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760B1 -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 및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 및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760B1
KR100513760B1 KR10-2003-0042670A KR20030042670A KR100513760B1 KR 100513760 B1 KR100513760 B1 KR 100513760B1 KR 20030042670 A KR20030042670 A KR 20030042670A KR 100513760 B1 KR100513760 B1 KR 100513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information
lens
mod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106A (ko
Inventor
박정연
박기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7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영기 필터 전환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는, 전환에 대응하여, 전환 이전에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될 필터에 대한 정보인 제1 필터 정보와, 전환 이후에 렌즈의 전면부로 전환된 필터에 대한 정보인 제2 필터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 정보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와 관련된 정보인 메모리 필터 모드를 설정하며, 메모리 필터 모드와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기설정된 필터에 대한 정보인 메뉴 필터 모드를 비교하여, 현재 렌즈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의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를 전환하는 필터 전환부를구비한다. 이에 의해, 필터의 위치를 판별 할 수 있으며, 촬영기 초기화시 필터 전환부의 탈조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 및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a filter changeover equipment for camera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촬영기 필터 전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리를 통해 필터 전환 감지 센서의 기능을 가능하도록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밤/낮 기능을 가진 촬영기는 컬러 및 흑백 모드 전환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컬러모드는 일정 밝기 이상일 경우에 사용되며, 일정 밝기 이하가 되면 색의 식별이 힘들기 때문에 흑백 모드를 사용하게 된다. 칼라 모드와 흑백 모드 전환은 촬영기 전면부에 있는 컬러 모드용 필터인 IR(infra red) 필터와 흑백 모드용 필터인 ND(neutral density) 필터를 전환함으로서 가능하다. 이때 줌 렌즈 일체형 촬영기의 경우에는 센서를 구비하여 현재 위치를 인식하도록 되어 있으나 그 외의 자동 조리개 렌즈 및 메뉴얼 렌즈 등 다양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촬영기는 별도의 센서 없이 촬영기 초기화시에 필터를 한쪽으로 방향으로 이동시켜 필터의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도 1은 밤/낮 기능을 구비한 촬영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따른 촬영기는 IR 필터(110), ND 필터(120), 필터 고정부(130),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부(140), 촬영기 렌즈(150)로 구성되어 있다. 칼라 및 흑백 전환에 따라 스텝핑 모터부(140)가 구동하고, 이 스텝핑 모터부(140)와 연결되어 있는 필터고정부(130)가 이동함에 따라, 이 필터고정부(130)에 고정되어 있는 IR 필터(110) 및 ND 필터(120)는 렌즈(110) 전면부에 위치하여 칼라 및 흑백 모드 기능을 수행하며, 촬영기 초기화 이후에는 촬영기 렌즈 전면부에 항상 IR 필터를 위치시켜 놓은 후, 필터의 전환을 수행한다.
도 2는 종래 촬영기의 필터 인식 방법을 나타낸다. 전원이 들어와 촬영기가 초기화되면(S200), IR 필터를 렌즈 전면부로 항상 이동시킨다(S230). 이 과정을 통해 초기화 후에는 필터가 항상 IR필터로 되어 있음으로 인식할 수 있다. S230 단계 이후에 촬영기의 일반적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260).
그러나 종래와 같이 초기화시 항상 필터를 한쪽으로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필터 전환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 이동하려는 필터가 촬영기 렌즈(150) 전면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이동할 공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이동하게 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IR 필터(110)이 이미 렌즈 전면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촬영기가 초가화되면 스텝핑 모터부(140)는 IR 필터(110)을 필터 전면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터 고정부(130)를 ND 필터(12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고정부(130)는 이동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스텝핑 모터부(140)에 무리가 가게 되고, 스텝핑 모터부(140)의 탈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센서의 기능을 제공하여 필터의 위치를 명확히 판별하며, 그에 따라 효율적인 필터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는,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이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렌즈용 필터를 구비한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에 대응하여, 전환 이전에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될 필터에 대한 정보인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전환 이후에 상기 렌즈의 전면부로 전환된 필터에 대한 정보인 제2 필터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상기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필터 정보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와 관련된 정보인 메모리 필터 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와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기 설정된 필터에 대한 정보인 메뉴 필터 모드를 비교하여, 현재 상기 렌즈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의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를 전환하는 필터 전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필터 정보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로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는 정상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필터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는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정상상태이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에 설정된 정보와 상기 메뉴 필터 모드로 설정된 정보가 동일한 경우, 현재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한 필터를 전환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정상상태이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에 설정된 정보와 상기 메뉴 필터 모드로 설정된 정보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메뉴 필터 모드에 설정된 필터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를 상기 렌즈 전면부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정상상태인 경우에 상기 필터를 전환할 경우에는, 전환 이전에,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될 필터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1 필터 정보를 갱신하고, 전환 직후 상기 전환된 필터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2 필터 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 상기 필터를 전환할 경우에는, 전환 전에는 제1 필터 정보를 갱신하지 않고, 상기 필터를 전환한 후, 전환 이후에 상기 전환된 필터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2 필터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상기 렌즈용 필터는, IR(infra red) 필터 및 ND(neutral density) 필터 중 어느 하나 이며, 상기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기의 필터 전환 방법은,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이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렌즈용 필터를 구비한 촬영기에 있어서, 상기 전환에 대응하여, 전환 이전에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될 필터에 대한 정보인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전환 이후에 상기 렌즈의 전면부로 전환된 필터에 대한 정보인 제2 필터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촬영기가 초기화되는 단계, 상기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필터 정보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와 관련된 정보인 메모리 필터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와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기설정된 필터에 대한 정보인 메뉴 필터 모드를 비교하여, 현재 상기 렌즈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의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단계 및 상기 제어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재어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필터 정보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로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는 정상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필터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는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정상상태이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에 설정된 정보와 상기 메뉴 필터 모드로 설정된 정보가 동일한 경우, 현재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한 필터를 전환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정상상태이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에 설정된 정보와 상기 메뉴 필터 모드로 설정된 정보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메뉴 필터 모드에 설정된 필터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를 상기 렌즈 전면부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정상상태인 경우에 상기 필터를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될 필터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1 필터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다 전환될 필터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2 필터 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 상기 필터를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다 전환될 필터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2 필터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렌즈용 필터는, IR(infra red) 필터 및 ND(neutral density) 필터 중 어느 하나 이며, 상기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전환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른 필터 전환 장치는 메모리(300), 제어부(320), 필터 고정부(330), IR 필터(332), ND 필터(336), 스텝핑 모터부(340), 키 입력부(350)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350)는 사용자로 부터 소정의 키 입력을 받아 렌즈(미도시) 전면부에 위치할 필터를 선택하는 메뉴 필터 모드 및 초기화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320)에 송신한다. 제어부(320)는 스텝핑 모터부(340)를 구동하여 필터 고정부(330)를 이동시켜 메뉴 필터 모드에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는 필터를 렌즈 전면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메뉴 필터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촬영기의 자동 선택에 의해 변환하고자 하는 필터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IR 필터(332) 및 ND 필터(336)를 구비하고 있으며, 메뉴 필터 모드에 따라 IR 필터(332) 및 ND 필터(336)가 상호 전환되게 이루어져 있다. 이때 필터 전환 이전에 메모리(300)에 전환할 필터 정보인 제1 필터 정보를 기록하고, 전환이 완료된 이후에 전환된 필터 정보인 제2 필터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키입력부(350)에 의해 초기화 신호가 수신되면,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정보를 비교하여 필터의 위치를 판별한다. 메모리에 저장된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 정보에 대응하여 현재 렌즈 전면부에 대응하는 필터를 판단하여 이 필터에 대응하는 정보가 메모리 필터 모드로 설정된다. 즉,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 정보에 동일하게 IR 필터(332)에 대응되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IR 필터(332)가 현재 렌즈 전면부에 정상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메모리 필터 모드를 IR 필터(332)에 대응되는 정보로 설정하고,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 정보에 동일하게 ND 필터(336)에 대응되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ND 필터(336)가 현재 렌즈 전면부에 정상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메모리 필터 모드를 ND 필터(336)에 대응되는 정보로 설정한다. 한편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 정보가 각각 다를 경우는, 필터가 전환 도중에 멈추어져, 렌즈 전면부에 어떠한 필터도 정상적으로 위치하고 있지 않는 비정상적인 경우로 판별한다.
정상적인 경우로 판별되면 메모리 필터 모드와 메뉴 필터 모드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동일하지 않을 경우, 메뉴 필터 모드에 대응되는 필터를 렌즈 전면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 전후에 메모리(300)에 이동할 필터, 즉 메뉴 필터 모드의 정보로 제1 필터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메뉴 필터 모드에 대응되는 필터로 렌즈 전면부의 필터를 전환하며, 전환 완료 후 전환된 필터, 정상적으로 처리 된 경우 메뉴 필터 모드에 대응되는 필터의 정보로 제2 필터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그러나 렌즈가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메뉴 필터 모드에 대응되는 필터를 렌즈 전면부로 이동시키며, 필터 전환 후에 전환된 필터의 정보로 제2 필터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비정상적인 경우가 연속하여 두 번 이상 발생할 경우, 필터의 위치 판단시 오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필터 정보는 업데이트 하지 않는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기의 필터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렌즈 전면부에 위치 시키고자 하는 필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메뉴 필터 모드로 설정한다(S400). 렌즈 전면부의 필터를 메뉴 필터 모드의 필터로 전환하기 이전에 제1 필터 정보에 전환하려고 하는 필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록한다(S410). 필터를 전환 한 이후(S420), 제2 필터 정보에 렌즈 전면부로 전환이 완료된 필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록한다(S430). 이후 촬영기를 초기화한다(S440). 위의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 정보 그리고 메뉴 필터 모드에 기초하여 필터의 초기 위치를 설정한다(S450). 사용자에 의해 메뉴 필터 모드가 업데이트 되어 필터가 전환될 경우에는 필터 전환 전후에 각가 S410 단계 및 S420 단계를 수행한다.
도 5는 도 4의 필터 초기 위치 설정단계(S450)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우선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 정보 그리고 메뉴 필터 모드를 판독한다(S452).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 정보를 비교하여 필터의 위치의 정상 여부를 판별한다(S454).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 정보가 동일할 경우 필터는 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별하며, 메모리 필터 모드는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 정보에 동일하게 기록된 정보로 설정한다.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는 비정상으로 판별한다. 정상으로 판별될 경우는 메모리 필터 모드와 메뉴 필터 모드를 비교하여(S455) 동일할 경우는 필터를 전환하지 않고, 다를 경우에는 메뉴 필터 모드에 대응되는 필터로 렌즈 전면부의 필터를 전환한다. 이때 전환 전에 전환할 필터 정보로 제1 필터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S456), 전환한 후(S457), 전환된 필터 정보로 제2 필터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S459). 만약 S454 단계에서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메뉴 필터 모드에 대응되는 필터를 렌즈 전면부로 이동시키며(S457), 이동 후에 제2 필터 정보를 렌즈 전면부로 이동된 필터에 대응하는 정보로 업데이트한다(S459). 비정상적인 경우로 판별되어 필터를 이동하던 도중에 또 다시 비정상적인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필터의 위치를 오판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제1 필터 정보는 업데이트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ND 필터(336)에서 IR 필터(332)로 이동중에 이동이 중단된 경우 제1 필터 정보에는 IR 필터(332)의 정보가, 제2 필터 정보에는 ND 필터(336)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초기화가 이루어 질 때 메뉴 필터 모드가 ND 필터(336)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필터 정보에도 기록하게 되면 이동을 시작하기 전에 제1 필터 정보에 ND 필터(336)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필터를 전환하게 된다. 이때 필터 전환이 완료 되기 이전에 또 다시 동작이 멈추어지는 경우 제1 필터 정보와 제2 필터 정보가 동일하게 된다. 필터는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으나 메모리(300)상에 필터가 정상적인 경우로 나타난다. 위와 같이 제1 필터 정보를 업데이트 하지 않는 이유는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센서 없이도 필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 촬영기 초기화시 실행하던 무조건 적인 필터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필터를 전환하는 스텝핑 모터부의 탈조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메모리를 구비하여 필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필터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필터를 구동하는 스텝핑 모터부의 탈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밤/낮 기능을 구비한 촬영기,
도 2는 종래 촬영기의 필터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기 필터 전환 장치의 블럭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기의 필터 전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도4의 필터 초기 위치 설정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메모리 320 : 제어부
332 : IR 필터 336 : ND 필터
340 : 스텝핑 모터부

Claims (12)

  1.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이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렌즈용 필터를 구비한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에 대응하여, 전환 이전에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될 필터에 대한 정보인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전환 이후에 상기 렌즈의 전면부로 전환된 필터에 대한 정보인 제2 필터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상기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필터 정보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와 관련된 정보인 메모리 필터 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와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기설정된 필터에 대한 정보인 메뉴 필터 모드를 비교하여, 현재 상기 렌즈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의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를 전환하는 필터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필터 정보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로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는 정상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필터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는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정상상태이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에 설정된 정보와 상기 메뉴 필터 모드로 설정된 정보가 동일한 경우, 현재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한 필터를 전환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정상상태이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에 설정된 정보와 상기 메뉴 필터 모드로 설정된 정보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메뉴 필터 모드에 설정된 필터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를 상기 렌즈 전면부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정상상태인 경우에 상기 필터를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될 필터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1 필터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전환된 필터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2 필터 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 상기 필터를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 전환된 필터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2 필터 정보만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용 필터는,
    IR(infra red) 필터 및 ND(neutral density) 필터 중 어느 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장치.
  7.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이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렌즈용 필터를 구비한 촬영기의 필터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환에 대응하여, 전환 이전에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될 필터에 대한 정보인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전환 이후에 상기 렌즈의 전면부로 전환된 필터에 대한 정보인 제2 필터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b) 상기 촬영기가 초기화되는 단계;
    (c) 상기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필터 정보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와 관련된 정보인 메모리 필터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와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기설정된 필터에 대한 정보인 메뉴 필터 모드를 비교하여, 현재 상기 렌즈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의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터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필터 정보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로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는 정상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제1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필터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는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정상상태이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에 설정된 정보와 상기 메뉴 필터 모드로 설정된 정보가 동일한 경우, 현재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한 필터를 전환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정상상태이고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에 설정된 정보와 상기 메뉴 필터 모드로 설정된 정보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메뉴 필터 모드에 설정된 필터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를 상기 렌즈 전면부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방법.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정상상태인 경우에 상기 필터를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 렌즈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될 필터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1 필터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필터를 전환한 이후, 상기 전환된 필터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2 필터 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메모리 필터 모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 상기 필터를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 전환된 필터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2 필터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용 필터는,
    IR(infra red) 필터 및 ND(neutral density) 필터 중 어느 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
KR10-2003-0042670A 2003-06-27 2003-06-27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 및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 KR100513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670A KR100513760B1 (ko) 2003-06-27 2003-06-27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 및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670A KR100513760B1 (ko) 2003-06-27 2003-06-27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 및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106A KR20050001106A (ko) 2005-01-06
KR100513760B1 true KR100513760B1 (ko) 2005-09-09

Family

ID=37216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670A KR100513760B1 (ko) 2003-06-27 2003-06-27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 및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679B1 (ko) 2014-03-19 2020-12-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필터 전환 장치
WO2021046291A1 (en) 2019-09-06 2021-03-11 Light Widow,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filter data on a matte box
CN113747149B (zh) * 2021-08-26 2024-04-16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滤光片的异常检测方法、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106A (ko)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966B1 (ko) 온도 검출에 따른 카메라 동작 제어장치 및 방법
US7064904B2 (en) Image processor allowing shooting at close range
US7768573B2 (en) Optical apparatus and image-taking apparatus
CN102547113A (zh) 摄像装置、摄像装置控制方法及其程序
US5638217A (en) Lens control device
US6476857B1 (en) Multi-point monitor camera system
US5055933A (e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and automatic focusing method for automatically matching focus in response to video signal
EP0888002B1 (en) Interchangeable lens for a TV camera
KR100513760B1 (ko) 촬영기의 필터 전환 장치 및 촬영기 필터 전환 방법
US4556907A (en) Video camera operating device
JPH04229846A (ja) ビデオカメラ
US7388615B2 (en) Lens apparatus allowing changing user settings to standard settings
US8947541B2 (en) Lens apparatus controllable via multiple control sources and image pickup system including the lens apparatus
KR20080051905A (ko) 온도 검출에 따른 카메라 동작 제어장치 및 방법
US5699116A (en) Camera apparatus
US7280148B2 (en) Optical control system
JPH055822A (ja) リヤーフオーカス式のカメラシステム
JPH0923367A (ja) レンズユニット交換可能な撮像装置
US7460166B2 (en) Switchover image taking apparatus
WO2021153205A1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1208953A (ja) ズームカメラ
JP2002182102A (ja) レンズシステム
JP2001318406A (ja) レンズカバー付きカメラ
US5233383A (en) Zooming control device for a camera
KR0181287B1 (ko) 캠코더의 초기화각 유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