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925B1 -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925B1
KR100512925B1 KR20020011083A KR20020011083A KR100512925B1 KR 100512925 B1 KR100512925 B1 KR 100512925B1 KR 20020011083 A KR20020011083 A KR 20020011083A KR 20020011083 A KR20020011083 A KR 20020011083A KR 100512925 B1 KR100512925 B1 KR 100512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internet
stream packet
broadcasting
rela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1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778A (ko
Inventor
신옥균
Original Assignee
신옥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옥균 filed Critical 신옥균
Priority to KR20020011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925B1/ko
Priority to AU2003212667A priority patent/AU2003212667A1/en
Priority to PCT/KR2003/000397 priority patent/WO2003073193A2/en
Publication of KR2003002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04H20/82Wired systems using signals not modulated onto a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에 있어서, 방송 중계서버에서 인터넷 방송국으로부터 수신 받은 방송 스트림 패킷을 수신하여, 디패킷타이징하여 버퍼링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스트림 패킷을 적정한 데이터 사이즈로 다시 패킷타이징하는 단계와;
방송 리스트 중에서 청취하고자 하는 방송을 선택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방송 중계서버에 요청하는 단계와; 방송 중계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인터넷 방송의 패킷타이징된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여 버퍼링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가청 대역의 방송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수신된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 중에서 방송에 관한 정보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인터넷 방송을 검색하여 방송을 청취할 수 있고, 인터넷 방송국과 방송 중계서버는 별도의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서버가 필요가 없으며,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도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Internet Broadcasting Receiving Method}
본 발명은 유·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된 상태에서 각각의 인터넷 방송국으로부터 제공받은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방송 리스트와 함께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방송 중계서버에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다양한 종류의 인터넷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을 매체로 하는 방송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 방송을 제작하고 송출하는 인터넷 방송국은 전국적으로 수 만 건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은 방송 콘텐츠들은 인터넷상에 접속된 인터넷 방송국 서버에 의하여 자체 제작, 방송되고 인터넷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컴퓨터로 접속하여 청취하게 된다.
그러나, 인터넷 방송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무선으로 인터넷과 연결된 PC나 노트북 컴퓨터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지금까지 카페나 다방, 유흥 주점 등에서는 고객에게 음악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들여 오디오 기기 등을 설치하고, CD, LP판, 카세트 테이프 등을 지속적으로 구입해야 하며, 점주나 DJ 등의 일정한 인력이 계속 관리하야 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의 낭비가 컸다.
삭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중계서버를 인터넷 방송국들에서 방송중인 각종 인터넷 방송 컨텐츠들을 통해 제공받아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로 변환시켜 스트리밍 형태로 인터넷에 연결된 각종 인터넷 음향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상에 산재된 각개 방송국의 방송 컨텐츠를 저장할 서버가 필요 없이, 각종 인터넷 음향시스템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인터넷 방송을 청취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인터넷 방송 청취방법" 에 대한 구성은 각종 방송 컨텐츠를 제작하여 방송하는 인터넷 방송국 서버의 방송 컨텐츠를 인터넷에 연결된 각종 음향시스템에서 전송 받아 재생하는 단계와; 인터넷 방송으로부터 전송 받은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인터넷 음향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인터넷 음향시스템을 인터넷에 접속시키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방송 중계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청취 가능한 인터넷 방송국의 방송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상의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에 있어서,상기 방송 중계서버에서 인터넷 방송국으로부터 수신 받은 방송 스트림 패킷을 수신하여, 디패킷타이징하여 버퍼링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스트림 패킷을 적정한 데이터 사이즈로 다시 패킷타이징하는 단계와;상기 방송 리스트 중에서 청취하고자 하는 방송을 선택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방송 중계서버에 요청하는 단계와;상기 방송 중계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인터넷 방송의 패킷타이징된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여 버퍼링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가청 대역의 방송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 중에서 방송에 관한 정보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음향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인터넷 음향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인터넷 음향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인터넷 음향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중계 서버와 인터넷 음향시스템에서 인터넷 방송을 청취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터넷 음향시스템(100)은 인터넷 접속부(102), 키조작부(104), 디스플레이부(106), 출력부(112), 메모리부(110), 방송 데이터 변환부(108) 및 제어부(1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인터넷 접속부(102), 키조작부(104), 디스플레이부(106), 출력부(112)는 인터넷 음향시스템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다.
인터넷 접속부(102)는 인터넷 음향시스템(100)이 유·무선으로 인터넷(400)에 접속하여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각종 유·무선 모뎀, 유·무선 랜카드 등이 이용된다.
키조작부(104)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키, 인터넷 방송을 청취하기 위한 조작키 등을 관리한다. 예를 들면, 인터넷 접속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인터넷 접속키, 청취가능한 인터넷 방송국를 검색하거나 방송국 서버의 주소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방향키, 문자 및 숫자키, 볼륨 조절키 등이 포함된다.
디스플레이부(106)는 인터넷 접속화면, 인터넷 방송국 리스트, 각종 조작키의 입력화면 및 현재 방송되고 있는 곡명 등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LCD(liquid crystal display)화면이 터치스크린으로 이용될 수 있다.
방송 데이터 변환부(108)는 인터넷 접속부(102)를 통해 전송받은 인터넷 방송의 패킷타이징된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여 버퍼링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가청 대역의 방송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출력부(112)는 방송 데이터 변환부(108)에 의해 변환된 가청 대역의 방송 데이터를 스피커(114)나 외부 출력 단자(116)로 출력한다
메모리부(110)는 인터넷 음향시스템을 가동시키는 OS(operating system)와 수신받은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버퍼링하거나 가청 대역의 방송 데이터를 청취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S/W)들이 저장된다.
제어부(114)는 메모리부(110)로부터 인터넷 음향시스템을 가동시키는데 필요한 OS와 인터넷 방송의 수신에 필요한 각종 소프트웨어를 읽어 들여 제어하고 방송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한편, 도 3,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터넷 음향시스템에 인터넷 방송을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국 서버(300)와, 방송 중계서버(200)에 대하여 살펴보면, 인터넷 방송국 서버(300)는 오디오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 등의 디지털화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자체 제작하는 방송 컨텐츠 제작모듈(302), 제작된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방송하는 인터넷 방송모듈(304)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실시간으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방송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방송모듈(306)을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넷 방송국 서버에서 제작하는 방송 컨텐츠의 일례로는 Winamp 등을 이용하여 MP3 음악 파일을 플레이하면서 멘트를 삽입하여 방송하는 형태의 오디오 파일, 웹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기기 등을 이용하여 제작된 동영상 파일 등이 포함된다.
방송 중계서버(200)는 인터넷 방송국 관리모듈(202), 방송 컨텐츠 관리모듈(204), 중계 모듈(206) 및 제어모듈(208)을 포함한다. 인터넷 방송국 관리모듈(202)은 방송 컨텐츠를 제작하여 인터넷으로 방송하는 인터넷 방송국 서버(300)를 관리하는 바, 인터넷 방송국 서버(300)를 회원으로 등록받고 각각의 회원에게 고유 ID 등을 부여하고 각종 정보를 인터넷 방송국 DB(210)에 기록 저장하여 관리한다.
방송 컨텐츠 관리모듈(204)은 인터넷 방송국 서버(300)로부터의 인터넷 방송 컨텐츠에 관한 기본 정보를 방송 컨텐츠 DB(212)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인터넷 음향시스템의 사용자가 인터넷으로 현재 방송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소정의 리스트로 제공한다. 또한, 방송 컨텐츠 관리모듈(204)은 인터넷 방송국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인터넷 음향시스템에서 청취할 수 있도록 패킷타이징한다. 이때, 패킷타이징된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후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새로운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여 메모리의 용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중계모듈(206)은 방송 컨텐츠 관리모듈(204)에서 작성한 방송 리스트가 음향스시템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인터넷 음향시스템에서 선택한 방송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모듈(208)은 방송 중계서버(200)의 각 모듈(202,204,206)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5를 참조하여 인터넷 방송을 청취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인터넷 방송국 서버(300)는 오디오, 비디오 파일 등을 포함하는 각종 방송 컨텐츠의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제작 방송하고(단계 S602), 제작한 방송 컨텐츠를 방송 중계서버(200)에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 중계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ID를 입력하면, 방송 중계서버(200)의 방송국 관리모듈은 등록된 인터넷 방송국 서버(300)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604), 회원으로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방송 중계서버를 이용할 수 없다는 사실과 함께 별도의 등록절차를 거쳐 회원으로 가입시키며, 회원등록시 방송국 정보, 컨텐츠 기본 정보 등을 필수항목으로 입력받아 인터넷 방송국 DB(210)에 저장한다.
한편, 회원으로 확인된 인터넷 방송국 서버는 방송 컨텐츠의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방송 중계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606).
방송 중계서버(200)는 인터넷 방송국 서버(300)로부터 전송 받은 방송 컨텐츠의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가공하고, 전송하기 위한 적정한 데이터 사이즈로 다시 패킷타이징하며, 송출하기 위해 대기한다(단계 S608). 즉,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메모리에 버퍼링하여 전송하고 다시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전송 받아 일정 용량이 계속 유지되도록 한다.
그 후, 방송 컨텐츠 DB(212)에 저장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인터넷으로 제공한다(단계 S610).
한편, 인터넷 음향시스템의 사용자는 음향시스템을 인터넷에 연결한 후에 방송 중계서버에서 제공하는 방송 리스트 중에서 청취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를 검색하고(단계 S612,S614), 방송 중계서버(200)에 선택한 방송의 전송을 요청한다(단계 S616). 이때, 원하는 방송 컨텐츠가 없는 경우에는 방송 리스트를 다시 검색하거나 또는 종료한다.
방송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 받은 방송 중계서버(200)는 패킷타이징된 해당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인터넷 음향시스템에 전송한다(단계 S618).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수신 받은 인터넷 음향시스템은 이를 디패킷타이징하여 버퍼링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가청 대역으로 변환, 증폭하여 이어폰이나 스피커 등으로 출력한다(단계 S620,S622).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인터넷 방송을 동영상으로 시청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에 의하면, 방송 중계서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인터넷 방송을 검색하여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송 중계서버에 의해 실시간으로 각 인터넷 방송국에서 방송된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패킷타이징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인터넷 방송국과 방송 중계서버는 별도의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서버가 필요가 없으며, 인터넷 음향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하기 때문에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도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AM, FM 방송뿐만 아니라, 인터넷 방송도 청취할 수 있음으로 인터넷 음향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장르와 개성이 있는 방송을 청취할 수 있어 전문 음악 감상 시설을 갖추고 디스크 자키(DJ)를 고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음향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인터넷 음향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인터넷 음향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의 개념도.
도 4는 도 1의 인터넷 음향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방송 중계 서버와 음향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청취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터넷 음향시스템 102 : 인터넷 접속부
104 : 키조작부 106 : 디스플레이부
108 : 방송 데이터 변환부 110 :메모리부
112 : 출력부 114 : 제어부
200 : 방송 중계서버 300 : 인터넷 방송국서버
400 : 인터넷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각종 방송 컨텐츠를 제작하여 방송하는 인터넷 방송국 서버의 방송 컨텐츠를 인터넷에 연결된 각종 음향시스템에서 전송 받아 재생하는 단계와; 인터넷 방송으로부터 전송 받은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인터넷 음향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인터넷 음향시스템을 인터넷에 접속시키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방송 중계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청취 가능한 인터넷 방송국의 방송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상의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중계서버에서 인터넷 방송국으로부터 수신 받은 방송 스트림 패킷을 수신하여, 디패킷타이징하여 버퍼링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스트림 패킷을 적정한 데이터 사이즈로 다시 패킷타이징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리스트 중에서 청취하고자 하는 방송을 선택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방송 중계서버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중계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인터넷 방송의 패킷타이징된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여 버퍼링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가청 대역의 방송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 스트림 패킷 데이터 중에서 방송에 관한 정보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
KR20020011083A 2002-02-28 2002-02-28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 KR100512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1083A KR100512925B1 (ko) 2002-02-28 2002-02-28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
AU2003212667A AU2003212667A1 (en) 2002-02-28 2003-02-28 Acoustic system for receiving internet broadcasting and internet broadcasting receiving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03/000397 WO2003073193A2 (en) 2002-02-28 2003-02-28 Acoustic system for receiving internet broadcasting and internet broadcasting receiv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1083A KR100512925B1 (ko) 2002-02-28 2002-02-28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778A KR20030025778A (ko) 2003-03-29
KR100512925B1 true KR100512925B1 (ko) 2005-09-07

Family

ID=2772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11083A KR100512925B1 (ko) 2002-02-28 2002-02-28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12925B1 (ko)
AU (1) AU2003212667A1 (ko)
WO (1) WO20030731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4630A1 (en) * 2006-04-03 2007-10-11 Tobesoft Co., Ltd. Data division formation system for client-server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398B1 (ko) * 2000-05-03 2002-04-13 문성진 인터넷 방송 장치
KR20020024475A (ko) * 2000-09-25 2002-03-30 강호신 인터넷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
JP2002116772A (ja) * 2000-10-11 2002-04-19 Sato Kogyo Co Ltd インターネット回線を用いた自動放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778A (ko) 2003-03-29
AU2003212667A8 (en) 2003-09-09
WO2003073193A2 (en) 2003-09-04
WO2003073193A3 (en) 2003-11-27
AU2003212667A1 (en) 200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4249B1 (en) Method and system for adding advertisements over streaming audio based upon a user profile over a world wide area network of computers
US101941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media content presented on a media playing device
KR100409101B1 (ko) 휴대통신 단말기용 인터넷 방송 중계 시스템 및 방송 중계 방법
JP2007164659A (ja) 音楽情報を利用した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JP428094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携帯端末、情報処理装置、並びに、記録媒体
US8024475B2 (en) Communication method
KR20090024016A (ko) 음악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악 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2002318587A (ja) 音楽配信システムおよび音楽データ受信装置
KR100512925B1 (ko) 인터넷 방송의 청취방법
JP2015065545A (ja) 放送番組ポイント付与システム、利用者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004604A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JP2008526060A (ja) 放送情報を受信するための受信デバイスを含むシステム
US7509089B2 (en) 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and program
US799175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JP2004333674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電子機器端末およびサーバ装置並びにコンテンツの配信再生方法
JP4574299B2 (ja) 音楽再生装置
WO2005006229A1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の通信プログラム
JP444909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遠隔制御装置
JP2004328109A (ja) 情報回収配信システム
US20040175152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versatile audio video system
JP4488923B2 (ja) 楽曲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US20080291859A1 (en) Fm Multiplex Broadcasting System, Fm Multiplex Broadcasting Method, and Receiver
JP200102460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媒体
KR20060029392A (ko) 데이터 라디오 채널을 이용한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93317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1029

Effective date: 200506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