의 또 다른 형태는 미국특허 1,990,434호, 2,987,768호, 3,584,108호 및 3,822,331호에 소개되어 있다.
유럽특허 공개공보 0260948A3호에서, 발포성 압출물이 진공 영역 (10) 에서 유체 분사 (28) 에 의해 선택적으로 냉각된다. 진공 챔버로부터 압출물이 밀봉 수단 (16)(구성요소 (18, 19)) 을 통과해서 액체 저장 영역 (20) 으로 들어간다. 복합 시일이 누설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지만, 진공 영역으로 들어가는 액체가 최저 지점으로 하강하여 과도하게 축적된 액체는 배출되거나 또는 액체 저장소로 재순환된다. 액체 저장소를 지나서 대기에 노출되기 전, 보드는 폰드 내부를 통하여 또는 진공 챔버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유럽특허 공개공보 0260949A3호에는 진공 챔버와 액체 저장소 사이에 있는 유동층 진공 시일이 소개되어 있다. 시일은, 제품이 챔버로부터 저장소로 이동할 때 제품의 큰 면을 밀봉하도록 된 하부 연속 벨트 (20) 와 상부 연속 벨트 (40) 이다. 이는 진공 챔버로 액체가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액체 침투를 한번 더 최소화하기 위해 작은 면에는 복합 캠 또는 팽창식 시일이 제공되어 있다. 진공 챔버에서 발포물이 물분사로 냉각된다. 발생하는 이러한 침투나 또는 어떠한 물분사도 펌프의 도움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전술한 페이건의 특허 4,783,291호에는 출구 폰드 (exit pond) 를 진공 챔버 내측부와 대기압 상태의 진공 챔버 외측부로 분할하는 물 배플 (water baffle) 이 소개되어 있다. 진공 챔버 내측부에 있는 폰드의 레벨은 댐으로 둘러싸여 있으면서 진공 챔버 외측부의 레벨보다 더 높다. 압출물은 댐에 걸쳐 침지되어 있고 완전한 침지 냉각을 위해 폰드로 들어간다. 압출물은 진공 챔버 수면 아래로부터 제어된 오리피스를 통과해서 진공 챔버 외측부로 들어간 후 절단 및 다듬질을 위해 대기 쪽으로 나온다. 폰드의 물은 오리피스에서 압출물 주위를 계속 흐르고, 또한 대기압을 받는 폰드에서부터 진공챔버 내측부의 폰드로 이동하게 된다. 진공으로 인해, 챔버 내측부의 폰드 레벨이 대기에 있는 폰드 레벨보다 더 높다. 진공 챔버의 내측부의 높은 레벨 폰드로부터 진공 챔버 외측부 또는 대기 폰드로 물을 계속해서 순환시킴으로써, 진공 챔버 내측부의 폰드가 댐 바로 아래로 유지될 수 있다.
페이건의 특허에서, 다이가 장착된 진공 챔버의 단부에 있는 격벽이 챔버의 단부로부터 제거되어 챔버의 내부, 특히 때때로 복합적인 성형, 교정, 및 운반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댐과 격벽 사이의 부위로의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비록 한사람이 터널로 들어갈 수 있지만 진공 상태가 아닐 때에는 격벽의 철회로 챔버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또한, 대형의 압출물과 다른 복합적 형상에 대해서, 내장된 기계장치가 대형이고, 무거우며, 통전되기 때문에, 격벽과 댐 사이의 진공 챔버의 길이는 충분해야 되고 정확해야 한다. 터널로 기어들어가야 할 정도로 기계장치로 채워진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은 효율적이지도 또한 만족스럽지도 못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진공 챔버 내의 격벽과 댐 사이의 기계장치 축선의 거리가 길어지고 강화된다면, 진공 챔버의 무결성 (integrity) 을 전혀 손상하지 않고서 진공 챔버의 이러한 부위로의 접근이 더욱 손쉽고 간편하게 된다.
또한, 진공 챔버 내측부의 폰드를 효과적으로 길게하고 압력 챔버를 짧게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바람직하지만, 이와 동시에 압출물이 대기 부위의 바닥에 가능하면 근접하게 대기 부위로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진공 챔버를 형성하는 압력용기의 길이를 최소화하며, 효율적인 침지 냉각을 가능하게 하면서 진공 챔버의 전체 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압출물을 폰드의 대기 부위내로 밀어내도록 오리피스를 통해 물의 유동을 카운터하는 압출물을 위한 매우 소형의 구동장치가 오리피스에 제공된다면, 이와 동시에 적절한 압출물-오리피스 정렬을 유지하고 압출물 두께에 있어서의 다양성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리피스를 통과해서 들어가는 물의 양과 동일한 양이 되도록 폰드의 진공 부위를 나오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간단한 제어 시스템을 가지며, 진공 시스템과 상관없이 물 레벨이 조절되는 간단한 제어 시스템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의 부분 입면도.
도 1a 는 도 1 의 단면적인 하류 흐름도.
도 2 는 밀폐 상태를 나타내는 진공 챔버의 확대된 측부 입면도.
도 3 은 챔버 개방을 나타낸 부분 입면도.
도 4 는 댐 및 트러스를 나태낸 도 2 의 선 4-4 를 따라 취한 부위도.
도 5 는 절첩식 부위와 격벽 사이의 시일을 나타낸 확대된 반경방향 부분 부위도.
도 6 은 고정 부위와 절첩식 부위 사이의 시일과 로크를 나타낸 유사한 더욱 확대된 반경방향 부분 부위도.
도 7 은 좌측은 로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며, 우측은 로크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로크와 이의 체인 구동장치의 확대 부분도.
도 8 은 체인 구동장치의 부분 입면도.
도 9 는 도 3 의 선 9-9 를 따라 취한 부위도.
도 10 은 챔버의 단부 상의 전이 후드를 나타내는 부분도.
도 11 은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물을 밀어내기 위한 후드의 안내 컨베이어와 트랙터의 부분 상세도.
도 12 는 조절가능한 후드의 오리피스를 나타낸 도면.
도 13 은 물순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은 고정 격벽과 축방향으로 이격된 댐을 갖는 진공 챔버를 포함하는 수평 대기각을 사용하며, 지지 트러스는 이 고정 격벽과 축방향으로 이격된 댐 사이에서 연장한다. 챔버는 댐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폰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고정 부위를 포함한다. 다양한 성형장치 및 교정 장치가 트러스 (truss) 에 장착된다. 다이가 고정 격벽의 내부에 장착된다. 하나 이상의 압출기가 격벽의 외부에 설치되어 격벽을 통해 다이에 연결된다.
고정 부위와 더불어, 진공 챔버는 고정 격벽으로부터 원근방향으로 이동하는 절첩식 (telescoping) 부위를 포함한다. 절첩식 부위가 트러스 상에 지지된 기계장치와 다이로의 즉각적인 접근을 제공한다. 절첩식 부위에는 가압가능한 시일이 효과적으로 그리고 적절하게 제공되어 고정 격벽과 고정 부위의 일단부에 대해 이 절첩식 부위의 반대편 단부를 밀봉한다. 체인 구동식 거들링 로크 (girdling lock) 는 챔버가 밀폐될 때 그리고 시일이 가압되기 전에 절첩식 부위와 고정 부위를 상호 로크시키도록 물리적으로 구동되는 유체 동력이다.
타단부에 있는 고정 부위는 폰드의 높은 레벨의 진공 챔버의 부위를 포함한다. 폰드의 대기 부위가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하며, 저전위 후드 (low profile hood) 는 챔버의 이러한 다른 단부로부터 대기 폰드 부위로 연장한다. 후드의 돌출형 좁은 단부가 폰드의 대기 부위의 바닥에 근접해 있다. 후드가 챔버의 다른 단부에 대해 밀봉되며, 또한 압출물이 폰드의 챔버 부위로부터 대기 부위로 가기 위해서 통과하는 조절가능한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후드는 압출물을 위한 트랙터 및 아이들러 벨트 컨베이어를 더 포함한다. 트랙터 또는 동력전달 컨베이어는 압출물의 상부에 위치하며, 오리피스의 상부 에지와 고정 정렬된다. 바닥 벨트 컨베이어는 압출물의 두께에 따라 조절가능하며, 컨베이어 프레임은 오리피스의 조절가능한 하부 에지를 형성한다. 조절가능한 게이트가 오리피스의 폭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대기 폰드 부위로부터 챔버 폰드 부위로 오리피스를 통과해서 밀려드는 물이 조절될 수 있다.
대기 폰드로 순환되거나 또는 회수되는 물의 양은 제어 밸브를 통해 폰드의 대기 부위로 물이 회수되도록 하는 적절한 용량 펌프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댐의 상부 아래에 설치된 레벨 제어 장치가 대기 부위로 되돌아오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 밸브를 작동시킨다. 펌프는 충분한 용량을 가지며, 연속적으로 작동한다. 이 펌프의 설치 지점은 챔버의 물 레벨이며, 제어 밸브는 펌프의 출력을 간단히 조절가능하도록 제한한다. 비록 이동하는 물의 양이 진공 레벨과 관계 있지만 진공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챔버가 밀폐되고 로크되고 그리고 밀봉되며, 또한 시스템 작동시 압출물이 다이로부터 성형 및 교정 장치를 통해, 댐을 넘어 폰드로, 후드의 트랙터 및 아이들러 컨베이어를 통해, 물 유동에 부딪혀 오리피스를 통해 이동해서, 대기 폰드 부위로 들어가며, 대기 폰드 부위의 바닥 근처의 후드의 돌출 립 아래로 이동한다. 압출물이 큰 반지름을 통해 분출 장치 및 운반 장치를 향해 위쪽으로 안내된다. 그 후 압출물이 포장과 적재를 위해 절단 및 다듬질된다. 성형 및 교정 장치를 통과한 후에 압출물은 오직 후드의 트랙터 벨트와 운반 장치에 의해서 동력전달되어 나아가게 된다.
전술한 그리고 관련 부분을 보충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어떠한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나타낸 첨부 도면에서 특정되고 하기에 기술된 특징을 포함하며, 하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원리가 사용될 수 있는 몇몇 다양한 방법을 나타낸 것 뿐이다.
먼저 도 1 및 도 1a 에 대해 언급하면, 여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포성 압출가공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압출가공 시스템 (20) 은 도면부호 22 에서 고온 플라스틱 용융물을 형성하는 원료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압출기 (21) 를 일단부에서 포함하고 있다. 발포물 제조를 위해 발포제가 첨가된다. 압출기 (21) 가 고정 원형 격벽 (23) 의 외부 상에 장착되는 반면에, 연결된 압출다이 (24) 는 격벽의 내부 상에 위치된다.
압출다이 (24) 는 진공 챔버 (26) 내부에 있다. 진공 챔버 (26) 는 대략 동일한 길이로 된 세 개의 관 부위 (27, 28, 29) 로 구성된다. 부위 (28, 29) 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션 (stanchion; 31, 32) 에 의해 바닥 (30) 상에 고정 지지되며, 스탠션 (31) 은 진공 챔버의 두 개의 고정 부위 간의 경계 지점이다. 또한, 이 경계 지점에는 도 4 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반원형 댐 플레이트 (33) 가 있다. 트러스 (35) 가 댐 플레이트 (33) 로부터 고정 격벽 (23) 쪽으로 연장해 있다. 트러스의 상세도는 도 4 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트러스는 직사각형 관으로 된 상부 코드 (chord; 38, 39) 를 각각 갖는 두 개의 평행한 플레이트 빔을 구비한다. 각각의 빔은 바닥 코드 (40, 41) 를 포함한다. 바닥 코드는 고정 부위 (28) 의 내부에 체결되는 반면에, 빔은 도 4 에서 각각 도면부호 43 및 도면부호 44 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위에 대해 측면으로 지탱된다. 따라서, 고정 부위 (28) 는 트러스 (35) 에 견고하게 내부적으로 체결되며, 트러스 (35) 에서 스탠션에 의해 일단부에서 바닥으로부터 지지될 수 밖에 없으며, 트러스는 고정 부위 (28) 를 통해 고정 격벽 (23) 쪽으로 연장한다.
도 2, 도 3 및 도 4 에 대해 추가적으로 언급하면, 진공 챔버의 다양한 부위들이 비교적 대직경의 관 구조로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관 부위들의 내부 직경은 형성되는 압출물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3 미터 내지 4 미터 이상이 될 수 있다.
이 관 부위들은, 고정 부위 (29) 가 외부 보강 링 (46) 을 가지는 반면에 고정 부위 (28) 가 내부 보강 링 (47) 을 갖는다는 점에서 서로 조금 다르다. 이로 인해 부위 (28) 의 외부는 매끄럽고, 또한 밀폐되지 않을 수 있다. 내부 보강링에는 보강 지지봉 (48) 이 제공되며, 이 지지봉의 텐션은 턴버클 (49) 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절첩식 부위 (27) 는 매끄러운 내부 및 외부 보강링 (50) 을 갖는다. 이 절첩식 부위는 측면으로 이격된 레일 (54) 상에 지지된, 바퀴 (52, 52) 에 장착된다 (도 2 및 도 3 참조). 도면부호 56 에서 고정되며 모터 (57) 에 의해 구동되는 도 3 의 구동 체인 (55) 이 작동해서 절첩식 부위 (27) 를 진공 챔버의 고정 부위 (28) 에 걸쳐 절첩되는(끼워넣어지는) 고정 격벽 (23) 으로부터 원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모터와 체인 구동은 자동 주차장 문과 동일한 방식으로 절첩식 부위를 이동시킨다.
트러스 (35) 가 절첩식 부위에 연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절첩식 부위는 부위 (28) 의 매끄러운 외부 둘레 뿐만 아니라, 댐으로부터 고정 부위를 통해 고정 격벽 (23) 쪽으로 돌출한 트러스 둘레로 절첩된다.
도 2 에서 더욱 명확한 바와 같이, 진공 챔버 (26) 가 개방되거나 또는 고정 부위 (28) 위로 절첩될 때 동력이 돌출형 아암 (59) 및 도 2 의 도면부호 61 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를 나타내는 가요성 동력 트랙 (60) 을 통해 절첩식 부위 (27) 에 공급될 수 있다.
지금부터 도 1 및 도 1a 에 대해 다시 살펴보면, 진공 챔버 내의 압출 다이 (24) 에 의해 형성된 압출물이 성형장치 (62) 및 교정 테이블 (63, 64) 을 통과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교정 테이블은 도면부호 65 에 도시된 다수의 상부 및 하부 동력 롤러 (65) 를 구비한다. 교정 테이블 (63, 64) 뿐만 아니라, 성형장치는 바퀴 (66) 상에 장착되어 바닥 코드 부재와 같이 트러스의 일부분일 수 있는 레일 (67) 을 따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다이의 형태를 더욱 상세화 하기 위해, 핍스 (Phipps) 등의 미국특허 4,395,214호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성형 및 교정 장치의 예는 종래의 미국특허 4,247,276호, 4,395,214호 및 4,469,652호에 소개되어 있다.
교정 장치로부터, 발포성 압출물이 댐 (33) 의 상부 에지 위로 통과해서 큰 반지름 호에 배열된 일련의 아이들러 롤러 (70) 바로 밑으로 이동함으로써 챔버 부위 (29) 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댐 (33) 으로부터 진공 챔버 부위 (29) 의 단부로부터 대기 폰드 부위 (78) 로 돌출한 후드 (75) 의 오리피스 (74) 쪽으로 연장하는 폰드 부위 (72) 로 아래쪽으로 향해 있다. 압출물은 후드의 하단부 (79) 를 빠져나와 폰드 부위 (78) 로부터 대기 쪽으로 빠져 나가도록 램프 (82) 상으로 압출물을 안내하는 한 세트의 아이들러 롤러 (81) 의 바로 밑으로 통과한다. 그 후, 운반 장치 (84), 절단 장치 (85) 를 통과하는 압출물이 분출 장치를 통과함으로써 물을 압출물로부터 제거하도록, 적재와 운송을 위해 테이블 (86) 상으로 통과한다. 운반 장치 (84) 는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압력으로 압출물을 오른쪽으로 끌어당기는 일련의 동력 핀치 롤러이다.
교정 장치 (64) 와 운반 장치 (84) 사이에서 압출물을 위한 오직 또 다른 동력은 후드 (75) 에서 동력 컨베이어 (88) 이다. 동력 컨베이어 벨트 (88) 는 압출물 아래의 아이들러 컨베이어 벨트 (89) 와 상호 작동해서 진공 챔버를 빠져나가도록 압출물을 오리피스 (74) 를 통해 밀어낸다. 운반 장치는 오리피스로부터 대기 폰드 부위 (78) 와 분출 장치를 통과해서 절단 장치(85)로의 압출물의 이동을 조정한다. 아이들러 롤러 (70, 81) 가 큰 반지름의 호형으로 배열되어, 압출물이 도 1 및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드 부위 (78) 보다 상당히 더 높은 레벨에 있으면서 대기에 노출된 폰드 부위 (72) 내부로 침지(浸漬) 되도록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곡률 반경은 제조되는 압출물의 두께 및 재료에 따라 좌우된다. 발포성 폴리스티렌 보드에 대해서는 대개 약 40 내지 50 미터의 곡률 반경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 도 5 및 도 9 에 대해 추가적으로 언급하면, 절첩식 부위 (27) 가 인접한 고정 부위 (28) 보다 다소 크며, 고정 부위의 외부에 걸쳐 절첩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양 부위에는 다수의 포트홀 (porthole; 92) 이 제공된다. 이 포트홀은 진공 챔버 외부에서 누군가가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하는 단순 밀봉된 투명한 판벽널이다.
내부는 동력 공급부 (60) 를 통해 조명될 것이다. 절첩식 부위가 두 개의 상이한 레벨을 갖는 포트홀을 가지며, 낮은 레벨은 도면부호 93 으로 지시되어 있다. 폰드 부위 (72) 를 포함한 고정 부위 (29) 가 적은 수이지만 양 레벨에서 포트홀을 갖는다. 절첩식 부위 (27) 가 밀폐될 때, 이 부위는 도 5 에 도시된 가압 시일 (pressurizable seal; 95) 에 의해 고정 격벽에 대해 밀봉된다.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식 부위 (27) 가 가압 시일 (96) 에 의해 고정 부위 (28) 에 대해 밀봉된다. 시일이 고정 부위 (28) 로부터 돌출한 플랜지 링 (98) 상의 링 (97) 상에 위치된다. 가압될 때, 이 시일이 절첩식 부위 (27) 의 단부 상에 장착된 플랜지 링 (99) 을 향해 압박할 것이다. 양 시일에 압력이 가해질 때, 절첩식 부위 (27) 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격벽 (23) 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밀폐시 절첩식 챔버를 밀봉하도록 정확하게 작동하는 가압 시일에 대해 적절한 반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거들링 로크 (102) 가 절첩식 단부의 고정 부위들 간에 제공된다. 도 3,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링 (99) 이 격벽 (23) 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절첩식 부위의 단부를 완전히 둘러싼 롤러 체인 (104) 의 롤러들을 지지하는 환상 트랙 (103) 을 포함한다. 일련의 키퍼 플레이트 (keeper plate, 106) 가 체결기 (107) 에 의해 롤러 체인의 외부에 장착되며, 이 플레이트는 롤러 체인 트랙 (103) 및 플랜지 링 (99) 의 내부로 연장하는 플랜지 모두와 동일한 높이로 방사상 내부로 연장한다.
키퍼 플레이트 (106) 는 고정 부위 (28) 의 단부 상에 장착된 스톱 돌출부 (110) 의 방사상 범위를 넘어 방사상 내부로 연장한다. 도 7 에서 더욱 명확한 바와 같이, 스톱 돌출부 (110) 가 키퍼 플레이트 (106) 처럼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키퍼 플레이트를 위한 스톱 돌출부가 있다. 도 7 의 좌측에, 로크가 열린 위치로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키퍼 플레이트가 몇몇 축방향 틈새를 갖는 인접한 스톱 돌출부 (110)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부위에 대한 절첩식 부위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밀폐 또는 로크된 위치에서, 도 7 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퍼 플레이트 (106) 가 방사상으로 이동해서 스톱 돌출부 (110) 와 정렬됨으로써 현재 절첩식 부위의 축방향 이동이 스톱 돌출부와 키퍼 플레이트 사이의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 은 팽창 전의 시일을 나타낸다. 로크된 위치의 키퍼 플레이트 (106) 로 인해, 시일 (95, 96) 의 팽창 또는 가압이 절첩식 부위가 스톱 돌출부와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방사상 틈새 (112; 도 6 참조) 에 의해 허용되는 제한된 범위로만 격벽 (23) 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동하도록 한다. 단지 어느 정도의 체인 이동만으로 고정 부위에 대해 절첩식 부위를 로크시키며, 정반대편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 부위를 해제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도 3 및 도 8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체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획득된다. 이러한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의 로드는 체인지 (104) 의 여러 링크에 걸친 브래킷 (116) 에 대하여 도면부호 115 에서 피봇될 수 있으며, 체결기 (117, 118) 에 의해 이러한 링크에 체결된다. 각각의 실린더 조립체 (114) 의 밀폐 단부가 절첩식 챔버 세그먼트의 벽의 외부에 대해 브래킷 (120) 상에 장착된다. 체인을 구동하는 두 개의 이러한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가 절첩식 부위의 정반대편측에 있을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체인이 즉시 짧은 거리로 이동될 수 있으며, 도 7 의 좌측에 도시된 해제되어 방해받지 않는 위치로부터 도 7 의 우측에 도시된 잠금되어 방해받는 위치등으로 키퍼를 이동시킨다. 잠금될 때, 가압 시일이 적절히 신장되어, 절첩식 부위의 단부에 효과적인 진공 시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12 에 대해 언급하면, 고정된 진공 챔버 부위 (29) 의 단부 (76) 에 고정된 후드 (75) 가 하부 대기 폰드 부위 (78) 로 돌출해 있으면서, 직사각형 관 부재형상 프레임 (123, 124) 을 구비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조립된 후드는 도 11 에 상세하게 도시된 상부 부위 (125) 를 갖는 두 개의 조금 경사진 부위를 포함하는 반면에, 하부 부위 (126) 는 폰드 부위 (78) 로 아래쪽으로 단순히 돌출함으로써, 압출물이 큰 반지름 호형으로 거의 최저점에서 외부 또는 대기 폰드 부위를 통과한다. 부위 (125) 는 트랙터 컨베이어 (88) 및 아이들러 컨베이어 (89) 를 수용한다. 트랙터 컨베이어는 밀폐공간 (131) 에 도시된 구동 유니트 (130) 에 의해 동력공급된다. 트랙터 컨베이어 벨트 (88) 는 트랜스미션 (132) 을 통해 구동되며, 대개 조정된 위치에 있으면서 그 전방에서 오리피스 (74) 의 상부 에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135) 에 대해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된 실드 플레이트 (134) 를 포함하는 프레임 (133) 상에 장착된다.
또한, 아이들러 컨베이어 벨트 (89) 는 프레임 (136) 에 장착된다. 이 프레임의 네 개의 코너에서 이 프레임이 외부적으로 나사가 형성된 코너 축 (139, 140) 상에 나사체결되는 너트 (137, 138) 에 의해 지지된다. 코너 축이 모터 (142) 및 트랜스미션 (143) 을 통한 회전을 위해 동기적으로 구동됨으로써 하부 아이들러 컨베이어 부위 (89) 는 트랙터 벨트 (88) 로부터 원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모터는 압출물 두께 센서에 의해 지연상태로 조절된다. 이러한 지연은 압출물 속도에 의해 조절된다. 프레임 (133) 처럼, 프레임 (136) 에는 실드 플레이트 (146) 가 제공된다. 트랙터 벨트 (88) 가 압출물이 부유하는 벨트의 표면 아래에서 출구 오리피스 (74) 의 하부 가장자리에 또는 바로 그 아래에 겨냥되어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하부 또는 아이들러 벨트 (89) 는 압출물의 두께에 따라 또는 연속적으로 기부 상에서 조절가능하다.
오리피스의 측면 에지를 확장하거나 또는 축소하기 위해서, 밀폐 플레이트 (150, 151) 가 경사진 램프 또는 가이드 (152, 153) 에 장착된다. 이 플레이트는 각각의 측부 상의 후드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각각의 조절 스크류 (155, 156) 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물론, 조절 스크류는 아이들러 벨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력화되고 작동될 수 있다. 어떤 경우라도 에지 형성 플레이트는 오리피스의 측부 에지를 조절가능하게 형성하는 수직방향 에지 (157, 158) 를 갖는다. 언급한 바와 같이, 트랙터 벨트 (88) 는 도 1a 에 도시된 대기 챔버 내의 운반 장치 (84) 와 진공 챔버 내의 교정 테이블 사이의 압출물을 위한 유일한 동력원이다. 트랙터 벨트 또는 컨베이어 (88) 는 오리피스 (74) 를 통과하는 압출물을 측면으로 밀며, 오리피스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도와 대기측으로부터 높은 레벨의 진공 챔버측으로 오리피스를 통과해서 밀려드는 물을 제한한다. 하지만, 압출물이 지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리피스에 적절한 틈새가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후드는 트랙터 컨베이어와 오리피스의 제어를 더욱 유용하고 손쉽게 접근가능하도록 하는 유니트이다. 후드의 사용은 다수의 장점을 가지며, 이 후드는 손쉽게 진공 챔버의 단부 상에 장착되며, 또한 이 단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후드를 밀폐하는 패널은 그 내부를 들여다보도록 투명하거나 또는 창을 가질 수도 있다. 후드는 호의 최저점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트랙터 컨베이어와 아이들러 컨베이어를 위한 독립적 유니트를 제공하며, 그리고 컨베이어와 오리피스 조정을 모두 제어한다.
지금부터 도 13 에 대해 언급하면, 폰드의 상부 또는 대기 부위 (72) 와 폰드의 하부 또는 대기 부위 (78)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물순환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물은 폰드 부위 (72) 로부터 보텍스 브레이크 (vortex break; 160), 신축이음부 (161) 를 갖는 나비형밸브를 통해 펌프 (162) 의 흡입구로 유입된다. 펌프로부터, 물이 신축이음부 (163) 를 갖는 나비형밸브를 통과하고, 새들티 (saddle tee; 164) 와 제어 밸브 (165) 를 통과한다. 제어 밸브로부터 물은 새들티 (166), 신축슬리브 (167) 를 통해서 도면부호 16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폰드 부위 (78) 로 되돌아간다. 물은 폰드 부위를 상호연결하는 오리피스 (74) 로부터 원격으로 폰드 부위 (78) 내로 유입된다.
진공 챔버 폰드 부위 (72) 의 물이 댐 (33) 아래의 적절한 레벨에 도달할 때, 모듈 (172) 을 제어하도록 도면부호 171 에 연결된 레벨 센서 (170) 를 작동시킨다. 제어 모듈 (172) 이 연속적으로 작동해서 연결부 (173) 를 통해 제어 밸브 (165) 를 개폐한다.
시스템 작동 중에, 펌프는 충분한 용량을 갖고 연속적으로 작동한다. 설치 지점은 진공 챔버의 물 레벨이며, 제어 밸브는 펌프 출력을 조절가능하게 제한한다. 비록 물이동 양이 진공 레벨과 관련 있더라도, 진공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챔버가 밀폐 및 로크되고 밀봉되며, 시스템이 연속적으로 작동할 때, 압출물이 다이를 통과하며, 발포가 진공 챔버 내에 발생한다. 발포시 압출물이 성형 및 교정 장치를 통과해서 댐 (33) 의 상부 위로, 그리고 진공 챔버의 높은 레벨의 전체 침지 폰드로 이동한다. 압출물이 후드의 트랙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오리피스를 통해 밀어짐으로써 진공 챔버를 빠져나온다. 압출물이 물 유동에 부딪혀 밀어져 대기 폰드 부위로 들어가고, 대기 폰드 부위의 바닥부에 가까운 후드의 돌출 립(lip) 아래로 이동한다. 압출물은 큰 반지름 곡률을 통해 분출 장치 및 운반 장치로 위쪽으로 안내된다. 그 후, 압출물이 포장과 적재를 위해 절단되고 다듬질된다. 성형 및 교정 장치를 통과한 후에, 압출물은 길이별로 절단되기 바로 전에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물을 밀어내는 후드의 트랙터 벨트와 운반 장치에 의해서만 동력 공급된다.

Claims (72)

  1. 압출기와 진공 챔버를 포함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진공 챔버는, 절단 및 적재를 위해 압출물을 대기 쪽으로 배출하기 위해 진공 챔버내에 일단부에 다이를, 그리고 상기 챔버의 다른 일단부에 압출물 물 배플 쿨러를 구비하고, 상기 챔버는, 챔버를 개폐하기 위해 하나의 부위가 다른 부위에 대하여 절첩식으로 되는 2 이상의 부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부위의 양 단부에 있는 압력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챔버가 밀폐될 때 상기 하나의 절첩식 부위가 접촉하는 상기 챔버의 일단부에 고정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시일이 상기 절첩식 부위와 격벽 사이에, 또한 상기 하나의 절첩식 부위와 다른 하나의 부위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시일이 가압되어 챔버에 진공이 형성되기 전에, 챔버가 밀폐되었을 때, 상기 하나의 절첩식 부위와 다른 하나의 부위의 상대 운동을 로크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나의 부위에 있는 댐과, 상기 댐으로부터 상기 하나의 부위가 둘레에 절첩되는 고정 격벽에까지 형성된 트러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압출 다이는 상기 고정 격벽의 내부에 장착되고, 성형 및 교정 장치는 상기 트러스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챔버에 진공이 형성될 때 압출물이 통과하는 상기 댐 뒤쪽의 하나의 레벨에 있는 진공 챔버 물 폰드와, 상기 진공 챔버를 지나서 다른 낮은 레벨에 있는 대기 챔버 물 폰드와, 그리고 압출물이 하나의 폰드로부터 다른 하나의 폰드로 통과하는 상기 폰드들 사이에 있는 수중의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대기 폰드로 돌출하는 진공 챔버의 단부 상에 있는 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후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물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후드의 상기 압출물 위쪽의 상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는 상기 오리피스의 상부 에지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후드의 상기 오리피스에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바로 밑에 있는 아이들러 컨베이어와, 압출물의 두께에 따라 아이들러 컨베이어를 수직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압출가공 시스템으로서,
    압출기와, 수평식 진공 챔버와, 압출물을 형성하는 챔버 내측의 압출 다이와, 하나의 레벨에 있는 내부 진공 챔버 폰드와, 다른 낮은 레벨에 있는 외부 대기 폰드와, 대기로 빠져나가기 전에 압출물이 상기 대기 폰드로 향하도록 작동하는 상기 진공 챔버로부터 상기 대기 폰드로 연장하는 침액된 후드와, 압출물이 진공 챔버 폰드로부터 대기 폰드로 이동함에 따라 압출물을 수용하는 상기 후드 내의 제어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공 시스템.
  22. 삭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물을 안내하도록 작동하는 오리피스에 인접한 상기 후드내의 압출물을 위한 안내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공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컨베이어는 오리피스의 상부 에지를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공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압출물의 바닥부와 연동하는 상기 안내 컨베이어의 바로 밑에 있는 아이들러 컨베이어 수단과, 그리고 압출물의 두께에 따라 안내 컨베이어로부터 원근방향으로 아이들러 컨베이어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공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오리피스의 하부 에지를 형성하는 상기 아이들러 컨베이어 수단의 전방에 있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공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오리피스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후드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공 시스템.
  28.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으로서,
    압출기와, 진공 챔버와, 압출물을 형성하는 챔버내의 압출 다이와, 압출물이 통과하고 상기 챔버의 하나의 레벨에 있는 하나의 부위와 상기 챔버의 외측부의 낮은 레벨에 있는 다른 부위를 갖는 액체 폰드와, 압출물의 이동에 상관없이 챔버 내측부의 폰드로부터 상기 챔버 외측부의 폰드 쪽으로 액체를 순환시키는 수단과, 순환된 물의 양을 연속 조절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챔버 내측부의 폰드의 하나의 레벨에 따라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시키는 수단은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진공 챔버 내의 레벨 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폰드는 세장형이면서 대체로 일정한 폭으로 되어 있고, 챔버 외측부의 폰드는 진공 챔버 내측부의 폰드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챔버 내측의 폰드는 챔버 외측부의 폰드로 돌출한 진공 챔버 후드 연장부와 댐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연속 압출가공 시스템으로서,
    압출기와, 격벽과, 상기 격벽 내부에 장착된 압출 다이와, 댐을 형성하는 폰드와, 성형 및 치수결정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댐으로부터 격벽 쪽으로 연장하는 구조 빔과, 상기 댐을 둘러싸는 고정 부위와 진공 챔버를 개폐하기 위해 격벽으로부터 및 격벽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상기 빔 둘레의 진공 챔버의 절첩식 부위를 구비하는 진공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압출가공 시스템.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빔은 이격된 평행한 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압출가공 시스템.
  43. 발포성 플라스틱 제조 방법으로서,
    발포성 플라스틱 용융물을 진공 챔버로 압출하는 단계와, 발포성 압출물을 상기 챔버 내측부의 높은 레벨 부위와 챔버 외측부의 낮은 레벨 부위를 갖는 액체 본체로 통과시켜 상기 액체 본체를 통과해 챔버를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챔버 내부의 액체 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액체를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챔버 내부의 액체 본체의 일부분의 높은 레벨을 제어하는 단계와, 챔버 내부의 높은 액체 레벨에 따라 연속 순환되는 액체의 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플라스틱 제조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의 액체 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챔버의 외부의 일부분 쪽으로 액체를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플라스틱 제조 방법.
  45. 제 43 항에 있어서, 순환된 액체의 양이 순환 펌프의 출력측 상의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플라스틱 제조 방법.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발포성 플라스틱 압출가공 방법으로서,
    발포성 플라스틱 용융물을 일단부에서 세장형 진공 챔버내로 압출시켜 다른 일단부에서 챔버 내측부의 높은 레벨부와 상기 챔버 외측부의 낮은 레벨부를 갖는 액체 본체에 침액된 출구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챔버를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챔버 내측부에서 액체의 높은 레벨을 유지하기 위하여 챔버 내측부의 높은 레벨에 의해 순환될 액체량을 제어하면서 챔버 내측부의 높은 레벨부로부터 챔버 외측부의 낮은 레벨부쪽으로 상기 액체를 연속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플라스틱 압출가공 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챔버 내측부의 액체의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순환 펌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플라스틱 압출가공 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진공 레벨과 상관없이 순환된 액체의 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플라스틱 압출가공 방법.
  53. 제 50 항에 있어서, 고정 부위 및 절첩식 부위를 갖는 챔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플라스틱 압출가공 방법.
  54. 제 53 항에 있어서, 다이를 지지하는 고정 격벽을 포함하고, 밀폐시 고정 부위와 격벽에 대해 절첩식 부위를 가압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플라스틱 압출가공 방법.
  55. 제 54 항에 있어서, 가압 밀봉전에 고정 부위와 절첩식 부위를 로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플라스틱 압출가공 방법.
  56. 발포물 압출가공 방법으로서,
    발포성 압출물을 형성하는 상기 챔버의 일단부에서 압출다이를 갖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진공 챔버를 사용하는 단계와, 압출물이 대기로 빠져나감에 따라 상기 챔버가 진공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상기 챔버의 반대편 단부에 있는 물 배플 수단을 통하여 압출물을 통과시키는 단계와, 고정 부위 및 절첩식 챔버 부위를 갖는 상기 진공 챔버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물 압출가공 방법.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챔버 부위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물 압출가공 방법.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부위는 상기 고정 부위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걸쳐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물 압출가공 방법.
  62. 제 56 항에 있어서, 고정 격벽을 포함하고, 밀폐될 때, 그리고 챔버를 진공시키기 전에 고정 부위와 격벽에 대해 절첩식 부위를 가압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물 압출가공 방법.
  63. 제 62 항에 있어서, 가압 밀봉전에 고정 부위와 절첩식 부위를 로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물 압출가공 방법.
  64. 제 63 항에 있어서, 원주상으로 이격된 키퍼를 갖는 격벽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절첩식 부위의 단부를 거들링하는 (girdling) 단계와, 그리고 절첩식 부위와 고정 부위를 로크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 부위 상의 돌출부와 상호 끼워맞춤하도록 축방향으로 키퍼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물 압출가공 방법.
  65. 제 64 항에 있어서, 절첩식 부위를 거들링하는 체인과 키퍼들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그리고 키퍼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체인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물 압출가공 방법.
  66. 제 65 항에 있어서, 유압식 피스톤 실린더로 체인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물 압출가공 방법.
  67.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부위는 밀폐되었을 때 고정 부위에서부터 격벽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압출가공 시스템.
  68. 압출기와, 상류측 격벽을 구비한 진공 챔버와, 상류측 격벽의 내부상에 압출물을 형성하기 위한 압출 다이와, 하류측 격벽과, 압출가공 시스템을 따라서 상기 격벽들사이에 형성된 구조 빔과, 상기 빔을 둘러싸는 2 이상의 진공 챔버부를 포함하는 연속 압출가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진공 챔버부 중 하나는 진공 챔버를 개폐하기 위해 빔에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압출가공 시스템.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챔버부 중 하나는 다른 진공 챔버부에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압출가공 시스템.
  70.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이동을 위해 진공 챔버부 중 하나를 지지하는 트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압출가공 시스템.
  71. 제 68 항에 있어서, 구조 빔상의 트랙과, 진공 챔버내의 상기 트랙상에 지지되어 진공 챔버가 밀폐될 때 상기 하나의 진공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압출물을 위한 하류측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압출가공 시스템
  72.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격벽은 압출물을 냉각시켜 챔버로부터 압출물을 연속 분리시키기 위한 물 배플을 포함하고 있는 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압출가공 시스템.
KR10-1999-7001163A 1996-08-14 1997-08-11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515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96,472 1996-08-14
US08/696,472 1996-08-14
US08/696,472 US5753161A (en) 1996-08-14 1996-08-14 Vacuum extrusion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938A KR20000029938A (ko) 2000-05-25
KR100515183B1 true KR100515183B1 (ko) 2005-09-16

Family

ID=2479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163A KR100515183B1 (ko) 1996-08-14 1997-08-11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753161A (ko)
EP (3) EP1354690A3 (ko)
JP (4) JP2000516547A (ko)
KR (1) KR100515183B1 (ko)
CN (2) CN1087683C (ko)
AT (2) ATE282513T1 (ko)
AU (1) AU725359B2 (ko)
CA (1) CA2262690C (ko)
DE (2) DE69714264T2 (ko)
DK (1) DK0921926T3 (ko)
ES (2) ES2231383T3 (ko)
WO (1) WO19980065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6882A (en) * 1996-08-14 2000-09-12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Sealable chamber extrusion apparatus with seal controls
US6036468A (en) 1997-08-21 2000-03-14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Vacuum extrusion system
US6093350A (en) * 1996-08-14 2000-07-25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Sealable chamber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process controls
DE10109958C1 (de) * 2001-03-01 2002-04-18 Veka Ag Gekühlte Kalibriervorrichtung für eine Kunststoffextrusionsanlage
US7186102B2 (en) * 2001-04-26 2007-03-06 Strande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density cellular wood plastic composites
US8557884B2 (en) * 2002-05-31 2013-10-15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To enhance the thermal insulation of polymeric foam by reducing cell anisotropic ratio and the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7951449B2 (en) 2002-06-27 2011-05-31 Wenguang Ma Polyester core materials and structural sandwich composites thereof
AT6407U1 (de) * 2002-12-12 2003-10-27 Technoplast Kunststofftechnik Verfahren zur regelung der vakuumversorgung von kalibrierwerkzeugen
JP4833512B2 (ja) 2003-06-24 2011-12-0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被処理体処理装置、被処理体処理方法及び被処理体搬送方法
CA2444096C (en) * 2003-10-01 2007-05-08 Manfred A. A. Lupke Externally cooled moving mold
US8568632B2 (en) 2003-11-26 2013-10-29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Method of forming thermoplastic foams using nano-particles to control cell morphology
US9359481B2 (en) 2003-11-26 2016-06-07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Thermoplastic foams and method of forming them using nano-graphite
US7150614B2 (en) * 2003-12-18 2006-12-19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Horizontal vacuum chamber seal control device
WO2008005022A1 (en) 2006-07-05 2008-01-10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Polymer foams containing multi-functional layered nano-graphite
AT508213B1 (de) * 2009-04-07 2011-09-15 Amx Automation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zum kalibrieren von profilen
CN101767439A (zh) * 2010-03-05 2010-07-07 连云港杰瑞模具技术有限公司 一种挤出模具的水浸全密封负压定型系统
CN105500672B (zh) * 2016-01-22 2018-03-16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二次塑套设备
FR3105064B1 (fr) * 2019-12-23 2021-11-26 Michelin & Cie Machine d’extrusion utilisant une chaîne de rouleaux articulée pour engager et guider un profilé extrudé contre un rouleau refroidisseu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1107A (en) * 1979-11-05 1981-06-02 Condec Corporation Foa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US4783291A (en) * 1987-08-03 1988-11-08 U.C.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am extrusion into a vacuum chamber having a liquid baffle with control of the liquid level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0434A (en) * 1928-12-12 1935-02-05 Kohler Conrad Insulating material
US2987768A (en) * 1959-03-25 1961-06-13 Plastex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ding plastic conduit
US3295163A (en) * 1964-04-28 1967-01-03 Western Electric Co Strand cooling apparatus
US3428726A (en) * 1965-03-30 1969-02-18 Western Electric Co Method of cooling a jacket for a strand
US3584108A (en) * 1967-10-10 1971-06-08 Fmc Corp Oriented,foamed artic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GB1335816A (en) * 1969-08-08 1973-10-31 Airtech Ltd Sealing strips
US3704083A (en) * 1970-06-18 1972-11-28 Arthus L Phipps Extrusion machine
US3822331A (en) * 1971-12-10 1974-07-02 Grace W R & Co Continuous process for making low density thermoplastic foam
US4044084A (en) * 1975-08-11 1977-08-23 Phipps Arthur L Method of removing an article from a chamber having a reduced pressure therein
JPS54122892A (en) * 1978-02-28 1979-09-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am insulation electric cable
US4211739A (en) * 1978-07-10 1980-07-08 Condec Corporation Foa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US4199310A (en) * 1978-07-10 1980-04-22 Condec Corporation Extrusion apparatus
US4234529A (en) * 1978-12-18 1980-11-18 Cond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plastic foams
US4247276A (en) * 1979-08-27 1981-01-27 Condec Corporation Vacuum extrusion apparatus for forming foamed plastic products
FR2511265A1 (fr) * 1981-08-13 1983-02-18 Creusot Loire Chambre a vide modulaire extensible
US4585603A (en) * 1982-03-15 1986-04-29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rusion line for foamed insulation cables involving use of a plurality of generated and measured electrical signals
US4469652A (en) * 1982-09-20 1984-09-04 U.C. Industries Foa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US4445837A (en) * 1982-09-24 1984-05-01 U.C. Industries Foam extrusion die and monitoring apparatus
US4454082A (en) * 1982-09-24 1984-06-12 U.C. Indust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thickness of a foamed extrudate in an environmental control chamber downstream of an extrusion die
JPS5962122A (ja) * 1982-10-02 1984-04-0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合成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4486369A (en) * 1983-11-09 1984-12-04 Condec Corporation Controlled environment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AU608533B2 (en) * 1986-09-19 1991-04-11 Dow Chemical Company, The Fluidized vacuum seal
AU609736B2 (en) * 1986-09-19 1991-05-09 Dow Chemical Company, The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xtruded thermoplastic foam bodies
US5120481A (en) * 1989-02-28 1992-06-09 U.C. Industr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extruded foam bodies
US5340295A (en) * 1993-07-19 1994-08-23 The Conair Group, Inc. Vacuum sizing apparatus with controlled vacu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1107A (en) * 1979-11-05 1981-06-02 Condec Corporation Foa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US4783291A (en) * 1987-08-03 1988-11-08 U.C.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am extrusion into a vacuum chamber having a liquid baffle with control of the liquid le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06554A3 (en) 1998-03-26
EP0921926A2 (en) 1999-06-16
JP2000516547A (ja) 2000-12-12
CN1228051A (zh) 1999-09-08
KR20000029938A (ko) 2000-05-25
EP1354690A2 (en) 2003-10-22
DK0921926T3 (da) 2002-11-18
ATE282513T1 (de) 2004-12-15
EP1125714A2 (en) 2001-08-22
AU4059397A (en) 1998-03-06
CA2262690C (en) 2005-08-09
CN1087683C (zh) 2002-07-17
DE69731673T2 (de) 2006-03-02
CA2262690A1 (en) 1998-02-19
EP1354690A3 (en) 2003-11-26
DE69731673D1 (de) 2004-12-23
EP1125714A3 (en) 2002-01-30
JP2004351940A (ja) 2004-12-16
AU725359B2 (en) 2000-10-12
US5753161A (en) 1998-05-19
ES2231383T3 (es) 2005-05-16
EP0921926B1 (en) 2002-07-24
DE69714264D1 (de) 2002-08-29
JP2007269039A (ja) 2007-10-18
WO1998006554A2 (en) 1998-02-19
DE69714264T2 (de) 2003-03-20
JP2004314644A (ja) 2004-11-11
CN1403265A (zh) 2003-03-19
ATE220977T1 (de) 2002-08-15
ES2179361T3 (es) 2003-01-16
EP1125714B1 (en)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183B1 (ko) 진공 압출가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7269039A5 (ko)
US47832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am extrusion into a vacuum chamber having a liquid baffle with control of the liquid level
US6036468A (en) Vacuum extrusion system
AU2200499A (en) Foa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viscosity controls
EP0007723B1 (en) Foam extrusion apparatus
US4271107A (en) Foa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AU2001899A (en) Sealable chamber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seal controls
AU608533B2 (en) Fluidized vacuum seal
KR970003929B1 (ko) 포옴 압출 장치 및 방법
KR830001235B1 (ko) 거품 압출 조절 장치
IE62109B1 (en) Foa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