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044B1 -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044B1
KR100514044B1 KR10-2003-0031260A KR20030031260A KR100514044B1 KR 100514044 B1 KR100514044 B1 KR 100514044B1 KR 20030031260 A KR20030031260 A KR 20030031260A KR 100514044 B1 KR100514044 B1 KR 100514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driver
flow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931A (ko
Inventor
문종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04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등받이 및 쿠션시트 좌우측에 각각 에어베드를 설치한 후 그 에어베드의 팽창과 수축은 운전자의 자세변화에 따른 시트와 운전자의 접촉 압력 변화로 부터 구동하는 에어 흐름 제어용 밸브시스템을 통해 제어하므로서, 운전자의 체형 변화는 물론 차량의 운전 조건이나 도로의 노면 조건으로 부터 시트와 운전자의 접촉 압력 변화가 발생할 때 그 압력 변화로부터 에어베드의 평형상태와 압력 대응을 반복시켜 시트의 안정감 및 안락감을 통해 승차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 {Drive Sea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의 체형 변화는 물론 차량의 운전 조건이나 도로의 노면 조건으로 부터 시트와 운전자의 접촉 압력 변화가 발생할 때 그 압력 변화로 부터 평형상태와 압력 대응을 반복하도록 차량의 등받이 및 쿠션시트 좌우측에 각각 에어베드(air bed)를 설치하여 시트의 안정감 및 안락감을 통해 승차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차량의 운전석이나 보조석은 물론 뒷좌석의 시트는 모두 등받이시트와 쿠션시트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운전석이나 보조석의 등받이시트와 쿠션시트는 도 1에서와 같이, 접이식 힌지(1)에 등받이 프레임(2)과 쿠션 프레임(3)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와 쿠션 프레임(2)(3)에는 특정 형태로 성형된 탄성체(4)가 덮혀지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탄성체(4)는 운전중 발생하는 차량의 롤링(rolling)이나 피칭(pitching) 등에 그 탄성대응이 불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체형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탄성체(4)는 운전자와 국부적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바, 상기 탄성체(4)는 운전 중 가해지는 시트의 압력 변화 즉, 운전자의 접촉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였으며, 이로인하여 운전자는 차량의 주행 조건이나 도로의 노면 조건에 따라 어느 한쪽 방향으로 운전 자세가 치우치는 문제점을 가질수 밖에 없었다.
더불어, 상기의 운전 자세 치우침이 장기간의 운전이 이루어질 때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 운전자는 불안한 승차감으로 인해 상당한 피곤함을 느낄수 밖에 없었으며, 이는 곧 안전 운전의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등받이 및 쿠션시트 좌우측에 각각 에어베드(air bed)를 설치한 후 그 에어베드의 팽창과 수축은 운전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시트와 운전자의 접촉 압력 변화로부터 구동하는 에어 흐름 제어용 밸브시스템을 통해 제어하므로서, 운전자의 체형 변화는 물론 차량의 운전 조건이나 도로의 노면 조건으로부터 시트와 운전자의 접촉 압력 변화가 발생할 때 그 압력 변화로부터 에어베드의 평형상태와 압력 대응을 반복시켜 시트의 안정감 및 안락감을 통해 승차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다시말해, 본 발명은 압력감응 방식의 센서링(Sensoring) 개념을 도입하여, 안착 초기에는 모든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정적인 평형상태를 유지시키다가 차량의 동역학적인 거동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운전자의 자세 변화를 적절히 보상하여 시트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시동 온시 압력 감응형 시트의 평형 조건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시동 온시 압력 감응형 시트의 비평형 조건 상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동 온시 비평형 조건에서 시트의 압력 대응이 진행되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시동 온시 비평형 조건 이후 시트의 압력 평형이 진행되는 작동 상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평형 조건 이후 에어베드의 압력이 다운되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복수개의 에어베드가 평형조건을 유지하는 작동 상태도 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이식 힌지(1)에 등받이 프레임(2)과 쿠션 프레임(3)이 연결되고, 그 등받이와 쿠션 프레임(2)(3)에 특정 형태로 성형된 탄성체(4)가 덮혀지는 통상의 차량 시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2)과 쿠션 프레임(2)에 각각 설치되어 운전자의 접촉에 따른 압력 변화로부터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좌측 및 우측 에어베드(air bed)(11)(12);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에어베드(11)(12)로 공급될 에어를 저장하는 에어탱크(20); 및 상기 좌우측 에어베드(11)(12)로 에어탱크(20)에 저장된 고압의 에어를 공급 제어함은 물론 그 좌측 또는 우측 에어베드(11)(12)로 공급된 고압의 에어를 대기측으로 배출시켜 운전자의 시트 접촉 압력에 따른 좌우측 에어베드(11)(12)의 비평형 조건을 평형조건으로 전환시키는 밸브시스템(30); 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밸브시스템(30)은, 운전자의 시트 접촉 압력이 변화되어 좌측 또는 우측 에어베드(11)(12)가 비평형 조건으로 전환될 때 그 접촉 압력이 가해진 좌측 또는 우측의 에어베드(11)(12)를 평형 조건으로 전환시키도록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에어흐름 제어부(40), 차량의 시동 온으로 부터 구동하되 운전자의 시트 접촉 압력이 가해지는 좌측 또는 우측의 에어베드(11)(12)로 에어탱크(20)에 저장된 고압의 에어 공급을 제어하는 에어공급 제어부(50) 및, 운전자의 시트 접촉 압력이 낮게 가해지면서 좌우측 에어베드(11)(12)가 평형조건을 유지할 때 에어흐름 제어부(40)로 감압된 저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감압부(60);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에어흐름제어부(40)에는, 상기 좌우측 에어베드(11)(12)로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유로(71)(72)(73)(74), 에어탱크(20)의 제 5 유로(75)로 부터 분기된 제 6 및 제 7 유로(76)(77), 드레인용 제 8 유로(78)로 부터 분기되면서 제 1 및 제 2 체크밸브(79a)(80a)를 가지는 제 9 및 제 10 유로(79)(80), 제 5 유로(75)로 부터 분기되면서 에어감압부(60)를 형성한 제 11 유로(81)를 통해 제 3 및 제 4 체크밸브(82a)(83a)를 가지는 제 12 및 제 13 유로(82)(83) 및, 제 5 및 제 6 체크밸브(84a)(85a)를 가지는 제 14 및 제 15 유로(84)(85)가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에어흐름 제어부(40)는, 다수의 유로(71)(72)(73)(74)(76)(77)(79)(80)(82)(83)(84)(85)가 연결되는 에어흐름 안내용 실린더(41), 제 3 및 제 4 유로(73)(74)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에어로 부터 실린더(41)내의 평형조건이 비평형조건으로 전환될 때 좌우유동하여 접촉 압력이 가해진 에어베드(11)(12)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고 그 에어베드(11)(12)가 평형조건을 유지할때에는 에어베드(11)(12)에 걸린 고압의 에어를 대기측으로 배출시키도록 드레인 유로(42a)를 가지는 유로제어용 제 1 피스톤(42) 및, 좌우측 에어베드(11)(12)가 평형조건으로 전환될 때 상기 유로제어용 제 1 피스톤(42)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 스프링(43)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에어공급 제어부(50)는, 차량의 시동 온시 좌측 또는 우측의 에어베드(11)(12)로 운전자의 접촉 압력이 가해질 때 그 접촉 압력이 가해지는 에어베드(11 또는 12)로 에어탱크(20)에 저장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도록 구동하는 액추에이터(51)와, 상기 액추에이터(51)의 구동으로 부터 제 5 유로(75)를 통해 에어탱크(20)에 저장된 고압의 에어 공급을 제어하도록 좌우 유동하는 에어공급용 제 2 피스톤(52) 및, 상기 제 2 피스톤(52)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2 스프링(53)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운전석의 시트에 앉아 차량의 시동을 온 시킨 상태에서 움직임이 거의 없는 경우, 상기 운전석의 시트 즉, 등받이 프레임(2)에 설치된 좌우측 에어베드(11)(12)는 평형조건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평형조건은 도 3에서와 같이 좌우측 에어베드(11)(12)에 운전자의 접촉 압력이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온으로 부터 에어공급 제어부(60)에 구성된 액추에이터(51)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액추에이터(51)의 구동으로 부터 제 2 피스톤(52)은 제 5 유로(75)를 오픈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5 유로(75)의 오픈으로 부터 에어탱크(20)에 저장된 고압의 에어는 제 5 유로(75) 및 제 5 유로(75)로 부터 분기된 제 6 및 제 7 유로(76)(77)로 그 흐름이 안내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 에어베드(11)(12)에 가해지는 운전자의 접촉 압력이 동일한 경우, 상기 좌우측 에어베드(11)(12)내의 압력 변화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바,
상기 좌우측 에어베드(11)(12)와 제 1 내지 제 4 유로(71)(72)(73)(74)를 통해 연결된 에어흐름 안내용 실린더(41)내의 제 1 피스톤(42)은 좌우 유동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제 1 및 제 2 유로(71)(72)와 제 6 및 제 7 유로(76)(77)를 막아 에어탱크(20)로 부터 제 5 유로(75)를 통해 제 6 및 제 7 유로(76)(76)로 분기된 고압의 에어는 좌우측 에어베드(11)(12)로의 공급이 차단된다.
한편, 차량의 주행으로 부터 롤링 및 피칭 등이 발생하거나 또는 운전자의 자세 변화로 인해 좌측 또는 우측의 에어베드(11)(12)로 운전자의 접촉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운전자의 접촉 압력이 가해지는 좌측 또는 우측의 에어베드(11)(12)에는 순간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에어흐름 제어부(40)에 구성된 실린더(41)의 내부에는 제 9 및 제 10 유로(79)(80)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체크밸브(79a)(80a)가 작동되기 전에 상기의 순간압력이 제 3 유로(73)를 통해 전달되는 바, 상기의 순간압력으로 부터 에어흐름 제어부(40)에 포함된 실린더(41)의 내부는 평형 조건에서 비평형 조건으로 전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린더(41)의 내부가 평형조건에서 비평형조건으로 전환될 때, 상기 운전자의 접촉 압력이 가해지는 좌측 또는 우측의 에어베드(11)(12)에는 에어탱크(20)에 저장된 고압의 에어가 유입되도록 하였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실린더(41)의 내부가 비평형조건으로 전환되면, 상기 실린더(41)내에 위치하는 제 1 피스톤(42)은 제 3 유로(73)를 통해 실린더(41)의 내부로 유입된 압력으로 부터 일측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바, 상기 제 1 피스톤(42)의 유동으로 부터 운전자의 접촉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에어베드(11)의 에어 공급 루트 즉, 제 2 및 제 7 유로(72)(77)는 차단되지만, 운전자의 접촉 압력이 가해지는 에어베드(12)로는 제 5 및 제 6 유로(75)(76)와 제 유로(71)를 통해 에어탱크(20)에 저장된 고압의 에어가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베드(12)는 운전자의 접촉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압력은 제 1 유로(71)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에어 대응으로 팽창하여 운전자의 자세를 받쳐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린더(41)에는 제 5 및 제 6 체크밸브(84a)(85a)를 가지는 제 14 및 제 15 유로(84)(85)가 연결되어 있는 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5 체크밸브(84a)는 닫히고 제 6 체크밸브(85a)는 오픈된다.
이때, 상기 운전자의 자세를 받쳐준 에어베드(12)내의 압력은 상기 실린더(41)에 연결된 제 15 유로(85)를 통해 반대방향 즉, 좌측의 에어베드(11)로 그 흐름이 안내되므로서, 상기 좌측의 에어베드(11)는 팽창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에어베드(11)의 팽창과 동시에 제 1 피스톤(42)의 반대면에도 소정의 압력을 가진 에어가 가해지는바, 상기 제 1 피스톤(42)을 가지는 실린더(41)의 내부는 압력 평형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린더(41)의 내부가 도 7에서와 같이 평형조건을 유지하면, 상기 제 1 피스톤(42)에 의해 제 1 및 제 2 유로(71)(72)와 제 6 및 제 7 유로(76)(77)가 차단되어 좌우측 에어베드(11)(12)로의 에어공급은 차단된다.
더불어, 상기 실린더(41)에 연결된 제 12 및 제 13 유로(82)(83)의 제 3 및 제 4 체크밸브(82a)(83a)를 닫히고, 제 14 및 제 15 유로(84)(85)의 제 5 및 제 6 체크밸브(84a)(85a)는 모두 개방된다.
이때,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에어베드(11)(12)내에 남아있는 고압의 에어는 제 1 피스톤(42)의 양단에 형성된 드레인유로(42a)를 통해 제 9 및 제 10 유로(79)(80)로 안내되는 바, 상기 제 9 및 제 10 유로(79)(80)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체크밸브(79a)(80a)는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유로(42a)를 통해 배출되는 고압의 에어는 제 9 및 제 10 유로(79)(80)를 거치면서 제 8 유로(78)를 통해 대기측으로 그 배출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대기측의 에어 배출로 부터 좌우측 에어베드(11)(12)내의 압력은 다운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좌우측 에어베드(11)(12)내의 압력이 대기측으로 배출되면, 그 좌우측 에어베드(11)(12)는 도 8에서와 같은 평형조건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 에어베드(11)(12)로 가해지는 운전자의 접촉 압력이 서서히 작아지면서 그 접촉 압력이 전혀 없을 경우, 상기 에어탱크(20)에 연결된 제 5 유로(75)로 부터 분기되어 있는 제 11 유로(81)의 에어감압부(60)는 좌우측 에어베드(11)(12)로 아주 낮은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에어탱크(20)로 부터 제 5 유로(75)를 거친 고압의 에어가 제 11 유로(81)로 유입될 때, 상기 제 11 유로(81)에 형성된 에어감압부(60)는 그 고압의 에어를 감압시킨 후 이를 제 3 및 제 4 체크밸브(82a)(83a)가 개방된 제 12 및 제 3 유로(82)(83)를 통해 실린더(41)의 내부로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실린더(41)에서는 감압된 에어를 제 3 및 제 4 유로(83)(84)르르 통해 좌우측 에어베드(11)(12)로 공급하여, 상기 좌우측 에어베드(11)(12)의 평형조건을 낮은 압력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등받이 프레임(2)에 설치된 에어베드(11)(12)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며, 쿠션 프레임(3)에 설치된 에어베드의 경우도 상기의 설명과 그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등받이 및 쿠션시트 좌우측에 각각 에어베드를 설치한 후 그 에어베드의 팽창과 수축은 운전자의 자세변화에 따른 시트와 운전자의 접촉 압력 변화로 부터 구동하는 에어 흐름 제어용 밸브시스템을 통해 제어하므로서, 운전자의 체형 변화는 물론 차량의 운전 조건이나 도로의 노면 조건으로 부터 시트와 운전자의 접촉 압력 변화가 발생할 때 그 압력 변화로 부터 에어베드의 평형상태와 압력 대응을 반복시켜 시트의 안정감 및 안락감을 통해 승차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시트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동 온시 압력 감응형 시트의 평형조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동 온시 압력 감응형 시트의 비평형 조건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동 온시 비평형 조건에서 시트의 압력 대응이 진행되는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동 온시 비평형 조건 이후 시트의 압력 평형이 진행되는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평형 조건 이후 에어베드의 압력이 다운되는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복수개의 에어베드가 평형조건을 유지하는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좌측 에어베드 12; 우측 에어베드
20; 에어탱크 30; 밸브시스템
40; 에어흐름 제어부 41; 실린더
42; 제 1 피스톤 42a; 드레인 유로
43; 제 1 스프링 50; 에어공급 제어부
51; 액추에이터 52; 제 2 피스톤
53; 제 2 스프링 60; 에어감압부
71∼85; 제 1 내지 제 15 유로
79a,80a,82a,83a,84a,85a; 제 1 내지 제 6 체크밸브

Claims (5)

  1. 삭제
  2. 접이식 힌지에 등받이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이 연결되고, 그 등받이와 쿠션 프레임에 특정 형태로 성형된 탄성체가 덮혀지는 통상의 차량 시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운전자의 접촉에 따른 압력 변화로 부터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좌측 및 우측 에어베드;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에어베드로 공급될 에어를 저장하는 에어탱크; 및, 상기 좌우측 에어베드로 에어탱크에 저장된 고압의 에어를 공급 제어함은 물론 그 좌측 또는 우측 에어베드로 공급된 고압의 에어를 대기측으로 배출시켜 운전자의 시트 접촉 압력에 따른 좌우측 에어베드의 비평형 조건을 평형조건으로 전환시키는 밸브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시스템은, 운전자의 시트 접촉 압력이 변화되어 좌측 또는 우측 에어베드가 비평형 조건으로 전환될 때 그 접촉 압력이 가해진 좌측 또는 우측의 에어베드를 평형 조건으로 전환시키도록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에어흐름 제어부, 차량의 시동 온으로 부터 구동하되 운전자의 시트 접촉 압력이 가해지는 좌측 또는 우측의 에어베드로 에어탱크에 저장된 고압의 에어 공급을 제어하는 에어공급 제어부 및, 운전자의 시트 접촉 압력이 낮게 가해지면서 좌우측 에어베드가 평형조건을 유지할 때 에어흐름 제어부로 감압된 저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감압부;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흐름 제어부에는,
    상기 좌우측 에어베드로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유로,
    에어탱크의 제 5 유로로 부터 분기된 제 6 및 제 7 유로,
    드레인용 제 8 유로로 부터 분기되면서 제 1 및 제 2 체크밸브를 가지는 제 9 및 제 10 유로,
    제5 유로로 부터 분기되면서 에어감압부를 형성한 제 11 유로를 통해 제 3 및 제 4 체크밸브를 가지는 제 12 및 제 13 유로 및,
    제5 및 제 6 체크밸브를 가지는 제 14 및 제 15 유로가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흐름 제어부는,
    다수의 유로가 연결되는 에어흐름 안내용 실린더,
    제3,4 유로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에어로 부터 실린더내의 평형조건이 비평형조건으로 전환될때 좌우유동하여 접촉 압력이 가해진 에어베드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고 그 에어베드가 평형조건을 유지할때에는 에어베드에 걸린 고압의 에어를 대기측으로 배출시키도록 드레인 유로를 가지는 유로제어용 제 1 피스톤 및,
    좌우측 에어베드가 평형조건으로 전환될 때 상기 유로제어용 제 1 피스톤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 온시 좌측 또는 우측의 에어베드로 운전자의 접촉 압력이 가해질 때 그 접촉 압력이 가해지는 에어베드로 에어탱크에 저장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도록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으로 부터 제 5 유로를 통해 에어탱크에 저장된 고압의 에어 공급을 제어하도록 좌우 유동하는 에어공급용 제 2 피스톤 및,
    상기 제 2 피스톤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2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
KR10-2003-0031260A 2003-05-16 2003-05-16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 KR100514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260A KR100514044B1 (ko) 2003-05-16 2003-05-16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260A KR100514044B1 (ko) 2003-05-16 2003-05-16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931A KR20040098931A (ko) 2004-11-26
KR100514044B1 true KR100514044B1 (ko) 2005-09-13

Family

ID=3737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260A KR100514044B1 (ko) 2003-05-16 2003-05-16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424B1 (ko) 2015-12-15 2016-10-17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의 에어셀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931A (ko)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4129B2 (en) Air bladder with stacked cell system
JP5892138B2 (ja) ショルダサポートアジャスタ及び車両用シート
US4722550A (en) Seat assembly for motor vehicle
US4915124A (en) Bladder press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129419A (en) Adjustable comfort seat
JP2005095616A (ja) 圧力レベルを制御および/または調整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H06237838A (ja) メモリを備えた自動プログラム可能腰部システム
JP663689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及び車両シートの空気圧制御方法
JP2019137102A (ja) 車両用シート
US6497454B1 (en) Vehicle seat control lever
JP2018197029A (ja) 乗物用シート
KR100514044B1 (ko) 압력 감응형 시트 장치
CN104870250B (zh) 汽车用座椅装置
KR20010061858A (ko) 자동 형상조절이 가능한 시트
EP3597477B1 (en) Vehicle seat massage system
WO2000003628A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a variable support mechanism
EP0915796B1 (en) Cab suspension
US6612646B1 (en) Support and pneumatic pressure accumulator for a vehicle seat
KR19980026291U (ko) 자동차 시트
CN220742792U (zh) 一种气动腿部可调节支撑装置以及汽车座椅
JPH0516635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200217274Y1 (ko) 차량시트용 공기스프링의 공기압조절장치
KR100199489B1 (ko)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19980026292U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JP2022189111A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