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016A - 음악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악 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악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악 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016A
KR20090024016A KR1020070089189A KR20070089189A KR20090024016A KR 20090024016 A KR20090024016 A KR 20090024016A KR 1020070089189 A KR1020070089189 A KR 1020070089189A KR 20070089189 A KR20070089189 A KR 20070089189A KR 20090024016 A KR20090024016 A KR 20090024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server
program
user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4016A/ko
Priority to US12/229,976 priority patent/US20090061765A1/en
Publication of KR20090024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5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of au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04H20/14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for monitoring program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04H60/8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악 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악 프로그램 전체의 선곡 내용을 방송 도중에 모니터링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현재 청취 중인 음악 방송의 편성표인 음악들의 리스트를 한 번에 보여주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 상기 입력된 음악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모듈, 상기 수신된 음악 프로그램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제어부, 상기 추출된 음향 유전자를 무선 통신으로 주기적으로 음악 DB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음악 DB 서버로부터 상기 음향 유전자에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모듈 및 상기 음악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시스템 그리고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에 나오는 음악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관심있는 음악에 대하여 구매할 수 있다.
음악 인식, 음향 유전자, 편성표, 음악 리스트

Description

음악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악 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monitoring the music broadcast using the music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악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악 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악 인식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음악 방송의 편성표를 효율적으로 얻기 위한 음악 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음악 인식(music recognition)은 사람의 지문과 같이 각 음악이나 음원 고유의 특징 요소 즉, 음향 유전자를 찾아서 음악을 인식하고 음악의 곡명, 가수, 작곡가, 지휘자, 앨범명 등과 같은 음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특히, 음향 유전자는 일종의 음향의 성문(audio fingerprinting) 으로 볼 수 있다. 음향 유전자는 오디오 유전자(Audio DNA) 혹은 특징 벡터(feature vector) 등과 같이 다양한 용어로 불리며, 음향 고유의 지문 내지는 유전자와 같이 그 음향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특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음악 인식에 사용되는 음향 유전자는 음향을 일정시간 동안 샘플링하는 과정과 샘플링된 음향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으로 구분된다. 샘플링 과정은 방송 수신 모듈이 방송을 수신한 후 음향신호를 44.1 kHz 등과 같은 일정한 주파수로, 10초 등과 같은 일정 시간 동안 샘플링하여 녹음하는 것이다. 그리고, 음향의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은 샘플링된 음향을 시간 또는 주파수 공간에서 필터링, 웨이브 변환, 증폭, 감쇄 등의 다양하게 신호 처리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음악 인식은 일종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Data Base Server)를 이용한다. 즉,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음악 정보와 음향 유전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들로부터 관심있는 음악의 음향 유전자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와 무선 혹은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라디오, TV, 모바일 TV 방송 기능이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도중에 관심있는 음악의 제목을 못 들은 경우, 그 음악을 샘플링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데이터 베이스 서버을 통하여 그 음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지 못할 때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가 휴대폰 등에서 라디오와 같은 특정 방송을 선택해 음악 프로그램을 듣는 도중에 나온 음악에만 적용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시청 도중에 원하는 음악에 대하여 음악 인식 기능을 실행시켜서 해당 음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악 한 곡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방송 프로그램 전체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하여 전체 음악의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받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 의 기술의 적용이 매우 불편하다. 즉,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청취 도중에 모든 음악에 대하여 음악 인식 기능을 여러 번 적용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음악 프로그램을 청취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음악 프로그램을 청취하지 않는 경우에도 음악 인식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표를 실시간으로 얻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 상기 입력된 음악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모듈; 상기 수신된 음악 프로그램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제어부; 상기 추출된 음향 유전자를 무선 통신으로 주기적으로 음악 DB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음악 DB 서버로부터 상기 음향 유전자에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모듈; 및 상기 음악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상기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 상기 음악 DB 서버에 연결하는 주기를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하여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음악 DB 서버에 연결하는 주기는 상기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 상기 음악 프로그램 종료 후 1회, 사용자가 입력한 주기 중의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악 정보는 음악 제목, 음악가 이름, 앨범 이름, 앨범에 포함된 음악 리스트, 음악 장르, 그리고 앨범 사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음악 DB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음악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관련 음악의 구매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무선 모듈로 상기 음악 DB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요청된 음악을 구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을 백그라운드 과정 혹은 포그라운드 과정 중에 하나로 처리하는 것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악 프로그램은 TV 방송, 라디오 방송 혹은 모바일 TV 방송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악 DB 서버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 상기 입력된 음악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모듈; 상기 수신된 음악 프로그램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제어부; 상기 추출된 음향 유전자를 무선 통신으로 주기적으로 상기 음악 DB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음악 DB 서버로부터 상기 음향 유전자에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모듈; 및 상기 음악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악 DB 서버는, 상기 무선 모듈과 무선 통신하여 상기 음향 유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송신하는 서버 무선 모듈; 복수의 음향 유전자와 음악 정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음향 유전자 DB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음향 유전자를 상기 서버 무선 모듈을 통하여 받아서 상기 음향 유전자 DB 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음향 유전자 DB 모듈이 검색한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상기 서버 무선 모듈로 제공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유전자를 이용하여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과정; 상기 입력된 음악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음악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주기적으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음향 유전자를 무선 통신으로 주기적으로 음악 DB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음악 DB 서버로부터 상기 음향 유전자에 대응하는 음악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음악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음악 프로그램을 청취하는 도중에 또는 청취하지 않는 도중에도 음악 프로그램의 편성표 및 관련된 음악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관심 있는 음악을 무선 통신을 통하여 구매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주지되어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것은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본 발명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핸드폰, 휴대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엠피쓰리 플레이어 (MP3 Player)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방송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 모듈(104), 방송 수신 모듈(105), 오디오 처리부(103), 제어부(107), 무선 모듈(106), 디스플레이부(102), 메모리부(101)로 이루어진다.
입력 모듈(104)은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입력값을 제어부(107)에 전달한다. 사용자로부터 받은 입력값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게 하거나 이러한 기능의 파라미터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입력 모듈(104)은 사용자가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을 입력받으며, 모니 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 음악 DB 서버에 연결하는 주기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와 이루어지는 상호 작용 중 입력 작용은 입력 모듈(104)을 통하여 대부분 이루어진다. 사용자와 이루어지는 상호 작용 중 출력 작용 혹은 디스플레이 작용은 디스플레이부(102)를 통하여 대부분 이루어진다. 이러한 입력 모듈(104)은 키패드(key pad), 터치패드(touch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음악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는 특정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또는 상영 시간 등과 같이 음악 프로그램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의미한다.
입력 모듈(104)을 이용한 음악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것은 방송 채널의 주파수 혹은 KBS 1FM과 같은 프로그램 이름 형태로 입력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가 이미 방송 프로그램을 청취 혹은 시청하는 도중에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기능을 활성화시킬 경우에는, 현재 청취 중인 음악 프로그램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가 명백하다. 이럴 경우 별도로 음악 프로그램을 입력받지 않고, 현재 청취 중인 음악 프로그램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디오 청취 도중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위한 파라미터 값을 제공하는 메뉴를 보여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이다.
방송 수신 모듈(105)은 방송국이 송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송 또는 방송 프로그램은 TV 방송, 라디오 방송, 모바일 TV 방송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음악을 포함한 방송과 관련된다. 방송 수신 모 듈(105)은 다양한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방송 시그널 중에서 사용자가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전파를 안테나를 포함한 튜너로 수신하고, 수신된 전파 중에서 반송파를 제외한 음성 신호 혹은 음성/영상 신호를 복조기를 통하여 복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05)은 음성 및 영상 신호를 제어부(107)를 거쳐 혹은 직접 오디오 처리부(103) 및 디스플레이부(102)에 보내준다. 방송 수신 모듈(105)은 TV, 라디오, 모바일 TV 에 따라서 그 구성이 상이하다. 이러한 방송 수신 모듈의 구성은 공지기술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발명의 사상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오디오 처리부(103)는 상기 방송 수신 모듈(105)이 수신한 음악 프로그램 중 음향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청취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라디오일 경우에는, 방송 수신 모듈(105)은 방송 중 복조된 음향신호를 오디오 처리부(103)로 보낸다. 또한, 청취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TV 혹은 모바일 TV 일 경우에는, 방송 수신 모듈(105)은 방송 중 복조된 음향신호와 영상신호를 각각 오디오 처리부(103)와 디스플레이부(102)로 보낸다. 통상적으로 오디오 처리부는 내장된 스피커 혹은 유선 이어폰, 무선 헤드셋 등을 포함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는 모노 스피커와 스테레오 스피커 등을 포괄한다. 또한, 사용자가 음악 모니터링 기능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시할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다른 작업을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하면서 하면서 백그라운드로 음악 모니터링 기능을 실시하므로, 제어부(107)는 방송 수신 모듈(105)에서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음향 및 영상이 각각 오디오 처리부(103)와 디스플레이부(102)에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백그라 운드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기능의 경우에는, 제어부는 음향과 영상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백그라운드로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제어부(107)는 방송 수신 모듈(105)이 수신한 음악 프로그램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여 메모리부(101)에 저장한다. 음향 유전자는 오디오 유전자 혹은 특징 벡터 등과 같이 다양한 용어로 불리며, 음향 고유의 지문 내지는 유전자와 같이, 그 음향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특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음악 인식에 사용되는 음향 유전자는 음향을 일정시간 동안 샘플링하는 과정과 샘플링된 음향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으로 구분된다. 샘플링 과정은 방송 수신 모듈(105)로부터 받은 제어부(107)가 받은 음향신호를 44.1 kHz 등과 같은 일정한 주파수로, 10초 등과 같은 일정 시간 동안 샘플링하여 녹음하는 것이다. 그리고, 음향의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은 샘플링된 음향을 시간 또는 주파수 공간에서 필터링, 웨이브 변환, 증폭, 감쇄 등의 다양하게 신호 처리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음향 유전자 추출은 당업자가 다양한 형태 및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즉, 음악 프로그램에서 음악이 계속 나올 경우, 각 음악마다 재생 시간이 차이가 나며, 음악과 음악 사이에는 광고나 진행자의 코멘트 등으로 구성이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음악의 시작을 센싱하는 방법이 있으나 그 알고리즘이 복잡하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통상적으로 노래 한 곡의 길이가 2분 내지는 6분 정도이다. 음향 유전자를 추 출하는 주기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노래가 나오는 주기보다 작은 것이 타당하다.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가 작을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에 나오는 노래를 빠트리지 않고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업 부하(work-load)가 커지고 또한 음악 DB 서버에 자주 접속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가 작을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업 부하가 작아지고 또한 음악 DB 서버에 자주 접속해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나, 방송 프로그램에 나오는 노래를 빠트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가 작을 경우에는, 동일한 노래가 복수 회 모니터링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음악 DB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음악 정보를 기준으로 동일한 노래가 있는지 검색한 후에, 동일한 노래가 있을 경우에는 삭제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무선 모듈(106)은 제어부(107)의 콘트롤에 따라 제어부(107)가 추출한 음향 유전자를 무선 통신으로 주기적으로 음악 DB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음악 DB 서버로부터 상기 음향 유전자에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무선 모듈(106)은 음악 DB 서버와 통신하여 추출된 음향 유전자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수신한다. 음악 정보는 음악에 대한 일종의 메타 데이터(meta data) 로서, 음악 제목, 음악가 이름, 앨범 이름, 앨범에 포함된 음악 리스트, 음악 장르, 그리고 앨범 사진 등 다양한 형태를 포괄한다. ID3 태그는 최근 mp3 등과 같은 압축 오디오 파일에 많이 사용되는 규격이며, ID3v1태그 또는 ID3v2 태그가 있다. ID3v1 태그에는 트랙/제목/아티스트/앨범명/장르/상세정보 등의 정보 가 첨부되고, ID3v2 태그에는 작곡가/가사/오리지널 아티스트/저작권자/URL/엔코드 한 사람 등의 정보가 첨부된다. 본 발명의 음악 정보는 ID3 태그와 같이 표준에 정의되어있는 형태일 수도 있고, 이와는 별로도 개별적으로 정의된 형태일 수도 있다.
무선 모듈(106)의 통신 방식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등의 동기, 비동기 방식을 포함하며,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SMS(Short Messaging System),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포괄한다.
무선 모듈(106)이 음악 DB 서버와 통신하는 주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 음악 프로그램 종료 후 1회, 사용자가 입력한 임의의 주기가 가능하다. 무선 모듈(106)이 송신하는 음향 유전자의 개수는 음악 DB 서버와 통신하는 주기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이다. 우선, 음악 DB 서버와 통신하는 주기를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와 같은 값으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107)가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과정과 무선 모듈(106)이 음악 DB 서버와 통신하는 과정이 하나의 연속된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107)가 음향 유전자를 추출한 다음, 무선 모듈(106)이 음악 DB 서버와 통신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럴 경우, 무선 모듈(106)이 송신하는 음향 유전자의 개수는 하나이다.다음으로, 음악 DB 서버와 통신하는 주기를 음악 프로그램 종료 후 1회로 설정된 경우에는, 모니터링 대상이 된 음악 프로그램이 마친 후에, 그 동안 메모리 부(101)에 저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음향 유전자를 무선 모듈(106)을 통해서 음악 DB 서버에 전송하여, 이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음악 정보를 전송받는다. 이럴 경우, 무선 모듈(106)이 송신하는 음향 유전자의 개수는 복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2)는 음악 정보 등 다양한 시각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2)는 사용자로부터 필요에 따라서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 및 그 시간 정보, 상기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 상기 음악 DB 서버에 연결하는 주기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야 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02)는 사용자와 입력 과정 및 출력 과정 등의 상호 작용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디스플레이부(102)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 (LED,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메모리부(101)는 프로그램 자체 또는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 파라미터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메모리부(101)는 무선 모듈(106)이 음악 DB 서버와의 통신하는 때에 필요한 음악 유전자를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01)는 무선 모듈(106)이 음악 DB 서버와 무선 통신하여 제공받는 음악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방송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같이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악 DB 서버를 포함하는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음악 방송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음악 DB 서버(200)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모듈(104), 방송 수신 모듈(105), 오디오 처리부(103), 제어부(107), 무선 모듈(106), 디스플레이부(102), 메모리부(1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음악 DB 서버(200)는 서버 무선 모듈(201), 음향 유전자 DB 모듈(202) 그리고 서버 제어부(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음악 DB 서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즉, 음악 방송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유사한 점이 많으므로, 주요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서버 무선 모듈(201)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모듈(106)과 무선 통신하여 상기 음향 유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음향 유전자에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음악 DB 서버(200)의 서버 무선 모듈(201)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모듈(106)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버 무선 모듈(201)의 통신 방식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서 CDMA, GSM, GPRS 등의 동기, 비동기 방식을 포함하며, WAP, SMS, MMS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포괄하다.
음향 유전자 DB 모듈(202)은 복수의 음향 유전자와 음악 정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음향 유전자 DB 모듈(202)은 복수의 음악에 대한 음향 유전자를 저장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악 정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한다. 그리고, 서버 무선 모듈(201)에서 수신한 음향 유전자는 서버 제어 부(203)의 제어에 따라 음향 유전자 DB 모듈(202)로 보내진다. 음향 유전자 DB 모듈(202)은 수신한 음향 유전자에 대응하는 음악을 검색한다. 이 음악에 대한 검색된 음악 정보를 서버 제어부(203)의 제어에 따라 서버 무선 모듈(201)에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악 정보는 다양한 형태를 갖을 수 있다.
서버 제어부(203)는 상기 수신된 음향 유전자를 상기 서버 무선 모듈(201)을 통하여 받아서 상기 음향 유전자 DB 모듈(202)에 제공하고, 상기 음향 유전자 DB 모듈(202)이 검색한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상기 서버 무선 모듈(201)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서버 제어부(203)는 음악 DB 서버(200)의 기능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와의 무선 통신 기능과 음향 유전자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전체적으로 콘트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유전자를 이용하여 음악 방송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같이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사용자로부터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입력 모듈(104)을 통하여 입력받는 과정을 거친다 (S300). 입력 모듈(104)을 이용한 입력 파라미터 중 음악 프로그램은 방송 채널의 주파수 혹은 KBS 1FM과 같은 프로그램 이름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이미 방송 프로그램을 청취 혹은 시청하는 도중에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기능을 활성화시킬 경우에는, 현재 청취 중인 음악 프로그램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가 명백하다. 이럴 경우 별도로 음악 프로그램을 입력받지 않고, 현재 청취 중인 음악 프로그램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디오 청취 도중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위한 메뉴를 보여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이다.
또한, S300 단계에서는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 음악 DB 서버(200)에 연결하는 주기 등의 다양한 파라미터 값을 입력 모듈(104)을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방송국이 송신하는 프로그램 중 상기 입력된 음악 프로그램을 방송 수신 모듈(105)을 통하여 수신하는 과정(S301)을 거친다. 즉, 사용자가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음악 프로그램의 주파수에 맞는 전파를 안테나 및 튜너를 통하여 수신하고, 영상 및 음성 시그널을 복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방송 혹은 방송 프로그램은 TV 방송, 라디오 방송, 모바일 TV 방송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7)가 상기 수신된 음악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주기적으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과정을 거친다(S302). 추출된 음향 유전자를 메모리부(101)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음악 인식에 사용되는 음향 유전자는 음향을 일정시간 동안 샘플링하는 과정과 샘플링된 음향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을 거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음향 유전자의 개수는 음악 DB 서버(200)와 통신하는 주기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이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음향 유전자를 무선 모듈(106)을 통해서 무선 통신으로 주기적으로 음악 DB 서버(200)에 송신하고, 상기 음악 DB 서버(200)로부터 상기 음향 유전자에 대응하는 음악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거친다(S303). 전술한 바와 같이, 음악 DB 서버(200)는 서버 무선 모듈(201), 음향 유전자 DB 모듈(202) 그리고 서버 제어부(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음악 정보는 음악에 대한 메타 데이터(meta data) 로 볼 수 있는데, 음악 제목, 음악가 이름, 앨범 이름, 앨범에 포함된 음악 리스트, 음악 장르, 그리고 앨범 사진 등 다양한 형태를 포괄한다. 본 발명의 음악 정보는 ID3 태그와 같이 일정한 규격이 있을 수도 있고, 이와는 별로도 정의된 형태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음악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거친다(S304). 즉, 음악 DB 서버(200)의 음향 유전자 DB 모듈(202)에서 검색된 음악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전송 받게 된다. 이러한 음악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메모리부(101)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의 결과로서 방송된 음악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5는 앨범 사진과 음악 제목, 음악가 이름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음악 방송 중 나온 모든 음악들의 리스트인 편성표의 형태로서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가 음악 제목을 선택할 경우, 해당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앨범 사진 또는 음악가 이름을 선택할 경우, 해당 앨범 또는 음악가와 관련된 당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앨범을 선택할 경우, 앨범에 수록된 모든 트랙의 음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관련 음악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음악 프로그램의 편성표를 알 수 있으며, 관련 음악을 구매하고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매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악 DB 서버(200) 또는 별도의 서버에 접속하여, 관련 음악을 바로 구매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음악 정보와 관련된 음악의 구매를 요청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S305). 다음으로, 상기 음악의 구매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음악 DB 서버(200)에 무선 접속하여 상기 요청된 음악을 구매하는 과정을 거친다(S306).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악 DB 서버를 포함하는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디오 청취 도중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위한 메뉴를 보여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의 결과로서 방송된 음악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Claims (21)

  1. 사용자로부터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
    상기 입력된 음악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모듈;
    상기 수신된 음악 프로그램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제어부;
    상기 추출된 음향 유전자를 무선 통신으로 주기적으로 음악 DB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음악 DB 서버로부터 상기 음향 유전자에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모듈; 및
    상기 음악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상기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 상기 음악 DB 서버에 연결하는 주기를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하여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DB 서버에 연결하는 주기는 상기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 상기 음악 프로그램 종료 후 1회, 사용자가 입력한 주기 중의 하나 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정보는 음악 제목, 음악가 이름, 앨범 이름, 앨범에 포함된 음악 리스트, 음악 장르, 그리고 앨범 사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DB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음악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관련 음악의 구매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무선 모듈로 상기 음악 DB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요청된 음악을 구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을 백그라운드 과정 혹은 포그라운드 과정 중에 하나로 처리하는 것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프로그램은 TV 방송, 라디오 방송 혹은 모바일 TV 방송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악 DB 서버로 구성된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
    상기 입력된 음악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모듈;
    상기 수신된 음악 프로그램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제어부;
    상기 추출된 음향 유전자를 무선 통신으로 주기적으로 상기 음악 DB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음악 DB 서버로부터 상기 음향 유전자에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모듈; 및
    상기 음악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악 DB 서버는,
    상기 무선 모듈과 무선 통신하여 상기 음향 유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송신하는 서버 무선 모듈;
    복수의 음향 유전자와 음악 정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음향 유전자 DB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음향 유전자를 상기 서버 무선 모듈을 통하여 받아서 상기 음향 유전자 DB 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음향 유전자 DB 모듈이 검색한 대응하는 음악 정보를 상기 서버 무선 모듈로 제공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시스템.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상기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 상기 음악 DB 서버에 연결하는 주기를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하여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시스템.
  10. 청구항 8항 또는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DB 서버에 연결하는 주기는 상기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 상기 음악 프로그램 종료 후 1회, 사용자가 입력한 주기 중의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시스템.
  11.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정보는 음악 제목, 음악가 이름, 앨범 이름, 앨범에 포함된 음악 리스트, 음악 장르, 그리고 앨범 사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시스템.
  12. 청구항 8항 또는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DB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음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관련 음악의 구매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무선 모듈로 상기 음악 DB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요청된 음악을 구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시스템.
  13. 청구항 8항 또는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을 백그라운드 과정 혹은 포그라운드 과정 중에 하나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시스템.
  14. 청구항 8항 또는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프로그램은 TV 방송, 라디오 방송 혹은 모바일 TV 방송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 모니터링 시스템.
  15. 음향 유전자를 이용하여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과정;
    상기 입력된 음악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음악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주기적으로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음향 유전자를 무선 통신으로 주기적으로 음악 DB 서버에 송신 하고, 상기 음악 DB 서버로부터 상기 음향 유전자에 대응하는 음악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음악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6. 청구항 15항에 있어서,
    모니터링하고 싶은 음악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상기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 상기 음악 DB 서버에 연결하는 주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7. 청구항 15항 또는 청구항 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DB 서버에 연결하는 주기는 상기 음향 유전자를 추출하는 주기, 상기 음악 프로그램 종료 후 1회, 사용자가 입력한 주기 중의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8. 청구항 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정보는 음악 제목, 음악가 이름, 앨범 이름, 앨범에 포함된 음악 리스트, 음악 장르, 그리고 앨범 사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9.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8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후에, 사용자가 관련 음악의 구매를 요청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음악의 구매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음악 DB 서버에 무선 접속하여 상기 요청된 음악을 구매하는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20.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8항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을 백그라운드 과정 혹은 포그라운드 과정 중에 하나로 처리하는 것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21.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8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프로그램은 TV 방송, 라디오 방송 혹은 모바일 TV 방송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KR1020070089189A 2007-09-03 2007-09-03 음악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악 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090024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189A KR20090024016A (ko) 2007-09-03 2007-09-03 음악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악 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12/229,976 US20090061765A1 (en) 2007-09-03 2008-08-28 Mobi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usic program using music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189A KR20090024016A (ko) 2007-09-03 2007-09-03 음악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악 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016A true KR20090024016A (ko) 2009-03-06

Family

ID=4040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189A KR20090024016A (ko) 2007-09-03 2007-09-03 음악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악 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61765A1 (ko)
KR (1) KR200900240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279B1 (ko) * 2011-11-01 2012-04-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미디어 체크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60077764A (ko)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케이티 음악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1689A1 (en) * 2008-12-23 2010-06-24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of updating/modifying a stand alone non-network connectible device
KR20120022838A (ko) * 2009-05-20 2012-03-1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027551A (ko)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9783448A (zh) * 2018-12-11 2019-05-21 深圳豪客互联网有限公司 一种音乐文件信息获取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5201A (ja) * 1997-07-29 1999-02-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伝送媒体
US20020174431A1 (en) * 2001-05-15 2002-11-21 John Bowma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music related information via an internet connection
US20050034124A1 (en) * 2003-03-27 2005-02-10 House Eric Edward Mechanism for simultaneously operating multiple applications o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plementing a palm operating system
US8869186B2 (en) * 2005-07-29 2014-10-21 Dell Products L.P. Automated acquisition of discovered content
US8005419B2 (en) * 2006-12-29 2011-08-23 Xm Satellite Radio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storing and organizing SDARS content with DRM and non-DRM protected media content, and for facilitating obtaining purchased or subscription-based media based on received SDARS cont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279B1 (ko) * 2011-11-01 2012-04-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미디어 체크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60077764A (ko)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케이티 음악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1765A1 (en)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1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media content presented on a media playing device
US9742442B2 (en) Digital radio tagging using an RF tuner accessory
EP2406732B1 (en) Bookmarking system
KR20120139827A (ko) 태깅된 미디어 아이템 정보의 수집
KR20090024016A (ko) 음악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악 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00546267C (zh) 用于处理信息的系统、装置、方法、记录介质和计算机程序
WO200309189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udio
JPH10320413A (ja) ユーザプロファイル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6236111A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および方法、コンテンツ検索プログラムならびに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991983B1 (ko) 기록장치 및 기록 방법
KR101128673B1 (ko) 통신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
KR20070092989A (ko)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시스템
JP2005274992A (ja) 楽曲識別用情報検索システム、楽曲購入システム、楽曲識別用情報取得方法、楽曲購入方法、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US7509089B2 (en) 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and program
KR100350706B1 (ko)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437087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8027573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