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608B1 -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608B1
KR100513608B1 KR10-2003-0094208A KR20030094208A KR100513608B1 KR 100513608 B1 KR100513608 B1 KR 100513608B1 KR 20030094208 A KR20030094208 A KR 20030094208A KR 100513608 B1 KR100513608 B1 KR 10051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ed
pipe
length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372A (ko
Inventor
서성만
Original Assignee
서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만 filed Critical 서성만
Priority to KR10-2003-009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608B1/ko
Publication of KR2004000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50Circulation mixers, e.g. wherein at least part of the mixture is discharged from and reintroduced into a recepta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고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게 한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방으로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을 방지함에 있어서, 상기 제방의 후측 저수된 물속에 있는 도입부의 길이를 따라 그 상면에 형성되며 개구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 덮개가 안치된 홈과; 상기 홈에 길이를 따라 내설되며 길이를 따라 다수로 형성된 제1기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저수된 물속에 주입하는 제1관과; 일단은 상기 홈 내에 위치하고 타단이 심층수에 위치하도록 상기 도입부에 길이를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타단으로 흡입한 물을 일단으로 배출하여 심층수의 상하 순환을 유도하게 한 제2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pollution of reservoir water}
본 발명은 제방으로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고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게 한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뭄, 홍수 등으로부터의 피해방지,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으로의 사용을 위한 물의 치수 목적으로 하천에는 제방이 설치됨이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제방은 물을 막아 저수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한다.
그러나, 자연 흐름을 막게 되면 물 자체가 흘러가지 않고 고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다량의 유기물로 인해 물이 쉽게 부패하여 수질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갈수기 등의 시기에 물을 자주 방류하지 않는 경우와 같이 물을 장기간 저수하게 되면 수질 악화가 특히 심하였고, 녹조류 등의 번성으로 용존산소량이 감소하여 죽은 물이 되곤 하였다.
이와 같이 수질이 악화된 물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하류로 방류하게 되면, 생태계의 파괴는 자명한 사실이고, 식수로 사용할 경우에는 많은 정화 비용과 처리 시간의 연장이라는 문제를 초래하게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고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게 한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방으로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을 방지함에 있어서, 상기 제방의 후측 저수된 물속에 있는 도입부의 길이를 따라 그 상면에 형성되며 개구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 덮개가 안치된 홈과; 상기 홈에 길이를 따라 내설되며 길이를 따라 다수로 형성된 제1기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저수된 물속에 주입하는 제1관과; 일단은 상기 홈 내에 위치하고 타단이 심층수에 위치하도록 상기 도입부에 길이를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타단으로 흡입한 물을 일단으로 배출하여 심층수의 상하 순환을 유도하게 한 제2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조에서, 상기 제2관은 일단으로 공급되어 방출되는 공기를 통해 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저수된 물의 주위로 접하는 법면의 길이에는 길이를 따라 다수로 형성된 제2기공을 통해 저수된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3관을 더 설치하여 사방에서 저수된 물에 공기를 주입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 저수된 물의 주위로 접하는 법면에는 그 횡측 길이를 따라 소정 거리를 두고 제4관을 다수로 더 설치하여 사방에서 심층수를 흡입하여 수면으로 살수하게 함으로써 심층수의 상하 순환을 유도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가 제방 및 저수된 물의 주위 법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에서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1관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에서 물의 순환을 유도하는 제2관 및 그 순환을 유도하게 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에서 저수된 물의 주위 법면에 설치되어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3관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에서 제1및 제2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에서 제4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는 제방 (B) 및 저수된 물의 주위 법면(S)에 설치되어 수질오염을 방지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는 제방(B)에 형성된 홈(10)을 포함한다.
상기 홈(10)은 소정 폭과 깊이를 갖으며 상기 제방(B)의 후측 저수된 물속에 있는 도입부(I)의 상면에 그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되며, 개구에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덮개(C)가 분리되게 안치되어 있다. 이 홈(10)은 상기 제방(B)의 시공시 형성된다.
이러한 홈(10)의 내부에는 1개이상의 제1관(20)이 내설되어 있다. 이 제1관 (2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물속에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관(20)은 길이로 상기 홈(10)에 길이를 따라 내설되며, 길이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제1기공(21)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물속에 주입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1관(20)과 연결된 예컨대, 콤프레서, 공기펌프 등과 같은 장치로부터 펌핑되어 압송된 공기를 말하며, 이 장치는 관리를 위해 상기 제방(B)의 외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방(B)의 도입부(I)에는 제2관(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관 (30)은 물속에서 물을 흡입하고 배출함으로써 거의 유동이 없는 심층수를 유동시켜 순환을 유도하게 한다. 이러한, 제2관(20)은 길이를 갖으며 일단은 상기 홈(10) 내에 위치하고 타단이 심층수에 위치하도록 상기 도입부(I)에 길이를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일단으로 공급되어 방출되는 공기를 통해 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2관(20)은 상기 제방(B)의 시공시 매설된다.
즉, 상기 제2관(30)의 일단은 상기 제방(B)의 외부에 설치된 예컨대, 콤프레서, 공기펌프 등과 같은 장치와 연결된 상기 홈(10)의 길이를 따라 길게 내설된 에어호스(H)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에어호스(H)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방출함으로써 타단으로 물을 흡입하여 이 공기와 함께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거의 유동이 없는 심층수가 유동되어 공기와 함께 상하로 순환하게 된다.
한편, 저수된 물의 주위로 접하는 법면(S)에는 1개이상의 제3관(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3관(40)은 법면(S)의 횡축 길이를 따라 길게 설치되어 저수된 물의 주위에서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 제3관(4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길이를 따라 다수로 형성된 제2기공(41)을 통해 물속에 주입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3관(40)과 연결된 예컨대, 콤프레서, 공기펌프 등과 같은 장치로부터 펌핑되어 압송된 공기를 말하며, 이 장치는 관리를 위해 상기 제방(B)의 외부에 설치된다. 이때, 제3관(40)은 갈수기 시 물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저수량을 고려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저수된 물의 주위로 접하는 법면(S)에는 제4관(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4관(50)은 법면(S)의 횡축 길이를 따라 소정 거리를 두고 다수로 설치되며, 일단은 수면 위에 위치하고 타단이 심층수에 위치하도록 법면(S)에 종축으로 설치되어 심층수를 흡입하여 수면으로 살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4관(50)은 일단을 절곡하여 흡입된 물이 다시 타단으로 토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일단으로 공급되어 방출되는 공기 또는 물을 통해 심층수의 흡입 살수를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4관(50)의 일단에는 가지관(51)이 연결되며, 이 가지관(51)은 예컨대, 콤프레서, 공기펌프, 수중펌프 등과 같은 장치와 연결된 이송관(52)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치의 구동으로 이송관(52)을 통해 압송된 물 또는 공기는 가지관(51)을 거쳐 상기 제4관(50)의 일단으로 방출되며, 이 방출로 상기 제4관(50)은 심층수를 타단으로 흡입하여 일단으로 살수할 수 있다. 살수는 수면 위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지관(51)은 상기 제4관(50)의 흡입 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그 일단과 경사지게 연결되며, 상기 이송관(52)은 상기 제4관(50)이 설치된 법면 (S)의 횡축 길이를 따라 설치된다.
참조부호(M)는 법면(S)의 붕괴 또는 유실 등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축조되는 돌망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는 제방(B)으로 저수된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1관(20)과, 거의 유동이 없는 저수된 물의 심층수를 유동시켜 상하로 순환시켜 물의 순환을 유도하며 공기 또한 주입하는 제2관(30)을 통해 물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며 부패를 막아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는 제1및 제2관(20,30)의 작업영역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저수된 물에 골고루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법면(S)에설치된 제3관(40)을 통해 사방에서 공기를 주입하게 하고, 또한 제4관(50)을 통해 때로는 공기가 포함되게 심층수를 수면으로 살수하여 사방에서 심층수의 상하 순환을 유도하기 때문에 결국 물의 순환을 유도하여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한다. 특히, 제4관(50)은 수면으로 살수되는 물 분사로 시각적 즐거움을 더 제공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방에 설치되어 저수된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고 물을 순환시키는 제1및 제2관과 저수된 물의 사방에서 공기를 주입하고 물을 순환시키도록 법면에 설치된 제3및 제4관을 통해 물의 부패를 막아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가 제방 및 저수된 물의 주위 법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에서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1관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에서 물의 순환을 유도하는 제2관 및 그 순환을 유도하게 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에서 저수된 물의 주위 법면에 설치되어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3관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에서 제1및 제2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에서 제4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홈 20:제1관
21:제1기공 30:제2관
40:제3관 41:제2기공
50:제4관 51:가지관
52:이송관 B:제방
C:덮개 H:에어호스
M:돌망태 S:법면

Claims (4)

  1. 제방으로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을 방지함에 있어서,
    상기 제방의 후측 저수된 물속에 있는 도입부의 길이를 따라 그 상면에 형성되며 개구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 덮개가 안치된 홈과;
    상기 홈에 길이를 따라 내설되며 길이를 따라 다수로 형성된 제1기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저수된 물속에 주입하는 제1관과;
    일단은 상기 홈 내에 위치하고 타단이 심층수에 위치하도록 상기 도입부에 길이를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타단으로 흡입한 물을 일단으로 배출하여 심층수의 상하 순환을 유도하게 한 제2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은 일단으로 공급되어 방출되는 공기를 통해 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수된 물의 주위로 접하는 법면의 횡축 길이에는 길이를 따라 다수로 형성된 제2기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저수된 물속에 주입하는 제3관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저수된 물의 주위로 접하는 법면에는 그 횡측 길이를 따라 소정 거리를 둔 제4관이 다수로 설치되어 있고, 이 제4관은 일단이 수면 위에 위치하고 타단이 심층수에 위치하도록 법면에 종축으로 설치되어 일단으로 공급되어 방출되는 공기 또는 물을 통해 심층수를 흡입하여 수면으로 살수하게 함으로써 심층수의 상하 순환을 유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KR10-2003-0094208A 2003-12-20 2003-12-20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KR100513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08A KR100513608B1 (ko) 2003-12-20 2003-12-20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08A KR100513608B1 (ko) 2003-12-20 2003-12-20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678U Division KR200344051Y1 (ko) 2003-12-20 2003-12-20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372A KR20040007372A (ko) 2004-01-24
KR100513608B1 true KR100513608B1 (ko) 2005-09-09

Family

ID=3731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208A KR100513608B1 (ko) 2003-12-20 2003-12-20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050B1 (ko) * 2005-05-16 2006-05-12 이바도 하천 정화 장치
EP1896371A4 (en) * 2005-05-16 2008-09-17 Ba Do Lee DEVICE FOR TREATING BACHWATER
KR100972641B1 (ko) * 2008-01-18 2010-07-28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상·하수용 오존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오존공급방법
CN100569672C (zh) * 2008-04-09 2009-12-16 江苏裕仁工贸发展有限公司 接力式河流净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372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737B1 (ko) 전도식 수문장치
KR100780455B1 (ko) 어도를 갖는 전도식 수문구조
CN105110459B (zh) 污水处理用填料拦截及疏导系统
KR101493984B1 (ko) 산소용해장치
KR100513608B1 (ko)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KR200344051Y1 (ko) 저수된 물의 수질오염방지구조
KR100753949B1 (ko) 고압수에 의한 파이프 내부 세정장치
CN105110458B (zh) 疏导型污水处理填料循环系统
CN105110456B (zh) 低能耗填料拦截及疏导系统
KR100973773B1 (ko) 수족관 정수장치
KR100890361B1 (ko) 저층수를 이용한 적조 피해 방지 장치
CN211470992U (zh) 一种盐碱地排盐处理装置
RU193335U1 (ru) Струйный насос для забор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ловых отложений
KR101359437B1 (ko) 역세척 정화블럭이 구비된 자연친화적인 생태연못조성
KR20120108180A (ko) 정화조의 살충 장치
KR101123339B1 (ko) 정화조의 살충 장치
KR200420069Y1 (ko) 수중 그물망 세척장치
JP3082853B2 (ja) 水質浄化装置
CN107268551B (zh) 一种蓄水节水农田灌渠装置
KR100540193B1 (ko) 수질 개선 장치
CN212835792U (zh) 一种海绵城市排水结构及海绵城市水循环系统
KR200342194Y1 (ko)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유압식 수문구조
KR101712061B1 (ko)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
KR102241582B1 (ko)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KR20040010434A (ko)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유압식 수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